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581Y1 - 엔진오일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오일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581Y1
KR200444581Y1 KR2020070020852U KR20070020852U KR200444581Y1 KR 200444581 Y1 KR200444581 Y1 KR 200444581Y1 KR 2020070020852 U KR2020070020852 U KR 2020070020852U KR 20070020852 U KR20070020852 U KR 20070020852U KR 200444581 Y1 KR200444581 Y1 KR 2004445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air supply
engine oil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이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원 filed Critical 이종원
Priority to KR2020070020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5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5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5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3/00Mechanical arrangements for cleaning lubricating equipment; Special racks or the like for use in draining lubricant from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04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오일을 교체작업시 오일팬의 필러튜브를 통해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여 오일팬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 등을 부상시키고, 이 부상된 슬러지와 엔진오일을 강제로 외부로 배출가능하게 구비하여, 오일팬내의 청소가 용이함과 아울러 별도의 리프트 장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엔진오일의 교체작업을 할 수 있는 엔진오일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엔진오일 교환장치는 오일팬의 필러튜브에 삽입되어 오일팬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내부가 구획된 에어공급공과 오일배출공이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의 에어공급공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공급공을 통해 고압의 에어를 오일팬측으로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와; 상기 노즐부의 오일배출공에 연통되며, 상기 오일배출공을 통해 오일팬에 저장된 엔진오일을 강제로 배출하는 오일펌프와; 상기 오일펌프에 의해 이송된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폐유탱크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에어공급부와 오일펌프의 동작을 콘트롤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엔진, 에어, 엔진오일, 노즐, 엔진오일 교환장치

