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893B1 -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893B1
KR101637893B1 KR1020140128801A KR20140128801A KR101637893B1 KR 101637893 B1 KR101637893 B1 KR 101637893B1 KR 1020140128801 A KR1020140128801 A KR 1020140128801A KR 20140128801 A KR20140128801 A KR 20140128801A KR 101637893 B1 KR101637893 B1 KR 10163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il
waste oil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785A (ko
Inventor
배명일
나상원
Original Assignee
배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명일 filed Critical 배명일
Priority to KR1020140128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8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4Cleaning of, preventing corrosion or erosion in, or preventing unwanted deposits in,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3/00Mechanical arrangements for cleaning lubricating equipment; Special racks or the like for use in draining lubricant from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3/00Mechanical arrangements for cleaning lubricating equipment; Special racks or the like for use in draining lubricant from machine parts
    • F16N2033/005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내부에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엔진오일저장부, 상기 엔진오일저장부과 연결되어 상기 엔진오일저장부에 저장된 엔진오일을 이동시키는 엔진오일이동호스와, 상기 엔진오일이동호스에 연결되어 엔진의 엔진오일주입구를 통해 엔진오일을 주입시키는 엔진오일주입부, 상기 엔진오일이동호스에 연결되어 엔진의 오일필터 장착부를 통해 엔진오일을 주입시키는 하부주입부, 엔진의 내부의 폐유를 흡입하기 위해 엔진오일 레벨게이지의 장착부를 통해 엔진의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부와 흡입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흡입부를 이용해 흡입된 상기 폐유가 이동하는 폐유저장부와, 상기 폐유저장부로 세척제를 이동시키기 위해 세척제를 저장하는 세척제저장부, 상기 폐유저장부에 흡입된 상기 폐유 및 상기 세척제를 이동시키는 폐유이동호스 및 상기 폐유이동호스에 연결되고, 엔진의 엔진주입구를 통해 상기 폐유 및 상기 세척제를 상기 엔진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상부주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한 개의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 오일의 배출 및 주입뿐만 아니라 세정까지 진행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며, 일회용이 아닌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금속 필터를 이용하여 엔진 오일에 잔존하는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을 분해시키며, 엔진 오일의 배출을 진행한 후에 세척제의 순환을 통해 엔진을 1차로 세정하고, 그 후에 일정한 공기의 압력을 이용해 새 엔진오일을 순환시켜 잔유를 제거하므로 엔진의 완벽한 세정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APPARATUS FOR EXCHANGE ENGINE OIL AND CLEANING ENGINE}
본 발명은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엔진오일을 흡입한 후에 세정제를 순환시켜 엔진을 1차로 세척한 후에, 잔유제거를 위해 새오일과 일정 압력의 에어를 함께 엔진에 유입시켜 엔진의 내부를 순환한 후에 배출되게 하고, 잔유제거가 마무리된 후에 새 엔진오일을 주입시키는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의 내부에는 엔진오일이 채워진다. 이는 엔진 내부에서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부분에서 윤활 및 완충작용을 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엔진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켜 마모를 줄일 뿐 아니라 냉각작용 및 방진작용, 부식방지작용 등의 많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엔진 오일은 사용 기간이 경과할수록 산화 및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유입되는 먼지로 인해 오염이 진행되므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새 엔진 오일로의 교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엔진오일을 손쉽게 교환하기 위한 발명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45859호(이하, 인용발명)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인용발명 따른 엔진오일 회수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엔진(1)의 오일팬 하측에 연결된 드레인파이프(2)와, 상기 드레인파이프(2)로 드레인되는 오일을 회수하며 차량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오일통(3)과, 상기 드레인파이프(2)의 유로를 단속하도록 설치된 단속밸브(4)와, 엔진의 상태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단속밸브(4)를 작동시키는 조작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수단은 엔진(1)의 작동이 멈추었는지를 감지하는 크랭크각 센서(5)와, 운전자의 오일드레인 조작을 받아들이는 드레인 조작 스위치(6)와, 상기 크랭크각 센서(5)로부터 엔진의 작동이 멈춘 것을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드레인 조작 스위치(6)의 작동에 따라 상기 단속밸브(4)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ECU(7)로 구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인용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의 오일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엔진 내부의 오일을 외부로 드레인시켜야 하는 바,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는 엔진(1)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드레인 조작 