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614B1 -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614B1
KR101634614B1 KR1020140100547A KR20140100547A KR101634614B1 KR 101634614 B1 KR101634614 B1 KR 101634614B1 KR 1020140100547 A KR1020140100547 A KR 1020140100547A KR 20140100547 A KR20140100547 A KR 20140100547A KR 101634614 B1 KR101634614 B1 KR 101634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late
corner
steel structure
refr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420A (ko
Inventor
김종림
오태영
Original Assignee
재암산업 주식회사
김종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암산업 주식회사, 김종림 filed Critical 재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0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6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3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 E04B1/944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covered with fire-proof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빔과 같은 철골구조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내화피복블럭을 이용하여 철골구조에 내화피복을 이루는 뿜칠 면적을 최소화하며, 누구나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뿜칠재와 동일한 내화피복재를 일정한 두께를 이루게 "ㄱ"자 또는 "ㄴ"자 형상으로 성형된 모서리 블럭과; 뿜칠재와 동일한 내화피복재를 일정한 두께를 이루어 평판으로 형성된 판형블럭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서리 블럭과 판형블럭이 H빔, 앵글, 철판등과 같은 철골구조에 조합되어 접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ㄱ"자 또는 "ㄴ"자 형상을 이룬 모서리 블럭을 철골구조물의 형상 및 크기에 맞게 모서리 부분에 접합하는 모서리 블럭 접합단계와; 상기 모서리블럭에 의해 접합된 나머지 평판 부분에 판형블럭을 접합하는 판형블럭 접합단계와;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럭의 접합 후 블럭이 접합되지 않은 부분에 뿜칠을 이루어 철골구조물을 내화피복하는 뿜칠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Steel Structural Refractory Coating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빔과 같은 철골구조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내화피복블럭을 이용하여 철골구조에 내화피복을 이루는 뿜칠 면적을 최소화하며, 누구나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건축물이 고층화되면서 철골구조 건축물을 많이 짓고 있다.
철골구조 건축물은 기둥, 보, 바닥, 계단 등 주요 구조 부재는 철골 또는 철재로 구성하는데 이들 철골 부재는 건물 화재시 고온에서는 매우 취약한 구조이다.
화재가 일어났을 때 철골이 고열에 휘어져 있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법규에서는 철골 부재를 화재시 안전한 내화 구조가 되도록 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다.
철골부재를 내화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철골을 콘크리트로 보호하는 철골콘크리트 구조로 하거나, 철망 모르터 플라스터를 바르는 공법, 내화도료를 이용한 도장공법, 석고보드등 무기재료판재를 이용하여 골조를 보호하는 붙이는 공법과 암면 시멘트등을 혼합한 무기재료를 철골부재에 뿜칠하여 일정두께의 내화피복을 이루는 내화피복 뿜칠공법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무기재 내화피복 뿜칠 공법으로 공장에서 생산된 혼합 무기재료를 건설현장에서 물과 혼합하여 뿜칠기계를 이용, 철골에 뿌리는 방법으로 주요 사용재료에 따라 암면계, 질석계, 퍼라이트계, 석고계등이 있다.
뿜칠공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철골 즉 H형강의 프랜지(1)부 에지(2)부 웨브(3)부등의 전표면에 일정한 두께(t)로 균일하게 내화피복(4)의 뿜칠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내화피복 뿜칠공법의 실태를 보면 시공사가 영세하고 난립되어 있어 저가의 공사와 공사시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등 작업현장이 전형적인 3D환경으로서 규격대로의 공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철골의 에지(edge)(2) 부분은 거의 규격대로 시공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에지(2) 부분은 피복재의 부착면이 매우 좁아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1회뿜칠(5) 2회뿜칠(6) 3회뿜칠(7)의 뿜칠공사가 되어야 에지(2)부분에 일정두께로 뿜칠될 수 있으나 저가의 공사수주로 인해 인건비 절감 및 공사의 간편성을 이유로 3회뿜칠(7)을 생략하고 2회뿜칠(6)로 공사를 종료하기 때문에 철골의 넓은 면인 플랜지(1)와 웨브(Web)(3)의 피복두께의 1/2 정도로 시공되고 있다.