Description

엔진오일 교환장치{Exchange device of engine oil}
본 고안은 엔진오일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엔진오일을 교체작업시 오일팬의 필러튜브를 통해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여 오일팬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 등을 부상시키고, 이 부상된 슬러지와 엔진오일을 강제로 외부로 배출가능하게 구비하여, 오일팬내의 청소가 용이함과 아울러 별도의 리프트 장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엔진오일의 교체작업을 할 수 있는 엔진오일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은 많은 기계부품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동작되는데,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는 윤활유가 주입된다.
이러한 윤활유는 동작하는 각 부품들의 마찰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마찰과 마모를 줄여줌과 동시에 냉각과 부식을 억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윤활유는 적절한 점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차량을 일정기간 운행하게 되면, 윤활유의 점도가 낮아져 윤활 기능이 크게 저하되거나 상실된다.
특히, 엔진오일의 경우에는 부분적인 산화와 표면마모에 따른 쇳가루 등의 이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고열에 의해 엔진부품에 고착됨으로써 고장을 유발할 우려가 매우 많다. 따라 윤활유를 일정기간 사용한 후에는 이를 배출시키고 새로운 엔진오일을 충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오일 교환방법은 차량을 리프트 등으로 적절한 높이로 들어올린 후 차량 밑에서 양동이나 깡통 등의 용기를 대고, 엔진 하부의 드레인 팬(Drain pan)에 설치된 드레인 플러그를 풀어서 사용이 끝난 엔진오일을 배출한 후, 다시 드레인 플러그를 잠그고, 엔진 상부의 오일캡을 열고 엔진오일을 주입하였다.
이처럼, 종래의 엔진오일 교환방법은 일련의 엔진오일 교환작업이 번거로우며, 폐유를 외부에 유출 없이 정확히 수거하기가 곤란하고, 수거된 폐유를 다시 별도의 수집탱크에 옮겨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폐유의 비산이나 유출을 감수할 수 밖에 없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엔진오일 교환장치는 오일팬의 필러튜브에 삽입되어 오일팬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내부가 구획된 에어공급공과 오일배출공이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의 에어공급공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공급공을 통해 고압의 에어를 오일팬측으로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와; 상기 노즐부의 오일배출공에 연통되며, 상기 오일배출공을 통해 오일팬에 저장된 엔진오일을 강제로 배출하는 오일펌프와; 상기 오일펌프에 의해 이송된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폐유탱크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에어공급부와 오일펌프의 동작을 콘트롤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엔진오일 교환장치는 필러튜브에 노즐부를 삽입하고, 이 노즐부를 통해 오일팬에 에어를 분사하여 슬러지 등과 함께 엔진오일을 배출이 가능하여 오일팬의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가능함과 아울러 오일공급부에 의해 엔진오일을 충진하면 되기 때문에, 자동차가 지면에 있는 상태에서 엔진오일의 교체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오일팬에 설치된 일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동작을 보인 간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엔진오일은 엔진(110)의 동작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윤활유로서, 이 엔진오일에 관련된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엔진(110)의 상부에 엔진오일을 충진하는 오일캡(111)이 구비되고, 하부에 엔진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팬(112)이 형성되며, 이 오일팬(112)에는 외부에 탐침봉에 의해 엔진오일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외부에 연통되는 필러튜브(114)가 구비되며, 이 오일팬(112)의 하부에는 드레인 플러그(115)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엔진오일 교환장치(100)는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에 설치되되; 상기 필러튜브(114)에 삽입되어 오일팬(112)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가 구획된 노즐부(20)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된 노즐부(20)의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오일팬(112)측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공급부(30)가 설치되며, 상기 구획된 노즐부(20)의 타측에 연통되며, 상기 노즐부(20)를 통해 오일팬(112)에 저장된 엔진오일을 강제로 인출하는 오일펌프(40)가 구비되고, 상기 오일펌프(40)에 의해 이송된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폐유탱크(50)가 배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에어공급부(30)와 오일펌프(40)의 동작을 콘트롤하는 제어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부(20)는 유연성을 가지며, 내부가 구획된 관체(21)와, 이 관체(21)의 상부에는 필러튜브(114)에 끼워져 위치를 고정하는 필러캡(24)이 구비되고, 이 필러캡(24)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25)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체(21)는 에어공급공(22)과 오일배출공(23)이 구획되며, 이 에어공급공(22)은 에어공급부(30)의 연결호스(26)에 연결되고, 상기 오일배출공(23)은 오일펌프(40)의 연결호스(26)에 연결된다.
상기 필러캡(24)은 필러튜브(114)의 내주면에 끼워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에어공급부(30)는 에어콤프레셔에 의해 에어를 생성하고 이 에어를 저장탱크에 저장하며, 에어를 공급하는 토출측에 자동밸브가 설치된다(이 에어공급부는 통상적인 구조로 도면상에 기재하지 않음). 이처럼 상기 제어부(60)에서 자동밸브의 개폐를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오일펌프(40)는 오일팬(112)에 저장된 엔진오일을 강제로 흡입하면, 상기 노즐부(20)를 따라 엔진오일이 배출되어 상기 폐유탱크(50)에 보관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며, 새로운 엔진오일을 오일팬(112)측에 충진시키는 오일공급부(70)가 구비되는데, 상기 오일공급부(70)는 일정량의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71)와, 이 오일탱크(71)에 연통되며 오일량을 조절하는 오일건(72)과, 상기 오일탱크(71)에 에어공급부(30)가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에어공급부(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오일탱크(71)에 에어가 강제로 공급되면 상기 오일탱크(71)에 저장된 엔진오일이 오일건(72)측으로 공급된다. 이어 상기 엔진(110)의 오일캡(111)을 분리한 후, 상기 오일건(72)을 누르면 엔진오일이 충진되어 오일팬(112)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에어공급부(30)와 오일펌프(40)의 연결호스(26)에는 에어공급부(30)와 오일펌프(40)의 동작을 유도하는 동작스위치(61)가 별도 설치가능한 것이다. 이 동작스위치(61)의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부(60)에서 콘트롤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엔진오일 교환장치(100)는 충분히 사용한 엔진오일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필러튜브(114)에서 탐침봉을 분리한 후, 이 필러튜브(114)에 노즐부(20)를 삽입하여 상기 오일팬(112)의 바닥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어 상기 제어부(60)에서 에어공급부(30)를 동작시키면 구획된 관체(21)의 에어공급공(22)측으로 에어를 분사되어 상기 오일팬(112)의 바닥에 모여진 슬러지 등을 불어내면, 이 오일팬(112)의 내부에서 엔진오일과 함께 순환하게 된다.
이어 상기 제어부(60)에서 에어공급부(3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오일펌프(40)를 동작시키면, 구획된 관체(21)의 오일배출공(23)측으로 엔진오일이 강제로 흡입되어 상기 폐유탱크(50)에 보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오일팬(112)의 바닥에 모여진 슬러지 등을 엔진오일과 함께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엔진(110)의 오일캡(111)을 열고, 상기 제어부(60)에서 상기 에어공급부(30)를 동작시키면 상기 에어공급부(30)의 에어가 오일공급부(70)의 오일탱크(71)에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어 상기 오일탱크(71)에 저장된 엔진오일이 오일건(72)측으로 이동되고, 이 오일건(72)의 동작에 의해 엔진오일을 오일팬(112)에 충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엔진오일 교환장치(100)는 필러튜브(114)에 노즐부(20)를 삽입하고, 이 노즐부(20)를 통해 오일팬(112)에 에어를 분사하여 슬러지 등과 함께 엔진오일을 배출이 가능하여 오일팬(112)의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어 엔진의 윤활작용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오일공급부(70)에 의해 엔진오일을 충진하면 되기 때문에, 자동차가 지면에 있는 상태에서 엔진오일의 교체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이로 인해 종래의 문제점으로 제기된 자동차를 리프트에 의해 올려놓은 상태 에서 드레인 블러그를 분리하고, 이때 엔진오일이 빠져나오면서 주변이 지져분해지는 등의 일련의 작업이 불필요하고, 종래 엔진오일 교체시 드레인 블러그를 자주 개폐해야 하기 때문에 드레인 플러그(115)의 나사부분이 마모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가 본 고안의 목적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고안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오일팬에 설치된 일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동작을 보인 간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20: 노즐부
30: 에어공급부 40: 오일펌프
50: 폐유탱크 60: 제어부
70: 오일공급부 100: 엔진오일 교환장치
110: 엔진 111: 오일캡
112: 오일팬

