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598Y1 -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598Y1
KR200262598Y1 KR2020010026277U KR20010026277U KR200262598Y1 KR 200262598 Y1 KR200262598 Y1 KR 200262598Y1 KR 2020010026277 U KR2020010026277 U KR 2020010026277U KR 20010026277 U KR20010026277 U KR 20010026277U KR 200262598 Y1 KR200262598 Y1 KR 200262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waste oil
fil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희
Original Assignee
김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희 filed Critical 김충희
Priority to KR2020010026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598Y1/ko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 내로 오일을 강제 순환시켜 엔진 내부를 신속히 세정시켜 주는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일 필터를 제거한 후 오일통로에 입구가 연결되고 오일 캡(2)에 출구가 연결되도록 하여 실린더 블록에 필터(1)를 체결시키고, 오일 캡(2)을 통해 엔진 내부 세정제를 투입하며, 엔진(9)을 가동시켜 엔진 내부 세정제가 순환되면서 필터(1)에 의하여 여과되게 한 후 정지시키고, 오일 레벨 게이지 파이프(8)에 배출펌프(5)를 연결하여 엔진(9) 내부의 엔진 내부 세정제를 포함하는 폐유를 탱크(6) 내로 강제 배출시키도록 한 것이다. 엔진 내부 세정제를 이용하여 엔진의 가동 중에 여과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펌프력에 의하여 강제 배출이 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확실한 세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APPARATUS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ENGINE}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 내로 오일을 강제 순환시켜 엔진 내부를 신속히 세정시켜 주는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내부에는 엔진오일에서 발생하는 각종 슬러지, 카본 및 기타 쇠가루등의 불순물과 퇴적물이 다량 들어 있어 결국 엔진 내부에 고착되어 오일의 마찰계수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함으로 엔진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엔진에 과부하가 걸리고 연비가 떨어지며 진동과 소리가 시끄러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등장한 것이 엔진 내부 세정제인데, 그 종류는 매우 다양한 편이지만 대부분의 엔진 내부 세정제는 등유와 용제(solvent)를 포함하고 있다. 엔진 내부 세정제는 통상 오일량의 5% 정도로 첨가되며 엔진의 가동에 의하여 세정 효과를 얻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정제를 엔진 내에 주입하여 세정한다고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실린더 블록의 오일통로에 체결되는 오일 필터이지만 오일 중에 부유하거나 유동하기 쉬운 미립자밖에 여과시키지 못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엔진 내부 세정제를 필요한 시기에 제대로 주입하는 운전자는 드물며 시간도 많이 걸리고 작업 또한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그 사용상의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엔진 내부 세정제를 이용하여 엔진의 가동 중에 여과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펌프력에 의하여 강제 배출이 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확실한 세정이 가능한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세정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세정장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필터, 2:오일 캡, 3,7,7':호스, 4:압력게이지, 5:배출펌프, 6:탱크, 8:오일 레벨 게이지 파이프, 9:엔진, 10:오일 팬, 11:방류펌프, 13:배출호스, 14:엔진 커버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의 일환으로, 자동차의 실린더 블록에 체결되는 것으로, 입구는 오일필터가 탈거된 오일통로에 연결되고 출구는 호스를 통해 실린더 블록의 상측 오일 캡이 탈거된 오일 주입구에 연결되어 시동스위치 온 조작에 따른 내부 오일 순환시 주입된 세정액에 의해 탈거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필터와; 입구가 실린더 블록의 오일 레벨 게이지 파이프에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시동스위치 오프 조작시 전원인가에 의해 실린더 블록내의 폐유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펌프; 그리고 상기 배출펌프의 출구와 연결되어 폐유를 저장하게 되며, 하측에 폐유배출이 가능한 배출구를 갖는 폐유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폐유탱크의 배출구에는 상기 탱크 내의 폐유를 강제 방류시킬 수 있는 방류펌프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오일 필터를 제거한 후 오일통로에 입구가 연결되고 오일 캡에 출구가 연결되도록 하여 실린더 블록에 필터를 체결시키고, 오일 캡을 통해 엔진 내부 세정제를 투입하며, 엔진을 가동시켜 엔진 내부 세정제가 순환되면서 상기 필터에 의하여 여과되게 한 후 정지시키고, 오일 레벨 게이지 파이프에 배출펌프를 연결하여 엔진 내부의 엔진 내부 세정제를 포함하는 폐유를 탱크 내로 강제 배출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세장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장치를 크게 나누면, 세정부와 배출부로 나눌 수 있다. 필터(1)는 세정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엔진의 오일 필터가 체결되던 곳에 오일 필터를 대신하여 체결된다. 즉 기존의 오일 필터를 제거하고 나서 상기한 필터(1)를 체결시키는 것이다. 이 필터(1)는 1회용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입구가 실린더 블록의 오일통로(기존의 오일 필터가 장착되는 곳)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어서 필터(1)를 체결하면 바로 오일통로와 연결된다. 그러나 출구는 입구와 달리 형성된다. 출구에는 엔진 커버에 있는 오일 캡(2)과 연결시킬 수 있는 호스(3)가 끼워져 있다. 이 호스(3)에는 압력게이지(4)가 부착되어 있다. 압력게이지(4)는 필터(1)의 여과량이 많아져 내부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측정하기 위해 부착한 것이다.
