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594B1 -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594B1
KR101056594B1 KR1020100114217A KR20100114217A KR101056594B1 KR 101056594 B1 KR101056594 B1 KR 101056594B1 KR 1020100114217 A KR1020100114217 A KR 1020100114217A KR 20100114217 A KR20100114217 A KR 20100114217A KR 101056594 B1 KR101056594 B1 KR 101056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ngine
waste oil
detergent
air suppl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연
박일홍
권택규
김미희
권택민
Original Assignee
권대연
박일홍
권택민
김미희
권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연, 박일홍, 권택민, 김미희, 권택규 filed Critical 권대연
Priority to KR102010011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6Cleaning; Combating corr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차량 엔진으로 정해진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공기 공급유니트; 세척제가 차량 엔진을 통과하며 순환되도록 하는 세척제 순환유니트; 차량 엔진에서 배출되는 폐오일을 전달받게 되는 폐오일 배출유니트 및; 공기 공급유니트, 세척제 순환유니트, 폐오일 배출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여, 공기 공급유니트의 공기 공급에 의한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 배출과, 공기 공급유니트의 공기 공급과 세척제 순환유니트의 세척제 공급에 의한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 배출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은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과 슬러지, 타르 등의 잔존물질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고, 복수개의 차량 엔진의 독립적으로 세척될 수 있으며, 차량 엔진에서 폐오일과 세척제가 배출되는 과정이 시각화될 수 있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A cleaning machine for engine of vehicle and cleaning method for engin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과 슬러지, 타르 등의 잔존물질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고, 복수개의 차량 엔진의 독립적으로 세척될 수 있으며, 차량 엔진에서 폐오일과 세척제가 배출되는 과정이 시각화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엔진은 반복적인 왕복행정과정에서 기계적인 마찰에 의해 금속분말 등을 생성시키게 된다.
또한, 차량 엔진 내부에는 연소열로 인해 엔진 오일이 내벽에 응고되거나 고착되어 윤활기능을 상실한 폐오일이 발생되고, 폐오일 이외의 슬러지, 타르, 그을음 등의 잔존 물질이 내벽에 응고되거나 고착되는데, 이와 같은 차량 엔진 내벽의 폐오일과 잔존 물질(슬러지, 타르, 그을음 등)은 엔진 오일의 마찰계수를 증대시켜 엔진소음의 증가, 엔진의 과열, 엔진 가속력의 저하를 야기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엔진의 수명이 단축되고, 연비가 떨어지며, 엔진오일의 잦은 교체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일정시간 차량을 운행한 후에는 차량 엔진의 내부를 세척하여 폐오일과 잔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 엔진의 엔진오일 교체를 수작업으로 할 경우, 오일 팬(oil pan)의 드레인 플러그를 개방하여 엔진 내부의 폐오일을 배출한 후 차량 엔진 상측의 오일 캡을 개방하여 새로운 엔진오일을 주입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을 배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차량 엔진의 폐오일과 잔존물질의 배출을 위한 차량 엔진 세척장치가 다양한 구성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18433호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와 그 방법", 공개번호 제10-2010-0043617호 "자동차 엔진세척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77477호 "엔진 크리너", 등록번호 제20-0310821호 "자동차의 엔진 세정시스템", 등록번호 제20-0351858호 "차량용 엔진의 카본 세척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
한편, 차량 엔진의 세척에 공기를 사용하는 장치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80849호 "내연기관의 냉각계통 플러싱장치 및 그 플러싱방법", 공개번호 제10-2010-0078100호 "엔진 세정 및 엔진오일 주입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29118호 "자동차엔진세정장치", 등록번호 제20-0295814호 "자동차용 엔진 세척장치", 등록번호 제20-0310820호 "자동차의 엔진세정시스템" 등이 안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개번호 제10-2008-0080849호 "내연기관의 냉각계통 플러싱장치 및 그 플러싱방법"은 공기와 세정액이 동시에 차량 엔진의 내부로 공급되어 차량 엔진이 세척되도록 하는 기술이고, 상기 공개번호 제10-2010-0078100호 "엔진 세정 및 엔진오일 주입장치"는 공기를 엔진오일주입장치로 공급하여 새로운 엔진오일이 차량 엔진에 주입되는 과정에서 차량 엔진 내부의 잔여 엔진오일이 강제 배출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또한, 상기 등록번호 제20-0229118호 "자동차엔진세정장치"는 공기와 세정액이 동시에 차량 엔진의 내부로 공급되어 차량 엔진이 세척된 후 공기를 다시 차량 엔진의 내부로 공급되어 잔류하는 세정액을 제거하는 기술이고, 상기 등록번호 제20-0295814호 "자동차용 엔진 세척장치"는 공기와 세정액이 동시에 차량 엔진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차량 엔진이 세척되는 기술이며, 등록번호 제20-0310820호 "자동차의 엔진세정시스템"은 공기만을 이용하여 차량 엔진의 폐오일이 배출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 엔진 세척장치는 폐오일이 공기에 의해 배출되는 기술{등록번호 제20-0310820호 "자동차의 엔진세정시스템"}이거나, 공기와 세정액이 동시에 차량 엔진 내부로 공급되어 폐오일과 잔존물질의 제거가 동시에 진행되는 기술이어서 차량 엔진의 세척 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세정액의 사용으로 차량 엔진의 세척작업 후 일정시간 차량 엔진 내부를 건조시킨 다음 엔진오일의 교체작업이나 엔진 구동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차량 엔진 세척장치는 폐오일이나 잔존물질이 차량 엔진으로부터 배출관체를 통해 배출되어 회수용 탱크로 모이도록 하였는데, 차량 엔진으로부터 폐오일이나 잔존물질이 배출되는 과정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실제로 차량 엔진이 세척되고 있는지 여부를 신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공기에 의한 폐오일의 배출, 공기와 세척제에 의한 차량 엔진 내 잔존물질(슬러지, 타르, 그을음 등)의 배출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차량 엔진 내부의 세척효율이 증대되는 새로운 형태의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공기와 세척제에 의한 차량 엔진 내 잔존물질의 배출 이후, 건조된 공기에 의한 차량 엔진 내부의 건조가 추가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엔진 내부의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폐오일과 세척제가 배출되는 관로의 일정 구간이 투명소재의 관체로 이루어지고, 관로 내부를 조광하는 발광체와 관로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함으로써 폐오일과 세척제의 배출이 시각화되도록 하여 차량 엔진의 세척과정을 신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공급관체, 세척제 공급관체, 세척제 배출관체, 폐오일 배출관체가 분기관 구조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차량 엔진이 동시에 세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엔진에 대한 세척제의 공급압력이 조절되는 구성의 제공으로 차량 엔진의 세척과정에서 사용되는 세척제의 압력에 의해 장치 구성요소나 차량 엔진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엔진으로 정해진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공기 공급유니트와; 세척제가 상기 차량 엔진을 통과하며 순환되도록 하는 세척제 순환유니트와; 상기 차량 엔진에서 배출되는 폐오일을 전달받게 되는 폐오일 배출유니트 및;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 세척제 순환유니트, 폐오일 배출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의 공기 공급에 의한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 배출과,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의 공기 공급과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의 세척제 공급에 의한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 배출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는 공기 압축기(compressure), 상기 공기압축기와 차량 엔진 사이에 설치되는 공기 공급관체, 상기 공기 공급관체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공기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는 상기 공기 제어밸브를 이루는 수동식 