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691B1 - 엔진오일 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오일 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691B1
KR101631691B1 KR1020140183344A KR20140183344A KR101631691B1 KR 101631691 B1 KR101631691 B1 KR 101631691B1 KR 1020140183344 A KR1020140183344 A KR 1020140183344A KR 20140183344 A KR20140183344 A KR 20140183344A KR 101631691 B1 KR101631691 B1 KR 101631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link
bracket
sli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웅
윤중
Original Assignee
윤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웅 filed Critical 윤태웅
Priority to KR102014018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00Constructional modifications of parts of machines or apparatus for the purpose of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3/00Mechanical arrangements for cleaning lubricating equipment; Special racks or the like for use in draining lubricant from machin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오일 교환 시 잔존하는 폐오일을 전량 수거하여 엔진오일을 교환할 수 있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블럭의 오일 배출구에서 일정량의 폐오일이 배출되면 세척용 오일을 오일필터가 장착되는 엔진블럭의 일측으로 주입하여 엔진 내부의 잔존하는 폐오일을 배출시킨 후 교체용 엔진오일을 엔진 내부로 주입할 수 있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오일 교환 장치{Exchange device of engine oil}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오일 교환 시 잔존하는 폐오일을 전량 수거하여 엔진오일을 교환할 수 있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블럭의 오일 배출구에서 일정량의 폐오일이 배출되면 세척용 오일을 오일필터가 장착되는 엔진블럭의 일측으로 주입하여 엔진 내부의 잔존하는 폐오일을 배출시킨 후 교체용 엔진오일을 엔진 내부로 주입할 수 있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엔진 내부에는 윤활작용, 소음저감, 냉각, 밀봉, 방청, 및 청정 작용을 통해 엔진 성능의 향상과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엔진오일이 필수적으로 주입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엔진오일은 엔진이 구동됨에 따라 엔진오일이 엔진 내벽에 고착되고, 카본, 타르, 그을음 등의 오염 물질이 누적되어 엔진오일의 성능(그을음 방지, 마모, 슬러지 형성방지, 피스톤 보호, 산화방지, 연비 등)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일정한 시간 차량을 운행한 후 주기적으로 새로운 엔진오일로 교환해주어야 엔진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엔진오일을 교체하는 경우 수작업으로 교체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수작업으로 교체하는 방법은 오일 팬의 하단에 설치된 드레인 플러그를 개방하여 내부의 폐오일을 배출하고, 엔진 상측의 캡을 개방하여 새로운 오일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교체방법으로는 엔진 내부의 실린더헤드나 오일스트레이너 등에 잔존하는 폐오일을 전부 배출시키지 못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잔존하는 폐오일과 교체된 새오일이 서로 혼합되어 교체주기가 단축되고 엔진오일이 가지고 있는 성능을 전부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엔진 상측의 오일주입구로부터 에어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엔진 내부 및 바닥면에 잔류하는 폐오일을 배출하도록 하는 엔진오일 교환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도 엔진블럭의 내벽 및 바닥면에 엔진오일 펌프 및 엔진오일 순환라인에 잔류하는 폐오일을 제거할 수 없었다.
