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496B1 -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 Google Patents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496B1
KR101635496B1 KR1020140081931A KR20140081931A KR101635496B1 KR 101635496 B1 KR101635496 B1 KR 101635496B1 KR 1020140081931 A KR1020140081931 A KR 1020140081931A KR 20140081931 A KR20140081931 A KR 20140081931A KR 101635496 B1 KR101635496 B1 KR 10163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block
escape
main body
escap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468A (ko
Inventor
기인서
Original Assignee
기인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인서 filed Critical 기인서
Priority to KR1020140081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4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호수, 저수지, 댐, 바다 등의 수중에 설치되거나 호안과 같은 사면에 설치되어 몸집이 작은 토종 어류나 양서류, 파충류, 설치류, 조류 및 소형 포유동물들에게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사방으로 연결된 은신처를 안전하게 왕래할 수 있어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은 본체와, 본체 내측에 마련된 도피공간부와, 포식자를 피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도피공간부로 피식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진입구와,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도피공간부와 독립되게 형성된 은신공간부와, 도피공간부로 진입한 피식자가 상기 도피공간부에서 상기 은신공간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피공간부와 상기 은신공간부를 연결하는 연결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block for providing refuge and passage, bloc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호수, 저수지, 댐, 바다 등의 수중에 설치되거나 호안과 같은 사면에 설치되어 몸집이 작은 토종 어류나 양서류, 파충류, 설치류, 조류 및 소형 포유동물들에게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사방으로 연결된 은신처를 안전하게 왕래할 수 있어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인간들은 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하천에 보를 쌓고 저수지와 댐을 축조하여 용수를 저장하였으며 농업용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바다를 막아 간척지를 개척하였다.
그러나 이로 인하여 어류는 물론 수생생물 및 주로 물가에 서식하는 양서류, 파충류들의 서식환경이 파괴되어 최근에는 물가 주변에서 이런 동물들을 보기 어렵다.
또한 양서류, 파충류를 먹이로 삼는 소형의 포유동물들도 자취를 감추어 생태계가 급속도로 교란,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더욱 심각한 것은 우리나라의 전 수계에 육식 어종인 블루길, 베스 등 외래 어종이 유입되어 곤충의 유충, 갑각류, 송사리, 피라미, 각시붕어 등 소형어류와 토종 붕어, 잉어의 치어들을 포식하여 하천 생태계가 파괴됨은 물론 토종어류들의 개체수가 심각하게 감소하고 있다.
이처럼 하천 생태계의 파괴가 심각한데도 하천을 개발하면서 토종어류, 수생생물 및 주변의 서식동물들을 고려하지 않은 채 식물식재나 흙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 블록 설치 등 인간의 관점에서만 개발하기 때문에 보기만 좋을 뿐 생태계의 진정한 복원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강이나 하천의 수중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물고기가 이동하면서 서식할 수 있는 블록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9-0019327호에는 어소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어소블록은 단지 내부에 이동통로만을 형성한 구조로서 물고기가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보유하지만 포식자로부터 안전한 은신처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홍수 시 하천 호안의 흙이 유실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호안블록은 식물들이 착생할 수 있는 식생 공간을 구비한 경우가 대다수이며 하천 호안 전면에 블럭을 설치하는 것은 호안 전체에 콘크리트 포장을 한 것과 같은 결과로써 하천 주변 등 물가에서 서식하는 양서류 및 파충류들의 서식환경을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어소블럭과 호안블럭은 형태와 규격이 서로 달라서 어소블럭과 호안블럭이 접하는 연결부위의 결합이 약할 수밖에 없어 서로 접합된 부분에서부터 블록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블록들은 바닥에 깔거나, 벽돌을 쌓듯이 수직으로 축조하거나, 계단식으로 축조하는 방법 중 한가지 방법으로만 축조할 수 있어 시공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9-0019327호: 화단형 어소블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하천이나 호수, 저수지, 댐, 바다 등의 수중에 설치되거나 호안과 같은 사면에 설치되어 토종 어류나 양서류, 파충류, 설치류, 조류 및 소형 포유동물들에게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사방으로 연결된 은신처를 안전하게 왕래할 수 있어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간에 결합이 견고하여 이탈 및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된 도피공간부와; 포식자를 피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도피공간부로 피식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진입구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도피공간부와 독립되게 형성된 은신공간부와;상기 도피공간부로 진입한 피식자가 상기 도피공간부에서 상기 은신공간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피공간부와 상기 은신공간부를 연결하는 연결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측과 