KR101637153B1 - 바닥 가열부 및 측면 가열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바닥 가열부 및 측면 가열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153B1
KR101637153B1 KR1020150128773A KR20150128773A KR101637153B1 KR 101637153 B1 KR101637153 B1 KR 101637153B1 KR 1020150128773 A KR1020150128773 A KR 1020150128773A KR 20150128773 A KR20150128773 A KR 20150128773A KR 101637153 B1 KR101637153 B1 KR 101637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oking
heating unit
module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숙
Original Assignee
허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숙 filed Critical 허진숙
Priority to KR1020150128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바닥 가열부 및 측면 가열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가열부 및 측면 가열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는 조리 내용물이 수용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의 하부에서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바닥 가열부 및 상기 조리 용기의 측부에서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유도가열 모듈, 조리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바닥 가열부 및 상기 측면 가열부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를 각각 제어하는 가열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닥 가열부 및 측면 가열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Induction Heating Cooker Having Bottom Heater and Side Heater}
본 발명은 유도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 내용물의 양, 조리 종류, 조리 패턴 등에 따라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유도가열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솥(Kettle)은 육상이 대형 급식소, 이를 테면 학교, 병원, 관공서, 군부대 등에서 국 등을 끓일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주방장비중 하나이다.
이러한 국솥은 대부분 증기를 이용한 증기형 국솥, 가스 버너를 열원으로 한 가스식 국솥, 히터를 이용한 전열식 국솥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형 급식을 위해 사용되는 대형 국솥은 그 용량이 크기 때문에 전열식을 사용할 경우 소비전력의 낭비가 크고, 증기형 국솥은 설비 자체가 복잡 다대하므로 대부분 가스 버너를 이용한 가스식 국솥이 보편화되어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개시된 가스식 국솥은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운영비를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안전상 취급관리에 있어 매우 주의를 요하기 때문에 사용상 많은 불편이 있는 것 이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불측의 원인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되면 커다란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피해로 이어지기 때문에 개선이 요구된다.
물론, 가스 버너식이 아닌 증기형, 전열식 등의 국솥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앞서 설명하였듯이 이들은 설비의 복잡성, 운용상의 유지보수 문제 및 전력 소모면에서 매우 불리하므로 안전하면서도 저렴하게 사용 유지할 수 있고, 설비도 간단하여 설치 및 조작도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개념을 가진 국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조리 내용물의 양, 조리 종류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값에 따라 유도가열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기 저장된 조리 패턴 또는 사용자가 직접 저장한 조리 패턴에 따라 유도가열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조리 용기를 원하는 각도만큼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장치는 조리 용기, 유도가열 모듈, 입력 모듈, 가열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조리 용기에는 조리 내용물이 수용되어 조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유도가열 모듈은 상기 조리 용기의 하부에서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바닥 가열부 및 상기 조리 용기의 측부에서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 가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모듈은 조리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유도가열 모듈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기는 조리 내용물의 양에 따라 상기 바닥 가열부만 가열하거나, 상기 바닥 가열부와 상기 측면 가열부를 모두 가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열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상기 조리 용기에서 이루어지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바닥 가열부만 가열하거나, 상기 측면 가열부만 가열하거나, 또는 상기 바닥 가열부와 상기 측면 가열부를 모두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열 제어 모듈은 볶음 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 가열부만 가열하고, 튀김 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측면 가열부만 가열하고, 끓임 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 가열부와 상기 측면 가열부를 동시에 가열하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측면 가열부만 가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열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상기 바닥 가열부 및 상기 측면 가열부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에 따라 상기 바닥 가열부 및 상기 측면 가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상기 바닥 가열부 및 상기 측면 가열부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를 조리 패턴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제어 모듈은 기 저장된 조리 패턴 또는 사용자가 저장한 상기 조리 패턴에 따라 상기 바닥 가열부 및 상기 측면 가열부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용기를 기울이기 위하여 상기 조리 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각도만큼 상기 조리 용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에 의하면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가열 제어 모듈이 바닥 가열부와 측면 가열부를 각각 제어하여 다양한 요리를 최적의 상태로 조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바닥 가열부 및 측면 가열부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를 입력하고, 이를 조리 패턴으로 저장 가능하여 사용자가 조리 과정에 직접 관여하지 않아도 반복된 조리를 모두 동일하게 완성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에 의하면 조리 용기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모듈과 조리 용기를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회전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수동으로 핸들을 돌리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로 적은 양의 조리 내용물을 조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로 많은 양의 조리 내용물을 조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로 볶음 조리를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로 튀김 조리를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로 끓임 조리를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로 곰국 조리를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의 조리 용기를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장치는 조리 용기(100), 유도가열 모듈(200), 입력 모듈(300), 가열 제어 모듈(400)을 포함한다.
