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301B1 - 콘크리트 조성물 제조 방법, 콘크리트 조성물의 조립식 구조 요소, 및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조성물 제조 방법, 콘크리트 조성물의 조립식 구조 요소, 및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301B1
KR101633301B1 KR1020157036955A KR20157036955A KR101633301B1 KR 101633301 B1 KR101633301 B1 KR 101633301B1 KR 1020157036955 A KR1020157036955 A KR 1020157036955A KR 20157036955 A KR20157036955 A KR 20157036955A KR 101633301 B1 KR101633301 B1 KR 101633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al element
prefabricated structural
structures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676A (ko
Inventor
로란트 카를레
한스 크롬머
요한 파프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011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3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to insul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46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to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0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the reinforcement consisting of aligned, non-metal reinfor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6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forcing the elements into the cast material, e.g. hooks into cast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2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for double - wall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성물(15)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그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조성물(15)을 제조하기 위한 반제품으로서 작용하는 조립식 구조 요소(3), 및 대응하는 콘크리트 조성물(15)에 관한 것이다. 청구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갖는다:
- 제 1 보강 구조체들(18)을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 요소(3)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은 섬유 보강 구조체들 및 제 1 단열 요소들(6)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조하는 단계,
- 제 1 콘크리트층(11)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셸 주형(13) 내로 붓는 단계,
-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3)를 상기 제 1 콘크리트층(11) 위로 하강시키는 단계.

Description

콘크리트 조성물 제조 방법, 콘크리트 조성물의 조립식 구조 요소, 및 콘크리트 조성물{METHOD FOR PRODUCING A CONCRETE COMPONENT, PREFABRICATED STRUCTURAL ELEMENT OF A CONCRETE COMPONENT, AND CONCRETE COMPONEN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콘크리트 조성물의 조립식 구조 요소, 및 대응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들의 제조에 대하여는 공지되어 있다. 제조하는 동안 단열 요소들을 구비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기술은 임의의 시간 동안 익숙한 작업이다. 그와 관련된 콘크리트 조성물들은 흔히 패널형으로서, 이는 종종 단열 패널들과 콘크리트 패널들 사이에 연결부들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소위 샌드위치 패널이라 불리우는 패널들도 또한 빈번히 제조되는데, 이 경우 단열층이 2개의 콘크리트층들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특히, 그와 같은 샌드위치 요소들이 구비되는 경우, 2개의 (외부) 콘크리트층들 사이의 견고한 연결부가 주목할 만한 정도의 열교현상(thermal bridge)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단열층을 통과해야만 하므로 상기 연결부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US20040065034A1은 2개의 외부 콘크리트층들을 연결하고 또한 단열층을 통과하는 부직포 탄소 섬유 격자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상기 탄소 섬유 격자는 다소 긴 단열 요소들에 통합되고 또한 상기 샌드위치 요소의 표면에 수직인 평면으로 연장한다. 그와 같은 샌드위치 요소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유연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다량의 샌드위치 요소들을 생산하기 위한 기존의 제조 방법들을 이용하는데 일차적인 목표를 둔다. US20040206032A1은 US20040065034A1의 연속 부분 출원이다. US20040065034A1을 추가 개발할 때, US20040206032A1은 서로에 대한 샌드위치 요소들의 연결 및 빌딩에 대한 샌드위치 요소들의 연결에 집중된다. 사용된 탄소 섬유 격자들은 US20040065034A1에 있는 것과 동일하며, 격자 상표의 해당 이름을 참조하시오.
EP0532140A1은 2개의 외부 콘크리트층들을 연결하는 섬유 보강된 합성 부품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요소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상기 섬유 보강된 합성 부품들은 거푸집에 연결된 인장강 로우프(tensioned steel rope)들에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대부분의 경우 하나의 단일 평면으로 연장하는, 길이 방향의 상기 섬유 보강된 합성 부품들은 단열 재료와 통합된다. 샌드위치 요소들을 주조하기 위한 방법은 콘크리트층들의 보강물을 삽입하고 또한 상기 콘크리트층들의 연결을 위해 상기 길이 방향 섬유 보강된 합성 부품들을 삽입하기 위한 상이한 독립적인 단계들을 개시하고 있다.
다른 공보들 가운데 DE 100 07 100 B4는 이와 같은 문제를 다루고 있다. 여기서는 우선 제 1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제 1 콘크리트층을 나중에 첨가될 제 2 콘크리트층과 연결하기 위한 요소들이 이와 같은 층들 위에 제공된다. 이들은 상기 제 2 층에 대해 수직으로 상승되며, 상기 제 1 콘크리트층 위에 제공될 때 단열층을 관통한다. 다음에, 구멍들을 다시 밀봉시키기 위해 현장 타설식(pour-in-place) PU 포말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2 콘크리트층은 단열층 위로 부어진다.