스톱밸브,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 공기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공기 공급관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는 세척제가 저장되는 세척제 저수조, 상기 세척제 저수조와 차량 엔진 사이에 설치되는 세척제 공급관체와 세척제 배출관체, 상기 세척제 공급관체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펌프, 상기 세척제 공급관체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세척제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필터, 상기 세척제 공급관체와 세척제 배출관체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세척제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는 상기 세척제 제어밸브를 이루는 다수개의 수동식 스톱밸브, 세척제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세척제 공급관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제 제어밸브를 이루는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는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팬 부위에 접속되는 메인 배출관체에서 분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세척제 제어밸브는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를 더 구비하여 상기 세척제 공급관체에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어유니트에서 공기 공급시간, 공기 공급압, 세척제 공급시간, 세척제 공급압을 총괄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펌프와 필터 사이에 형성되는 세척제 공급관체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세척제 저수조와 연결되는 압력조절용 역류관체와 상기 압력조절용 역류관체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수동식 스톱밸브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동식 스톱밸브에 의한 상기 압력조절용 역류관체의 개방률에 따라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차량 엔진으로 공급되는 세척제의 압력이 조절되면서 세척제의 압력에 의한 차량 엔진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폐오일 배출유니트는 상기 차량 엔진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폐오일이 저장되는 폐오일 저수조, 상기 폐오일 저수조와 차량 엔진 사이에 설치되는 폐오일 배출관체, 상기 폐오일 배출관체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폐오일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폐오일 배출유니트는 상기 폐오일 제어밸브를 이루는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폐오일 배출관체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폐오일 배출관체는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팬 부위에 접속되는 메인 배출관체에서 분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 세척제 순환유니트, 폐오일 배출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를 설정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 배출을 위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와 폐오일 배출유니트의 작동과,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 배출을 위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와 세척제 순환유니트의 작동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 배출과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 배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는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캡(oil cap) 부위에 접속되어 공기가 상기 차량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는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필터 부위에 접속되어 세척제가 상기 차량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팬(oil pan) 부위에 접속되어 세척제가 상기 차량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폐오일 배출유니트는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팬 부위에 접속되어 폐오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는 공기의 습도를 저감시키게 되는 건조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의 공기 공급과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의 세척제 공급에 의한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 배출 후, 건조된 공기에 의한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건조와 추가적인 잔존물질 배출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와 폐오일 배출관체는 정해진 구간에 모니터링 모듈이 형성되되,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와 폐오일 배출관체의 일부를 이루는 투명소재의 모니터링 관체와; 상기 모니터링 관체를 조광하게 되는 발광체 및; 상기 발광체에 의해 조광된 상기 모니터링 관체 내부를 촬영하게 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영상장치를 더 구비하여 상기 차량 엔진으로부터 폐오일과 세척제가 배출되는 과정이 시각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오일 팬(oil pan)이 위치하는 차량 엔진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저주파 패드와; 상기 저주파 패드와 연결되는 저주파 발생기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와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의 작동시 차량 엔진의 저주파 진동이 유도되면서 폐오일과 이물질의 강제 배출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와 폐오일 배출유니트는 각각 세척제 저수조와 폐오일 저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제 저수조와 폐오일 저수조는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여과층,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여과층,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제3여과층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 세척제 순환유니트, 폐오일 배출유니트는 각각 상기 공기 공급관체, 세척제 공급관체와 세척제 배출관체, 폐오일 배출관체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 공급관체, 세척제 공급관체, 세척제 배출관체, 폐오일 배출관체는 상기 차량 엔진과 접속되는 부위가 복수개의 분기관 구조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차량 엔진이 동시에 접속하여 세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복수개의 차량 엔진 각각에 대한 공기 공급시간, 공기 공급압, 세척제 공급시간, 세척제 공급압이 개별적으로 설정되면서 각 차량 엔진의 세척작업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는 분할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진 정해진 크기의 몸체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공기 공급관체와 공기 제어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공기압축기가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몸체프레임에 설치된 공기 공급관체는 상기 공기압축기와 접속하는 호스형 공기 공급관체가 끼워지는 니플이 끝단부에 형성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는 분할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진 정해진 크기의 몸체프레임의 일측 내부공간에 상기 세척제 공급관체를 통해 연결되는 펌프와 필터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프레임의 타측 내부공간에 상기 세척제 저수조가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세척제 공급관체와 세척제 배출관체 및 세척제 제어밸브가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몸체프레임에 설치된 공기 공급관체로부터 분기되는 서브 공기 공급관체가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에 설치된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폐쇄시 상기 서브 공기 공급관체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상기 폐오일 배출유니트는 분할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진 정해진 크기의 몸체프레임의 타측 내부공간에 상기 폐오일 저수조가 상기 세척제 저수조와 이웃하여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폐오일 배출관체 및 폐오일 제어밸브가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몸체프레임에 설치된 공기 공급관체로부터 분기되는 서브 공기 공급관체가 상기 폐오일 배출관체에 설치된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폐쇄시 상기 서브 공기 공급관체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아이들링(idling)시 