배출펌프(5)와 탱크(6)는 본 고안의 배출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배출펌프(5)의 입구와 출구에는 호스(7,7')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배출펌프(5)의 입구측 호스(7)는 오일 레벨 게이지 파이프(8)에 유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며, 출구측 호스(7')는 탱크(6)의 입구와 유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배출펌프(5)는 엔진(9)의 가동에 의하여 엔진(9) 내부에서 엔진 내부 세정제에 의하여 세정된 후 오일 팬(10) 아래로 모이는 불순물과 퇴적물, 세정제, 엔진 오일 등으로 이루어진 폐유를 탱크(6) 내로 강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배출펌프(5)는 밸브 조작에 따라 출구측 호스(7')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폐유 배출호스를 통해 탱크(6)내의 폐유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세정장치에 방류펌프(11)를 부가시킨 경우에 해당한다. 방류펌프(11)의 입구는 탱크(6)의 배출구(12)와 연결되어 있으며 방류펌프(11)의 출구에는 배출호스(13)가 연결되어 있다. 이 방류펌프(11)는 탱크(6) 내의 폐유가 어느 정도 차면 폐유수거통 등의 폐기를 위한 저장 공간에 방류하여 탱크(6) 내부를 강제로 비우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한 도 1의 일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본 고안의 세정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엔진 시동을 끈 상태에서 엔진(9) 하부의 실린더 블록에 체결되어 있던 오일 필터를 제거한 후 그 자리에 필터(1)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오일통로에는 필터(1)의 입구가 연결된다.
<제2단계>
엔진 커버(14)에 있는 오일 캡(2)을 통해 엔진 내부 세정제를 투입한다. 그런 후에 필터(1)의 출구에 연결된 호스(3)를 오일 캡(2)에 유밀하게 연결시킨다. 엔진 내부 세정제는 기존에 여러 가지로 선보이고 있는 엔진 내부 세정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등유와 용제가 포함되어 있는 세정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유형의 세정제 보다는 상표명 프렙업(PREP-UP)과 같은 유형의 세정제가 바람직하다. 투입량은 통상 엔진 오일 투입량과 같다. 그러나 엔진 내부 세정제에 엔진 오일을 혼합하여 투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엔진 내부 세정제는 엔진 오일량의 5% 정도가 바람직하며 이것은 통상 6온스(236.5㎖) 전후에 해당하는 양이다.
<제3단계>
엔진 내부 세정제를 투입한 후에는 시동 스위치를 온시켜 엔진(9)을 가동시킨다.
<제4단계>
그러면 엔진 내부 세정제가 순환되면서 상기 필터(1)에 의하여 엔진(9) 내부가 여과된다. 그 여과 과정은 기존의 윤활경로와 같은 것으로, 엔진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본 고안의 경우를 예시하면, 오일 팬→오일 스크린→오일 펌프→릴리프 밸브→필터→오일압력스위치→크랭크축→커넥팅 로드→실린더 및 피스톤→실린더 헤드→로커암축→로커암→캠 및 밸브→캠축(저널)의 순으로 순환한다. 필터(1)에 의하여 여과되는 물질은 기관의 접동 부분이 마모하여 발생한 쇳가루, 오일의 열화 및 노화로 생긴 산화물, 흡입 공기와 함께 실린더로 들어와 오일에 끼어든 먼지, 연료 및 윤활유의 불완전 연소로 생긴 카본 등이다.
<제5단계>
상기와 같이 일련의 순환에 의한 세정이 끝나면 시동스위치를 오프시켜 엔진(9)을 정지시킨다.