DE 10 2012 101 498 A1은 본 발명에 대한 최초 출원 당시 미처 종래 기술로서 기재되지 않았던 것으로, 여기서도 2개의 콘크리트층들이 단열층을 관통하는 보강 요소들에 의해 연결되는 것과 같은 종류의 샌드위치 요소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는 또한 마지막에 언급된 공보에서 설명된다.
상술된 2개의 공보들에서 공통적으로 갖는 것은 비금속 보강 요소들의 사용을 언급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콘크리트 조성물들의 제조에 있어서의 실제 경험은 특유의 문제점들이 유리 섬유들 또는 탄소 섬유 요소들과 같은 섬유 보강 요소들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이들 보강 요소들은 금속보다 중량이 덜 나가고 낮은 압축 강도를 갖는다. 상기 재료들의 인장 강도는 종종 이방성을 가지며 또한 조기 경화된 보강 격자들은 매우 부서지기 쉽다.
상술된 낮은 중량은 콘크리트층 위에 제공된 보강 재료가 부상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보강 재료가 콘크리트 매트릭스와 밀착 접촉형성되지 못하도록 방해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는 상기 부서지기 쉬운 보강 재료를 상부에 놓인 돌이나 금속으로 내리눌러, 설정될 때 보강 부재들이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잔류하도록 보장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는, 보강 부재들이 종종 셸 주형의 바닥에 너무 근접 위치되며(이들은 중량때문에 너무 깊이 잠긴다), 나중에 콘크리트의 최종층을 통해 비춘다. 이는 특히 외관 유닛의 경우에 부적절하다. 따라서, 주형 바닥과 보강 성분들 사이의 거리는 가끔 주형 바닥 상에서 지지되는 스페이서들 상에 상기 보강 성분들을 위치시킴으로써 설정된다.
이와 같은 조치의 단점으로는, 현장 타설식(PIP) 콘크리트 조성물을 생산하는 동안과 조립식 요소들의 경우 모두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들이 제 1 콘크리트층의 표면에서 가시화될 수 있고, 노력과 비용 및 그와 같은 종류의 다소 취약한 조처와 관련된 불명료성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단점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을 제안함으로써 확고해질 수 있다.
콘크리트는 먼저 가능하면 평평한 셸 주형 안으로 부어진다. 조립식 구조 요소가 콘크리트층 위로 하강하며, 상기 요소는 예를 들면 반드시 강과 같은 보강 요소들을 이미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립식 구조 요소는 제 1 섬유 보강 요소들 및 제 1 단열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열 요소는 다른 특징들 가운데 상기 보강 부재들 상에 상당한 중량을 제공하여, 그들이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에 완전히 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한편, 상기 단열 요소들의 비중-또는 그들의 밀도-은 콘크리트보다 훨씬 낮아져서, 상기 요소들로 인해 보강 부재들이 완전히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는 상기 콘크리트층에 대한 소망의 수직 위치를 추정하여, 상술된 종래 기술의 단점들이 회피되도록 한다.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의 다른 장점들 가운데, 보통 연성으로서 여전히 상대적으로 방대하고 또한 공사 현장으로 완전 운송 및 저장되는 동안 깨지기 쉬운 보강 케이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단열 재료가 상기 보강 케이지를 보호 또는 안정화시킨다. 다음의 장점으로는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운송량이 삭감된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DE 100 07 100 B4에 공개된 방법에 있어서, 단열 요소들 및 제 1 보강 부재들 모두는 운송 용적부 및 저장 용적부들을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용적부들은 일단 조립식 구조 요소가 사용될 때만 요구된다.
만약 추가의 제 2 콘크리트층이 상기 제 1 콘크리트층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하는 조립식 구조 요소의 측면 상에 부어지는 경우, 유리하게도 샌드위치 요소들이 오직 콘크리트층과 조립식 구조 요소로만 구성되는 콘크리트 요소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이는 제 1 콘크리트층과 조립식 구조 요소가 여전히 셸 주형에 존재하는 동안 최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자연히 나중에 상기 제 2 콘크리트층을 제공할 필요성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2개의 콘크리트층들은 두께가 상이하며, 이는 콘크리트를 생산하기 위해 상이한 타입의 콘크리트들을 사용하는 것을 훨씬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 1 콘크리트층은 제 2 콘크리트층보다 얇을 수 있다. 두꺼운 층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보다 얇은 층을 생산하기 위해 미세 입자 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얇은 층은 종종 깨끗한 면의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또한 종종 외장 셸(facing shell)을 이룬다. 외장 셸들은 종종 건물 전방에서 가시화된다. 상기 두꺼운 층은 흔히 지지층이다.