차량 엔진의 소음을 측정하게 되는 소음측정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공기가 오일 캡 부위를 통과하여 차량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이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팬 부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폐오일 배출단계와; 공기가 오일 캡 부위를 통과하여 차량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동시에 세척제가 오일 필터 부위를 통과하여 차량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이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팬 부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세척단계와;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공기가 오일 캡 부위를 통과하여 차량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 엔진 내부가 건조되면서 잔존물질이 추가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에서 상기 제어유니트의 컨트롤 패널을 조작하여 공기 공급시간, 공기 공급압, 세척제 공급시간을 설정한 다음, 상기 폐오일 배출단계에서 세척제 배출관체의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폐쇄되고, 공기 공급관체의 공기 제어밸브와 폐오일 배출관체의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되면서 설정된 공기 공급시간 동안 공기가 상기 차량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단계에서 폐오일 배출관체의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체의 공기 제어밸브와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의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되면서 설정된 세척제 공급시간 동안 공기와 세척제가 상기 차량 엔진의 내부로 동시에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기가 작동되면서 공기가 건조되는 한편,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의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체의 공기 제어밸브와 상기 폐오일 배출관체의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되면서 설정된 공기 공급시간 동안 건조된 공기가 상기 차량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은,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 잔존물질의 배출이 다수번의 단계를 거쳐 수행됨에 따라 세척효율이 증대되고, 이로써 차량 엔진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건조된 공기의 추가적인 공급에 의해 세척작업 후의 차량 엔진 내부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세척작업으로 배출되는 폐오일과 세척제가 폐오일 저수조와 세척제 저수로로 흘러들어가는 과정을 영상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차량 엔진 세척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에게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오일 캡, 오일 필터, 오일 팬으로 공기 공급관체, 세척제 공급관체, 세척제 배출관체, 폐오일 배출관체가 접속하고, 공기에 의해 차량 엔진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구성임에 따라 차량 엔진의 분해 없이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더불어 동시에 다수개의 차량 엔진을 독립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의 상세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의 상세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의 주요부 외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를 이루는 세척제 순환유니트의 일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를 이루는 모니터링 모듈과 영상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차량 엔진의 엔진 팬 저면에 저주파 패드가 부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를 이루는 폐오일 저수조와 세척제 저수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의 상세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100)는 공기 공급유니트(10), 세척제 순환유니트(20), 폐오일 배출유니트(30), 제어유니트(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공기 공급유니트(10)는 공기 압축기(compressure)(11), 공기 공급관체(12), 공기 제어밸브(13)를 포함하여 공기를 차량 엔진(1)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공기 공급유니트(10)는 공기에 의한 폐오일의 배출과 공기와 세척제에 의한 차량 엔진(1) 내 잔존물질(슬러지, 타르, 그을음 등)의 배출을 수행하게 된다.
공기 압축기(11)는 압축공기와 같이 일정압의 공기를 생성시키는 것이다.
공기 공급관체(12)는 공기압축기(11)와 차량 엔진(1)의 오일 캡(1a) 부위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 압축기(11)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아 차량 엔진(1)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 공급관체(12)로는 파이프나 호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공기 제어밸브(13)는 공기 공급관체(12)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밸브로서, 공기 공급관체(12)의 개폐, 공기의 유량 및 압력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 제어밸브(13)는 수동식 스톱밸브(13a)(13c),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13b)(13d), 공기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13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제 순환유니트(20)는 세척제 저수조(21), 세척제 공급관체(22), 세척제 배출관체(23), 펌프(24), 필터(25), 세척제 제어밸브(26)를 포함하여 세척제를 차량 엔진(1) 내부로 공급하고, 차량 엔진(1)을 세척하고 배출되는 세척제를 다시 저장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세척제 순환유니트(20)는 세척제를 순환시키면서 차량 엔진(1) 내 잔존물질의 배출을 수행하게 된다.
세척제 저수조(21)는 세척제가 저장되는 탱크로서, 차량의 세척작업시 차량 엔진(1)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세척제는 다시 세척제 저수조(21)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세척제 공급관체(22)는 세척제 저수조(21)와 차량 엔진(1)의 오일 필터(1b) 부위 사이에 설치되어 세척제 저수조(21)로부터 세척제를 전달받아 차량 엔진(1)의 내부로 공급하게 되고, 세척제 배출관체(23)는 세척제 저수조(21)와 차량 엔진(1)의 오일 팬(oil pan) 부위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엔진(1)의 내부를 세척한 후 배출되는 세척제를 전달받아 세척제 저수조(21)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세척제 공급관체(22)와 세척제 배출관체(23)로는 파이프나 호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펌프(24)는 세척제 공급관체(22)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세척제 저수조(21)에 저장된 세척제를 펌핑하여 세척제가 차량 엔진(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필터(25)도 세척제 공급관체(22)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세척제는 필터(25)를 통과하면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엔진(1) 내부에 순도가 높은 세척제가 공급되어 세척 효율을 높이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세척제 순환유니트(20)는 차량의 세척작업시 차량 엔진(1)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세척제가 다시 세척제 저수조(21)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임에 따라, 세척제가 필터(25)를 통과할 시 세척제 내부에 함유된 폐오일과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슬러지, 타르, 그을음 등)도 필터(25)에 의해 여과되어 세척제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세척제 제어밸브(26)는 세척제 공급관체(22)와 세척제 배출관체(23)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세척제 공급관체(22)와 세척제 배출관체(23)의 개폐, 세척제의 유량 및 압력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세척제 제어밸브(26)는 수동식 스톱밸브(26a)(26b),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26d), 세척제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26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폐오일 배출유니트(30)는 폐오일 저수조(31), 폐오일 배출관체(32), 폐오일 제어밸브(33)를 포함하여 차량 엔진(1) 내부로부터 제거되는 폐오일을 배출하여 저장시키는 것이다.
폐오일 저수조(31)는 차량 엔진(1)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폐오일이 저장되는 탱크이다.
