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232Y1 -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한 내화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 Google Patents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한 내화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232Y1
KR200197232Y1 KR2020000003176U KR20000003176U KR200197232Y1 KR 200197232 Y1 KR200197232 Y1 KR 200197232Y1 KR 2020000003176 U KR2020000003176 U KR 2020000003176U KR 20000003176 U KR20000003176 U KR 20000003176U KR 200197232 Y1 KR200197232 Y1 KR 200197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coating
fireproof
block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구
Original Assignee
이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구 filed Critical 이경구
Priority to KR2020000003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232Y1/ko
Priority to KR2020000016871U priority patent/KR2002044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2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3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 E04B1/944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covered with fire-proof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골부재를 내화 구조로 만드는 내화피복 공법중 무기재 내화피복 뿜칠 시공법에서 부실하게 시공되는 H형강 플랜지 에지의 내화 피복을, 두께 유지 부재인 간단한 구조의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일정하게 피복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두께 유지부재에 관한 것이며, H형강의 플랜지(1)와 에지(2)에 뿜칠에 사용하는 내화 피복재의 밀도와 비슷한 밀도의 내화 피복재를 틀에 넣어 블록(10)(11)(12)(13) 형태로 성형시킨 두께 유지 부재를 설치하여 일정한 두께의 피복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한 내화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Material of keeping uniform thickness in the process of fire protection using inorganic blocks}
본 고안은 철골부재를 내화 구조로 만드는 무기재 내화피복 뿜칠 시공법에서 부실하게 시공되는 H형강 에지의 내화피복을 간단한 구조의 두께 유지부재인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일정하게 피복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두께 유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시건축물이 고층화 되면서 철골구조 건축물을 많이 짓고 있다. 철골구조 건축물은 기둥, 보, 바닥, 계단등 주요 구조 부재는 철골 또는 철재로 구성하는데 이들 철골 부재는 건물 화재시 고온에서는 매우 취약한 구조이다. 화재가 일어났을 때 철골이 고열에 휘어져 있는 것을 많이 볼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 법규에서는 철골 부재를 화재시 안전한 내화 구조가 되도록 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다.
철골부재를 내화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철골을 콘크리트로 보호하는 철골콘크리트 구조로 하거나, 철망 모르터 플라스터를 바르는 공법, 내화도료를 이용한 도장공법, 석고보드등 무기재료판재를 이용하여 골조를 보호하는 붙이는 공법과 암면 시멘트등을 혼합한 무기재료를 철골부재에 뿜칠하여 일정두께의 내화피복을 이루는 내화피복 뿜칠공법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무기재 내화피복 뿜칠 공법으로 공장에서 생산된 혼합 무기재료를 건설현장에서 물과 혼합하여 뿜칠기계를 이용, 철골에 뿌리는 방법으로 주요 사용재료에 따라 암면계, 질석계, 퍼라이트계, 석고계등이 있다.
뿜칠공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철골 즉 H형강의 프랜지(1)부 에지(2)부 웨브(3)부등의 전표면에 일정한 두께(t)로 균일하게 내화피복(4)의 뿜칠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내화피복 뿜칠공법의 실태를 보면 시공사가 영세하고 난립되어 있어 저가의 공사와 공사시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등 작업현장이 전형적인 3D환경으로서 규격대로의 공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철골의 에지(edge)(2) 부분은 거의 규격대로 시공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에지(2) 부분은 피복재의 부착면이 매우 좁아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1회뿜칠(5) 2회뿜칠(6) 3회뿜칠(7)의 뿜칠공사가 되어야 에지(2)부분에 일정두께로 뿜칠될 수 있으나 저가의 공사수주로 인해 인건비 절감 및 공사의 간편성을 이유로 3회뿜칠(7)을 생략하고 도 5와 같이 2회뿜칠(6)로 공사를 종료하기 때문에 철골의 넓은 면인 플랜지(1)와 웨브(Web)(3)의 피복두께의 1/2 정도로 시공되고 있다. 이는 화재시 고열이 철골에 전달되지 못하게 하기 위한 내화 피복공사의 목적상 매우 중요한 문제로서 결국 화재시 구조 안전에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결과가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무기재 내화 뿜칠 공사에서 전 철골표면에 일정 두께로 균일하게 시공되어 내화피복 공사의 목적을 달성하고 작업환경이 나쁜 건설현장에서의 시공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내화 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 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H형강에 실시된 내화피복 뿜칠 구성에 있어서, 상기 H형강의 플랜지와 에지에 뿜칠에 사용하는 내화 피복재의 밀도와 비슷한 밀도의 내화피복재를 틀에 넣어 블록 형태로 성형시킨 두께 유지 부재를 상기 H형강의 에지에 설치하여 일정한 두께의 피복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 부재를 설치하여 에지부의 뿜칠의 두께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 부재를 제공한다.