섬유 보강 구조체들 중 적어도 일부가 3차원 섬유 격자 구조체들을 포함하는 경우 장점을 갖는다. 그와 같은 구조체들은 조립식 구조 요소 생산 전 단계에 제조될 수 있으며, 원하는 바와 같이 성형된다. 상기 격자 구조체들은 지역적인 부하를 잘 수용하고 또한 이들을 콘크리트 매트릭스로 전달할 수 있다. 패널형 조성물들 또는 조립식 구조 요소들에 있어서, 상기 격자 구조체들의 일부가 상기 패널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경우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만약 -유리 섬유들 또는 탄소 섬유들과 같은- 섬유 보강 재료의 보강 격자들이 비-평면으로 구성되는 방식으로 성형될 경우, "3차원 섬유 격자 구조체"가 얻어진다.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의 생산 동안, 최종 단열 요소들은 가능한 한 형상 맞춤(form fit)을 생성할 수 있을 정도까지 상기 제 1 보강 부재들 내의 리세스들 내로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보강 구조체가 단열 요소를 느슨하게 수용하는 것만도, 또한 상기 보강 구조체의 잔류 길이가 상기 단열 요소 너머로 돌출하는 것도, 그리고 콘크리트 조성물의 생성 후에 상기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고정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보강 부재가 동시에 본원에서 규정하고 있는 바와 같은 커넥터로서 작용한다.
상기 리세스들은 U-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원래 평평한 섬유 격자들을 절곡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단열 요소(들)의 패널형 부분들은 상기 U-형 리세스들의 영역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단열 요소(들)는 전체로서 패널형을 취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면 스티로폼 또는 강성 포말 보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패널형 단열 요소들은 조립식 구조 요소 전체가 패널형 형태를 취하도록 의도될 경우 특히 장점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구조 요소의 길이와 폭은 그의 깊이의 배수가 된다.
이와 관련하여, 만약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U-형 단면이 상기 구조 요소의 길이 또는 폭과 깊이의 공간 방향에 의해 규정된 평면 내에 있는 경우 장점을 갖는다.
조립식 구조 요소를 생산하기 위해, 제 1 단열 요소들이 점성 형태로 - 즉 종종 포말 또는 액체 형태로 상기 구조 요소 내로 도입될 경우 유익하다. 타설식 포말 또는 주조 수지를 갖는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의 충전 실체부의 장점은, 이와 같은 종류의 보강 구조체가 구조강으로 제조된 것보다 더욱 취약하고 부서지기 쉬우므로, 특히 섬유 콘크리트 보강의 경우와 연관된다. 대부분의 용적부를 포말 또는 주조 수지로 충전시킴으로써 그리고 또한 이미 경화된 단열 요소들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불침투성의 단열 요소들을 갖는 구조 요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불침투성은 콘크리트 요소의 단열 용량을 증가시킨다. 그것은 또한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가 상기 제 1 콘크리트층 상에 영향을 미치는 "양력(lift)"을 강화시켜서, 상술된 바와 같은 상기 보강 구조체가 너무 깊이 잠기는 경향에 저항한다.
이와 같은 효과는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가 상기 제 1 콘크리트층의 셸 주형 내에 정합되는 정밀성이 - 건설 산업에 있어서 실용되고 있는 - 관습적인 허용 오차 내에 있는 경우 추가로 증가된다. 이 경우, 어떠한 주목할만한 콘크리트 변위도 발생할 수 없으며,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는 경화되어, 상기 콘크리트층의 두께에 의해 규정된 위치 내에 잔류한다.
상술된 절차는 상술된 성질을 갖는 조립식 구조 요소가 장점을 갖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구조 요소는 이미 제 1 섬유 보강 구조체들 및 제 1 단열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경우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PIP 콘크리트)이나 또는 예비 성형 콘크리트 작업(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들)에서 수행되는 상기 2개의 요소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단계들이 이와 같이 노출된 위치들에서 더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들은 소량의 콘크리트 또는 강을 함유할 수 있거나 또는 운송 중량을 낮게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나 강을 완전히 배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 간략하게 언급된 바와 같이, 섬유 보강 구조체는 섬유 재료들을 함유하는 보강 구조체들이다. 이들 가운데는 특히 유리, 세라믹 및 현무암 섬유들을 포함하는 광물 섬유들이 있다. 탄소 섬유들, 아라미드 섬유들 및 종종 폴리프로필렌 섬유들과 같은 중합체 섬유들조차도 포함하는 유기 섬유 그룹도 또한 그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상술된 유리 섬유 재료들이 알카리성 콘크리트 환경으로부터 유리를 보호하기 위해 중합체 매트릭스에 매설된다.
구조강 격자들과 같은 보강 격자들은 종종 상기 섬유성 재료들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격자들은 적합하게는 직조 직물 형태로 제조되나, 접착 직물 형태로도 제조된다.
"단열 요소"라는 용어는 당업자의 이해에 기초한 것으로서, 관례상 "단열 요소들" 하의 단열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들로 이루어진 구조적 요소를 구성하는 물질들을 포함한다. 스티로폼 또는 폴리우레탄 포말(포괄적 관점에서: 플라스틱으로 확장됨)이 이와 같은 범주에 속한다. 유리면 및 암면(rock wool)과 같은 광물면들도 또한 언급될 수 있다. 폐원단에 기초한 광물들도 또한 이와 같은 범주에 속할 수 있다.