상기 상면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측벽과, 상기 바닥부의 타측과 상기 상면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측벽과, 상기 바닥부와 상기 상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와 상기 상면부 사이의 공간을 상기 도피공간부와 상기 은신공간부로 구획하며 상기 연결홀이 형성된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측벽과 상기 제 2측벽에는 인접하는 블록의 내부공간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왕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면부는 상기 제 1측벽의 상부와 연결되는 제 1사이드부와, 상기 제 2측벽의 상부와 연결되는 제 2사이드부와, 상기 제 1사이드부와 상기 제 2사이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격벽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사이드부보다 더 높게 형성된 센터부와, 상기 제 1사이드부와 상기 센터부 사이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 1사이드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센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진입구가 마련된 제 1볼록부와, 상기 제 2사이드부와 상기 센터부 사이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 2사이드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센터부와 연결되는 제 2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블록부 또는 제 2블록부의 외측면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부의 전면 및 후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일측이 삽입되어 인접하는 블록의 사이드부와 접촉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인접하는 블록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은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보다 곡률반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피식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도피공간부가 마련된 제 1단위유닛과 상기 은신공간부가 마련된 제 2단위유닛이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조립체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된 도피공간부와, 포식자를 피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도피공간부로 피식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진입구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도피공간부와 독립되게 형성된 은신공간부와, 상기 도피공간부로 진입한 피식자가 상기 도피공간부에서 상기 은신공간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피공간부와 상기 은신공간부를 연결하는 연결홀을 포함하는 제 1블록과; 상기 도피공간부와 상기 은신공간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통로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제 2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 호수, 저수지, 댐, 바다 등의 수중에 설치되어 외래 포식어종인 베스, 블루길로부터 토종 수생동물이 은신할 수 있는 은신처와 도피처 및 이동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한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천이나 호수의 호안, 저수지, 댐, 방조제의 사면, 도로가 등 육상에 설치되어 양서류, 파충류, 설치류, 조류, 소형 포유동물들에게 안전한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간에 결합이 견고하여 이탈 및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1실시예의 블록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제 1실시예의 블록의 다른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 4실시예의 블록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 6실시예의 블록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제 4실시예의 블록이 수중과 호안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블록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적용된 제 2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블록은 하천이나 호수, 저수지, 댐, 바다 등의 수중에 설치되거나 호안과 같은 사면에 설치되어 몸집이 작은 피식자(작은 토종 어류나 양서류, 파충류, 설치류, 조류 및 소형 포유동물)에게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블록은 크게 본체(10)와, 도피공간부(20)와, 진입구(48)와, 은신공간부(25)와, 연결홀(55)을 구비한다.
본체(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전후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본체는 콘크리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은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즉, 본체(10)의 내측 공간은 도피공간부(20)와 은신공간부(25)로 구획된다. 도피공간부(20)와 은신공간부(25)는 후술할 격벽(50)에 의해 분리되어 상호 독립되게 형성된다.
도피공간부(20)는 몸집이 작은 피식자가 포식자를 피해 도피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체(10)의 외부에서 도피공간부(20)로 피식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본체(10)에는 진입구(48)가 형성된다. 진입구(48)를 통해 피식자는 도피공간부(20)로 진입할 수 있어 포식자로부터 용이하게 도피할 수 있다. 몸집이 큰 포식자가 도피공간부로 진입할 수 없도록 진입구(48)는 적절한 크기로 형성한다.
진입구(48)는 본체(10)의 측면 또는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진입구(48)는 본체(10)의 상부측에 형성된다.
은신공간부(25)는 도피공간부(20)와 분리되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은신공간부(25)는 도피공간부(20)와 동일한 모양과 크기로 형성된다.