도 1은 내화피복 시공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내화피복 시공법을 도시한 도면.
도 3a, 도 3b, 도3c, 도3d는 본 고안의 내화피복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4a, 도 4b, 도 4c는 본 고안의 내화 피복 블록의 연결부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기존의 뿜칠 시공현상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플랜지 2 : 에지(edge)
3 : 웨브(Web) 4 : 내화피복
5 : 1회 뿜칠 6 : 2회 뿜칠
7 : 3회 뿜칠 10, 11, 12, 13 : 블록
14 : 평면블록 15 : 걸합턱
30 : 맞댄형 31 : 요철형
32 : 오뉘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기 내화 피복재료를 틀에 넣어 압축하여 철골의 플랜지(1)의 단부를 덮는 블록(10)(11)(12) (13)을 형성한다. 상기 블록은 내화 피복재료를 뿜칠에 사용하는 밀도와 유사한 밀도로 만든다.
상기 블록의 형태는 다양하게 만들 수 있으나 그 대표적인 형태는 도 3a에 도시된 ㄷ자형 블록(10)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 블록의 하면이 길게 형성되어 2개의 블록을 마주보게 끼우면 플랜지의 하면이 완전히 덮이는 형태의 블록(11)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블록으로 플랜지의 하면을 완전히 덮는 형태의 블록(12)과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결합턱(15)이 형성된 평면블럭(14)과 상기 결합턱(15)과 맞물리도록 결합턱이 형성된 ㄷ자형 블록(13)이 서로 결합되어 플랜지를 덮는 구성이 된다.
또한 블록은 그 연결부를 도4a 도4b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맞댄형 요철형 오뉘형으로 제작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H형강의 에지에 삽입되는 블록과 기타의 부분 즉 플렌지 웨브 블록과 블록사이는 기존의 뿜칠재를 사용하여 일체화 시킨다. 그리고 상기 블록의 연결부는 기존의 무기뿜칠재 또는 무기 접착재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블록을 끼운 형강에 내화피복 뿜칠을 시행하면 기존의 문제점이 었던 에지(2)부분의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뿜칠의 공정 또한 줄어들어 작업이 개선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무기재 내화 블록 두께 유지 부재를 사용하면, 플랜지의 에지 및 철골의 넓은 면의 피복두께가 일정하게 시공되어 질적으로 우수한 내화피복 공사가 될수 있으며 두께 유지 부재를 사용한 만큼 현장에서 내화뿜칠 공사량이 적게 되어 건설현장의 먼지발생등의 환경개선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절기 시공에도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블록의 밀도가 일반 뿜칠공사보다 높게 제작될 경우 일반 뿜칠공사의 피복두께보다 더 얇게 제작 시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장생산된 블록표면이 현장 뿜칠면보다 매끈하여 건물 준공후 건물내 분진 발생량이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H형강에 전표면에 실시된 내화피복 뿜칠 구성에 있어서, 상기 H형강의 플랜지(1)와 에지(2)에 뿜칠에 사용하는 내화 피복재를 틀에 넣어 블록(10)(11)(12)(13) 형태로 성형시킨 두께 유지 부재를 설치하여 일정한 두께의 피복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11)(12)(13)는 무기접착제로 부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 부재.