따라서, 엔진오일 교환 시 엔진오일 내부 및 오일순환라인의 잔류하는 폐오일을 전량 제거하여 교체되는 엔진오일의 성능을 향상시켜, 엔진내부의 슬러지 고착 및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056594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 (등록일자 2011.05.05)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598호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등록일자 2002.01.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오일을 교체하는 경우 엔진 내부에 잔류하는 폐오일을 전량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엔진 블록의 오일필터를 제거후 오일필터가 장착된 유입구로 세척용 오일을 주입하여 엔진오일 순환라인에 잔류하는 폐오일을 제거할 수 있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필터가 장착된 유입구의 직경이 차량의 종류 및 제조사 따라 다른 경우 범용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가변적으로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부에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보관통(10)을 포함하는 본체(100); 외부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오일보관통(10)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오일보관통(10)과 연결되는 공기주입구(200); 상기 오일보관통(10)에 공기가 주입되어 오일보관통(1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오일보관통(10) 내부의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오일보관통(10)과 연결되는 오일배출구(300); 상기 오일배출구(300)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전달받아 엔진 내부로 오일을 주입하도록 엔진과 탈부착이 가능한 연결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일측과 타측이 상기 공기주입구(200)와 상기 오일배출구(300)에 각각 연통되는 공기이동관(110); 상기 공기이동관(110)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배출구(300)로 공기를 공급하되, 개폐의 유무에 따라 상기 오일배출구(3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밸브(120); 상기 오일보관통(10)과 상기 오일배출구(3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배출구(300)로 배출되는 오일을 개폐하는 제2 밸브(130);상기 오일배출구(300)로 배출되는 오일을 개폐하는 제2 밸브(130); 상기 제1 밸브(120)와 상기 제2 밸브(13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엔진의 측면에 형성된 주입구(S)에 탈부착되되,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오일배출구(300)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전달받는 오일주입관(410); 상기 오일주입관(410)이 삽입되도록 상하측이 개방되며, 측면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클립삽입홈(421)이 형성되는 몸체(420); 상하측이 개방되어 상기 몸체(42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420)의 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430); 상기 몸체(42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클립삽입홈(421)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420)에 고정되되, 상기 슬라이딩부(4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부(430)의 상면이 일측면을 가압하면 상기 몸체(420)의 내측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주입구(S)와 맞물리고, 상기 슬라이딩부(43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주입구(S)에서 탈착되는 체결클립(440); 상기 오일주입관(410)과 상기 몸체(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오일주입관(410)의 상면이 상기 주입구(S)와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50); 상기 체결클립(440)이 상기 주입구(S)에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4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링크(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립삽입홈(421)의 하측에는 고정홀(421-h)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클립(440)은 상기 고정홀(421-h)에 삽입 고정되며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441); 하단이 상기 탄성부(441)와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삽입홈(421)에 삽입되며 일측면이 상기 슬라이딩부(430)의 상단과 접촉되는 지지판(442); 상기 슬라이딩부(4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판(442)이 세워지는 경우 상기 주입구(S)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판(442)의 타측면에 부착되는 착탈폼(4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부(430)의 상단에는 상기 체결클립(44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체결클립(4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마찰링(470)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430)의 내측면과 상기 몸체(420)의 외측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부(430)와 상기 몸체(420) 상호간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하부마찰링(48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부(430)의 외측면에는 제1 브라켓(43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420)의 외측면에는 제2 브라켓(421)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링크(460)는 일측이 상기 제1 브라켓(43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체결되는 제1 링크(461); 일측이 상기 제1 링크(461)의 측면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브라켓(421)에 연결되는 제2 링크(46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461)가 상기 제1 브라켓(431)을 중심으로 하방향 회전하면 상기 제2 링크(462)는 상기 제2 브라켓(421)을 중심으로 상방향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부(43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링크(461)가 상기 제1 브라켓(431)을 중심으로 상방향 회전하면 상기 제2 링크(462)는 상기 제2 브라켓(421)을 중심으로 하방향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부(4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부(4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링크(461)와 상기 제2 링크(462)가 상호 겹쳐지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되, 상기 슬라이딩부(420)의 상방향 이동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링크(462)가 상기 몸체(420)의 내측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상기 제1 링크(461) 및 상기 제2 링크(462)의 각각의 측면이 상호 예각을 이루며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420)의 상단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로드(4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로드(422)에는 일측이 상기 고정로드(422)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부(43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부(430)를 탄성지지하는 보조 탄성부재(5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엔진오일 교체 시 엔진 내부의 오일 순환라인에 잔존하는 폐오일을 전량 외부로 배출하여 엔진오일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엔진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엔진오일의 교체시점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또한 엔진 블럭의 오일필터가 탈착된 주입구와 탈부착되는 연결구는 주입구직경의 변화에 따라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어 주입구 직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엔진오일을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연결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구의 주요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구의 내부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연결구의 내부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연결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구의 주요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구의 내부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연결구의 내부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 장치는 본체(100)를 갖는다. 본체(100)는 내부에는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보관통(10)이 설치된다. 본체(100)는 본본체(100)를 구성하는 본체프레임(101)으로 구비되며 본체프레임(101)의 하단에는 본체(1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이동바퀴(10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측면에는 공기주입구(200)와 오일배출구(300)가 각각 구비된다. 공기주입구(200)는 오일보관통(1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외부에 구비된 에어콤프레샤(air compressor)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전달받아 오일보관통(10)으로 공급한다. 이로 인해 오일보관통(10)의 내부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오일보관통(10)과 공기주입구(200) 사이에는 감압기와 압력게이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기와 압력게이지를 통해 오일보관통(10) 내부의 압력이 임의로 설정된 압력만큼 유지될 수 있다.