포식자를 피해 도피공간부(20)로 진입한 피식자는 도피공간부(20)에 머물거나 도피공간부(20)에서 은신공간부(25)로 이동할 수 있다. 피식자가 도피공간부(20)에서 은신공간부(25)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피공간부(20)와 은신공간부(25)를 연결하는 연결홀(55)이 격벽(50)에 형성된다.
몸집이 작은 포식자의 경우 진입구(48)를 통해 도피공간부(20)로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식자는 포식자로부터 도피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피식자는 연결홀(55)을 통해 은신공간부(25)로 이동하여 포식자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홀(55)은 진입구(48)의 크기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피공간부(20)로 포식자가 진입하였다 하더라도 진입구(48)보다 더 작게 형성된 연결홀(55)은 포식자가 은신공간부(25)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도피공간부(20)와 은신공간부(25)가 형성된 본체(10)의 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체(10)는 바닥부(30)와, 바닥부(3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면부(40)와, 바닥부(30)의 일측과 상면부(40)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측벽(31)과, 바닥부(30)의 타측과 상면부(40)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측벽(35)과, 바닥부(30)와 상면부(40) 사이에 형성된 격벽(50)으로 이루어진다.
바닥부(30)는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바닥부(30)의 중앙부분에는 격벽(50)이 형성된다. 격벽(50)은 본체(1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격벽(50)의 하부는 바닥부(30)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면부(40)에 연결된다. 격벽(50)은 바닥부(30)와 상면부(3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을 도피공간부(20)와 은신공간부(25)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격벽(50)에는 연결홀(55)이 형성된다. 연결홀(55)은 격벽(50)의 전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격벽(50)의 중앙부분이나 후면측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연결홀은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좌우 양 측면을 이루는 제 1측벽(31)과 제 2측벽(35)에는 왕래홀(31)(3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어느 하나의 블록에서 인접하는 다른 블록으로 피식자들이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왕래홀(31)(35)은 이동홀(55)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거나 이동홀(55)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면부(40)는 본체의 상부를 이루는 구조로서, 제 1사이드부(41) 및 제 2사이드부(43), 센터부(45), 제 1볼록부(47) 및 제 2볼록부(49)로 이루어진다.
제 1사이드부(41)는 제 1측벽(31)의 상부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 1사이드부(41)는 장방형의 평면구조를 갖는다. 제 2사이드부(43)는 제 1사이드부(41)와 위치만 다를 뿐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다. 제 1사이드부(41)와 제 2사이드부(43)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센터부(45)는 상면부(40)의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장방형의 평면구조를 갖는다. 센터부(45)는 격벽(50)과 연결되어 격벽(50)의 상부에 형성된다. 센터부(45)의 폭은 제 1사이드부(41)의 폭 또는 제 2사이드부(43) 폭의 2배이다. 센터부(45)는 제 1사이드부(41) 및 제 2사이드부(43)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센터부(45)의 전면 및 후면에는 삽입홈(46)이 형성된다. 삽입홈은 일정깊이로 전면에 2개가 형성되고, 후면에 2개가 형성된다. 이외에도 3개 이상의 삽입홈(4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터부(45)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된 형태로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센터부의 전면에 형성된 삽입홈과 후면에 형성된 삽입홈은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삽입홈(46)에는 고정핀(5)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삽입홈(46)에 결합된 고정핀(5)은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의 사이드부와 접촉한다. 고정핀(5)은 인접하는 블록의 상하 유동을 방지한다.
제 1볼록부(47)는 제 1사이드부(41)와 센터부(45) 사이에 위치한다. 제 1볼록부(47)는 일측이 제 1사이드부(41)와 연결되고 타측이 센터부(45)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 1볼록부(47)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제 1볼록부(47)에 상술한 진입구(48)가 형성된다. 진입구(48)는 제 1볼록부(47)의 전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제 1볼록부(47)의 중앙이나 후면측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진입구(48)는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볼록부(49)는 제 2사이드부(43)와 센터부(45) 사이에 위치한다. 제 2볼록부(49)는 일측이 제 2사이드부(43)와 연결되고 타측이 센터부(45)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 2볼록부(49)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및 제 2볼록부(47)(49)는 반호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제 1 및 제 2볼록부(47)(49)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볼록부(47)(49)에 의해 본체(10)의 상면부(40)는 굴곡지게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사이드부와 센터부는 골을 이루고, 제 1 및 제 2볼록부는 산을 이루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 1볼록부(47)와 제 2볼록부(49)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식생공간이 형성된다. 식생공간에 토양이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채워지면 식물이 자랄 수 있다.