KR2020000003176U 2000-02-07 2000-02-07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한 내화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KR200197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176U KR200197232Y1 (ko) 2000-02-07 2000-02-07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한 내화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KR2020000016871U KR200204449Y1 (ko) 2000-02-07 2000-06-14 단열재 바를 이용한 내화 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176U KR200197232Y1 (ko) 2000-02-07 2000-02-07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한 내화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871U Division KR200204449Y1 (ko) 2000-02-07 2000-06-14 단열재 바를 이용한 내화 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232Y1 true KR200197232Y1 (ko) 2000-09-15

Family

ID=196408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176U KR200197232Y1 (ko) 2000-02-07 2000-02-07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한 내화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KR2020000016871U KR200204449Y1 (ko) 2000-02-07 2000-06-14 단열재 바를 이용한 내화 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871U KR200204449Y1 (ko) 2000-02-07 2000-06-14 단열재 바를 이용한 내화 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72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54B1 (ko) 2014-06-23 2015-03-26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원형관 및 h 형강에 내화타일을 이용한 내화층 시공방법
KR101536527B1 (ko) * 2014-06-23 2015-07-15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난연성 구조를 갖는 h 형강
KR20160016420A (ko) * 2014-08-05 2016-02-15 재암산업 주식회사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54B1 (ko) 2014-06-23 2015-03-26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원형관 및 h 형강에 내화타일을 이용한 내화층 시공방법
KR101536527B1 (ko) * 2014-06-23 2015-07-15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난연성 구조를 갖는 h 형강
WO2015199326A1 (ko) * 2014-06-23 2015-12-30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원형관 및 h 형강에 내화타일을 이용한 내화층 시공방법
KR20160016420A (ko) * 2014-08-05 2016-02-15 재암산업 주식회사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1634614B1 (ko) 2014-08-05 2016-06-29 재암산업 주식회사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449Y1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9130A (ko) 천정마감재와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방법
KR19980087583A (ko) 건축물 내, 외장용 칼라록 단열판재와 그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200197232Y1 (ko) 무기재 내화 블록을 이용한 내화피복 뿜칠의 두께 유지부재
CN201301531Y (zh) 带装饰面的酚醛防火保温板
CN108118796B (zh) 一种装配式防火组合建筑构件及其施工方法
JP299284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用鉄骨の合成耐火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16104224A (zh) 一种外墙保温一体化缝隙拼装构造节点及施工方法
KR200250517Y1 (ko) 내화피복 뿜칠의 두께유지를 위한 내화블록
CN110792191A (zh) 一种泡沫混凝土保温板建筑外墙外保温系统施工方法
EP0566562B1 (en) Structure panel and a joint between such panels and method of using and manufacturing the panel
KR101634614B1 (ko) 철골구조용 내화피복블럭 및 그 시공방법
CN214272925U (zh) 一种h型钢梁侧边混凝土模板构造
KR200141558Y1 (ko) 건축물의 외벽시공용 타일판넬구조
CN213572493U (zh) 具有防裂结构的加气混凝土砌块墙体
CN213509078U (zh) 一种轻钢龙骨隔墙与凹槽屋顶连接结构
CN213509077U (zh) 一种轻钢龙骨隔墙与钢梁连接结构
KR20080111274A (ko) 내화코너블록
Ballast The Architect's Handbook
JPH0460040A (ja) 鉄骨耐火被覆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S6314146B2 (ko)
JPH0473342A (ja) 鋼材の耐火被覆工法
JPS5911246A (ja) 溝条付き無機質パネルの製造法
CN114033115A (zh) 一种施工现场装饰装修施工方法
CN117306723A (zh) 框架结构建筑保温结构一体化系统构造
JPS63223246A (ja) 鉄骨構造物の複合耐火被覆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