스위치(6)를 조작함으로써 엔진 오일의 드레인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드레인 조작 스위치(6)의 상기 ECU(7)로 입력되면 상기 ECU(7)는 상기 크랭크 각 센서(5)로부터의 신호로 엔진(1)의 정지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단속밸브(4)가 개방되도록 조작하고, 상기 단속밸브(4)가 개방되면 엔진(1)에 저장되어 있던 오일을 드레인파이프(2)를 타고 드레인되어 상기 범퍼(8)의 하측에 장착된 오일통(3)으로 회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오일통(3)을 이탈시켜 폐기 처리하는 것만으로 엔진 오일의 회수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엔진오일의 회수작업이 끝난 후에는 새로운 오일을 공급하여야 하는 바, 상기 드레인 조작 스위치(6)를 조작하면 ECU(7)는 상기 단속밸브(4)의 개방상태를 다시 폐쇄상태로 전환하여 엔진에 새로 주입될 오일의 드레인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록커커버의 오일필러캡을 열고 새로운 오일을 주입함으로써 오일의 교환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한 오일을 완전히 배출시킬 수 없었고, 엔진 내에 잔존하는 폐 오일, 오일 슬러지, 불순물 등은 새로 주입되는 오일의 오염을 촉진시켜 결국 엔진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한 엔진은 엔진 내에 잔존하는 오일 슬러지, 불순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작업이 별도로 필요하며, 세정작업 후에는 별도의 오일주입장비를 이용하여 엔진에 새로운 엔진오일이 주입되어야한다. 또한 세정작업을 진행할 때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는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렇게 발생한 카트리지 필터는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처럼 엔진을 세정하고 엔진오일을 주입하는 방식은 엔진오일의 배출작업을 수행한 후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오일을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개의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 오일의 배출 및 주입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필터를 이용해 세정까지 진행하고,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엔진룸의 잔유를 제거하여 완벽한 세정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엔진의 내부의 폐유를 흡입하는 흡입부; 내부에 회전하며 교차하는 다수개의 금속필터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상기 폐유와 세척제를 내부에 유입시켜 상기 다수개의 금속필터를 이용해 상기 폐유에 포함된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을 분해시키는 필터링장치; 상기 필터링장치를 통과한 상기 폐유 및 세척제를 엔진의 엔진오일 주입구를 통해 상기 엔진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상부주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엔진의 내부에서 흡입한 상기 폐유를 상기 다수개의 금속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 한 후에 세척제와 혼합하여 다시 상기 엔진의 내부로 주입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엔진오일저장부; 상기 엔진오일저장부와 엔진오일이동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엔진오일이동호스연결부; 상기 엔진오일이동호스연결부에 조립되어, 엔진의 엔진오일주입구를 통해 상기 엔진오일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엔진오일을 상기 엔진의 내부로 주입시키는 엔진오일주입부; 상기 엔진오일이동호스연결부에 조립되어, 엔진의 오일필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엔진오일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엔진오일을 상기 엔진의 내부로 주입시키는 하부주입부;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부를 이용해 흡입된 상기 폐유가 이동하는 폐유저장부; 폐유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폐유저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상부주입부가 조립되는 폐유연결호스연결부; 내부에 세척제를 저장하고, 상기 폐유저장부를 향해 상기 세척제를 이동시키는 세척제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엔진오일이동호스연결부에 상기 오일주입부 혹은 상기 하부주입부를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부; 상기 에어주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폐유 및 상기 세척제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믹서다이얼; 상기 믹서다이얼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 중의 수분과 먼지를 제거하고,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한 후에 상기 필터링장치를 향해 공기를 주입하는 제1에어컴비네이션; 상기 필터링장치에 연결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1수분제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장치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부; 상기 에어주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엔진오일저장부의 상기 엔진 오일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오일다이얼; 상기 오일다이얼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 중의 수분과 먼지를 제거하고,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2에어컴비네이션; 상기 제1에어컴비네이션을 통과한 공기가 주입되어 구동하고, 상기 엔진 오일 저장부의 상기 엔진오일을 상기 하부주입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2수분제거부; 상기 에어주입부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조절부; 상기 엔진오일이 상기 에어펌프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주입부를 향해 이동하는 경로에, 상기 에어조절부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다이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상부주입부를 엔진오일 주입구의 직경이 각기 다른 차량에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상부주입부에 체결되고 각기 다른 직경을 가진 다수의 고무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폐유이동호스연결부와 