이는 화재시 고열이 철골에 전달되지 못하게 하기 위한 내화 피복공사의 목적상 매우 중요한 문제로서 결국 화재시 구조 안전에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결과가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H빔과 같은 철골구조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내화피복블럭을 이용하여 철골구조에 내화피복을 이루는 뿜칠 면적을 최소화하며, 누구나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내화블럭을 이용한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시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에 있어서, 뿜칠재와 동일한 내화피복재를 일정한 두께를 이루게 "ㄱ"자 또는 "ㄴ"자 형상으로 성형된 모서리 블럭과; 뿜칠재와 동일한 내화피복재를 일정한 두께를 이루어 평판으로 형성된 판형블럭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서리 블럭과 판형블럭이 H빔, 앵글, 철판등과 같은 철골구조에 조합되어 접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블럭 및 판형블럭에 다수의 영구자석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블럭 및 판형블럭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블럭 및 판형블럭에 다수의 주입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시공방법에 있어서, "ㄱ"자 또는 "ㄴ"자 형상을 이룬 모서리 블럭을 철골구조물의 형상 및 크기에 맞게 모서리 부분에 접합하는 모서리 블럭 접합단계와; 상기 모서리블럭에 의해 접합된 나머지 평판 부분에 판형블럭을 접합하는 판형블럭 접합단계와;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럭의 접합 후 블럭이 접합되지 않은 부분에 뿜칠을 이루어 철골구조물을 내화피복하는 뿜칠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블럭 및 판형블럭의 접합시 이격공간이 내측으로 형성되게 접합되며, 상기 이격공간은 뿜칠에 의해 메워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은 블럭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틀을 이용하여 "ㄱ" 또는 "ㄴ"자형의 모서리블럭 및 판형블럭만 구비함으로 내화피복블럭의 제작이 간편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금형에 의해 내화피복블럭이 제작되어 여러종류의 철골구조에 적용할 수 있어 제작원가 및 시공원가를 최소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그 형상이 단순함과, 단순접합에 의해 현장에서 누구나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뿜칠면적을 최소화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현장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동일한 두께를 이루어 외관이 깔끔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철골구조에 내화피복을 이루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내화피복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화피복블럭에 의해 철골구조가 피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화피복블럭에 의해 철골구조가 피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내화피복블럭에 의해 철골구조가 피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내화피복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제4 실시 예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가 적용된 내화피복블럭에 의해 철골구조가 피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7의 제4 실시 예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가 적용된 내화피복블럭에 의해 철골구조가 피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아울러, 도면에는 한 예로 H빔에 내화피복블럭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 하였으나, H빔에 한정되지 않고 철골구조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H빔, 앵글, 판형 철골구조물 등에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내화피복블럭(10)은 뿜칠재와 동일한 내화피복재를 일정한 두께를 이루게 "ㄱ"자 또는 "ㄴ"자 형상으로 성형된 모서리블럭(12)과, 뿜칠재(20)와 동일한 내화피복재를 일정한 두께를 이루어 평판으로 형성된 판형블럭(14)로 구비된다.
상기 모서리블럭(12) 및 판형블럭(14)은 건축물에서 요구하는 일정한 두께를 이루고, 전.후로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이루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내화피복블럭은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시공방법에 의해 철골구조물에 시공된다.
먼저 건축물에 시공 전 또는 시공 후의 철골구조(1) 모서리에 "ㄱ"자 또는 "ㄴ"자 형상을 이룬 모서리블럭(12)을 철골구조(1)의 형상 및 크기에 맞게 모서리 부분에 접합하는 모서리 블럭 접합단계(S10)를 이룬다.