제 2볼록부(49)에는 도 3에 도시된 제 2실시예와 같이 은신공간부(25)와 바로 연결되는 출입구(42)가 형성될 수 있다. 출입구(42)를 통해 몸집이 작은 포식자가 은신공간부(25)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출입구(42)는 제 1볼록부(47)에 형성된 진입구(48)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가령, 출입구(42)는 연결홀(55)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제 3실시예와 같이 제 1블록부(47) 또는 제 2블록부(49)의 외측면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돌출부(57)(59)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7)(59)는 다수가 형성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돌출부(57)(59)는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높여 물의 흐름을 늦추고, 하천의 침식을 막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돌출부들 사이에 음푹 패인 공간들이 다수 형성되므로 치어나 작은 수생생물들의 서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블록은 하천이나 호소, 바다 등의 수중에 설치되어 포식자인 외래어종으로부터 용이하게 도피할 수 있는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여 토착어종과 치어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또한, 장마철이나 우기시에 물의 흐름을 늦춰 수중 환경을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은 해안가나 호안과 같은 물 밖에 설치되는 경우 양서류, 파충류, 설치류, 조류 등 각종 동물의 도피처, 은신처, 이동통로, 서식지 등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블록(3)을 도 5 및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에는 인접하는 블록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을 더 구비한다.
도시된 결합수단의 일 예로 본체(10)의 제 1측벽(31)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결합돌기(60)와, 본체의 제 2측벽(35)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결합홈(65)을 구비한다. 결합홈(65)은 결합돌기(6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결합홈(65)의 내주면과 결합돌기(60)의 외주면은 반호형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수단은 블록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블록을 측면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경우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해 블록들간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가령, 어느 하나의 블록(A)의 우측에 2개의 블록들(B,C)이 인접하고, 좌측에 2개의 블록들(D,E)이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블록(A)의 결합홈에는 인접하는 2개의 블록(D,E)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결합되고, 블록(A)의 결합돌기에는 인접하는 2개의 블록(B,C)에 형성된 결합홈이 결합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67)과 결합돌기(60)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결합홈(67)의 내주면은 결합돌기(60)의 외주면보다 곡률반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돌기(60)를 결합홈(67)에 삽입하면 결합돌기(60)의 단부가 결합홈(67)의 내주면에 닿지 않기 때문에 결합돌기(60)와 결합홈(67)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빈 공간은 조그만한 피식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로는 제 1 및 제 2측벽에 형성된 왕래홀과 연결된다.
도 12는 제 4실시예의 블록(3)이 수중과 호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9에 제 1실시예의 블록의 시공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다수의 블록이 종과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각 블록의 도피공간부(20)끼리 상호연결되어 긴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각 블록의 은신공간부(25)끼리 상호연결되어 긴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의 상호간을 엇갈려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은 2가지 종류로 제작될 수 있다. 하나의 블록은 진입구(48)가 형성된 제 1볼록부(47)가 본체의 우측에 마련되면, 다른 하나의 블록은 진입구(48)가 형성된 제 1볼록부(47)가 본체의 좌측에 마련된다.
삽입홈(46)에는 2개의 고정핀(5)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삽입홈(46)에 결합된 어느 하나의 고정핀(5)은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의 제 2사이드부(43)와 접촉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고정핀은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의 제 1사이드부와 접촉한다. 이러한 고정핀(5)은 인접하는 블록의 상하 유동을 방지한다.
도 7에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는 도피공간부(81)가 마련된 제 1단위유닛(80)과 은신공간부(91)가 마련된 제 2단위유닛(90)이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다.
제 1단위유닛(80)의 일측벽(31)에 결합돌기(83)가 형성되고, 타측벽(82)에 결합홈(84)이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벽의 전면에는 연결홀(85)이 형성된다. 그리고 볼록부(86)에 진입구(87)가 형성된다.