오일배출구(300)는 오일보관통(10)과 연결되며, 오일보관통(10) 내부에 수용된 오일이 오일배출구(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오일보관통(10) 내부에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오일배출구(300)가 개방되면 오일이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오일배출구(300)와 오일보관통(10) 사이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오일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유량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내부에는 일측이 공기주입구(2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오일배출구(3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내부가 중공된 공기이동관(110)이 형성된다. 공기이동관(110)에는 제1 밸브(120)가 설치된다. 제1 밸브(120)는 압축공기가 오일배출구(300)로 공급될 때 공기이동관(110)의 유로를 개폐하여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오일보관통(10)과 오일배출구(300) 사이에는 제2 밸브(130)가 구비되며, 제1 밸브(120)와 제2 밸브(13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본체(100)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1 밸브(120)가 공기이동관(110)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경우 오일배출구(300)로 오일이 배출되지 못하도록 제2 밸브(130)는 폐쇄되고, 공기주입구(200)에서는 에어콤프레샤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만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반대로 제1 밸브(120)가 오일보관통(1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오일보관통(10)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 제2 밸브(130)의 개방으로 인해 오일배출구(300)로 오일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밸브(120)의 조작으로 인해 오일배출구(300)에서는 오일 또는 압축공기가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오일배출구(300)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전달받아 엔진의 실린더 블록 내부로 오일을 주입하도록 엔진과 탈부착되는 연결부(400)가 구비된다. 연결부(400)는 오일배출구(300)와 연결호스(103)를 통해 연결되어 오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엔진의 측면에 형성된 오일필터가 탈착된 주입구(S)에 탈부착되어 오일 또는 압축공기를 엔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연결부(400)는 오일주입관(410), 몸체(420), 슬라이딩부(430), 체결클립(440), 탄성부재(450) 및 작동링크(460)를 포함한다. 먼저 오일주입관(4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단에는 상기된 연결호스와 연결되어 오일배출구(300)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결합홈(410-1)이 형성될 수 있다. 오일주입관(410)의 상측 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11)이 형성된다. 걸림턱(411)은 상기 주입구(S)의 하단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지만 오일의 누출 등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411)의 상면에 실링부재(412)가 형성되어 주입구(S)와 오일주입관(410)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몸체(420)는 오일주입관(410)이 삽입되도록 상하측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몸체(420)의 하단 내측벽에는 몸체(42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간격 돌출되는 안착턱(423)이 형성된다. 안착턱(423)에는 상기 걸림턱(411)이 안착되어 오일주입관(410)이 몸체(420)의 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420)의 측면에는 일부분이 개방된 클립삽입홈(421)이 형성된다 클립삽입홈(421)은 몸체(420)의 측벽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몸체(420)가 삽입되는 슬라이딩부(430)가 형성된다. 슬라이딩부(430)는 상하측이 개방된 링 형상을 가지며, 몸체(420)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체결클립(440)은 몸체(42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클립삽입홈(421)에 삽입되어 하단이 클립삽입홈(421)의 바닥면과 고정된다. 체결클립(440)은 클립삽입홈(421)의 형성되는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클립(440)은 슬라이딩부(4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주입구(S)에서 착탈이 가능하다. 즉, 슬라이딩부(4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딩부(430)의 상면이 체결클립(440)의 외측면을 가압하고 동시에 체결클립(440)은 몸체(420)의 내측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주입구(S)에 맞물리게 된다. 