최근, 상기 용도는 또한 다공질 유리(cellular glass)와 같은 광물 타입 "확장 재료들"로 제조되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종류의 구조 요소들이 유리하게도, 적합하게는 PIP 콘크리트 분야에서 그리고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들의 제조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후자의 경우 가장 큰 장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립식 구조 요소가 커넥터들과 함께 장착되는 경우 장점을 갖는다. 커넥터들은 콘크리트 조성물들을 형성하기 위해 처리될 때 콘크리트 매트릭스와 결합하도록 제 1 단열 요소들 너머로 돌출한다. 적합한 커넥터들은 추가의 보강 구조체들에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의 형상은 최적화되어야만 한다(예를 들어, 형상 맞춤 방식으로 라운드 바를 수용하도록 함). 콘크리트 매트릭스에서의 매설을 최적화하기 위해, 특정 커넥터 형상들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다시 언급된다.
상술된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 조성물들에 대한 대부분의 요구는 벽 제조 분야와 유사하다. 따라서, 조립식 구조 요소 및 콘크리트 요소 모두를 패널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구조 요소들의 길이와 폭이 그의 깊이보다 훨씬 큰 것을 의미한다. 평평한 조립식 콘크리트 조성물의 경우, - 섬유 광물이든 또는 금속이든 - 다양한 격자 구조체들이 하나의 다른 면적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는 주로 형상이 패널형인 경우, 어떠한 기존의 커넥터들도 상기 패널형 몸체를 넘어 연장할 수 있어서 유리하다. 상기 패널형 몸체는 제 1 보강 부재들 및 제 1 단열 요소들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열 요소들은 열손실에 대한 차단벽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단열 요소들이 금속들 및/또는 콘크리트에 의해 관통되지 않을 경우 유리하다. 특히, 패널형 요소들의 경우, 상기 제 1 단열 요소들이 상술된 물질들에 의해 관통 또는 침투되지 않는 평면을 형성할 경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은 종속항들 및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얻어진다. 상세한 설명은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들로 제한되며, 개별적인 특징들은 유익하게도 일반적으로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면들에 의해 참고되어야만 한다.
개별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 유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선택된 실시예들에 대하여는 도면들을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조립 절차에 있어서의 조립식 구조 요소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구조 요소의 평면도.
도 3은 제 1 단열 요소들이 막 첨가된,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구조 요소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구조 요소의 측면도에 대한 변형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립식 구조 요소의 측면도에 대한 전개도.
도 6은 셸 주형 내의 제 1 콘크리트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층을 구비하는, 셸 주형 내의 도 5에 도시된 조립식 구조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다른 조립식 구조 요소의 생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일부로서, 도 8에 도시된 최종 조립식 구조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종류의 스페이서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콘크리트 조성물의 전개도.
도 12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플로어 상에 평평하게 놓인 섬유 격자(1)를 나타내며, 상기 섬유 그리드 위에는 스페이서(2)가 위치한다. 조립식 구조 요소(3)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스페이서는 적합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섬유 격자(1) 상의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3차원 섬유 격자 구조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는 섬유 격자들을 접착시킴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U-형 격자 성분들(4 및 5)이 T-형 독립체를 생성하기 위해 형성 및 조립될 수 있다(도 10). 상기 2개의 격자 성분들(4 및 5) 사이의 접착도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들은 상기 스페이서(2)의 다리부들(7)과 가로 방향 연결부(21)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반경들이 매우 작은 것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대체로, 이들 반경들은 현저히 크게 된다.
도 1에서, 상기 섬유 격자(1) 및 스페이서(2)는 이미 제 1 보강 구조체들(18)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2는 동일한 제조 단계에서의 동일한 구조 요소(3)에 대한 평면도이다. 해칭은 상기 섬유 격자(1)의 섬유 스트랜드들이 상기 섬유 격자(1)의 에지들에 대해 각각 90° 및 180°로 배향되는 것을 나타낸다. 스페이서(2)를 구성하는 섬유 스트랜드들의 배향은 상기 섬유 격자(1)의 섬유 스트랜드들의 배향에 대해 45°만큼 회전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당면하는 경우에 기초하여, 0° 또는 30°와 같은 다른 각도들도 또한 가능하다.
도 3은 상기 동일한 조립식 구조 요소(3)의 어느 정도 더욱 진행된 생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열 요소들(6)이 이미 상기 구조 요소(3) 내에 삽입되어 있다. 도 3 및 도 10으로부터, 상기 스페이서(2) 및 그의 성분들이 몇가지 기능들을 갖는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
상기 스페이서(2)의 다리들(7)은 패널형인 단열요소(6)의 단부들을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다리들(7)은 리세스들(8)을 형성하며, 상기 리세스 내로 상기 단열 요소들(6)이 삽입된다.