폐오일 배출관체(32)는 폐오일 저수조(31)와 차량 엔진(1)의 오일 팬(1c) 부위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 엔진(1)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폐오일을 전달받아 폐오일 저수조(31)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폐오일 배출관체(32)로는 파이프나 호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폐오일 제어밸브(33)는 폐오일 배출관체(32)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폐오일 배출관체(32)의 개폐를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폐오일 제어밸브(33)로는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33a)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유니트(4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42)가 사용될 수 있는 컨트롤러와 컨트롤 패널(44)을 포함하는데,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PLC(42)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제어 알고리즘과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공기 공급유니트(10), 세척제 순환유니트(20), 폐오일 배출유니트(30)의 작동을 일괄 제어하게 된다.
컨트롤 패널(44)은 PLC(42)의 제어명령이나 제어프로세스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컨트롤 패널(44)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100)는 공기 공급유니트(10)의 공기 공급에 의한 차량 엔진(1) 내부의 폐오일 배출과, 공기 공급유니트(10)의 공기 공급과 세척제 순환유니트(20)의 세척제 공급에 의한 차량 엔진(1) 내부의 잔존물질 배출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100)는 복수개의 차량 엔진(1)이 동시에 접속되어 개별적으로 세척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공기 공급관체(12), 세척제 공급관체(22), 세척제 배출관체(23), 폐오일 배출관체(32)는 차량 엔진(1)과 접속되는 부위가 복수개의 분기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어유니트(40)는 복수개의 차량 엔진(1) 각각에 대한 공기 공급시간, 공기 공급압, 세척제 공급시간, 세척제 공급압을 개별적으로 설정하여 각 차량 엔진의 세척작업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그를 사용한 엔진 세척장치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의 상세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100)는 3개의 차량 엔진(1)이 동시에 접속하여 개별적으로 세척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유니트(10)는 건조기(14)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건조기(14)는 공기 공급관체(12)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의 습도를 저감시켜 건조된 공기가 차량 엔진(1)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건조기(14)가 공기 공급유니트(10)에 설치됨에 따라, 공기 공급유니트(10)의 공기 공급과 세척제 순환유니트(20)의 세척제 공급에 의한 차량 엔진(1) 내부의 잔존물질 배출 후 건조된 공기에 의한 차량 엔진(1) 내부의 건조와 추가적인 잔존물질 배출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기 제어밸브(13)는 수동식 스톱밸브(13a),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13b), 수동식 스톱밸브(13c),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13d), 공기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13e)로 이루어져 공기 공급관체(12)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데, 수동식 스톱밸브(13a)(13c)는 작업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어 공기 공급관체(12)의 개폐와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게 되는 밸브이고,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13b)(13d)는 공기 공급관체(12)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게 되는 밸브이며, 공기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13e)는 공기 공급관체(12)의 끝단에 설치되어 제어유니트(40)의 PLC(42)에 의해 제어되면서 공기가 차량 엔진(1)의 내부로 공급되거나 차단되게 되는 밸브이다.
여기서,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13b)(13d)는 PLC(42)에 의해 자동제어되는 밸브이다.
한편, 공기 제어유니트(40)는 공기 공급관체(12)의 관로 상에 루브리케이터(lubricator)(15)를 설치하여 공기가 공기 공급관체(12)의 내벽과의 마찰이 최소화되면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제 순환유니트(20)는 세척제 공급관체(22)에 세척제 제어밸브(26)를 이루는 수동식 스톱밸브(26a)(26b)와 세척제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26c)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세척제 배출관체(23)에 세척제 제어밸브(26)를 이루는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26d)가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세척제 공급관체(22)에 설치되는 수동식 스톱밸브(26a)(26b)는 작업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어 세척제 공급관체(22)의 개폐와 세척제의 유량 및 압력을 조절하게 되고, 세척제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26c)는 세척제 공급관체(22)의 끝단에 설치되어 제어유니트(40)의 PLC(42)에 의해 제어되면서 세척제가 차량 엔진(1)의 내부로 공급되거나 차단되게 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100)가 도시된 도 4에서와 같이 세척제 공급관체(22)에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26e)가 수동식 스톱밸브(26d)를 대신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세척제의 압력도 PLC(42)에 의해 자동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세척제 배출관체(23)에 설치되는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26d)는 PLC(42)에 의해 제어되면서 세척제 배출관체(23)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것으로, 차량 엔진(1) 내부로부터 폐오일을 배출시키는 작업시에는 세척제 배출관체(23)를 폐쇄시키게 되고, 차량 엔진(1) 내부로부터 잔존물질을 세척제에 함유시켜 배출시키는 작업시에는 세척제 배출관체(23)를 개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오일 배출유니트(30)는 폐오일 배출관체(32)에 폐오일 제어밸브(33)를 이루는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33a)가 설치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33a)는 PLC(42)에 의해 제어되면서 폐오일 배출관체(32)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것으로, 차량 엔진(1) 내부로부터 폐오일을 배출시키는 작업시에는 폐오일 배출관체(32)를 개방시키게 되고, 차량 엔진(1) 내부로부터 잔존물질을 세척제에 함유시켜 배출시키는 작업시에는 폐오일 배출관체(32)를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100)는 차량 엔진(1)의 오일 팬(1c)에 접속되는 메인 배출관체(70)를 구비하여, 메인 배출관체(70)에 세척제 배출관체(23)와 폐오일 배출관체(32)가 분기관 구조로 접속되도록 한다. 여기서, 메인 배출관체(70)의 관로 상에 수동식 스톱밸브(71)가 설치되어 메인 배출관체(70)가 개폐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의 주요부 외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를 이루는 세척제 순환유니트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100)는 공기 공급유니트(10), 세척제 순환유니트(20), 폐오일 배출유니트(30)를 이루는 일부 구성요소가 몸체프레임(80)에 설치되어 하나의 장치를 이루는 것으로, 3개의 차량 엔진(1)이 동시에 접속될 수 있도록 공기 공급관체(12), 세척제 공급관체(22), 세척제 배출관체(23), 폐오일 배출관체(32)가 3개의 분기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편, 공기 제어밸브(13), 세척제 제어밸브(26), 폐오일 제어밸브(33)가 각각 3세트로 구비되어 설치된다.
몸체프레임(80)은 분할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진 구조물이다.
