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920B1 -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920B1
KR102659920B1 KR1020210160229A KR20210160229A KR102659920B1 KR 102659920 B1 KR102659920 B1 KR 102659920B1 KR 1020210160229 A KR1020210160229 A KR 1020210160229A KR 20210160229 A KR20210160229 A KR 20210160229A KR 102659920 B1 KR102659920 B1 KR 102659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piston
cylinder
manu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3640A (ko
Inventor
조득행
Original Assignee
조득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득행 filed Critical 조득행
Priority to KR102021016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920B1/ko
Priority to PCT/KR2022/016161 priority patent/WO2023090666A1/ko
Publication of KR2023007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00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 F16N3/10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delivering gre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16N11/04Spring-loaded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16N13/06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 F16N13/08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by hand or fo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1/00Conduits; Junctions; Fittings for lubrication apertures
    • F16N21/06Covering members for nipples, conduits or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3/00Special adaptations of 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80/00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는 덮개(200)를 매개로 충전탱크(100) 내의 실린더(300)에 제2 밸브수단(600)이 설치되고, 덮개(200)를 통해 실린더(300) 내부로 긴밀하게 삽입되어 승강하는 피스톤(400)에 제1 밸브수단(500)이 설치되며, 피스톤(40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기존의 수동식 그리스건(1)이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피스톤(400)을 승강시키는 펌핑력에 의해 충전탱크(100) 내의 그리스를 실린더(300)와 피스톤(400)을 통해 수동식 그리스건(1)에 충전할 때 공기층 형성을 배제한 상태에서 빠른 시간 내에 만충전이 가능하고, 수동식 그리스건(1)의 전방측 수나사면(10a)이 형성된 개구부 외부에 그리스가 묻는 현상을 예방하여 그리스 소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식 그리스건(1)에 그리스가 만충전된 후 수나사면(10a)의 개구부를 헝겊 등으로 닦아주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현장 주변을 청결하게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A grease filling device for manual grease gun}
본 발명은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탱크에 수동식 그리스건을 연결하여 펌핑력에 의해 그리스를 충전할 수 있는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동식 그리스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스를 담고 있는 파이프 형태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측에 그리스가 배출되는 노즐(15)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 내의 그리스는 펌핑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펌핑수단은 내부에 피스톤과 같은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는 배출부재(도시하지 않음)와, 이러한 배출부재와 링크결합(14)되는 배출 손잡이(13)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전방측에는 뚜껑(12)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고, 상기 뚜껑(12)에는 상기 링크결합(14)을 매개로 노즐(15)이 연결되며, 상기 노즐(15)은 상기 본체(10) 내의 수용된 그리스가 펌핑될 때 외부로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7은 상기 배출부재와 연결되는 당김용 고리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동식 그리스건은 본체(10) 내에 수용된 그리스가 모두 소진될 경우 본체(10) 내에 그리스를 충전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전방측으로부터 뚜껑(12)을 분리한 후, 본체(10)의 전방측 개구를 충전탱크(미도시)에 담근 상태에서 펌핑수단을 통해 본체(10) 내에 그리스가 흡입되도록 하는 직접흡입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직접흡입방식은 여러번 흡입시 흡입한 자리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10)의 전방측 개구에 묻은 그리스를 헝겊 등을 이용하여 닦을 때 버려지는 잔량이 많아 그리스의 소모량가 많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가 묻은 헝겊을 현장에 방치할 경우 작업자의 신체나 주변 시설물에 묻어 작업의 불편함은 물론, 버려진 헝겊으로 인하여 환경이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5572호(2006.04.27.)