도 4에서 조립식 구조 요소(3)는 도 3에 도시된 특징부들에 추가하여 거리 유지 요소들(9)을 포함한다. 그로 인해, 상기 스페이서(2)의 다리들(7)과 단열 요소들(6) 사이의 공간이 유지되도록 보장된다. 거리 요소(10)가 상기 섬유 격자(1)와 단열 요소(6)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측정 포인트는 도 7로부터 명백해진다: 상기 스페이서(2)의 다리들(7)과 섬유 격자는 상기 제 1 콘크리트층(11)의 콘크리트 매트릭스 내에 깊이 도달하여, 여기서 상기 다리(7)는 또한 본원에 규정된 바와 같은 커넥터(19)로서 작용한다.
도 5에서 조립식 구조 요소(3)의 조립은 이미 도 4와 관련된 제 1 예에 대응하며, 여기서 상부 스페이서들(9)은 도 4의 대응하는 스페이서들(9)보다 다소 큰 거리를 형성한다. 그러나, 도 5에서는, 다른 제 2의 보강 구조체(12)가 첨가되었고 이미 가시화된다.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와 같은 보강 구조체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그것은 조립식 구조 요소에 대한 관습적인 방식으로 추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비 성형 콘크리트 작업시 또는 건설 현장에서 금속 없이 성취된다. 예를 들면 바인딩 와이어가 그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제 1 콘크리트층(11)을 포함하는 셸 주형(13)을 도시한다. 조립식 구조 요소(3)는 이와 같은 종류의 셸 주형(13) 내로 하강될 수 있다. 조립식 구조 요소(3)가 상기 셸 주형(13) 내에 정합되는 정밀성이 분기 내의 관습적인 허용 오차 내에 있는 경우(여기서는, 특히 l/b 평면 내의 허용 오차를 의미함) 유리하다.
도 7은 도 5의 조립식 구조 요소가 이미 제 1 콘크리트층(11)을 포함하고 있는 도 6의 셸 주형 내로 하강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7은 또한 제 2 콘크리트층(14)이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의 상부 상으로 부어지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제 2 콘크리트층은 제 2 보강 구조체(12)에 의해 보강된다. 일단, 상기 콘크리트층(11)이 설정 및 경화되면, 최종 콘크리트 조성물(15)이 상기 셸 주형(13)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8은 도 8에서 정현곡선 단면을 갖는 3차원 섬유 보강 구조체들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조립식 구조 요소(3)의 생산 단계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종류의 보강 구조체들은 또한 섬유 격자(1)와 같은 섬유 격자들을 형성 공정에 종속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종류의 복합 섬유 구조체들의 경우, 단열 요소들(6)이 상기 제 1 보강 부재들과 점성 상태로 혼합되는 경우 유리하다. 상기 몰딩 재료(16)의 층은 도 8의 하부 에지에 도시되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층은 예를 들면 중매체의 스트랜드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18)은 언급된 바와 같이 정현곡선 단면을 갖는다. 몰딩 재료(16)의 층은 점성 단열 재료(17)로 커버되고, 제 1 단열 요소(6)를 형성하기 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몰딩 재료(16)의 층은 복수의 조립식 구조 요소들(3)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몰딩 재료(16)의 층이 과립 또는 분말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층의 표면은 새로운 조립식 구조 요소(3)가 추가로 몰딩 재료의 동일한 층에서 처리되기 전에 평탄화될 수 있다. 다음에, 새로운 조립식 구조 요소(3)는 연결 부재(19)의 일부가 상기 층(16) 내에 잠기는 방식으로 상기 몰딩층(16) 내로 압축되어, 그들이 점성 단열 재료(17)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적합하게도 점성 단열 재료의 포말형 층이 부동되는 중액이 몰딩 재료(16)의 층으로서 사용될 경우, 상기 층(16)의 표면의 활성 평탄화 작업은 더이상 필요치 않게 된다.
도 9는 상술된 방식으로 생산된 조립식 구조 요소(3)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단열 요소(6)는 이미 경화되었다. 상기 제 1 및 제 2 콘크리트층(11, 14)은 이미 정위치에 위치되어, 소위 콘크리트 조성물 - 여기서는 "샌드위치 조성물" -이라 불리울 수 있다.
아직 언급되지 않은 수평 보강 부재(20)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제 2 콘크리트층(14)에 제 1 보강 구조체(18)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개선시킨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구조 요소들(15)에서의 단열 요소들(6)이, 금속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열을 잘 전도하는 재료들에 의해 관통되지 않을 경우 유리하다.
상술된 도면들은, 순차로 대부분의 패널형 단열 요소들(6)을 포함하는, 패널형 조립식 구조 요소들(3) 및 콘크리트 조성물들(15)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된 "패널형"이란 이들 몸체들의 깊이(t)가 그들의 길이(l) 및 폭(b)보다 실제로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그와 같은 종류의 조성물들(15)의 경우에, 상기 단열 요소들이 열을 잘 전도하는 재료들에 의해 관통되지 않는 (여기서는 l 및 b 방향의) 평면을 형성하는 경우 유리하다.
또한, 콘크리트 조성물들(15)이 l 및 b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격자형 보강 구조체들(그들 중 일부는 임으로 선택된 재료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할 경우 유리하다.
