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615B1 -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 - Google Patents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615B1
KR950009615B1 KR1019920022334A KR920022334A KR950009615B1 KR 950009615 B1 KR950009615 B1 KR 950009615B1 KR 1019920022334 A KR1019920022334 A KR 1019920022334A KR 920022334 A KR920022334 A KR 920022334A KR 950009615 B1 KR950009615 B1 KR 950009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building
wire mesh
cement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754A (ko
Inventor
정삼영
Original Assignee
정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삼영 filed Critical 정삼영
Priority to KR1019920022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615B1/ko
Publication of KR94001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0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directly attached to th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의 내부구조를 보인 평면예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보인 와이어메쉬와 지지체의 발췌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확대단면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들의 조립상태를 보인 정면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들의 조립상태를 보인 평면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에서 보인 패널의 확대단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합성수지제 베이스 11 : 바닥벽
12 : 측벽 13 : 플랜지
14 : 요입부 16 : 요부
17 : 철부 18 : 와이어메쉬지지체
20 : 와이어메쉬 21 : 시멘트몰탈
DF : 화장면
본 발명은 건물의 내, 외부 모두를 치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용 마감패널은 건물의 내, 외부를 치장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용도에 따라서 외장재와 내장재로 나누어지고, 내장재는 다시 내벽용, 천정용과 바닥용으로 구분되며, 마감패널로서 고품위의 질감을 갖는 대리석과 같은 석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석재로 된 마강패널(이하 석재패널이라고 한다)은 건물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시공하기 위하여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시멘트몰탈로 석재패널을 부착시키는데는 숙련된 기술을 요할 뿐 아니라 석재패널 자체의 중량과 시멘트몰탈의 양생시간을 고려하여 여러 번에 나누어서 석재패널을 순차적으로 시공해야만 하는 것이므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말이암아 종래의 석재패널은 건물의 천정에 시공할 수 없었다.
또 건물의부치장용 마감패널로서 내부식성을 가진 금속판재의 표면에 범람층을 형성시켜서 된 마감패널이 알려진 바 있으나, 이 마감패널은 건물의 외벽면에 지지수단으로서 격자형 구조물을 앵커로 부착시킨 다음이 격자형 구조물에 상기 마감패널을 부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려한 치장효과를 가져다 주는 반면에 비용이 많이 들고 시공이 번거로우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감패널들을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문제점들 외에도 한번 시공이 완료된 마감 패널은 다시 해체시켜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마감패널들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인 바, 본 발명의목걱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베이스내부를 와이어메쉬를 보강용심재로 하여 양생되는 시멘트몰탈로 충전하고 시멘트몰탈층의 표면에 조약돌과 같은 골재 또는 석재를 부착시켜서 얻어지는 화장면을 형성하며 베이스의 바닥면쪽에는 건물의 벽면, 바닥 또는 천정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부착수단을 마련하고, 베이스의 측면에는 베이스끼리 끼워맞춤할 수 있는 조립수단을 마련함으로서 건물의 내, 외부 모두를 치장할 수 있는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3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용 조립식패널의 한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베이스(10)는 바닥벽면(11)과 측벽(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10)의 대각선을 중심선으로 하여 베이스(10)를 건물의 벽면, 바닥 또는 천정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부착수단으로서 플랜지(13)와 요입부(14)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3)는 베이스(l0)의 바닥벽(11)으로부터 연장된 것이고, 요입부(14)는 상기 플랜지(13)가 끼워질수 있도록 베이스(10)의 바닥벽(11)안쪽으로 파여진 것이다.
플랜지(13)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개의 나사못 끼움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l0)의 측벽(12)중 두개의 측벽(12-1)과 다른 두개의 측벽(12-2)에는 베이스(10)끼리 끼워맞춤할 수 있는 요(凹)부(16)와 철(凸)부(1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0)의 바닥벽(11)위에는 와이어메쉬 지지체(18)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와이어메쉬 지지체(l8)의 상부에는 "+"자형 절개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개홈(19)에는 보강심재용 와이어메쉬(20)의 종, 횡방향 와이어(20-1), (20-2)가 교차되는 부위가 삽입되어 있다.
제1도와 제3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용 조립식패널의 구조가 잘 표현되어 있다.
즉, 베이스(10)내부에는 개방된 베이스(10)의 위로 부터 시멘트몰탈(21)이 충전되어 있고, 충전된 시멘트몰탈(21)의 표층부에는 골재(22)가 부차고딘 회장면(DF)이 형성되어 있디.