Claims (3)

  1. 엔진(110)에 구비된 오일팬(112)의 필러튜브(114)에 삽입되어 오일팬(112)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내부가 구획된 에어공급공(22)과 오일배출공(23)이 형성된 노즐부(20)와;
    상기 노즐부(20)의 에어공급공(22)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공급공(22)을 통해 고압의 에어를 오일팬(112)측으로 공급하는 에어공급부(30)와;
    상기 노즐부(20)의 오일배출공(23)에 연통되며, 상기 오일배출공(23)을 통해 오일팬(112)에 저장된 엔진오일을 강제로 배출하는 오일펌프(40)와;
    상기 오일펌프(40)에 의해 이송된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폐유탱크(50)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에어공급부(30)와 오일펌프(40)의 동작을 콘트롤하는 제어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엔진오일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110)에 엔진오일을 충진하는 오일공급부(7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오일공급부(70)는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71)와, 이 오일탱크(71)에 연통되며 엔진오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오일건(72)과, 상기 오일탱크(71)에 에어공급부(30)가 연결되며, 상기 에어공급부(30)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여 오일탱크(71)의 저장된 엔진오일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20)는 유연성을 가지며, 내부가 구획된 에어공급공(22)과 오일배출공(23)이 형성된 관체(21)와, 이 관체(21)의 상부에는 필러튜브(114)에 끼워져 위치를 고정하는 필러캡(24)이 구비되고, 이 필러캡(24)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장치.
KR2020070020852U 2007-12-27 2007-12-27 엔진오일 교환장치 KR2004445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852U KR200444581Y1 (ko) 2007-12-27 2007-12-27 엔진오일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852U KR200444581Y1 (ko) 2007-12-27 2007-12-27 엔진오일 교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581Y1 true KR200444581Y1 (ko) 2009-05-25

Family

ID=4134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852U KR200444581Y1 (ko) 2007-12-27 2007-12-27 엔진오일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58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083B1 (ko) * 2010-02-02 2012-03-20 안명희 폐자동차의 액상류 회수 장치
KR101312600B1 (ko) 2012-07-06 2013-09-30 주식회사 임펙트 잔류 폐엔진오일 제거 및 세척오일 투입장치
KR101631691B1 (ko) * 2014-12-18 2016-06-17 윤태웅 엔진오일 교환 장치
KR101961456B1 (ko) * 2017-09-27 2019-03-22 (주)삼호정기 차량 트랜스미션오일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CN112474661A (zh) * 2020-11-26 2021-03-12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轮机轴承箱清理装置及清理方法
CN114294200A (zh) * 2021-12-23 2022-04-08 曾宣 一种低温等离子体灭菌设备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083B1 (ko) * 2010-02-02 2012-03-20 안명희 폐자동차의 액상류 회수 장치
KR101312600B1 (ko) 2012-07-06 2013-09-30 주식회사 임펙트 잔류 폐엔진오일 제거 및 세척오일 투입장치
KR101631691B1 (ko) * 2014-12-18 2016-06-17 윤태웅 엔진오일 교환 장치
KR101961456B1 (ko) * 2017-09-27 2019-03-22 (주)삼호정기 차량 트랜스미션오일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CN112474661A (zh) * 2020-11-26 2021-03-12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轮机轴承箱清理装置及清理方法
CN112474661B (zh) * 2020-11-26 2024-02-23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轮机轴承箱清理装置及清理方法
CN114294200A (zh) * 2021-12-23 2022-04-08 曾宣 一种低温等离子体灭菌设备
CN114294200B (zh) * 2021-12-23 2024-04-26 曾宣 一种低温等离子体灭菌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581Y1 (ko) 엔진오일 교환장치
US3033311A (en) Oil removal and gauging apparatus
US5871068A (en) Device for precise replacement of liquids, before, during, or after operation of a mechanism with method of use thereof
KR200466672Y1 (ko) 그리스 공급장치용 패드플레이트
JP2007297113A (ja) オイル交換装置
CN104343494B (zh) 发动机的油位显示装置
CN209383363U (zh) 一种自动灌油机
CN201884092U (zh) 一种手压机油抽吸装置
KR200456935Y1 (ko) 윤활유 공급 탱크 장치
CN205767189U (zh) 一种防制品被油污的注塑机
CN112833314A (zh) 一种建筑机械润滑剂加注机及使用方法
US7467689B1 (en) Method for pneumatically removing oil from an engine
CN209925985U (zh) 一种工业机器人用辅助关节上油器
CN209383362U (zh) 一种灌油机
JP2007297114A (ja) オイル交換装置
KR100893497B1 (ko) 구리스건용 구리스 충전장치
US52898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lubricant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10600993U (zh) 一种润滑油箱
CN208960264U (zh) 一种轴承涂油机
CN216180381U (zh) 多功能汽保工具车
JP4849951B2 (ja) 可搬性オイル交換装置
CN219889298U (zh) 一种全自动更换润滑油的装置
CN220642552U (zh) 一种润滑油加工用包装装置
CN216345332U (zh) 一种变速器润滑油生产设备
KR102659920B1 (ko)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