이와 반대로 슬라이딩부(43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체결클립(440)은 최초 경사진 상태로 복귀하면서 주입구(S)에서 탈착된다. 따라서 체결클립(44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여 체결클립(44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체결클립(440)은 탄성부(441), 지지판(442) 및 착탈폼(443)으로 구성된다. 먼저 클립삽입홈(421)의 하측, 즉 클립삽입홈(421)의 바닥면에는 고정홀(421-h)이 함입 형성되며, 탄성부(441)는 고정홀(421-h)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탄성부(441)는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442)은 하단이 탄성부(441)와 일체로 연결되고 클립삽입홈(421)에 삽입되면서 몸체(42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지지판(442)의 일측면 즉, 지지판(442)의 몸체(420)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측면이 슬라이딩부(430)의 상단과 접촉된다. 마지막으로 착탈폼(443)은 지지판(442)의 타측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며 지지판(442)이 세워지는 경우 주입구(S)와 접촉된다. 착탈폼(443)은 주입구(S)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나 우레탄 등의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를 참조하면 탄성부재(450)는 오일주입관(410)의 걸림턱(411)의 하면과 몸체(420)의 안착턱(423)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어 오일주입관(410)을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오일주입관(410)의 상면이 주입구(S)의 하단과 밀착될 때 탄성부재(450)가 압축되도록 가압한 상태를 유지한 후 체결클립(440)을 주입구(S)와 결합하면 주입구(S)와 오일주입과(410)의 상면이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오일 및 압축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작동링크(460)는 체결클립(440)을 작동과 슬라이딩부(430)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며 적어도 2개이상 상호 대칭을 이루며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링크(460)는 제1 링크(461)와 제2 링크(462)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슬리이딩부(430)의 외측면에는 제1 브라켓(431)이 형성되고, 몸체(420)의 외측면에는 제2 브라켓(421)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링크(461)는 일측이 제1 브라켓(43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체결되고, 제2 링크(462)는 일측이 제1 링크(461)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제2 브라켓(4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동링크(460)의 동작에 의한 슬라이딩부(430)의 이동을 설명하면 제1 링크(461)가 제1 브라켓(431)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하며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진다. 이와 동시에 제2 링크(462)는 제2 브라켓(421)을 중심으로 상방향 회전하면서 지면과 수직으로 이루고, 제1 링크(461)의 일측은 점차적으로 상승하며, 이로 인해 슬리이딩부(430)는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반대로 제1 링크(461)가 제1 브라켓(431)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점차적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하면 제2 링크(462)는 제2 브라켓(421)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 링크(461)의 일측은 점자척으로 하강하여 슬라이딩부(4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동링크(460)의 조작으로 인해 체결클립(440)이 주입구(S)에서 착탈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부(4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링크(461) 및 제2 링크(462)가 지면과 점차적으로 수직을 이루며 겹쳐지도록 세워질 때 제2 링크(462)가 몸체(420)의 내측방향으로 더 회전하도록 제1 링크(461)를 하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1 링크(461) 및 제2 링크(462)의 각각의 측면이 겹쳐지는 각도가 몸체(420)의 외측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예각(θ)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부(430)는 상방향 이동이 유지될 수 있고, 체결클립(440)은 주입구(S)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부(43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부마찰링(470)과 하부마찰링(480)이 구비된다. 상부마찰링(470)은 슬라이딩부(430)의 상단이 체결클립(440)의 지지판(442)에 다수 접촉될 시 지지판(442)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이 적은 재질로 제작된다.