도 11은 도 9에 기초한 콘크리트 조성물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콘크리트 조성물(15)의 특징들에 추가하여, 도 11은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18)에 형상 체결 방식으로 부착되는 가로 방향 로드들(22)의 단면 표면들을 나타낸다. 상기 가로 방향 로드들도 또한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18) 및 완전 조립된 구조 요소(3)를 상기 제 1 콘크리트층(11)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개선시킨다. 상기 가로 방향 로드들은 금속 또는 섬유 보강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2는 추가의 구조 요소(3)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구조 요소는 유리하게도 거의 동일한 두께가 되도록 구성되는 2개의 상대적으로 얇은 콘크리트층들(11, 14)을 갖는다. 양쪽 콘크리트층들은 깨끗한 표면의 콘크리트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면 주차장 건축에 있어서 노출된 벽들로서 작용한다.
도시된 콘크리트 조성물들(15)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크리트층(11)이 설정된 후 그것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셸 주형(13)으로부터 상기 조성물들(15)을 제거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음에, 상기 제 2 콘크리트층(14)은 동일한 또는 다른 셸 주형(13) 내로 부어질 수 있다. 이 작업은 상기 제 1 콘크리트층(11)의 제작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며, 상기 제 2 콘크리트층(14)은 상기 셸 주형(13)에 형성되고, 나중 조성물의 잔류부는 상기 제 2 콘크리트층 위로 하강한다.
이미 상술된 단열 재료와 관련하여, 그들의 기계적 특성들도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이 추가되야만 한다. 적절하게 팽창된 재료들의 경우, 종종 유연한 포말들 및 강직한 포말들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한다.
섬유 보강 재료들을 처리하기 위한 문제점들 가운데 상기 보강 구조체들이 역할을 맡기에는 부적합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특히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3)의 성분으로서 - 강성 포말과 같은 - 강성 단열 재료들의 사용을 통해, 적어도 관련된 콘크리트층들이 설정 및 경화되기 전에 역할을 맡을 수 있는 구역들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미 서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18)은 섬유 보강 구조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 있어서, 섬유 보강 구조체들로 콘크리트층들의 보강물- 즉, 상기 제 1 콘크리트층(11) 및/또는 제 2 콘크리트층(14)의 보강물일 수 있는 -을 제공하는 경우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강 없이 상기 콘크리트층들(11 및 14) 중 하나 또는 심지어 둘 모두를 제공할 정도로 착수될 수 있다. 다음에, 원하는 경우, 전체 콘크리트 조성물은 강 없이 그리고 금속 성분들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조치들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도 12를 배경으로 설명된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생성물에 대한 최종 실시예와 관련하여 장점을 갖는다.
1 섬유 격자
2 스페이서
3 구조 요소
4 U-형 격자 성분
5 U-형 격자 성분
6 단열 요소
7 (상기 스페이서(2)의) 다리
8 (상기 스페이서(2)에 형성된) 리세스
9 거리 유지 요소
10 거리 유지 요소
11 제 1 콘크리트층
12 제 2 보강 구조체
13 셸 주형
14 제 2 콘크리트층
15 콘크리트 조성물
16 몰딩 재료의 층
17 점성 단열 재료
18 제 1 보강 구조체들
19 커넥터들
20 수평 보강 부재
21 상기 스페이서(2)의 가로 방향 연결부
22 가로 방향 로드

Claims (14)

  1. - 제 1 보강 구조체들(18) 및 제 1 단열 요소들(6)을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 요소(3)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은 3차원 섬유 격자 구조체들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조하는 단계와,
    - 제 1 콘크리트층(11)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셸 주형(13) 내로 붓는(pour) 단계, 및
    -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3)를 상기 제 1 콘크리트층(11) 위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콘크리트층(14)이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3) 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3)의 제조 동안, 제 1 단열 요소들(6)은 그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상기 제 1 섬유 보강 구조체들(18)에 형성된 리세스들(8) 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열 요소들(6)의 패널형 부품들이 도입되는 U-형 리세스들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격자 구조체들이 사용되고, 상기 U-형 리세스들 내로 패널형인 상기 제 1 단열 요소들(6)의 부품들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3)의 제조 동안, 제 1 단열 요소들(6)은 액체 또는 포말 형태로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18)의 영역 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3)에는 커넥터들(19)이 구비되며,
    - 상기 커넥터들(19)은 이미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18)의 일부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18)에 견고히 연결되며, 이 경우 액체 또는 포말이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18)의 영역 내로 도입되며,
    - 상기 커넥터들(19)은 포말 또는 액체로 충전된 영역 너머로 연장하며,
    - 상기 커넥터들(19)은 상기 포말 또는 액체가 경화되는 동안 연성의, 분말 및/또는 점성 성형 재료의 층(16) 내로 침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콘크리트층(11)은 셸 주형(13)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콘크리트층(11) 상으로의 하강시,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3)는 당분야의 정확한 관습에 따라 거푸집 내에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콘크리트 조성물의 조립식 구조 요소로서,
    - 3차원 섬유 격자 구조체들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보강 구조체들(18), 및
    - 제 1 단열 요소들(6)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 요소.