조립되며, 상기 폐유이동호스연결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폐유 및 상기 세척제를 통과시키는 폐유배출부; 상기 폐유배출부를 통과한 상기 폐유 및 상기 세척제가 이동하는 배출폐유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폐유저장부는, 하부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폐유저장부의 내부에 유입된 상기 폐유를 상기 폐유이동호스연결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세척제를 내부에서 통과시켜 상기 폐유이동호스연결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폐유배출봉;과 상기 폐유배출봉의 주변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상기 폐유에 포함된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을 걸러내는 거름망;과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며 엔진 내부의 상기 폐유를 상기 폐유저장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폐유유입봉;과 상기 폐유유입봉에 형성된 홀에 체결되어 상기 폐유유입봉에 유입된 상기 폐유를 상기 폐유저장부로 이동시키는 폐유유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한 개의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 오일의 배출 및 주입뿐만 아니라 세정까지 진행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며, 일회용이 아닌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금속 필터를 이용하여 엔진 오일에 잔존하는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을 분해시키며, 엔진 오일의 배출을 진행한 후에 세척제의 순환을 통해 엔진을 1차로 세정하고, 그 후에 일정한 공기의 압력을 이용해 새 엔진오일을 순환시켜 잔유를 제거하는 방식을 이용하므로 엔진의 완벽한 세정을 진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의 정면과 우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의 정면과 좌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의 후면과 우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의 엔진 오일 저장부 및 폐유 저장부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의 폐유 이동 호스에 제1상부주입부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의 엔진오일 이동 호스에 하부연결부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의 폐유 이동 호스를 폐유배출부에 연결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의 폐유 이동 호스에 제2상부주입부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의 폐유저장부와 상부주입부가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의 엔진오일 저장부와 하부주입부가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측을 감싸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정면에 장착되고 장치에 필요한 각종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01)와, 프레임(100)의 정면 및 좌, 우측면, 후면에 형성되어 장치를 이동할 때에 사용되는 손잡이(102)와, 흡입호스연결부(119)를 거치하는 제1거치대(103)와, 프레임(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4개의 바퀴부(104), 엔진오일주입부(123a)을 거치하는 제2거치대(105)와, 길이 및 직경이 각기 다른 다수의 흡입부(120)를 거치하는 흡입부거치대(106)가 각각 형성된다. 프레임(100)의 전면부와 상측면의 모서리에는 완만한 각도로 구배진 프레임 구배면(107)이 형성되며, 이 프레임 구배면(107)에는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부분들이 위치한다.
또한, 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엔진오일을 저장하고 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진 엔진오일저장부(110)와, 엔진오일저장부(110)의 뚜껑에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엔진오일저장부(110)의 내부를 차단하거나 막는 엔진오일저장용문(110-1)과, 프레임(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엔진 내부의 폐유가 저장되는 폐유저장부(111)와, 폐유저장부(111)의 상측에 연결되고 내부에서 세척제를 이동시키는 세척제이동부(112)와, 세척제이동부(112)에 형성되어 세척제를 폐유저장부(111)로 이동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밸브(112-1)와, 세척제이동부(112)의 상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세척제를 저장하는 세척제저장부(113)가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프레임(100)의 좌측면을 통해 외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폐유이동호스(114)와, 폐유이동호스(114)의 끝에 체결되고 폐유를 주입하기 위한 제1상부주입부(116a) 및 제2상부주입부(116b)와 조립이 가능한 폐유이동호스연결부(115)와, 폐유이동호스연결부(115)를 거치시키기 위해 프레임(100)의 좌측면에 형성된 호스거치부(117),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프레임(100)의 좌측면을 통해 외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흡입호스(118)와, 흡입호스(118)의 끝에 체결되고 엔진 내부의 엔진오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120)가 체결되는 흡입호스연결부(119)와, 흡입호스연결부(119)에 장착되어 엔진의 엔진오일 레벨게이지가 장착되어 있는 홀을 통해 엔진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부(120)로 이루어지며, 흡입부(120)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길이와 직경을 가진 다수의 흡입부(120)가 필요하므로, 다수의 흡입부(120)는 흡입부거치대(106)에 거치한 후에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프레임(100)의 우측면통해 외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엔진오일이동호스(121)와, 엔진오일이동호스(121)의 끝에 체결되고 엔진오일을 주입하기 위한 엔진오일주입부(123a) 및 하부주입부(123b)와 조립이 가능한 엔진오일이동호스연결부(122)가 형성된다. 엔진오일주입부(123a)는 엔진오일저장부(110)에 저장된 엔진오일을 엔진의 엔진오일주입구를 통해 주입할 때에 사용되며, 하부주입부(123b)는 엔진오일저장부(110)에 저장된 엔진오일을 차량의 하부에 형성된 오일필터의 체결부를 통해 엔진오일을 엔진의 내부로 주입할 때에 사용된다.