공기 공급유니트(10)는 몸체프레임(80)의 상부면 상에 공기 공급유니트(10)를 이루는 공기 공급관체(12)와 공기 제어밸브(13)가 설치되도록 하고, 몸체프레임(8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공기압축기(11)가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몸체프레임(80)에 설치된 공기 공급관체(12)는 끝단부에 니플(121)을 형성하여 공기압축기(11)와 접속하는 호스형 공기 공급관체가 끼워져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공기 공급관체(12)는 몸체프레임(80) 상부면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관체 지지용 브래킷(81)에 의해 지지되어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몸체프레임(80)에 설치된 공기 공급관체(12)의 관로 상에 복수개의 서브 공기 공급관체 어댑터(122)가 형성되고, 이와 같이 서브 공기 공급관체 어댑터(122)에 서브 공기 공급관체(16)가 끼워지면서 서브 공기 공급관체(16)로 일정압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프레임(80)의 상부면에는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13d)와 공기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13e)가 설치되고, 공기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13e)는 차량 엔진(1)에 연결되는 호스형 공기 공급관체(123)와 접속하여 일정압의 공기를 공급시키게 된다.
세척제 순환유니트(20)는 도 6에서와 같이 몸체프레임(80)의 분할된 일측 내부공간에 세척제 공급관체(22)를 통해 연결되는 펌프(24)와 필터(25)가 배치되도록 하고, 세척제 순환유니트(20)는 몸체프레임(80)의 타측 내부공간에 세척제 저수조(21)가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세척제 순환유니트(20)는 몸체프레임(80)의 상부면 상에 세척제 공급관체(22)와 세척제 배출관체(23) 및 세척제 제어밸브(26)가 설치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세척제 공급관체(22)와 세척제 배출관체(23)는 몸체프레임(80) 상부면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관체 지지용 브래킷(82)(83)에 의해 지지되어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세척제 제어밸브(26)를 이루는 세척제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26c)는 몸체프레임(80)의 일측 상부면에 설치되어 호스형 세척제 공급관체(222)와 접속하게 되고, 세척제 제어밸브(26)를 이루는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26d)는 몸체프레임(80)의 타측 상부면에 설치된다.
한편, 세척제 배출관체(23)에 설치된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26d)에는 몸체프레임(80)에 설치된 공기 공급관체(12)로부터 분기되는 서브 공기 공급관체(16)가 연결되는데, 이에 따라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26d)의 폐쇄시 서브 공기 공급관체(16)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26d)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폐오일 배출유니트(30)는 몸체프레임(80)의 타측 내부공간에 폐오일 저수조(31)가 배치되도록 하는데,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폐오일 저수조(31)는 세척제 저수조(21)와 이웃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폐오일 배출유니트(30)는 몸체프레임(80)의 상부면 상에 폐오일 배출관체(32) 및 폐오일 제어밸브(33)가 설치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폐오일 배출관체(32)는 몸체프레임(80) 상부면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관체 지지용 브래킷(83)에 의해 지지되어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폐오일 배출관체(32)에 설치된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26d)에는 몸체프레임(80)에 설치된 공기 공급관체(12)로부터 분기되는 서브 공기 공급관체(16)가 연결되는데, 이에 따라 폐오일 배출관체(32)의 폐쇄시 서브 공기 공급관체(16)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폐오일 배출관체(32)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세척제 순환유니트(20)는 펌프(24)와 필터(25) 사이에 형성되는 세척제 공급관체(22)로부터 분기되어 세척제 저수조(21)와 연결되는 압력조절용 역류관체(221)을 더 구비하여, 세척제 제어밸브(26)를 이루는 수동식 스톱밸브(26b)가 압력조절용 역류관체(221)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압력조절용 역류관체(221)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동식 스톱밸브(26b)에 의해 압력조절용 역류관체(221)가 개방되는 정도에 따라, 펌프(24)에 의해 차량 엔진(1)으로 공급되는 세척제의 압력이 조절되게 된다.
즉, 세척제 공급관체(22)에 접속하는 차량 엔진(1)으로 공급되는 세척제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이질 시 세척제가 압력조절용 역류관체(221)를 통해 세척제 저수조(21)로 역류하게 됨으로써 세척제의 압력에 의하 차량 엔진의 손상이나 세척제 순환유니트(20) 구성요소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를 이루는 모니터링 모듈과 영상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100)는 모니터링 모듈(50)과 영상장치(60)를 구비하여 차량 엔진(1) 내부로부터 폐오일과 세척제가 배출되는 과정이 시각화될 수 있도록 한다.
모니터링 모듈(50)은 세척제 배출관체(23)와 폐오일 배출관체(32)의 정해진 구간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모니터링 모듈(50)은 모니터링 관체(51), 발광체(52), 카메라(5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모니터링 관체(51)는 세척제 배출관체(23)와 폐오일 배출관체(32)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세척제 배출관체(23)와 폐오일 배출관체(32)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세척제 배출관체(23)와 폐오일 배출관체(32)에 결합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 관체(51)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져 세척제 배출관체(23)와 폐오일 배출관체(32)의 내부를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한다.
발광체(52)는 모니터링 관체(51)가 형성된 세척제 배출관체(23)와 폐오일 배출관체(32)에 고정설치되어 모니터링 관체(51)를 조광하게 되는 것이다.
카메라(53)도 모니터링 관체(51)가 형성된 세척제 배출관체(23)와 폐오일 배출관체(32)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발광체(52)에 의해 조광된 모니터링 관체(51)의 내부를 촬영하게 된다.
영상장치(60)는 카메라(53)로부터 영상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영상장치(60)는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어 차량 엔진 세척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들이 차량 엔진(1)의 세척작업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카메라(53)와 영상장치(60)는 통신케이블이나 무선통신기구를 통해 서로 통신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에서 차량 엔진의 엔진 팬 저면에 저주파 패드가 부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100)는 저주파 패드(60)와 저주파 발생기(61)를 구비하여 차량 엔진(1)의 세척작업시 사용하게 된다.