제 2단위유닛(90)은 일측벽(92)에 결합돌기(93)가 형성되고, 타측벽(35)에 결합홈(94)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벽(92)의 전면에는 연결홀(95)이 형성된다.
제 1단위유닛(80)과 제 2단위유닛(90)이 결합하면 제 1단위유닛의 타측벽(82)과 제 2단위유닛의 일측벽(92)이 결합되어 도 1에 도시된 격벽(55)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12에서 도 1과 도 2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블록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블록조립체는 제 1블록(10)과, 제 2블록(100)을 구비한다.
제 1블록으로 상술한 제 1 내지 제 6실시예의 블록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1실시예의 블록을 제 1블록(100)으로 적용하고 있다.
제 2블록(100)은 커버(101)와, 커버(10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부(110)로 이루어진다.
커버(101)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내측에 통로부(110)가 형성된다. 통로부(110)는 제 1블록(10)의 도피공간부와 은신공간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따라서 피식자는 도피공간부 또는 은신공간부에서 제 2블록의 통로부(11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피식자가 외부에서 통로부(110)로 바로 진입할 수 있도록 커버(101)의 상부에 진입홀(103)이 형성될 수 있다. 진입홀(103)은 커버(101)의 전면과 후면에 반호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제 2블록(100)이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경우 2개의 반호형 진입홀(103)이 결합되어 원형의 진입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후에 배치되는 제 2블록간에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커버(101)의 전면에는 결합홈(105)이, 커버(101)의 후면에는 결합돌기(107)가 형성된다.
사이드부(110)는 커버(10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사이드부(110)는 지면에 닿는 부분으로서, 식생공간부가 형성된다. 식생공간부는 사이드부(110)의 중앙에 형성된 제 1식생공간부(111)와, 사이드부(110)의 전후에 형성된 제 2식생공간부(11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이드부(110)에는 좌우로 배치되는 제 2블록간에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결합홈(115)과 결합돌기(113)가 각각 형성된다. 결합홈(115)과 결합돌기(113)는 제 1식생공간부(111)를 사이에 두고 전후에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블록조립체를 하천에 시공하는 경우, 제 1블록(10)은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어 어류의 도피처 및 은신처로 활용되는 어소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블록은 수면 밖으로 노출되는 호안에 설치되어 육상동물의 도피처 및 은신처로 활용됨과 동시에 육상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식생호안블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은 하천이나 호수, 저수지, 댐, 바다 등의 수중에 설치되어 외래어종인 베스, 블루길 등으로부터 토종어류들을 보호할 수 있는 어소블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천의 호안, 저수지, 댐, 방조제 등의 사면이나 도로가 등 육상에 설치되어 양서류, 파충류, 설치류, 조류 및 소형 포유동물들에게 은신처, 도피처, 서식처 및 안전한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호안블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와 형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편평한 지면에 깔아서 설치하거나 다양한 배치로 시공이 가능하며, 소형의 피식동물에게 포식동물을 피할 수 있는 은신처, 도피처 및 이동통로를 제공함으로써 도로의 옹벽블록 및 기타 동,식물의 번식과 보호가 필요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블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10: 본체 20: 도피공간부
25: 은신공간부 30: 바닥부
31: 제 1측벽 35: 제 2측벽
40: 상면부 47: 제 1볼록부
48: 진입구 49: 제 2볼록부
50: 격벽 55: 연결홀

Claims (10)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된 도피공간부와;
    포식자를 피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도피공간부로 피식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진입구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도피공간부와 독립되게 형성된 은신공간부와;
    상기 도피공간부와 상기 은신공간부를 연결하여 상기 도피공간부로 진입한 피식자는 상기 도피공간부에서 상기 은신공간부로 이동할 수 있고 포식자는 상기 은신공간부로 진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진입구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연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측과 상기 상면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측벽과, 상기 바닥부의 타측과 상기 상면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측벽과, 상기 바닥부와 상기 상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와 상기 상면부 사이의 공간을 상기 도피공간부와 상기 은신공간부로 구획하며 상기 연결홀이 형성된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측벽과 상기 제 2측벽에는 인접하는 블록의 내부공간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왕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제 1측벽의 상부와 연결되는 제 1사이드부와, 상기 제 2측벽의 상부와 연결되는 제 2사이드부와, 상기 제 1사이드부와 상기 제 2사이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격벽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사이드부보다 더 높게 형성된 센터부와, 상기 제 1사이드부와 상기 센터부 사이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 1사이드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센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진입구가 마련된 제 1볼록부와, 상기 제 2사이드부와 상기 센터부 사이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 2사이드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센터부와 연결되는 제 2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볼록부 또는 제 2볼록부의 외측면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부의 전면 및 후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일측이 삽입되어 인접하는 블록의 사이드부와 접촉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인접하는 블록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은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보다 곡률반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피식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도피공간부가 마련된 제 1단위유닛과 상기 은신공간부가 마련된 제 2단위유닛이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10.