이때, 상기 철골구조(1)과 모서리블럭(12)은 공지의 접착제에 의해 견고하게 접착되어 철골구조(1)에 모서리블럭(12)이 용이하게 접합된다.
아울러, 여러 형상과 크기를 이룬 철골구조(1)의 다양한 모서리에 용이하게 접합됨으로 누구나 간편하게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블럭(12)에 의해 접합된 나머지 평판 부분에 판형블럭(14)을 접합하는 판형블럭 접합단계(S12)를 이룬다.
이때, 상기 판형블럭(14)은 사용자에 선택에 의해 자유로이 사용된다.
이는, 크기가 작은 철골구조의 경우 모서리블럭(12)의 접합만으로 용이하게 피복을 이룰 수 있을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유로이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철골구조의 크기가 큰 경우 판형블럭을 다수 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럭(12,14)의 접합 후 블럭이 접합되지 않은 부분에 뿜칠을 이루어 철골구조(1)을 내화피복하는 뿜칠단계(S14)를 이룬다.
이는, 내화피복블럭(10)에 의해 내화피복되지 않은 남은 부분을 간단히 한번 또는 두번의 뿜칠에 의해 현장에서 용이하게 내화피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은 블럭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틀을 이용하여 "ㄱ" 또는 "ㄴ"자형의 모서리블럭 및 판형블럭만 구비함으로 내화피복블럭의 제작이 간편하다.
또한, 하나의 금형에 의해 내화피복블럭이 제작되어 여러종류의 철골구조에 적용할 수 있어 제작원가 및 시공원가를 최소할 수 있다.
또한, 그 형상이 단순함과, 단순접합에 의해 현장에서 누구나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뿜칠면적을 최소화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현장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동일한 두께를 이루어 외관이 깔끔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내화피복블럭(10-1)은 구성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구성과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모서리블럭(12-1) 및 판형블럭(14-1)에 다수의 영구자석(16)이 구비된다.
상기 영구자석(16)은 상기 모서리블럭(12-1) 및 판형블럭(14-1)의 성형시 내부에 매립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서리블럭(12-1)의 경우 모서리 형태에 따라 내측 또는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매립될 수 있으며, 이는 두께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자유로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판형블럭(14-1)에도 어느 한면에 다수의 영구자석(16)이 매립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내화피복블럭의 시공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공방법과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블럭 및 판형블럭이 영구자석에 의해 철골구조물에 자력에 의해 용이하게 부착되어 접합된다.
그러므로, 내화피복블럭의 접합이 더더욱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의 내화피복블럭(10-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그 구성이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모서리블럭(12-2) 및 판형블럭(14-2)에 다수의 돌기(18)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돌기(18)는 상기 모서리블럭(12-2) 및 판형블럭(14-2)의 성형시 내부에 매립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돌기(18)는 "ㅗ"자 또는 "ㄴ"자 형상의 봉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서리블럭(12-2)의 경우 모서리 형태에 따라 내측 또는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돌기(18)가 돌출되게 매립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18)는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럭(12-2)(14-2)와 철골구조(1)가 상호 맞닿는 부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높이로 형성된다.
물론, 판형블럭(14-2)에도 어느 한 면으로 다수의 돌기(18)가 매립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돌기(18)는 금속재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3 실시 예의 내화피복블럭(10-2)의 시공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공방법과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내화피복블럭(10-2)의 모서리블럭(12-2) 및 판형블럭(14-2)을 철골구조(1)에 접합시 돌기(18)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접합되어 이격공간이 내화피복블럭(10-2)의 내측과 철골구조(1)의 외측 사이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화피복블럭(10-2)의 돌기(18)는 금속재로 구비되어 공지의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게 철골구조(1)와 상호 고정되게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접합된 내화피복블럭(10-2)의 이격공간 및 나머지 피복공간에 뿜칠에 의해 피복을 이루게 된다.