이 화장면(DF)은 예시된 골재(22)외에도 각종 석재로 형성시켜 들수 있다. 또 베이스(l0)내부에 충전되는 시멘트몰탈(21)은 양생되기전에 베이스(10)자체를 진동시켜서 시멘트몰탈(21)과 베이스(10)의 내벽 그리고 와이어메쉬(20)와 와이어메쉬 지지체(18)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강도를 높힐 수 있고, 균열이 가지 않도록 해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6도와 제7도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측벽(12)안쪽에는 "T"자형 보강돌기(23)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시멘트몰탈(21)을 충전하고 양생시켜줄 경우 화장면과 인접한 시멘트몰탈(21) 윗부분의 강도를 크게 높힐 수 있고,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3, 6, 7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측벽(12)윗쪽 끝부분을 끝이 뾰족한 경사부(24)를 갖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제4도와 제5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물용 조립패널들을 조립했을때 인접하는 패널들의 측벽(12)두께가 드러나지 않고 화정면(DF)들이 연속되는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줄 수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종래의 석재패널에서 처럼 조립틈새를 메꾸는 작업을 생략할 수도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로 W는 건물의 시공대상벽체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용 조립식패널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은 제1, 3, 7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바닥벽(11)에 형성된 플랜지(13)와 요입부(14) 그리고 측벽(12)에 각각 형성된 요부(16)와 철부(17)를 이용하여 패널들끼리 끼워맞춤식으로 조립하면서 건물의 내, 이벽면과 바닥면 또는 천정면등에 시공하는 것으로서, 먼저 시공되는 패널의 베이스(10)는 건물의 시공대상벽체(W)에 나사못(25)으로 고정되는 것이고, 나중에 시공되는 패널의 베이스(10)는 먼저 시공된 베이수(10)와 끼워맞춤하면서 건물의 시공대상벽체(W)에 나사못(25)으로 고정하면서 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은 나사못(25)만으로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건물의 내, 외벽만과 바닥면은 물론 천정면에도 저렴한 비용과 짧은 시간내에 시공할 수 있고, 특히 기존건물의 벽체를 개조하는데 매우 적합하며, 시공후 경우에 따라서는 패널을 손상시킴이 없이 해체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은 화장(DF)이 베이스(10)내에서와 와이어메쉬지지체(18)에 삽입되는 와이어메쉬(20)를 보강용 심재로 하여 높은 강도로 양생되는 시멘트몰탈(21)의 표층부에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화장면(DF)에 균열이 발생될 우려가 없으며, 운반, 취급도중 내충격성이 우수한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합성수지제 베이스(10)의 바닥벽(11)과 측벽(12)에는 각각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되게 나사못 끼움구멍(15)을 가진 플랜지(13)와 요입부(14) 그리고 요부(16)와 철부(17)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멱(11)위에 세워진 와이어메쉬 지지체(18)에는 와이어메쉬(20)가 끼워져 있으며, 베이스(10)내부에는 시멘트몰탈(21)이 충전되어 있고, 시멘트몰탈(21)의 표층부에는 골재 또는 석재로 된 화장면(DF)을 형성시켜서 된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10)의 측벽(12)윗쪽 끝부분에 끝이 뾰족한 경사부(24)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10)의 측벽(12)안쪽에 "T"자형 보강돌기(23)가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
KR1019920022334A 1992-11-25 1992-11-25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 KR950009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334A KR950009615B1 (ko) 1992-11-25 1992-11-25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334A KR950009615B1 (ko) 1992-11-25 1992-11-25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754A KR940011754A (ko) 1994-06-22
KR950009615B1 true KR950009615B1 (ko) 1995-08-25

Family

ID=1934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334A KR950009615B1 (ko) 1992-11-25 1992-11-25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6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754A (ko) 199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248B1 (ko) 건물용 조립 유닛과,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ATE62722T1 (de) Gebaeudekonstruktionen aus bewehrtem beton.
KR100977804B1 (ko) 줄눈 가변형 갱폼
KR100694587B1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JP2001329699A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構造
KR950009615B1 (ko) 건물용 조립식마감패널
KR100690074B1 (ko) 천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 및 건축물의 벽체시공방법
KR100694586B1 (ko)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지하외벽 구조
US20220220733A1 (en) A modular structural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202840B1 (ko) 건축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KR100540643B1 (ko) 건축물의 벽체
KR100579766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0336814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0504350B1 (ko)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0249940B1 (ko) 스티로폴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구축용스티로폴 외장벽재
KR100249939B1 (ko) 스티로폴 패널벽재를 이용한 건축물 외벽구축공법
JPH073090B2 (ja) 外断熱コンクリート壁板とその製造方法
KR20190028138A (ko) 그래픽 콘크리트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JP2786412B2 (ja) 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外装パネル被覆構造及び被覆施工方法
JP4629203B2 (ja) ゲート
KR200435772Y1 (ko) 우레탄 문양 거푸집을 가지는 갱폼
JP2002201757A (ja) 化粧板ブロック及びその構造体
JP2548047B2 (ja) 断熱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H0823150B2 (ja) 老朽化した擁壁の補修工法及び擁壁用型枠
JPH0661681A (ja) 電磁波吸収体組込み外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