프레임(100)의 상측면에 위치한 폐유배출부(124)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위치한 배출폐유저장부(140)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폐유배출부(124)에 폐유이동호스연결부(115)를 장착하여 폐유저장부(111)에 저장된 폐유를 폐유배출부(124)를 통해 배출폐유저장부(1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프레임(100)의 전면부와 상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프레임 구배면(107)에는 공기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다이얼(130)과, 엔진오일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오일다이얼(131), 폐유 및 세척제의 유입양을 조절하기 위한 믹서다이얼(132)이 형성되며, 공기의 유입량을 나타내는 에어계기판(133)과 믹서의 유입량을 나타내는 믹서계기판(134) 및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에어조절부(135)가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00)의 후면부에는 장치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부(125)가 형성되며, 에어발생장치를 에어주입부(125)에 연결하여 장치를 구동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오일저장부(110)의 하부는 중심부를 향해 기울어진 엔진오일저장부 구배면(110-2)이 형성되어 엔진오일저장부(110)에 유입된 엔진오일이 잔류하지 않고 모두 엔진오일이동호스(121)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폐유저장부(111)의 내부에는 폐유배출봉(111-1), 거름망(111-2), 폐유유입봉(111-3) 및 폐유유입구(111-4)가 형성된다. 폐유배출봉(111-1)은 폐유이동호스(114)와 연결되고 하부에 홀(H)이 형성되어 폐유저장부(111)의 내부에 유입된 폐유를 폐유이동호스(114)를 향해 이동시키며, 세척제를 내부에서 통과시켜 폐유이동호스(114)를 향해 이동시킨다. 즉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유배출봉(111-1)은 상단이 세척제이동부(112)와 연결되고 하단이 필터링장치(201)와 연결되어 필터링장치(201)와 연결되어 있는 폐유이동호스(114)와 연결되며, 세척제이동부(112)로부터 세척제가 유입되고 홀(H)을 통해 폐유가 유입되어 폐유와 세척제를 폐유이동호스(114)를 향해 이동시킨다. 거름망(111-2)은 폐유배출봉(111-1)의 주변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폐유에 포함된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을 걸러낸다. 폐유유입봉(111-3)은 폐유저장부(111) 내부에서 상단이 폐유저장부(111)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이 폐유저장부(111)의 하부에 고정되어 흡입호스(118)와 연결되며 내부를 통해 엔진 내부의 폐유를 폐유저장부(111)를 향해 이동시킨다. 폐유유입구(111-4)는 폐유유입봉(111-3)에 형성된 홀에 체결되어 폐유유입봉(111-3)의 내부로 유입된 폐유를 폐유저장부(111)로 이동시키며,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폐유유입구(111-4)로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폐유저장부(111)에 저장된 폐유 및 세척제를 제1상부주입부(116a)를 이용하여 엔진의 내부에 주입하기 위해 폐유이동호스연결부(115)에 제1상부주입부(116a)를 조립한 모습을 나타낸다. 제1상부주입부(116a)는 엔진의 엔진오일 주입구에 끼워넣으며, 각각의 차량의 엔진오일 주입구의 직경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제1상부주입부(116a)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고무링(116a-1)을 구비하여 각종 차량의 엔진오일 주입구의 크기에 맞는 고무링(116a-1)을 제1상부주입부(116a)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과 도 7을 참조하면, 엔진오일이동호스(121)에 엔진오일주입부(123a)가 장착된 사시도와, 하부주입부(123b)가 장착된 사시도가 각각 나타나 있다. 엔진오일저장부(110)에 저장된 엔진오일을 엔진의 엔진오일 주입구를 통해 주입할 때에는 엔진오일주입부(123a)를 장착하여 엔진오일의 주입을 진행하며, 엔진오일저장부(110)에 저장된 엔진오일을 차량의 하부에 위치한 오일필터 장착부를 통해 유입시킬 때에는 하부주입부(123b)를 장착하여 엔진오일의 주입을 진행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유저장부(111)에 유입된 폐유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폐유이동호스연결부(115)를 폐유저장부(140)와 연결되어 있는 폐유배출부(124)에 장착시키면, 폐유저장부(111)의 내부의 폐유가 폐유저장부(140)로 이동하게 되고, 폐유저장부(140)를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꺼내어 폐유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폐유저장부(111)에 저장된 폐유 및 세척제를 제2상부주입부(116b)를 이용하여 주입하기 위해 폐유이동호스연결부(115)에 제2상부주입부(116b)를 조립한 모습을 나타낸다. 