이때, 이격공간이 뿜칠재가 메워짐으로 더욱 견고하게 철골구조의 내화피복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외부가 내화피복블럭에 의해 일정한 두께를 이룸으로 외관이 미려하다.
또한, 내화피복블럭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내화피복블럭(10-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내화피복블럭과 그 구성이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블럭(12-3) 및 판형블럭(14-3)에 다수의 주입구(15)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구는 모서리블럭 및 판형블럭을 철골구조에 접합시 발생할 수 있는 이격공간에 주입구를 통해 뿜칠재를 투입하여 이격공간을 뿜칠재로 메워짐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4 실시 예의 내화피복블럭(10-3)의 시공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공방법과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내화피복블럭(10-3)의 모서리블럭(12-3) 및 판형블럭(14-3)을 철골구조(1)에 접합시 내측 접합면에 발생할 수 있는 이격공간을 뿜칠단계(S14)에서 주입구(15)에 뿜칠재(20) 주입을 변형한다.
그러므로, 내화피복블럭(10-3)에 구비된 주입구(15)에 뿜칠재(20)를 주입함으로 이격공간을 뿜칠재(20)로 충전하여 메워진다.
이는, 모서리블럭(12-3) 및 판형블럭(14-3)의 접합시 발생할 수 있는 이격공간을 외부에 전혀 파악할 수 없으므로, 다수의 주입구(15)를 통해 뿜칠재(20)를 주입함으로 불특정하게 발생할 수 있는 이격공간을 뿜칠재가 충전되어 메워짐으로 더욱 견고하게 철골구조의 내화피복을 이룰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제4 실시 예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가 적용된 내화피복블럭에 의해 철골구조가 피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제4 실시 예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가 적용된 내화피복블럭에 의해 철골구조가 피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 및 시공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내화피복블럭(10-3)의 모서리블럭(12-3) 및 판형블럭(14-3)에 구비되는 영구자석(16)이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그러므로, 제4 실시 예의 내화피복블럭(10-3)은 철골구조(1)의 접합시 영구자석(16)의 돌출에 의해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격공간은 다수의 주입구(15)를 통해 충전 메워진다.
아울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모서리블럭(12-3) 및 판형블럭(14-3)에 다수의 돌기(18)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그러므로, 제4 실시 예의 내화피복블럭(10-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와 같은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격공간은 다수의 주입구(15)를 통해 충전 메워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구비된 다수의 주입구(15)를 통해 영구자석(16) 또는 돌기(18)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이 용이하게 뿜칠재(20)가 충전 메워짐으로 더욱 견고하게 철골구조(1)의 내화피복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외부가 내화피복블럭에 의해 일정한 두께를 이룸으로 외관이 미려하다.