  9. 제 8 항에 있어서,
    커넥터들(19)로서,
    - 상기 커넥터들(19)은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18)의 일부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18)에 견고히 연결되며,
    - 상기 커넥터들(19)은 상기 단열 요소들(6) 너머로 연장하며,
    - 상기 커넥터들(19)은 제 2 보강 구조체들(12)에 연결되거나 그리고/또는 콘크리트 매트릭스 내에 영구적으로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 요소.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요소의 길이(l) 및 폭(b)은 그의 깊이(t)의 배수인, 면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 요소.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 구조체들(18) 및 상기 제 1 단열 요소들(6)이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3)를 대체로 충전하고, 상기 조립식 구조 요소가 패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 요소.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열 요소들(6)은 금속들과 같은 고 열전도율을 갖는 재료들에 의해 관통되지 않는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 요소.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열 요소들(6)은 포말형 단열 재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 요소.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따른 조립식 구조 요소(3)를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157036955A 2013-07-02 2014-06-25 콘크리트 조성물 제조 방법, 콘크리트 조성물의 조립식 구조 요소, 및 콘크리트 조성물 KR101633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10989.2 2013-07-02
DE102013010989 2013-07-02
DE201310011083 DE102013011083A1 (de) 2013-07-02 2013-07-03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tonbauteils, vorgefertigtes Bauelement eines Betonbauteils sowie Betonbauteil
DE102013011083.1 2013-07-03
PCT/EP2014/063448 WO2015000771A1 (de) 2013-07-02 2014-06-25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tonbauteils, vorgefertigtes bauelement eines betonbauteils sowie betonbaute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676A KR20160011676A (ko) 2016-02-01
KR101633301B1 true KR101633301B1 (ko) 2016-06-24

Family

ID=5210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955A KR101633301B1 (ko) 2013-07-02 2014-06-25 콘크리트 조성물 제조 방법, 콘크리트 조성물의 조립식 구조 요소, 및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227777B2 (ko)
EP (1) EP3017123B1 (ko)
JP (1) JP6278981B2 (ko)
KR (1) KR101633301B1 (ko)
CN (1) CN105917057A (ko)
BR (1) BR112015028885A2 (ko)
DE (1) DE102013011083A1 (ko)
DK (1) DK3017123T3 (ko)
ES (1) ES2632251T3 (ko)
PL (1) PL3017123T3 (ko)
PT (1) PT3017123T (ko)
RU (1) RU2629183C2 (ko)
WO (1) WO2015000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6103223U1 (de) * 2016-06-17 2016-07-04 Goldbeck Gmbh Flächiges Betonfertigteil zum Bau von Parkhäusern, Verbundbauteil zum Bau von Parkhäusern sowie deren Verwendung
DE102016114927B4 (de) * 2016-08-11 2018-04-12 Groz-Beckert Kommanditgesellschaft Schutzplattenanordnung und Verfahren zur Reparatur einer solchen Schutzplattenanordnung
DE102017124617B4 (de) 2016-10-21 2020-01-09 Hochschule für Technik, Wirtschaft und Kultur Leipzig Mehrschichtiges Bauelement, Verfahren und Verbindungssystem zu seiner Herstellung, Verwendung des Bauelements und Bauwerk
RU2744905C2 (ru) * 2018-12-26 2021-03-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раль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первого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и Б.Н. Ельцина"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надежности и долговечност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DE102019126608B4 (de) * 2019-10-02 2022-12-22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Stütz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extilen Querkraftbewehrung und Betonbauteil
JP2023522178A (ja) * 2020-04-10 2023-05-29 オウェンス コーニング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キャピタ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断熱コンクリート製サンドイッチ壁パネル用の不燃性エッ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5034A1 (en) * 2002-03-06 2004-04-08 Messenger Harold G Insulative concrete building panel with carbon fiber and steel reinforcement
US20040206032A1 (en) * 2002-03-06 2004-10-21 Messenger Harold G Concrete building panel with a low density core and carbon fiber and steel reinforcement
KR100718006B1 (ko) 2006-11-10 2007-05-14 주식회사 부일건화 단열재를 이용한 3차원 입체 지붕재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53573A (en) 1976-12-27 1980-09-16 Maso Therm Corp Composite building panel with reinforced shell
JPS5761013U (ko) 1980-09-26 1982-04-10
US5033248A (en) * 1990-01-05 1991-07-23 Phillips Charles 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EP0532140A1 (en) * 1991-09-13 1993-03-17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Precast concrete sandwich panels