제2상부주입부(116b)는 엔진오일 주입부에 제1상부주입부(116a)와 고무링(116a-1)을 이용하여 폐유 및 세척제의 주입이 불가능한 차종에 한해 적용되며, 각각의 차량에 맞춰 제2상부주입부(116b)의 높이 및 직경을 변경하거나, 나사산을 형성하는 등 각기 다른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의 내부 구조 및 흡입부(120)를 통해 흡입된 폐유의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흡입부(120)를 엔진의 엔진오일 레벨게이지 장착부에 유입시키고, 제1상부주입부(116a)를 엔진의 엔진오일 주입구에 장착한 후에, 에어주입부(125)를 통해 공기를 주입시키면, 주입된 공기는 믹서다이얼(132)를 향해 이동하고, 믹서다이얼(132)을 회전시켜 공기 주입량의 조절을 통해 폐유 및 세정제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믹서다이얼(132)을 통과한 에어는 제1에어컴비네이션(200)으로 이어지며, 제1에어컴비네이션(200)은 공기중의 수분과 먼지를 제거하고,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며, 공기에 적당량의 윤활유를 혼입시켜 장치를 윤활하게 하여 마모를 줄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에어컴비네이션(200)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필터링장치(201)로 이동하여 필터링장치(201)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를 구동시켜 폐유저장부(111)에 저장된 폐유의 흡입을 진행하며, 필터링장치(201)의 구동을 통해 폐유저장부(111)의 내부가 진공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폐유저장부(111)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부(120)를 통해 엔진 내부에 위치한 폐유가 폐유저장부(111)의 내부로 흡입되며, 폐유저장부(111)에 흡입된 폐유와 세척제저장부(113)에서 유입된 세척제는 혼합되어 필터링장치(201)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필터링장치(201)로 이동하는 폐유와 세척제의 압이 믹서계기판(134)을 통해 표기하며, 믹서계기판(134)을 확인하고 믹서다이얼(132)을 조절하여 그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필터링장치(201)의 내부에는 회전하며 교차하는 다수개의 금속필터가 존재하여, 폐유가 통과할 때에 폐유의 내부에 잔존하는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을 분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필터링장치(201)를 통과한 폐유에는 입자가 큰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필요에 따라 필터링장치(201)에는 제1수분제거부(202)를 연결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필터링장치(201)를 통과한 폐유와 세척제는 제1에어컴비네이션(200)을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제2상부주입부(116b)로 이동하게 되고, 제2상부주입부(116b)를 통해 다시 엔진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엔진 내부의 폐유를 흡입부(120)를 통해 흡입하고, 필터링장치(201)를 이용해 분해한 후 세척제와 함께 다시 엔진으로 유입하는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여 진행하므로, 폐유와 세척제를 이용하여 엔진 내부의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폐유와 세척제의 순환을 통해 1차로 엔진의 세정이 진행된 후에 엔진 내부의 부품의 사이사이에 남아있는 잔유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추가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의 내부 구조 및 엔진오일저장부(110)에 저장된 엔진오일의 이동 경로를 알 수 있다. 에어주입부(125)를 통해 공기를 주입시키면, 주입된 공기의 일부는 오일다이얼(131)을 향해 이동하고, 오일다이얼(131)을 회전시켜 공기의 주입량을 조절을 통해 오일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오일다이얼(131)을 통과한 공기는 제2에어컴비네이션(203)으로 이동하며, 제2에어컴비네이션(203)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에어펌프(204)로 이동하여 에어펌프(204)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에어펌프(204)를 통과한 엔진오일은 제2에어컴비네이션(203)을 통과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부주입부(123b)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에어주입부(125)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와 혼입되어 강한 압력을 가진 공기와 엔진오일이 혼입되어 하부주입부(123b)를 통해 엔진으로 유입된다. 즉, 에어주입부(125)를 통해 주입된 공기 중 일부는 오일다이얼(131)이 아닌 에어조절부(135)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에어조절부(135)를 통해 에어주입부(125)에서 전달되는 공기의 양을 1차로 조절할 수 있다.