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리스를 충전할 때 공기층 형성을 배제한 상태에서 빠른 시간 내에 만충전이 가능하고, 수동식 그리스건의 전방측 개구부에 그리스가 묻는 현상을 예방하여 그리스 소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헝겊 등의 사용을 방지하여 현장 주변을 청결하게 개선할 수 있는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는, 하부의 체크밸브를 통해 그리스를 공급받아 보관하는 원통 형태의 충전탱크; 상기 충전탱크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일측에 에어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충전탱크의 상부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하면 중앙에 상기 관통홀과 중심이 일치되게 통로가 연결되면서 상기 충전탱크 내부 바닥까지 인접되게 수직으로 결합되는 실린더; 하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패킹을 매개로 밀봉되며, 상부가 상기 덮개의 상부에 수동식 그리스건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이 하강될 때 펌핑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의 그리스가 상기 피스톤 속으로 흡입되도록 통로를 개방 또는 상기 피스톤이 상승될 때 통로를 폐쇄하는 제1 밸브수단; 및 상기 실린더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이 하강될 때 통로를 폐쇄 또는 상기 피스톤이 상승될 때 펌핑력에 의해 상기 충전탱크 내의 그리스가 상기 실린더 속으로 흡입되도록 통로를 개방하는 제2 밸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피스톤 내의 상단에는 상기 수동식 그리스건의 전방측 개구에 형성된 수나사면이 결합되도록 암나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밸브수단은, 상기 피스톤 내의 하부 일정 높이에 형성된 링 형태의 제1 걸림턱 상면에 배치되는 제1 헤드; 상기 제1 헤드 하면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걸림턱 중앙을 관통하는 제1 축; 상기 제1 축 하단에 체결되는 제1 너트; 및 상기 제1 걸림턱 하면 가장자리와 상기 제1 너트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헤드가 상기 제1 걸림턱 상면에 긴밀하게 안착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헤드, 제1 축, 제1 너트, 제1 코일스프링은 상기 피스톤 내경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걸림턱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헤드가 승강할 때 상기 제1 걸림턱 상면과 맞닿아 통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2 밸브수단은, 상기 실린더 내의 하부 일정 높이에 형성된 링 형태의 제2 걸림턱 하면에 배치되는 링 형태의 하우징; 상기 승강링 상면에 배치되는 제2 헤드; 상기 제2 헤드 하면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2 축; 상기 제2 축 하단에 체결되는 제2 너트; 상기 하우징 하면 내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너트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헤드가 상기 승강 상면에 긴밀하게 안착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2 코일스프링; 상기 실린더 내의 하단에 체결되는 제3 너트; 및 상기 하우징 하면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3 너트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이 승강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3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는 펌핑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걸림턱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실린더 내의 상부에 잔존하는 그리스가 상기 제2 밸브수단의 하부로 수거되도록 상하부 및 측면으로 통로가 개방된 다수의 오목부가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충전탱크의 내주면과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충전탱크 내의 그리스를 밑으로 가압하는 링 형태의 압력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는 덮개를 매개로 충전탱크 내의 실린더에 제2 밸브수단이 설치되고, 덮개를 통해 실린더 내부로 긴밀하게 삽입되어 승강하는 피스톤에 제1 밸브수단이 설치되며, 피스톤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기존의 수동식 그리스건이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피스톤을 승강시키는 펌핑력에 의해 충전탱크 내의 그리스를 실린더와 피스톤을 통해 수동식 그리스건에 충전할 때 공기층 형성을 배제한 상태에서 빠른 시간 내에 만충전이 가능하고, 수동식 그리스건의 전방측 수나사면이 형성된 개구부 외부에 그리스가 묻는 현상을 예방하여 그리스 소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식 그리스건에 그리스가 만충전된 후 수나사면의 개구부를 헝겊 등으로 닦아주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현장 주변을 청결하게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수동식 그리스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충전장치의 비사용시 초기 상태를 도시한 결합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충전장치의 하강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결합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충전장치의 상승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결합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충전장치의 초기상태를 위해 잔여 그리스를 충전탱크로 밀어내는 동작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종래(기존)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는, 하부의 체크밸브(102)를 통해 그리스를 공급받아 보관하는 원통 형태의 충전탱크(100); 상기 충전탱크(100)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일측에 에어통로(202)가 구비되며, 상기 충전탱크(100)의 상부 개구부(104)에 나사 결합되면서 중앙에 관통홀(204)이 형성되는 덮개(200); 상기 덮개(200)의 하면 중앙에 상기 관통홀(204)과 중심이 일치되게 통로가 연결되면서 상기 충전탱크(100) 내부 바닥까지 인접되게 수직으로 결합되는 실린더(300); 