조리 용기(100)에는 조리 내용물(10)이 수용되어 조리가 이루어진다.
조리 용기(100)의 외측에는 케이스(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조리 용기(100)와 케이스(110) 사이에는 후술할 유도가열 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110)에는 조리 내용물(10)의 가열로 인해 뜨거워진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도가열 모듈(200)은 조리 용기(100)의 하부에서 조리 용기(100)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바닥 가열부(210) 및 조리 용기(100)의 측부에서 조리 용기(100)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 가열부(220)를 포함한다.
측면 가열부(220)는 조리 용기(100) 외측에서 조리 용기(1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측면 가열부(220)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리 용기(100)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측면 가열부(220)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리 용기(100)의 바닥과 이격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바닥 가열부(210) 및 측면 가열부(220)는 유도가열 방식으로 조리 용기(100)에 수용된 조리 내용물(10)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코일(200a)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닥 가열부(210)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바닥 가열부(210)는 조리 용기(100)의 하부에 동심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가열부(220)가 복수 개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측면 가열부(220)는 조리 용기(1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조리 용기(100)의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하는 바닥 가열부(210) 및 측면 가열부(220)가 복수 개 구비되는 형태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복수의 바닥 가열부(210) 및 측면 가열부(220)가 조리 용기(100) 하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군데군데 배치될 수도 있는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바닥 가열부(210) 및 측면 가열부(220)는 복수 개가 구기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바닥 가열부(210) 및 측면 가열부(220)가 각각 하나씩만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 모듈(300)은 조리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버튼(3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 제어 모듈(400)은 입력 모듈(300)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유도가열 모듈(200)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모듈(300)은 조리 용기(100)에 담기는 조리 내용물(10)의 양을 입력하는 입력 버튼(3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 제어 모듈(400)은 입력 모듈(300)에서 입력된 조리 용기(100)에 담기는 조리 내용물(10)의 양에 따라 바닥 가열부(210)만 가열하거나, 바닥 가열부(210)와 측면 가열부(220)를 모두 가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로 적은 양의 조리 내용물을 조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로 많은 양의 조리 내용물을 조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입력 모듈(300)에는 적은 양 버튼과 많은 양 버튼이 구비되고, 적은 양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제어 모듈(400)이 바닥 가열부(210)만 가열하고, 많은 양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가열부(210)와 측면 가열부(220)를 모두 가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입력 모듈(300)은 조리 용기(100)에서 이루어지는 조리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 버튼(3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열 제어 모듈(400)은 입력 모듈(300)에서 입력된 조리 용기(100)에서 이루어지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바닥 가열부(210)만 가열하거나, 측면 가열부(220)만 가열하거나, 또는 바닥 가열부(210)와 측면 가열부(220)를 모두 가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로 볶음 조리를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로 튀김 조리를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로 끓임 조리를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입력 모듈(300)에는 일반적인 솥과 가열장치로 할 수 있는 조리 종류인 볶음, 튀김, 끓임 버튼이 각각 구비되고, 가열 제어 모듈(400)은 볶음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가열부(210)만 가열하고, 튀김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가열부(220)만 가열하고, 끓임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가열부(210)와 측면 가열부(220)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다.
