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529B1 -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529B1
KR100581529B1 KR1020050093426A KR20050093426A KR100581529B1 KR 100581529 B1 KR100581529 B1 KR 100581529B1 KR 1020050093426 A KR1020050093426 A KR 1020050093426A KR 20050093426 A KR20050093426 A KR 20050093426A KR 100581529 B1 KR100581529 B1 KR 10058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ecological
connector
fish
habit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표
Original Assignee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바닥면에 각종 어류가 그 습성에 따라 서식할 수 있는 생태블록을 설치하여, 상기 생태블록을 통해 각종 어류들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각종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생태보호블록에 있어서,
상기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는
상기 하천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기초옹벽 일측에 서로 대칭되게 체결되며, 내측에 "ㄷ"형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양측 끝단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체결구;
상기 하천의 바닥면에 등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며, 양측에 "T"형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제1 경사면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체 및
상기 체결구와 연결체 사이 및 연결체와 연결체 사이에 각각 설치가능하도록 양측에 "T"형 연결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후방이 개구된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공간부에는 각기 다른 어종의 어류의 습성에 따라 서식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를 높이에 따라 다층으로 구획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리벽이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에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제2 경사면이 일체 로 형성된 생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생태블록, 서식처, 연결체, 연결구

Description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EMBANKMENT BLOCK STRUCTURE OF RIVER}
도 1은 종래 하천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중 생태보호블록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중 연결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를 나타낸 설치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체결구 111 : 체결공
113 : "ㄷ"형 홈부 115 : 걸림돌기
120 : 연결체 122 : "T"형 가이드홈
126 : 제1 경사면 130 : 생태블록
131 : "T"형 가이드홈 133 : 공간부
135 : 분리벽 137 : 제2 경사면
139 : 돌출편 R : 하천
B : 앵커볼트 S : 바닥면
본 발명은 생태보호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바닥면에 각종 어류가 그 습성에 따라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생태블록을 설치함으로써, 하천의 자연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구조물들이 설치된다.
이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천의 제방 상부에 설치되어 폭우 및 홍수로 인해 하천수가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는 옹벽구조물과, 하천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식물이 식생가능하도록 하는 호안블록 및 하천을 일정한 높이로 가로막아 상류측의 하천 수위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중보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도 1은 종래 하천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천(R)과 제방(T)의 경계부위에는 일정한 높이의 기초옹 벽(H)이 설치되고, 상기 기초옹벽(H)의 상방으로 형성된 제방(T)의 비탈면 호안블록(F)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초옹벽(H)과 호안블록(F)을 통해 하천(R)의 외곽부위를 정비함으로써, 깨끗한 하천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천에 설치되는 종래 구조물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하천에 설치되는 구조물들은 깨끗한 하천환경을 유지할 수는 있으나, 이와 같이 설치되는 구조물들로 인해 하천에서 생활하는 각종 어류의 서식처가 사라짐으로써, 장기적으로는 하천의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공적으로 설치된 구조물로 인해 하천수의 흐름이 둔화 되어 하천의 자정작용을 방해함으로써, 하천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하천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천의 바닥면에 각종 어류가 그 습성에 따라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생태블록을 설치함으로써, 하천의 자연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생태블록 및 상기 생태블록을 하천의 바닥면에 설치/고정하기 위한 연결체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여 하천수의 흐름 저항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하천수가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된 구조물로 인한 하천의 자정작용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천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각종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생태보호블록에 있어서,
상기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는
상기 하천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한쌍의 기초옹벽 일측에 서로 대칭되게 체결되며, 내측에 "ㄷ"형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양측 끝단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체결구;
상기 하천의 바닥면에 등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며, 양측에 "T"형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제1 경사면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체 및
상기 체결구와 연결체 사이 및 연결체와 연결체 사이에 각각 설치가능하도록 양측에 "T"형 연결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후방이 개구된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공간부에는 각기 다른 어종의 어류의 습성에 따라 서식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를 높이에 따라 다층으로 구획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리벽이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에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제2 경사면이 일체로 형성된 생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생태블록의 제2 경사면에는 상기 분리벽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부와 연통되어 하천수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인접한 각 분리벽에는 상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하천수의 수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돌출 편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중 생태보호블록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중 연결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100)는 상기 하천(R)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체결구(110), 연결체(120) 및 생태블록(130)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구(110)는 상기 하천(R)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기초옹벽(H)의 일측면에 하천(R)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각각 앵커볼트(B)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110)는 그 양측에 상기 앵커볼트(B)가 결합하는 체결공(111)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ㄷ"형 홈부(113)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홈부(113)의 양측 끝단에는 서로 대향 관계를 갖는 걸림돌기(115)가 각각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체(120)는 상기 체결구(110)와 체결구(110) 사이의 하천(R) 바닥면(S)에 등간격을 갖도록 앵커볼트(B)에 의해 설치/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체(120)는 그 양측에 "T"형 가이드홈(122)이 형성되며, 그 전/후방 하부에는 상기 앵커볼트(B)가 삽입/체결될 수 있도록 결합공(12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체(120)의 전/후방에는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제1 경사면(126)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경사면(126)에 의해 하천수가 구조물로 인한 저항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생태블록(130)은 그 양측에 "T"형 연결구(131)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다수개의 고정핀(13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생태블록(130)은 상기 체결구(110)와 연결체(120) 사이 및 연결체(120)와 연결체(120) 사이에 각각 삽입/설치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생태블록(130)은 그 내측에 일측이 개구되어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부(133)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33)에는 상기 공간부(133)를 다층으로 구획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리벽(135)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벽(135)에 의해 다양한 어종의 어류가 그 습성 즉, 바닥면에 서식하는 어류들 및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떨어져 서식하는 어류들이 함께 독립된 공간에서 서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생태블록(130)의 전방에는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제2 경사면(137)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경사면(137)에 의해 하천수가 구조물로 인한 저항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경사면(137)에는 상기 분리벽(135)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부 (133)와 연통되어 하천수가 유입되는 유입공(138)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138)과 인접한 각 분리벽(135)에는 돌출편(139)이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벽(135)에 의해 유입공(138)을 통해 유입되는 하천수의 수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성장한 어류 및 이들로부터 낳은 알 및 갓 부화한 어린 치어들 까지도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는 하천에서 서식하는 각종 어류들이 그 습성에 맞도록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써, 하천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들로 인해 자연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의 자연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설치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를 나타낸 설치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생태블록(13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천(R)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기초옹벽(H) 일측면에 앵커볼트(B)를 통해 체결구(110)를 설치/고정한다.
이후, 상기 하천(R)의 바닥면(S)에 다수개의 연결체(120)를 등간격을 갖도록 설치/고정한다.
이후, 상기 체결구(110)와 연결체(120) 사이 및 등간격을 갖는 연결체(120) 와 연결체(120) 사이에 상기 생태블록(130)을 삽입/결합시킨다. 즉, 체결구(110)의 "ㄷ"형 홈부(113) 및 연결체(120)의 "T"형 가이드홈(122)에 생태블록(130)의 "T"형 연결구(131)를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137)이 하천(R)의 바닥면(S)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생태블록(130)이 하천(R)의 바닥면(S)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생태블록(130)에 형성된 공간부(133)에 각종 어류들이 서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공간부(133)를 높이에 따라 구획하는 분리벽(135)에 의해 상기 공간부(133)에서 서식하는 어류들이 그들의 습성에 맞는 장소에서 서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천에 설치된 구조물에 의해 파괴된 하천의 자연환경을 복원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의 바닥면에 각종 어류가 그 습성에 따라 서식할 수 있는 생태블록을 설치하여 상기 생태블록에 의해 각종 어류들의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써, 자연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생태블록 및 상기 생태블록을 하천의 바닥면에 설치/고정하기 위한 연결체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여 하천수의 흐름 저항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하천수가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된 구조물로 인한 하천의 자정작용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천(R)의 바닥면(S)에 설치되어 각종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생태보호블록에 있어서,
    상기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100)는 체결구(110), 연결체(120) 및 생태블록(130)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하천(R)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한쌍의 기초옹벽(H) 일측에 서로 대칭되게 체결되는 체결구(110)는, 내측에 "ㄷ"형 홈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13)의 양측 끝단에 걸림돌기(115)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천(R)의 바닥면(S)에 등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연결체(120)는, 양측에 "T"형 가이드홈(122)이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제1 경사면(126)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110)와 연결체(120) 사이 및 연결체(120)와 연결체(120) 사이에 각각 설치가능하도록 양측에 "T"형 연결구(131)가 형성된 생태블록(130)은, 내측에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후방이 개구된 공간부(133)를 형성하되, 상기 공간부(133)에는 각기 다른 어종의 어류의 습성에 따라 서식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133)를 높이에 따라 다층으로 구획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리벽(135)이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에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제2 경사면(137)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경사면(137)에 상기 분리벽(135)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부(133)와 연통되어 하천수가 유입되는 유입공(138)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138)과 인접한 각 분리벽(135)에는 상기 유입공(138)을 통해 유입되는 하천수의 수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돌출편(139)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
  2. 삭제
KR1020050093426A 2005-10-05 2005-10-05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0581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426A KR100581529B1 (ko) 2005-10-05 2005-10-05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426A KR100581529B1 (ko) 2005-10-05 2005-10-05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1529B1 true KR100581529B1 (ko) 2006-05-22