에어조절부(135)에는 에어계기판(133)이 연결되어 에어조절부(135)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의 양을 표기하며, 에어조절부(135)를 통과한 공기는 에어다이얼(130)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에어다이얼(130)을 통해 에어조절부(135)를 통과한 공기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에어다이얼(130)을 통과한 공기는 에어펌프(204)를 통과한 엔진오일과 혼입되어 하부주입부(123b)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에어펌프(204)에는 제2수분제거부(205)가 연결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의 하부에 위치한 오일필터를 탈착한 후에, 하부주입부(123b)를 오일필터 장착부에 장착하고, 엔진오일 배출구의 마개를 열어놓은 후에 에어주입부(125)를 통해 공기의 주입을 시작하면, 엔진오일저장부(110)의 엔진오일과 강한 압력의 공기가 함께 혼입되어 엔진의 내부를 순환하게 되고, 엔진의 내부에 각 부품들 사이사이에 잔존하던 폐유와 세척제 및 오일 슬러지, 불순물 등을 강한 압력의 공기와 엔진오일을 이용해 제거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이때에 엔진오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엔진오일의 색을 통해 잔유의 제거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를 이용한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방법은 다음과 같다. 차량의 보닛을 열어 엔진오일 레벨게이지를 제거한 후에 그 자리에 흡입부(120)를 위치시키고, 각각의 차량의 종류에 맞는 고무링(116-1)이 끼워진 제1상부주입부(116a) 혹은 제2상부주입부(116b)를 차량의 엔진오일 주입구에 끼워넣은 후에 에어주입부(125)를 통해 공기를 주입한다. 공기가 주입되면 흡입부(120)를 통해 엔진 내부의 폐유가 폐유저장부(111)로 흡입되고, 흡입된 폐유는 제1상부주입부(116a) 혹은 제2상부주입부(116b)를 통해 다시 엔진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며 폐유의 순환이 진행된다. 이때에 필요에 따라 세척제저장부(113)에 세척제를 채워넣어 세척제와 폐유를 함께 순환시킬 수 있다. 흡입된 폐유가 다시 엔진의 내부로 이동하게 될 때에는 필터링장치(201)의 내부에 형성된 금속필터를 통과하며 폐유의 내부에 포함된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이 분해되므로 폐유를 이용하여 엔진 내부의 세척이 가능하다. 일정 시간동안 폐유 및 세척제를 순환시킨 후에는 제1상부주입부(116a) 혹은 제2상부주입부(116b)를 폐유이동호스연결부(115)에서 분리한 후에, 폐유이동호스연결부(115)를 폐유배출부(124)에 장착하여 흡입부(120)를 통해 폐유저장부(111)로 흡입된 폐유 및 세척제를 배출폐유저장부(140)로 이동시킨다.