하부마찰링(480)은 슬라이딩부(430)의 내측면과 몸체(420)의 외측면 사이에 구비되며 슬라이딩부(430)의 원활한 상하이동을 위해 상부마찰링(470)과 동일한 효과 및 작용을 한다.
도 7 내지 도 8 을 참조하면 몸체(420)의 상단 외측면에는 몸체(4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로드(422)가 형성된다. 고정로드(422)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로드(422)에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 등의 탄성력을 갖는 보조 탄성부재(500)가 체결되는데, 보조 탄성부재(500)의 일측은 고정로드(422)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슬라이딩부(430)의 상면에 고정되어 슬라이딩부(430)를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4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보조 탄성부재(500)는 압축되고 슬라이딩부(43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링크(460)를 조작하면 압축된 보조 탄성부재(500)가 인장되면서 슬라이딩부(430)를 하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 장치는 엔진오일 교체 시 주입구(S)에 세척용 오일 또는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내부의 오일 순환라인에 잔존하는 폐오일을 전량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엔진오일이 가지고 있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엔진오일의 교체시점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는 주입구(S)의 직경 및 형상에 관계 없이 범용적으로 착탈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오일보관통 100 : 본체
110 : 공기이동관 120 : 제1 밸브
130 : 제2 밸브 140 : 제어부
200 : 공기주입구 300 : 오일배출구 400 : 연결구 410 : 오일주입관
420 : 몸체 430 : 슬라이딩부
440 : 체결클립 450 : 탄성부재
460 : 작동링크 470 : 상부마찰링
480 : 하부마찰링 500 : 보조 탄성부재

Claims (8)

  1. 내부에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보관통(10)을 포함하는 본체(100);
    외부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오일보관통(10)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오일보관통(10)과 연결되는 공기주입구(200);
    상기 오일보관통(10)에 공기가 주입되어 오일보관통(1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오일보관통(10) 내부의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오일보관통(10)과 연결되는 오일배출구(300);
    상기 오일배출구(300)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전달받아 엔진 내부로 오일을 주입하도록 상기 엔진의 측면에 형성된 주입구(S)에 탈부착이 가능한 연결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오일배출구(300)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전달받는 오일주입관(410);
    상기 오일주입관(410)이 삽입되도록 상하측이 개방되며, 측면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클립삽입홈(421)이 형성되는 몸체(420);
    상하측이 개방되어 상기 몸체(42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420)의 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430);
    상기 몸체(42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클립삽입홈(421)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420)에 고정되되, 상기 슬라이딩부(4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부(430)의 상면이 일측면을 가압하면 상기 몸체(420)의 내측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주입구(S)와 맞물리고, 상기 슬라이딩부(43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주입구(S)에서 탈착되는 체결클립(440);
    상기 오일주입관(410)과 상기 몸체(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오일주입관(410)의 상면이 상기 주입구(S)와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50);
    상기 체결클립(440)이 상기 주입구(S)에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4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링크(4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일측과 타측이 상기 공기주입구(200)와 상기 오일배출구(300)에 각각 연통되는 공기이동관(110);
    상기 공기이동관(110)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배출구(300)로 공기를 공급하되, 개폐의 유무에 따라 상기 오일배출구(3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밸브(120);
    상기 오일보관통(10)과 상기 오일배출구(3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배출구(300)로 배출되는 오일을 개폐하는 제2 밸브(130);
    상기 제1 밸브(120)와 상기 제2 밸브(13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삽입홈(421)의 하측에는 고정홀(421-h)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클립(440)은
    상기 고정홀(421-h)에 삽입 고정되며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441);
    하단이 상기 탄성부(441)와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삽입홈(421)에 삽입되며 일측면이 상기 슬라이딩부(430)의 상단과 접촉되는 지지판(442);