특히, 튀김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는 측면 가열부(220)만 가열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가열부(220)는 조리 용기(100)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바닥면과 측면 가열부(220) 사이의 영역에는 대류현상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튀김유가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튀김 시 발생하는 부스러기 등이 가라앉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로 곰국 조리를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력 모듈(300)에는 곰국 버튼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곰국 버튼이 선택되면 가열 제어 모듈(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가열부(210)와 측면 가열부(220)를 동시에 가열하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가열부(220)만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조리 내용물(10)이 끓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곰국은 다른 국 요리에 비하여 단백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오랜 시간 끓여 우려내야하는 요리의 특성상 센 화력으로 바닥을 오랜 시간 가열하면 바닥에 눌어붙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곰국(10) 조리 시 곰국(10)이 끓을 때까지는 바닥 가열부(210)와 측면 가열부(220)를 모두 가열하여 센 화력으로 곰국(10)을 가열하고, 곰국(10)이 끓기 시작하면 바닥 가열부(210)의 전류를 차단하고 측면 가열부(220)만 가열하여 뭉근하게 오랜 시간 가열하여 곰국(10)이 조리 용기(100)의 바닥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입력 모듈(300)은 바닥 가열부(210) 및 측면 가열부(220)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 버튼(3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 가열부(210) 및 측면 가열부(220)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은 화살표 버튼으로서, 버튼을 누름에 따라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가 증감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 제어 모듈(400)은 입력 모듈(300)에서 입력된 바닥 가열부(210) 및 측면 가열부(220)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에 따라 바닥 가열부(210) 및 측면 가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 가열부(210)를 10분동안 10의 세기로 가열하다가, 이후 30분 동안 5의 세기로 가열하고, 측면 가열부(220)를 처음 30분 동안은 가열되지 않다가, 이후 30분 동안은 3의 세기로 가열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하는 것은 바닥 가열부(210) 및 측면 가열부(220)를 제어하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바닥 가열부(210) 및 측면 가열부(220)와 가열 시간과 가열 세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입력 모듈(300)을 통해 입력하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 제어 모듈(400)은 입력 모듈(300)에서 입력된 바닥 가열부(210) 및 측면 가열부(220)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를 조리 패턴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가열 제어 모듈(400)에는 대표적인 조리 패턴 몇 가지가 기 저장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다음 번 사용 시 조리 패턴을 다시 입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사용자가 저장한 조리 패턴 또는 기 저장된 조리 패턴을 불러와 종래와 동일한 조리를 할 수 있다.
특히, 가정집이 아닌 식당이나 급식소 등에서는 일정 양을 가지는 동일한 조리를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데, 이 때 한번 저장된 조리 패턴을 불러옴으로써 상시 동일한 맛을 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실시예의 입력 모듈(30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른 가열 제어 모듈(4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 조리 장치의 회전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 장치의 조리 용기를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 조리 장치는 도 9와 같이 조리 용기(100)를 기울이기 위하여 조리 용기(10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용기(100)의 양 측에는 회전축(102)이 형성되고, 조리 용기(100)의 회전축(102)을 지지하는 지지부(120)가 조리 용기(100)의 양 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 구동 모듈(500)은 회전축(102)과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조리 용기(100)를 회전시키는 모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510)와 회전축(102) 사이에는 모터(510)의 회전력을 회전축(102)으로 전달하는 기어세트가 구비될 수 있다. 기어세트는 조리 용기(100)가 급격히 회전함에 따라 조리 내용물(10)이 쏟아지거나, 이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터(51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회전축(102)으로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속기어는 웜기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 조리 장치는 회전 구동 모듈(500)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제어 모듈(600)은 기 설정된 각도만큼 조리 용기(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제어 모듈(600)은 상술한 입력 모듈(3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입력 모듈(300)은 조리 용기(100)의 회전 각도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모듈(300)은 30도 회전, 45도 회전, 60도 회전, 90도 회전 버튼을 포함하고, 회전 제어 모듈(600)은 사용자가 선택한 각도만큼 조리 용기(10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 구동 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조리 용기(100)의 회전을 위한 버튼에는 회전 각도가 문자로 표시될 수도 있고, 그림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하는 것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조리 용기(100)의 회전 각도, 회전 구동 모듈(500)의 구성 등은 당업자의 필요 또는 구성의 용이성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종래에는 조리 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핸들을 돌려야 했다. 이는, 조리 내용물이 많은 경우에는 조리 내용물의 무게로 인하여 조리 용기의 회전이 쉽지 않으며, 사용자가 조리 용기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거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어려워 조리 내용물을 쏟거나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문제점을 지닌다.