그 후에 엔진오일저장부(110)에 새 엔진오일을 채워넣고 차량을 들어올려 차량 하부에 위치한 오일필터를 제거하고, 오일필터 장착부에 하부주입부(123b)를 장착한 후에 엔진오일 배출구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공기의 주입을 시작한다. 엔진오일저장부(110)의 엔진오일이 강한 압력을 가진 공기와 함께 엔진의 내부로 주입되며, 엔진의 내부를 순환하게 되고, 엔진의 내부에 남아있던 잔여 폐유 및 세척수,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을 주입된 엔진오일과 함께 배출하도록 한다. 일정시간 동안 엔진오일을 엔진의 내부에서 순환시킨 후에 배출되는 엔진오일의 색이 주입된 엔진오일의 색과 같아지게 되면 엔진오일의 주입을 중단시키고, 엔진오일 배출구를 막고, 새 오일필터를 오일필터 장착부에 장착한다. 그 후에 새 엔진오일을 엔진오일저장부(110)에 주입한 후에 차량의 엔진오일 주입구에 엔진오일주입부(123a)를 이용해 새 엔진오일을 채워넣으면 작업이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않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프레임, 101 : 수납부, 102 : 손잡이,
103 : 제1거치대, 104 : 바퀴부, 105 : 제2거치대,
106 : 흡입부거치대, 107 : 프레임 구배면, 110 : 엔진오일저장부,
110-1 : 엔진오일저장용문, 110-2 : 엔진오일저장부 구배면,
111 : 폐유저장부, 111-1 : 폐유배출봉, 111-2 : 거름망,
111-3 : 폐유유입봉, 111-4 : 폐유유입구, 112 : 세척제이동부,
112-1 : 밸브, 113 : 세척제저장부, 114 : 폐유이동호스,
115 : 폐유이동호스연결부, 116a : 제1상부주입부, 116a-1 : 고무링,
116b : 제2상부주입부, 117 : 호스거치부, 118 : 흡입호스,
119 : 흡입호스연결부, 120 : 흡입부,
121 : 엔진오일이동호스, 122 : 엔진오일이동호스연결부,
123a : 엔진오일주입부, 123b : 하부주입부, 124 : 폐유배출부,
125 : 에어주입부, 130 : 에어다이얼, 131 : 오일다이얼,
132 : 믹서다이얼, 133 : 에어계기판, 134 : 믹서계기판,
135 : 에어조절부, 140 : 배출폐유저장부,
200 : 제1에어컴비네이션, 201 : 필터링장치, 202 : 제1수분제거부,
203 : 제2에어컴비네이션, 204 : 에어펌프, 205 : 제2수분제거부.

Claims (7)

  1. 엔진 내부의 폐유를 흡입하는 흡입부;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흡입호스에 의해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상기 폐유가 저장되는 폐유저장부;
    내부에 세척제를 저장하고 상기 폐유저장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세척제저장부;
    상기 폐유저장부와 세척제저장부를 연결하여 상기 세척제를 이동시키는 세척제이동부;
    내부에 회전하며 교차하는 다수개의 금속필터가 형성되고, 상기 폐유저장부로부터 상기 폐유와 세척제가 유입되어 상기 금속필터에 의해 상기 폐유에 포함된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을 분해시키는 필터링장치;
    상기 필터링장치와 연결되는 폐유이동호스;
    상기 폐유이동호스와 엔진의 엔진오일 주입구를 연결하여 상기 필터링장치를 통과한 상기 폐유 및 세척제가 상기 엔진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상부주입부;
    에어발생장치와 연결되는 에어주입부;
    상기 에어주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폐유 및 상기 세척제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믹서다이얼;
    상기 믹서다이얼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 중의 수분과 먼지를 제거하고,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한 후에 상기 필터링장치를 향해 공기를 주입하는 제1에어컴비네이션;
    상기 필터링장치에 연결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1수분제거부;
    상기 폐유이동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폐유이동호스를 통해 전달된 상기 폐유 및 상기 세척제를 통과시키는 폐유배출부; 및
    상기 폐유배출부를 통과한 상기 폐유 및 상기 세척제가 이동하는 배출폐유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폐유저장부의 내부에는,
    상단이 상기 폐유저장부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폐유저장부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흡입호스와 연결되는 폐유유입봉과,
    상기 폐유유입봉에 체결되어 상기 폐유유입봉의 내부로 유입된 폐유를 상기 폐유저장부로 이동시키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폐유유입구와,
    상단이 상기 세척제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제이동부로부터 상기 세척제가 유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폐유저장부 내부에 저장된 상기 폐유가 유입되며, 하단이 상기 필터링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폐유와 세척제를 상기 필터링장치로 이동시키는 폐유배출봉과,
    상기 폐유배출봉을 감싸 상기 홀로 유입되는 상기 폐유에 포함된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을 걸러내는 거름망이 형성되고,
    상기 폐유는 상기 흡입부에 의해 상기 엔진 내부에서 흡입되어 상기 폐유저장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거름망에 의해 상기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이 걸러진 후 상기 세척제와 혼합되고, 상기 필터링장치에 의해 상기 세척제와 혼합된 폐유에 잔존하는 오일슬러지 및 불순물을 분해한 후 상기 제1에어컴비네이션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되며, 상기 폐유이동호스를 통해 다시 상기 엔진 내부로 주입되어 상기 엔진, 폐유저장부, 필터링장치를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에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엔진오일저장부;
    상기 엔진오일저장부와 엔진오일이동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엔진오일이동호스연결부;
    상기 엔진오일이동호스연결부에 조립되어, 엔진의 엔진오일주입구를 통해 상기 엔진오일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엔진오일을 상기 엔진의 내부로 주입시키는 엔진오일주입부;