저주파 패드(60)는 오일 팬(oil pan)(1c)이 위치하는 차량 엔진(1)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것이고, 저주파 패드(60)와 연결되는 저주파 발생기(61)는 저주파를 발생시켜 저주파 패드(60)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저주파 패드(60)와 저주파 발생기(61)는 공기 공급유니트(10)와 세척제 순환유니트(20)의 작동시 차량 엔진(1)의 저주파 진동이 유도함으로써 폐오일과 차량 엔진(1) 내 잔존물질의 강제 배출 효율이 증대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를 이루는 폐오일 저수조와 세척제 저수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제 저수조(21)와 폐오일 저수조(31)는 내부공간에 3층 구조를 이루는 여과층(213)(214)(215)(313)(314)(315)이 형성되어 폐오일이나 세척제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여과층(213)(313),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여과층(214)(314),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제3여과층(215)(315)이 여과용 고정박스(211)(311)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한다.
여기서, 여과용 고정박스(211)(311)는 세척제 저수조(21)와 폐오일 저수조(31) 내벽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고정턱(216)에 걸림고정되고, 여과용 고정박스(211)(311)의 하부면은 그물망 형상의 여과망(212)(312)이 형성되어 폐오일이나 세척제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세척제 저수조(21)와 폐오일 저수조(31)는 하부에 배수구(217)를 형성하여 세척제와 폐오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데, 배수구(217)에는 착탈가능하게 개폐용 마개(218)가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배수구(217)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척제 순환유니트(20)의 세척제 공급관체(22) 관로 상에 설치되는 필터(25)도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여과층,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여과층,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제3여과층의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세척제에 대한 여과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100)는 차량 엔진(1)의 아이들링(idling)시 차량 엔진(1)의 소음을 측정하게 되는 소음측정기를 더 구비하여, 차량 엔진 세척작업을 서비스받고 있는 고객들에게 자신의 차량 엔진(1)의 소음 정보를 제공받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100)를 사용한 차량 엔진의 세척방법은 먼저 제어유니트(40)의 컨트롤 패널(44)을 조작하여 공기 공급시간, 공기 공급압, 세척제 공급시간, 세척제 공급압 등을 설정한 다음, 엔진 세척장치(100)를 가동하여 폐오일 배출단계, 세척단계, 건조단계를 거치면서 차량 엔진(1)이 세척되도록 한다.
폐오일 배출단계는 공기가 차량 엔진(1)의 오일 캡(1a) 부위를 통과하여 차량 엔진(1)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공기에 의해 차량 엔진(1) 내부의 폐오일이 차량 엔진(1)의 오일 팬(1c) 부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폐오일 배출단계에서 세척제 배출관체(23)의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26d)는 폐쇄되고, 공기 공급관체(12)의 공기 제어밸브(13)와 폐오일 배출관체(32)의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33a)는 개방되는데, 설정된 공기 공급시간 동안 공기가 차량 엔진(1)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차량 엔진(1)의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차량 엔진(1) 내부의 폐오일이 배출되어 개방된 폐오일 배출관체(32)를 통해 폐오일 저수조(31)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폐오일 저수조(31)는 내부에 3층 구조로 이루어진 여과층(313)(314)(315)을 형성하여 폐오일과 함께 배출되는 차량 엔진(1) 내 잔존물질(슬러지, 타르, 그을음)이 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잔존물질이 여과된 상태의 폐오일은 추후 별도의 폐오일 처리장치에 의해 재활용될 수 있게 된다.
세척딘계는 공기가 차량 엔진의 오일 캡(1a) 부위를 통과하여 차량 엔진(1)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동시에 세척제가 차량 엔진(1)의 오일 필터(1b) 부위를 통과하여 차량 엔진(1)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공기와 세척제에 의해 차량 엔진(1) 내부의 잔존물질(슬러지, 타르, 그을음 등)이 차량 엔진(1)의 오일 팬(1c) 부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세척단계에서 폐오일 배출관체(32)의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33a)는 폐쇄되고, 공기 공급관체(12)의 공기 제어밸브(13)와 세척제 배출관체(23)의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26d)는 개방되는데, 설정된 세척제 공급시간 동안 공기와 세척제가 차량 엔진의 내부로 동시에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차량 엔진(1)의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와 세척제에 의해 차량 엔진(1) 내부의 잔존물질이 세척제와 함께 배출되는데, 잔존물질이 함유된 세척제는 개방된 세척제 배출관체(23)를 통해 세척제 저수조(21)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세척제 저수조(21) 내부에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진 여과층(213)(214)(215)이 설치되어 세척제에 함유된 잔존물질이 1차적으로 여과되도록 하고, 세척제 저수조(21)로부터 세척제를 공급받게 되는 세척제 공급관체(22)의 관로 상에도 필터(25)가 설치되어 세척제에 함유된 잔존물질이 2차적으로 여과되도록 한다.