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된 도피공간부와, 포식자를 피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도피공간부로 피식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진입구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도피공간부와 독립되게 형성된 은신공간부와, 상기 도피공간부와 상기 은신공간부를 연결하여 상기 도피공간부로 진입한 피식자는 상기 도피공간부에서 상기 은신공간부로 이동할 수 있고 포식자는 상기 은신공간부로 진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진입구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연결홀을 포함하는 제 1블록과;
    상기 도피공간부와 상기 은신공간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통로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제 2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측과 상기 상면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측벽과, 상기 바닥부의 타측과 상기 상면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측벽과, 상기 바닥부와 상기 상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와 상기 상면부 사이의 공간을 상기 도피공간부와 상기 은신공간부로 구획하며 상기 연결홀이 형성된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조립체.
KR1020140081931A 2014-07-01 2014-07-01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KR10163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31A KR101635496B1 (ko) 2014-07-01 2014-07-01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31A KR101635496B1 (ko) 2014-07-01 2014-07-01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68A KR20160003468A (ko) 2016-01-11
KR101635496B1 true KR101635496B1 (ko) 2016-07-20

Family

ID=5516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931A KR101635496B1 (ko) 2014-07-01 2014-07-01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7272B (zh) * 2020-05-22 2021-10-12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树栖蛙类人工庇护所的数显监测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730A (ja) * 2000-02-04 2001-08-17 Mitsubishi Material Kenzai Corp 藻場造成用ブロック
JP2006037641A (ja) * 2004-07-29 2006-02-09 Matsuoka Concrete Industry Co Ltd 水中生態系復元ブロック及びその設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733A (ja) * 1996-02-15 1997-08-26 Hokuetsu:Kk 護岸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護岸工
KR100895289B1 (ko) 2007-08-20 2009-04-29 주식회사 제일에코텍 화단형 어소블록
KR101134548B1 (ko) * 2009-05-27 2012-04-16 송도희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730A (ja) * 2000-02-04 2001-08-17 Mitsubishi Material Kenzai Corp 藻場造成用ブロック
JP2006037641A (ja) * 2004-07-29 2006-02-09 Matsuoka Concrete Industry Co Ltd 水中生態系復元ブロック及びその設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68A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808B1 (ko)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KR200473631Y1 (ko)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0541281B1 (ko)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
KR101598322B1 (ko) 다기능 계단형 인공어초
KR101120922B1 (ko) 삼곡면 해중림 어초
KR101635496B1 (ko)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KR101103328B1 (ko) 거북형 인공어초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KR101132200B1 (ko)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KR102002335B1 (ko) 문어·해삼 서식 블록
KR910003025Y1 (ko) 옹벽용 블록
KR101920839B1 (ko)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KR20150087767A (ko) 포식자로부터 수생동물 및 육상동물들에게 피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블럭
KR102218630B1 (ko) 낙지 양식 장치
KR100655268B1 (ko) 하천저면의 어소블록 설치구조
KR20090000538A (ko) 식생용 옹벽블럭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KR100581529B1 (ko)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1351792B1 (ko) 복합형 인공 어초
JP2001152428A (ja) 生態系全体を考慮した環境護岸及び水路の構築方法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KR100703609B1 (ko) 수생동물의 서식을 위한 하천제방의 옹벽
JPH068528B2 (ja) 護岸用コンクリ−トブロツ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