    상기 엔진오일이동호스연결부에 조립되어, 엔진의 오일필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엔진오일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엔진오일을 상기 엔진의 내부로 주입시키는 하부주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엔진오일이동호스연결부에 상기 오일주입부 혹은 상기 하부주입부를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조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부;
    상기 에어주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엔진오일저장부의 상기 엔진 오일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오일다이얼;
    상기 오일다이얼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 중의 수분과 먼지를 제거하고,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2에어컴비네이션;
    제1에어컴비네이션을 통과한 공기가 주입되어 구동하고, 상기 엔진오일저장부의 상기 엔진오일을 상기 하부주입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2수분제거부;
    상기 에어주입부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조절부;
    상기 엔진오일이 상기 에어펌프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주입부를 향해 이동하는 경로에, 상기 에어조절부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다이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주입부를 엔진오일 주입구의 직경이 각기 다른 차량에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상부주입부에 체결되고 각기 다른 직경을 가진 다수의 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40128801A 2014-09-26 2014-09-26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KR10163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801A KR101637893B1 (ko) 2014-09-26 2014-09-26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801A KR101637893B1 (ko) 2014-09-26 2014-09-26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785A KR20160036785A (ko) 2016-04-05
KR101637893B1 true KR101637893B1 (ko) 2016-07-11

Family

ID=5580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801A KR101637893B1 (ko) 2014-09-26 2014-09-26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5364B (zh) * 2020-08-04 2021-12-31 台州霆麦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保养用免起吊的机油接取机构
KR102292129B1 (ko) * 2021-04-13 2021-08-24 주식회사 나인서클코리아 엔진오일교환장치
KR20240050132A (ko) 2022-10-11 2024-04-18 나상원 차량용 브레이크오일 교환 장치 및 교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491A (ja) * 1998-07-01 2000-01-18 Mk Seiko Co Ltd フラッシ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491A (ja) * 1998-07-01 2000-01-18 Mk Seiko Co Ltd フラッシ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785A (ko)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893B1 (ko)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US5145033A (en) Sandwich adapter reusable oil filter mounted to same and process for using the same
KR101312600B1 (ko) 잔류 폐엔진오일 제거 및 세척오일 투입장치
KR102280912B1 (ko)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US6572460B2 (en) Tank unit for grinding water used in processing eyeglass lens, and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212199B1 (ko) 렌즈 연마폐수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JP2015096694A (ja) 道路清掃作業車
CN107226499B (zh) 污水处理装置
JPH11320408A (ja) 玉摺機の研削泡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4522163B2 (ja) 眼鏡レンズ研削加工装置の研削水処理装置
JP4290395B2 (ja) 眼鏡レンズ加工の研削水タンク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眼鏡レンズ加工装置、並びに加工粕分離装置
KR20030090425A (ko) 집수조 청소차량
JP4037063B2 (ja) 眼鏡レンズ加工用の研削水タンク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眼鏡レンズ加工装置
EP1350598B1 (en) Grinding water treating apparatus
KR20150074710A (ko) 전동차용 축상하우징 세척기
CN208743188U (zh) 摇臂轴清洁装置
KR20170035474A (ko) 여과장치
KR20060011810A (ko)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의 스크랩 세척장치
KR200262598Y1 (ko)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IT201900001509A1 (it) Apparato di pulizia di gruppi di scarico di veicoli a motore
JP4046947B2 (ja) 眼鏡レンズ加工用の研削水タンクユニット
KR20190142483A (ko) 자동차용 연료펌프 모듈의 이물질 제거 장치
JP2004360306A (ja) 建設機械の洗浄兼冷却装置
US20040079401A1 (en) Re-useable filter cleaning apparatus
KR200412940Y1 (ko) 이동식 유압유 플러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