건조단계는 건조기(14)에 의해 건조된 공기가 차량 엔진(1)의 오일 캡(1a) 부위를 통과하여 차량 엔진(1)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차량 엔진(1) 내부가 건조되면서 차량 엔진(1) 내의 잔존물질이 추가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건조단계는 건조기(14)를 작동시켜 공기를 건조시키게 되는 한편, 세척제 배출관체(23)의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26d)를 폐쇄하고, 공기 공급관체(12)의 공기 제어밸브(13)와 폐오일 배출관체(32)의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33a)를 개방하여 설정된 공기가 공급시간 동안 건조된 공기가 차량 엔진(1)의 내부로 분사되면서 잔존물질이 추가적으로 폐오일 배출관체(3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 : 차량 엔진 1a : 오일 캡
1b : 오일 필터 1c : 오일 팬
10 : 공기 공급유니트 11 : 공기 압축기
12 : 공기 공급관체 121 : 니플
122 : 서브 공기 공급관체 어댑터 123 : 호스형 공기 공급관체
13 : 공기 제어밸브 13a, 13c : 수동식 스톱밸브
13b, 13d :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 13e : 공기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
14 : 건조기 15 : 루브리케이터
16 : 서브 공기 공급관체 20 : 세척제 순환유니트
21 : 세척제 저수조 21a : 여과 모듈
211 : 여과용 고정박스 212 : 여과망
213 : 제1여과층 214 : 제2여과층
215 : 제3여과층 216 : 고정턱
217a, 217b : 배수구 218 : 개폐용 마개
219 : 개폐용 밸브 22 : 세척제 공급관체
221 : 압력조절용 역류관체 23 : 세척제 배출관체
24 : 펌프 25 : 필터
251 : 배출구 26 : 세척제 제어밸브
26a, 26b : 수동식 스톱밸브 26c : 세척제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
26d :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
26e : 릴리브 부착 감압밸브 27 : 압력계
28 : 세척제 레벨 게이지 30 : 폐오일 배출유니트
31 : 폐오일 저수조 311 : 여과용 고정박스
312 : 여과망 313 : 제1여과층
314 : 제2여과층 315 : 제3여과층
316 : 고정턱 317a, 317b : 배수구
318 : 개폐용 마개 319 : 개폐용 밸브
32 : 폐오일 배출관체 33 : 폐오일 제어밸브
33a :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
34 : 폐오일 레벨 게이지 40 : 제어유니트
42 : PLC 44 : 컨트롤 패널
50 : 모니터링 모듈 51 : 모니터링 관체
52 : 발광체 53 : 카메라
60 : 영상장치 60 : 저주파 패드
61 : 저주파 발생기 70 : 메인 배출관체
71 : 수동식 스톱밸브 80 : 몸체프레임
81, 82, 83 : 관체 지지용 브래킷 100 : 엔진 세척장치

Claims (24)

  1.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엔진으로 정해진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공기 공급유니트와;
    세척제가 저장되는 세척제 저수조, 상기 세척제 저수조와 차량 엔진 사이에 설치되는 세척제 공급관체와 세척제 배출관체, 상기 세척제 공급관체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펌프, 상기 세척제 공급관체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세척제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필터, 상기 세척제 공급관체와 세척제 배출관체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세척제 제어밸브를 포함하여 세척제가 상기 차량 엔진을 통과하며 순환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제 제어밸브를 이루는 다수개의 수동식 스톱밸브, 세척제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세척제 공급관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세척제 제어밸브를 이루는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는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팬 부위에 접속되는 메인 배출관체에서 분기되도록 하는 세척제 순환유니트와;
    상기 차량 엔진에서 배출되는 폐오일을 전달받게 되는 폐오일 배출유니트 및;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 세척제 순환유니트, 폐오일 배출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의 공기 공급에 의한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 배출과,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의 공기 공급과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의 세척제 공급에 의한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 배출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는 공기 압축기(compressure), 상기 공기압축기와 차량 엔진 사이에 설치되는 공기 공급관체, 상기 공기 공급관체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공기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는 상기 공기 제어밸브를 이루는 수동식 스톱밸브,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 공기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공기 공급관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 제어밸브는 릴리프 부착 감압밸브를 더 구비하여 상기 세척제 공급관체에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어유니트에서 공기 공급시간, 공기 공급압, 세척제 공급시간, 세척제 공급압을 총괄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필터 사이에 형성되는 세척제 공급관체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세척제 저수조와 연결되는 압력조절용 역류관체와 상기 압력조절용 역류관체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수동식 스톱밸브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동식 스톱밸브에 의한 상기 압력조절용 역류관체의 개방률에 따라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차량 엔진으로 공급되는 세척제의 압력이 조절되면서 세척제의 압력에 의한 차량 엔진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오일 배출유니트는 상기 차량 엔진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폐오일이 저장되는 폐오일 저수조, 상기 폐오일 저수조와 차량 엔진 사이에 설치되는 폐오일 배출관체, 상기 폐오일 배출관체의 관로 상에 설치되는 폐오일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폐오일 배출유니트는 상기 폐오일 제어밸브를 이루는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폐오일 배출관체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폐오일 배출관체는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팬 부위에 접속되는 메인 배출관체에서 분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 세척제 순환유니트, 폐오일 배출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를 설정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 배출을 위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와 폐오일 배출유니트의 작동과,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 배출을 위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와 세척제 순환유니트의 작동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 배출과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 배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는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캡(oil cap) 부위에 접속되어 공기가 상기 차량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는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필터 부위에 접속되어 세척제가 상기 차량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팬(oil pan) 부위에 접속되어 세척제가 상기 차량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폐오일 배출유니트는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팬 부위에 접속되어 폐오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는 공기의 습도를 저감시키게 되는 건조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의 공기 공급과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의 세척제 공급에 의한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 배출 후, 건조된 공기에 의한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건조와 추가적인 잔존물질 배출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와 폐오일 배출관체는 정해진 구간에 모니터링 모듈이 형성되되,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와 폐오일 배출관체의 일부를 이루는 투명소재의 모니터링 관체와;
    상기 모니터링 관체를 조광하게 되는 발광체 및;
    상기 발광체에 의해 조광된 상기 모니터링 관체 내부를 촬영하게 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영상장치를 더 구비하여 상기 차량 엔진으로부터 폐오일과 세척제가 배출되는 과정이 시각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오일 팬(oil pan)이 위치하는 차량 엔진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저주파 패드와;
    상기 저주파 패드와 연결되는 저주파 발생기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와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의 작동시 차량 엔진의 저주파 진동이 유도되면서 폐오일과 이물질의 강제 배출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와 폐오일 배출유니트는 각각 세척제 저수조와 폐오일 저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제 저수조와 폐오일 저수조는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여과층,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여과층,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제3여과층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는 분할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진 정해진 크기의 몸체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공기 공급관체와 공기 제어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공기압축기가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몸체프레임에 설치된 공기 공급관체는 상기 공기압축기와 접속하는 호스형 공기 공급관체가 끼워지는 니플이 끝단부에 형성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는 분할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진 정해진 크기의 몸체프레임의 일측 내부공간에 상기 세척제 공급관체를 통해 연결되는 펌프와 필터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프레임의 타측 내부공간에 상기 세척제 저수조가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세척제 공급관체와 세척제 배출관체 및 세척제 제어밸브가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몸체프레임에 설치된 공기 공급관체로부터 분기되는 서브 공기 공급관체가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에 설치된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폐쇄시 상기 서브 공기 공급관체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1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폐오일 배출유니트는 분할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진 정해진 크기의 몸체프레임의 타측 내부공간에 상기 폐오일 저수조가 상기 세척제 저수조와 이웃하여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폐오일 배출관체 및 폐오일 제어밸브가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몸체프레임에 설치된 공기 공급관체로부터 분기되는 서브 공기 공급관체가 상기 폐오일 배출관체에 설치된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폐쇄시 상기 서브 공기 공급관체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아이들링(idling)시 차량 엔진의 소음을 측정하게 되는 소음측정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20.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엔진으로 정해진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공기 공급유니트와;
    세척제가 상기 차량 엔진을 통과하며 순환되도록 하는 세척제 순환유니트와;
    상기 차량 엔진에서 배출되는 폐오일을 전달받게 되는 폐오일 배출유니트 및;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 세척제 순환유니트, 폐오일 배출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의 공기 공급에 의한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 배출과,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의 공기 공급과 상기 세척제 순환유니트의 세척제 공급에 의한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 배출이 수행되고,
    상기 공기 공급유니트, 세척제 순환유니트, 폐오일 배출유니트는 각각 공기 공급관체, 세척제 공급관체와 세척제 배출관체, 폐오일 배출관체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 공급관체, 세척제 공급관체, 세척제 배출관체, 폐오일 배출관체는 상기 차량 엔진과 접속되는 부위가 복수개의 분기관 구조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차량 엔진이 동시에 접속하여 세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복수개의 차량 엔진 각각에 대한 공기 공급시간, 공기 공급압, 세척제 공급시간, 세척제 공급압이 개별적으로 설정되면서 각 차량 엔진의 세척작업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세척장치.