반면,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 조리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일정한 속도로 조리 용기(100)를 자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리 내용물(10)을 쏟거나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튼 조작으로 간편하게 조리 용기(100)의 회전이 가능하여 조리 용기(100)의 세척이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조리 내용물 100: 조리 용기
102: 회전축 110: 케이스
120: 지지부 200: 유도가열 모듈
200a: 유도가열 코일 210: 바닥 가열부
220: 측면 가열부 300: 입력 모듈
310: 입력 버튼 400: 가열 제어 모듈
500: 회전 구동 모듈 510: 모터
600: 회전 제어 모듈

Claims (6)

  1. 조리 내용물이 수용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의 하부에서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바닥 가열부 및 상기 조리 용기의 측부에서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유도가열 모듈;
    조리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모듈;
    상기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바닥 가열부 및 상기 측면 가열부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를 각각 제어하고, 상기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상기 바닥 가열부 및 상기 측면 가열부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세기를 조리 패턴으로 저장하여 상기 조리 패턴에 따라 동일한 조리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 가열부 및 상기 측면 가열부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 모듈;
    상기 조리 용기의 양 측에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에 기어세트를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구비된 회전 구동 모듈;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각도만큼 상기 조리 용기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제어 모듈은,
    상기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기는 조리 내용물의 양, 또는 상기 조리 용기에서 이루어지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바닥 가열부만 가열하거나, 상기 측면 가열부만 가열하거나, 또는 상기 바닥 가열부와 상기 측면 가열부를 모두 가열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제어 모듈은,
    볶음 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 가열부만 가열하고, 튀김 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측면 가열부만 가열하고, 끓임 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 가열부와 상기 측면 가열부를 동시에 가열하거나, 상기 바닥 가열부와 상기 측면 가열부를 동시에 가열하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측면 가열부만 가열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28773A 2015-09-11 2015-09-11 바닥 가열부 및 측면 가열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 KR101637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773A KR101637153B1 (ko) 2015-09-11 2015-09-11 바닥 가열부 및 측면 가열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773A KR101637153B1 (ko) 2015-09-11 2015-09-11 바닥 가열부 및 측면 가열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153B1 true KR101637153B1 (ko) 2016-07-07

Family

ID=5650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773A KR101637153B1 (ko) 2015-09-11 2015-09-11 바닥 가열부 및 측면 가열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1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73A (ja) * 1989-12-14 1993-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調理機
JP2678392B2 (ja) * 1989-12-14 1997-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調理機
JP2000220837A (ja) * 1999-01-14 2000-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電子レンジの自動調理制御方法
JP2011078473A (ja) * 2009-10-05 2011-04-21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73A (ja) * 1989-12-14 1993-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調理機
JP2678392B2 (ja) * 1989-12-14 1997-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調理機
JP2000220837A (ja) * 1999-01-14 2000-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電子レンジの自動調理制御方法
JP2011078473A (ja) * 2009-10-05 2011-04-21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20002B2 (en) Wirelessly controlled cooking system
US20160174298A1 (en) Programmable Induction Cooking System and Method
US20210137299A1 (en) Pressure Cooker and Air Fryer Appliance
US11627643B2 (en) Induction cooktop system
KR20150006489A (ko) 조리 기구, 조리용기 및 조리 방법
CN104896535B (zh) 控制面板及微波烹饪器具
CN111031866A (zh) 多功能炊具
CN105559524A (zh) 一种炒菜机的炒菜方法及炒菜机
CN104605724A (zh) 厨房用具和使用该厨房用具的方法
CN110353469B (zh) 烹饪器具、烹饪的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JP2023010934A (ja) 加熱調理器
KR20180025857A (ko) 유도 조리 장치 및 유도 조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170085398A (ko) 인덕션 회전식 국솥
WO2013170266A1 (en) Cooking system
EP3091292A1 (en) Cooking appliance for receiving at least one cooking vessel
JP5863452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637153B1 (ko) 바닥 가열부 및 측면 가열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조리 장치
US20050051034A1 (en) Appliance for deep frying and slow cooking
JP6257496B2 (ja) 加熱調理器
CN110691943A (zh) 灶具的用户界面
JP2005158329A (ja) 多口加熱調理器
JP200701878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8147054A (ja) 加熱装置
JP2008204887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684152B2 (ja) 誘導加熱調理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