또한, 내화피복블럭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록 및 그 시공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10-1, 10-2, 10-3: 내화피복블럭
12, 12-1, 12-2, 12-3: 모서리블럭
14, 14-1, 14-2, 14-3: 판형블럭
15: 주입구 16: 영구자석
18: 돌기 20: 뿜칠재

Claims (6)

  1. 건축물에 사용되는 철골구조물의 외주연에 구성되어 내화력을 강화하도록 하기 위한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에 있어서,
    상기 철골구조물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블럭; 및
    상기 철골구조물의 평탄면에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블럭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의 이격공간에 내화물의 뿜칠재가 충전되어 상기 철골구조물 외주연 전체에 내화력을 가지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형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럭의 외주연에는 상기 철골구조물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면서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럭과 철골구조물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록에는 내화물의 뿜칠재가 주입되어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럭과 철골구조물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모서리블록과 판형블록 사이의 이격공간에 내화물이 충전되도록 하는 주입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2. 삭제
  3. 건축물에 사용되는 철골구조물의 외주연에 구성되어 내화력을 강화하도록 하기 위한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에 있어서,
    상기 철골구조물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블럭; 및
    상기 철골구조물의 평탄면에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블럭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의 이격공간에 내화물의 뿜칠재가 충전되어 상기 철골구조물 외주연 전체에 내화력을 가지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형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럭의 외주연에는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럭과 철골구조물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록에는 내화물의 뿜칠재가 주입되어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럭과 철골구조물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모서리블록과 판형블록 사이의 이격공간에 내화물이 충전되도록 하는 주입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4. 삭제
  5. 건축물에 사용되는 철골구조물의 외주연에 구성되어 내화력을 강화하도록 하기 위한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철골구조물의 모서리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두께 형성된 모서리 블럭을 상기 철골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하되 상기 철골구조물과 모서리블럭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고정하는 모서리블럭 접합단계;
    상기 모서리블럭 접합단계를 통해 상기 철골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블럭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철골구조물의 평탄면에 상기 모서리블럭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판형블럭을 고정시켜 상기 철골구조물의 외주연에 상호 이격공간을 가지면서 고정하되 상기 철골구조물과 판형블럭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고정하는 판형블럭 접합단계; 및
    상기 판형블럭 접합단계를 통해 상기 철골구조물의 외주연에 모서리 및 판형블럭이 고정되되 상기 모서리 및 판형블럭과 철골구조물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모서리블럭과 판형블럭 사이의 이격공간에 내화물의 뿜칠재가 주입되어 메워지도록 하는 시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의 시공방법.
  6. 삭제
KR1020140100547A 2014-08-05 2014-08-05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1634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547A KR101634614B1 (ko) 2014-08-05 2014-08-05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547A KR101634614B1 (ko) 2014-08-05 2014-08-05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420A KR20160016420A (ko) 2016-02-15
KR101634614B1 true KR101634614B1 (ko) 2016-06-29

Family

ID=5535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547A KR101634614B1 (ko) 2014-08-05 2014-08-05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9845B (zh) * 2017-06-20 2019-05-10 温州远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钢骨架结构的加强型砌块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232Y1 (ko) 2000-02-07 2000-09-15 이경구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한 내화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8218A (en) * 1975-11-07 1977-05-13 Taisei Kobayashi Fireeproof covering material of steel skelet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232Y1 (ko) 2000-02-07 2000-09-15 이경구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한 내화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420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7722B2 (en) Insulated wall panel
AU2020101810A4 (en) Insulated and prefinished wall panel and wall cladding assembly
KR101633389B1 (ko) 조적식 벽체의 양면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US20170058516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with adhesive-joined spline connections between wall sections
KR101634614B1 (ko)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ITRM20120419A1 (it) Assieme modulare per la costruzione di strutture edilizie coibentate.
KR200265927Y1 (ko) 조립식 단열벽돌
WO2018138746A1 (en) Building system for cladding with prefabricated elements
CN203905288U (zh) 发泡陶瓷钢结构墙体
RU157703U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двухпазогребневый замковый блок
KR200197232Y1 (ko)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한 내화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ES2250672T3 (es) Sistema para la realizacion de cajones perdidos estructurales para el encofrado de hormigon (armado).
KR100540643B1 (ko) 건축물의 벽체
KR100504350B1 (ko)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050079383A (ko)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KR101127538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KR950009615B1 (ko)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
WO2015128786A1 (en) A cast structural element
EA029825B1 (ru) Секция несъёмной опалубки для возведения наружных стен здания
JP5914911B2 (ja) 補強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造建築物に使用するアタッチメント部材
KR101151181B1 (ko) 벽체용 심재 및 벽체용 심재 제조방법
JP5568589B2 (ja) モルタルボード
AU2015100472A4 (en) Constructions having solid load bearing walls
KR200182610Y1 (ko) 토목 및 건축용 복합소재 경량철골.
GR1010374B (el) Συστημα δομησης με ενιαια στοιχεια χωρις ξυλοτυπ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