    상기 슬라이딩부(4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판(442)이 세워지는 경우 상기 주입구(S)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판(442)의 타측면에 부착되는 착탈폼(4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430)의 상단에는 상기 체결클립(44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체결클립(4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마찰링(470)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430)의 내측면과 상기 몸체(420)의 외측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부(430)와 상기 몸체(420) 상호간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하부마찰링(48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430)의 외측면에는 제1 브라켓(43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420)의 외측면에는 제2 브라켓(421)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링크(460)는 일측이 상기 제1 브라켓(43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체결되는 제1 링크(461);
    일측이 상기 제1 링크(461)의 측면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브라켓(421)에 연결되는 제2 링크(46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461)가 상기 제1 브라켓(431)을 중심으로 하방향 회전하면 상기 제2 링크(462)는 상기 제2 브라켓(421)을 중심으로 상방향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부(43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링크(461)가 상기 제1 브라켓(431)을 중심으로 상방향 회전하면 상기 제2 링크(462)는 상기 제2 브라켓(421)을 중심으로 하방향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부(4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4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링크(461)와 상기 제2 링크(462)가 상호 겹쳐지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되, 상기 슬라이딩부(430)의 상방향 이동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링크(462)가 상기 몸체(420)의 내측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상기 제1 링크(461) 및 상기 제2 링크(462)의 각각의 측면이 상호 예각을 이루며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20)의 상단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로드(4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로드(422)에는 일측이 상기 고정로드(422)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부(43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부(430)를 탄성지지하는 보조 탄성부재(5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 장치.
KR1020140183344A 2014-12-18 2014-12-18 엔진오일 교환 장치 KR101631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344A KR101631691B1 (ko) 2014-12-18 2014-12-18 엔진오일 교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344A KR101631691B1 (ko) 2014-12-18 2014-12-18 엔진오일 교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691B1 true KR101631691B1 (ko) 2016-06-17

Family

ID=5634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344A KR101631691B1 (ko) 2014-12-18 2014-12-18 엔진오일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615B1 (ko) 2018-12-19 2019-06-14 에스케이렌터카서비스 주식회사 휴대용 오일 석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598Y1 (ko) 2001-08-29 2002-03-18 김충희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KR200444581Y1 (ko) * 2007-12-27 2009-05-25 이종원 엔진오일 교환장치
KR101056594B1 (ko) 2010-11-17 2011-08-11 권대연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598Y1 (ko) 2001-08-29 2002-03-18 김충희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KR200444581Y1 (ko) * 2007-12-27 2009-05-25 이종원 엔진오일 교환장치
KR101056594B1 (ko) 2010-11-17 2011-08-11 권대연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615B1 (ko) 2018-12-19 2019-06-14 에스케이렌터카서비스 주식회사 휴대용 오일 석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691B1 (ko) 엔진오일 교환 장치
CN102580870A (zh) 自清垢花洒
JP2012087936A (ja) 高圧空気パルスを制御するための弁
US20130228507A1 (en) Filter device
KR101190220B1 (ko) 오일필터모듈
CN102125917B (zh) 用于紫外消毒设备的擦拭器、清洗装置及紫外消毒设备
KR200466672Y1 (ko) 그리스 공급장치용 패드플레이트
KR101316609B1 (ko) 피시브이 밸브 조립장치
US9808746B2 (en) Filter device
KR100258517B1 (ko) 액체 충전기
CN201218081Y (zh) 套管定压放气阀
KR100515729B1 (ko) 유증기 회수장치
CN215445235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卫生级阀门
KR101942964B1 (ko) 유압식 그리스 자동 공급장치
CN109654239B (zh) 一种微动井口闸阀
KR101061794B1 (ko) 가스차량용 인탱크 펌프 장치
KR20040081893A (ko) 차량 오일 교환용 플러그 및 소켓
CN201615232U (zh) 一种冲洗阀阀芯
CN211144993U (zh) 回油过滤器
CN209213048U (zh) 一种高密封性闸阀
CN220003230U (zh) 一种使用止水结构的净水装置
CN217784293U (zh) 物料分配装置及浇注设备
CN213954964U (zh) 一种润滑泵
CN112761641B (zh) 推移车和露天煤矿开采设备
CN210651246U (zh) 一种蒸养池水再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