  21.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에 있어서,
    공기가 오일 캡 부위를 통과하여 차량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폐오일이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팬 부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폐오일 배출단계와;
    공기가 오일 캡 부위를 통과하여 차량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동시에 세척제가 오일 필터 부위를 통과하여 차량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 엔진 내부의 잔존물질이 상기 차량 엔진의 오일 팬 부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세척단계와;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공기가 오일 캡 부위를 통과하여 차량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 엔진 내부가 건조되면서 잔존물질이 추가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유니트의 컨트롤 패널을 조작하여 공기 공급시간, 공기 공급압, 세척제 공급시간을 설정한 다음,
    상기 폐오일 배출단계에서 세척제 배출관체의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폐쇄되고, 공기 공급관체의 공기 제어밸브와 폐오일 배출관체의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되면서 설정된 공기 공급시간 동안 공기가 상기 차량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단계에서 폐오일 배출관체의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체의 공기 제어밸브와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의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되면서 설정된 세척제 공급시간 동안 공기와 세척제가 상기 차량 엔진의 내부로 동시에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기가 작동되면서 공기가 건조되는 한편, 상기 세척제 배출관체의 세척제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체의 공기 제어밸브와 상기 폐오일 배출관체의 폐오일 리턴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되면서 설정된 공기 공급시간 동안 건조된 공기가 상기 차량 엔진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00114217A 2010-11-17 2010-11-17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 KR101056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17A KR101056594B1 (ko) 2010-11-17 2010-11-17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17A KR101056594B1 (ko) 2010-11-17 2010-11-17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594B1 true KR101056594B1 (ko) 2011-08-11

Family

ID=4493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217A KR101056594B1 (ko) 2010-11-17 2010-11-17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5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881A1 (ko) * 2014-06-18 2015-12-2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테크널러지 자동차 엔진 세척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장치를 이용한 세척방법
KR101631691B1 (ko) 2014-12-18 2016-06-17 윤태웅 엔진오일 교환 장치
KR20200053103A (ko) * 2018-11-08 2020-05-18 주식회사 오성이엔지서비스 대형 디젤 차량의 엔진 냉각수라인 내부세척기와 이를 이용한 엔진세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1342A (ja) * 1992-03-22 1993-10-12 Koji Tada 空気振動発生方法とその装置
KR19990039753U (ko) * 1998-04-17 1999-11-15 김충희 자동차엔진 세정장치
KR100795820B1 (ko) * 2006-09-27 2008-01-17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자동차 엔진의 폐유수거 및 후레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1342A (ja) * 1992-03-22 1993-10-12 Koji Tada 空気振動発生方法とその装置
KR19990039753U (ko) * 1998-04-17 1999-11-15 김충희 자동차엔진 세정장치
KR100795820B1 (ko) * 2006-09-27 2008-01-17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자동차 엔진의 폐유수거 및 후레싱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881A1 (ko) * 2014-06-18 2015-12-2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테크널러지 자동차 엔진 세척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장치를 이용한 세척방법
KR101631691B1 (ko) 2014-12-18 2016-06-17 윤태웅 엔진오일 교환 장치
KR20200053103A (ko) * 2018-11-08 2020-05-18 주식회사 오성이엔지서비스 대형 디젤 차량의 엔진 냉각수라인 내부세척기와 이를 이용한 엔진세척방법
KR102114659B1 (ko) 2018-11-08 2020-05-25 주식회사 오성이엔지서비스 대형 디젤 차량의 엔진 냉각수라인 내부세척기와 이를 이용한 엔진세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4775A (en) Integrated method for cleaning and flush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0623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il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optional flushing
US3431145A (en) Method for flushing and clean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4626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 situ cleaning of oil filter
US5094201A (en) Main gallery-filter connection
JP3220156B2 (ja) 動作中の内燃機関のクリーニング
US2454585A (en) Flushing device for engine lubricating systems
CN104918673B (zh) 可清洗过滤器
US5190120A (en) Flushing apparatus for vehicle oil pump pickup tube and screen
KR101056594B1 (ko) 차량의 엔진 세척장치 및 차량의 엔진 세척방법
US5145033A (en) Sandwich adapter reusable oil filter mounted to same and process for using the same
JP2007508997A (ja) 空調設備洗浄装置及び方法
JP2002089391A (ja) 建設機械の燃料供給装置
KR100935966B1 (ko) 관내 점검구를 이용한 상수관의 점검보수 및 관리시스템
US1552998A (en) Pump apparatus
EP341235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filters for solid particles and catalysts
CN109057965A (zh) 发动机清洗方法及装置
JP3577282B2 (ja) 内燃機関のオイル循環路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KR101637893B1 (ko)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KR100888274B1 (ko) 차량 냉각시스템 불순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불순물제거방법
US6138722A (en) Portable apparatus for reconditioning motor vehicle fluids
US2912990A (en) Apparatus for conditioning motors
JP3576919B2 (ja) 油圧機器のドレンフィルタ
JP3544959B2 (ja) エンジン洗浄装置およびエンジン洗浄方法
CN209096689U (zh) 一种清洗油智能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