Family

ID=3718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426A KR100581529B1 (ko) 2005-10-05 2005-10-05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5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842B1 (ko) 2006-03-30 2006-06-2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수생동식물의 서식특성을 고려한 친환경적인 하천 블록구조
KR101117176B1 (ko) * 2011-03-23 2012-03-07 보림이엔씨 주식회사 기초 콘크리트 제작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WO2023096310A1 (ko) *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오셔닉 조립식 범람 방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842B1 (ko) 2006-03-30 2006-06-2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수생동식물의 서식특성을 고려한 친환경적인 하천 블록구조
KR101117176B1 (ko) * 2011-03-23 2012-03-07 보림이엔씨 주식회사 기초 콘크리트 제작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WO2023096310A1 (ko) *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오셔닉 조립식 범람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0581529B1 (ko)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0657845B1 (ko) 하천사면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생태이동통로 설치구조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KR101132200B1 (ko)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KR100892421B1 (ko) 식생용 옹벽블럭
KR100593842B1 (ko) 수생동식물의 서식특성을 고려한 친환경적인 하천 블록구조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KR100769940B1 (ko) 친환경성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JPH0734429A (ja) 護岸用ブロック
KR100703609B1 (ko) 수생동물의 서식을 위한 하천제방의 옹벽
KR100668128B1 (ko)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는 유속저감 및 어류서식블럭
KR100680244B1 (ko) 하천바닥에 설치되는 어류서식관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100704232B1 (ko) 어류 서식환경에 적합한 하천 바닥블록
KR200250170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100611366B1 (ko) 호안블럭
KR100676165B1 (ko) 하천의 친환경 생태블록
KR20130018003A (ko) 세굴방지용 기초블럭
KR200367303Y1 (ko) 호안블럭
KR200386507Y1 (ko) 식생어소블럭
KR200388820Y1 (ko) 조립식 식생어소블록
JP3687969B2 (ja) 多自然型コンクリート水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