<제6단계>
마지막으로 오일 레벨 게이지 파이프(8)에 배출펌프(5)의 입구에 연결된 호스(7)를 유밀하게 연결하여 엔진(9) 내부의 엔진 내부 세정제를 포함하는 폐유를 탱크(6) 내로 강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므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정장치에 의하여 엔진(9) 내부의 세정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2)에 의한 세정장치에 의하여 일련의 세정방법을 달성하는 경우에는 일 실시예의 세정장치에 따른 세정방법에 방류 단계, 즉 방류펌프(11)를 가동시켜 탱크(6) 내의 폐유를 폐기를 위한 저장 공간으로 방류하는 단계만이 추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엔진 내부 세정제를 이용하여 엔진의 가동 중에 엔진 내에서 엔진 효율을 떨어뜨리고 있는 각종 불순물과 퇴적물들의 여과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펌프력에 의하여 폐세정제와 폐유의 강제 배출이 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확실한 세정이 가능하다.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원리에 의하여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세정이 이루어지면 실질적으로 엔진 회전이 부드러워지고, 진동이나 소음이 적어지며, 파워나 연비가 개선되고, 오일 오염과 불완전 연소, 마모 등의 각종 엔진 성능 저해 요인들이 개선된다.

Claims (3)

  1. 자동차의 실린더 블록에 체결되는 것으로, 입구는 오일필터가 탈거된 오일통로에 연결되고 출구는 호스를 통해 실린더 블록의 상측 오일 캡이 탈거된 오일 주입구에 연결되어 시동스위치 온 조작에 따른 내부 오일 순환시 주입된 세정액에 의해 탈거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필터와;
    입구가 실린더 블록의 오일 레벨 게이지 파이프에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시동스위치 오프 조작시 전원인가에 의해 실린더 블록내의 폐유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펌프;
    그리고 상기 배출펌프의 출구와 연결되어 폐유를 저장하게 되며, 하측에 폐유배출이 가능한 배출구를 갖는 폐유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펌프는 호스를 통해 엔진내의 폐유를 폐유탱크로 저장시키고, 레버 조작시 실린더 블록 내부로 통하는 통로를 폐쇄시키며 동시에 폐유탱크의 폐유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유탱크의 배출구에는 상기 탱크 내의 폐유를 강제 방류시킬 수 있는 방류펌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KR2020010026277U 2001-08-29 2001-08-29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KR200262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77U KR200262598Y1 (ko) 2001-08-29 2001-08-29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77U KR200262598Y1 (ko) 2001-08-29 2001-08-29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155A Division KR20030018433A (ko) 2001-08-28 2001-08-28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598Y1 true KR200262598Y1 (ko) 2002-03-18

Family

ID=7310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277U KR200262598Y1 (ko) 2001-08-29 2001-08-29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5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91B1 (ko) 2014-12-18 2016-06-17 윤태웅 엔진오일 교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91B1 (ko) 2014-12-18 2016-06-17 윤태웅 엔진오일 교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1145A (en) Method for flushing and clean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2417291Y (zh) 发动机润滑清洁装置
US5232513A (en) Engine cleaning processes
US4951784A (en) Process and device for simple, high speed oil change and/or flushing and air purging of the moving components of the crankcas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422021B2 (en) Method of cleaning oil strainer
US5145033A (en) Sandwich adapter reusable oil filter mounted to same and process for using the same
US6071355A (en) Method for cleaning a transmission
JP3220156B2 (ja) 動作中の内燃機関のクリーニング
KR102063982B1 (ko) 자동차의 매연저감장치용 세척장치
WO1992014910A1 (en) Main gallery - filter connection
US5209198A (en) Process for simple and high speed oil change and/or flushing the engine oil distribution channels of the moving components of the crankcas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90374A (zh) 内燃机清洗系统
US6227332B1 (en) Structure for changing old engine oil in transmission case by automatic circulation mechanism
US25259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ing motors
KR200262598Y1 (ko)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
CN109057965A (zh) 发动机清洗方法及装置
KR101637893B1 (ko) 엔진 오일 교환 및 엔진 세척 장치
US2156594A (en) Air filter washer
KR20030018433A (ko) 자동차 엔진 내부 세정장치와 그 방법
KR101023966B1 (ko) 자동차 엔진세척장치
CN110645092B (zh) 发动机油底壳的静态清洗方法
JP3220157B2 (ja) 内燃機関のクリーニング
CN1109185C (zh) 免拆式汽车发动机保养设备
CN2793338Y (zh) 发动机机油精滤装置
JP3897526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