AT406064B (de) 1993-06-02 2000-02-25 Evg Entwicklung Verwert Ges Bauelement
JPH08151724A (ja) 1994-11-30 1996-06-11 Tatsuo Ono ユニット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211984C (en) * 1997-09-12 2002-11-05 Marc-Andre Mathieu Cementitious panel with reinforced edges
CN2338404Y (zh) * 1998-08-03 1999-09-15 赵建国 钢丝网架膨胀珍珠岩复合墙板
US20050284088A1 (en) * 1999-03-31 2005-12-29 Heath Mark D Structural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on
CN2404947Y (zh) * 1999-12-24 2000-11-08 王茂樑 复合高效珍珠岩保温板
DE10066261B4 (de) 2000-02-16 2006-09-21 Syspro-Gruppe Betonbauteile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nd-/Deckenbauhalbfertigteils
JP4007756B2 (ja) 2000-09-22 2007-11-14 タマホーム 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パネルおよびコンクリートパネル製造方法
RU2190523C1 (ru) * 2001-10-23 2002-10-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троительное управление №155"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ехслойной стеновой панели
GB0314538D0 (en) * 2003-06-21 2003-07-30 Composhield As Reinforcement assembly for matrix materials
US7354876B2 (en) * 2003-07-09 2008-04-08 Saint-Gobain Technical Fabrics Canada Ltd. Fabric reinforcement and cementitious boards faced with same
JP4418961B2 (ja) 2004-03-30 2010-02-24 忠勝 雨宮 ボイドスラブ
JP2006089994A (ja) 2004-09-22 2006-04-06 Kozo Keikaku Engineering Inc 建造物構造体、それを用いた建造物構造及び建造物の施工方法
CA2598442C (en) * 2005-02-25 2011-02-08 Nova Chemicals Inc. Composite pre-formed building panels, a building and a framing stud
JP5033248B2 (ja) * 2011-02-17 2012-09-26 株式会社シビル 落石予防施設、落石予防構造及び落石予防工法
CN202148636U (zh) * 2011-07-04 2012-02-22 朱维高 增强型无机纤维复合板
DE102012101498A1 (de) 2012-01-03 2013-07-04 Groz-Beckert Kg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elem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5034A1 (en) * 2002-03-06 2004-04-08 Messenger Harold G Insulative concrete building panel with carbon fiber and steel reinforcement
US20040206032A1 (en) * 2002-03-06 2004-10-21 Messenger Harold G Concrete building panel with a low density core and carbon fiber and steel reinforcement
KR100718006B1 (ko) 2006-11-10 2007-05-14 주식회사 부일건화 단열재를 이용한 3차원 입체 지붕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30812A1 (en) 2016-05-12
KR20160011676A (ko) 2016-02-01
PL3017123T3 (pl) 2017-09-29
CN105917057A (zh) 2016-08-31
JP2017507259A (ja) 2017-03-16
JP6278981B2 (ja) 2018-02-14
RU2629183C2 (ru) 2017-08-25
BR112015028885A2 (pt) 2017-07-25
EP3017123B1 (de) 2017-04-26
US10227777B2 (en) 2019-03-12
PT3017123T (pt) 2017-07-17
ES2632251T3 (es) 2017-09-12
EP3017123A1 (de) 2016-05-11
DK3017123T3 (en) 2017-08-07
WO2015000771A1 (de) 2015-01-08
RU2015155685A (ru) 2017-08-07
DE102013011083A1 (de)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301B1 (ko) 콘크리트 조성물 제조 방법, 콘크리트 조성물의 조립식 구조 요소, 및 콘크리트 조성물
US20030079438A1 (en) Precast modular building panel and vertically oriente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10502869A (ja) 建築用ブロック、並びにこれを用いた建築構造物及び壁面組積方法
EP3115523B1 (en) Concrete panel, especially for composite floors, and a composite floor
CN104110095A (zh) 预制剪力墙及其生产方法
WO2006070214A2 (en) Light transmitting three-dimensional obj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0805169A (zh) 预制墙板的竖向缝拼接结构及其装配方法
EP1605112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building construction as well as formwork therefor
EP2025823A1 (en) Large-size sandwich wall panel of fibrolite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reof
US9447557B2 (en) Footer, footer elements, and building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CN108222363A (zh) 一种蜂窝芯复合墙板及其制作方法
CN102979220B (zh) 一种交叉斜向配筋的空心剪力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03061451A (zh) 带洞口混凝土墙体的水平分层复合连梁及其施工方法
CN214497903U (zh) 一种低能耗预制墙板及采用该预制墙板建造的墙体
RU134968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варианты)
CN106351373A (zh) 一种格构式预制保温隔声楼板
CA2882712C (en) Footer, footer elements, and building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CN107938891B (zh) 叠合墙体结构及其制作方法
CN102051963A (zh) 一种混凝土组合梁楼盖及其浇筑方法
KR102548457B1 (ko)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4075855A (zh) 一种大跨度双向预应力砼密肋夹心叠合楼板
CN214696226U (zh) 一种低能耗预制承重墙板及采用该预制墙板建造的承重墙体
WO2013090455A1 (en) Concrete building panel
JP3180333U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
CN215054300U (zh) 空腔墙及具有其的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