하부가 상기 관통홀(204)을 통해 상기 실린더(300)의 내주면과 패킹(410)을 매개로 밀봉되며, 상부가 상기 덮개(200)의 상부에 수동식 그리스건(42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하는 피스톤(400); 상기 피스톤(400)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400)이 하강될 때 펌핑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300) 내의 그리스가 상기 피스톤(400) 속으로 흡입되도록 통로를 개방 또는 상기 피스톤(400)이 상승될 때 통로를 폐쇄하는 제1 밸브수단(500); 및 상기 실린더(300)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400)이 하강될 때 통로를 폐쇄 또는 상기 피스톤(400)이 상승될 때 펌핑력에 의해 상기 충전탱크(100) 내의 그리스가 상기 실린더(300) 속으로 흡입되도록 통로를 개방하는 제2 밸브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충전탱크(100)와 상기 덮개(200)는 나사 결합된 후, 미도시된 금속성 체결밴드에 의해 결합부분이 분리 않도록 결속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탱크(100)의 내주면과 상기 실린더(300)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충전탱크(100) 내의 그리스를 밑으로 가압하는 링 형태의 압력판(700)이 배치되고, 상기 압력판(700)의 외주면과 내주면은 상기 충전탱크(100)의 내주면과 실린더(30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고무패킹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력판(700)은 상기 충전탱크(100) 내에 채워진 그리스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눌러주면서 충전탱크(100) 내의 그리스가 실린더(300)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량과 흡입속도에 맞추어 하강하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102)는 상기 충전탱크(100) 내에 그리스가 전부 소진되었을 때 외부로부터 그리스를 충전탱크(100)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탱크(100)의 바닥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400) 내의 상단에는 상기 수동식 그리스건(1)의 전방측 개구에 형성된 수나사면(10a)이 결합되도록 암나사면(40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동식 그리스건(1)의 수나사면(10a)은 종래의 도 1에 도시한 수동식 그리스건(1)에서 뚜껑(12)이 분리된 본체(10)의 전방측 개구에 형성된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밸브수단(500)은, 상기 피스톤(400) 내의 하부 일정 높이에 형성된 링 형태의 제1 걸림턱(402) 상면에 배치되는 제1 헤드(512); 상기 제1 헤드(512) 하면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걸림턱(402) 중앙을 관통하는 제1 축(510); 상기 제1 축(510) 하단에 체결되는 제1 너트(520); 및 상기 제1 걸림턱(402) 하면 가장자리와 상기 제1 너트(520)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헤드(512)가 상기 제1 걸림턱(402) 상면에 긴밀하게 안착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코일스프링(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헤드(512), 제1 축(510), 제1 너트(520), 제1 코일스프링(530)은 상기 피스톤(400) 내경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걸림턱(402)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헤드(512)가 승강할 때 상기 제1 걸림턱(402) 상면과 맞닿아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헤드(512)의 둘레와 상기 제1 걸림턱(402)의 상면은 서로 대응되게 맞닿아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때 밀폐력을 높여주면서 제1 헤드(512)가 제1 걸림턱(402)의 중앙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원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밸브수단(600)은, 상기 실린더(300) 내의 하부 일정 높이에 형성된 링 형태의 제2 걸림턱(302) 하면에 배치되는 링 형태의 하우징(610); 상기 하우징(610) 상면에 배치되는 제2 헤드(622); 상기 제2 헤드(622) 하면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610)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2 축(620); 상기 제2 축(620) 하단에 체결되는 제2 너트(630); 상기 하우징(610) 하면 내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너트(630)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헤드(622)가 상기 하우징(610) 상면에 긴밀하게 안착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2 코일스프링(640); 상기 실린더(300) 내의 하단에 체결되는 제3 너트(650); 및 상기 하우징(610) 하면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3 너트(650)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610)이 승강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3 코일스프링(6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6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스톤(400)이 하강하는 펌핑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610)이 상기 제2 걸림턱(302)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실린더(300) 내의 상부에 잔존하는 그리스가 상기 제2 밸브수단(600)의 하부로 수거되도록 상하부 및 측면으로 통로가 개방된 다수의 오목부(612)가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오목부(612)는 상기 하우징(610)이 상승되어 제2 걸림턱(302)의 하면에 맞닿을 때 통로가 폐쇄되고, 상기 하우징(610)이 하강될 때 제2 걸림턱(302)과 일정 거리 이격됨에 따라 통로가 개방됨으로써 제1 밸브수단(500)과 제2 밸브수단(600) 사이에 잔존하는 그리스가 실린더(300)의 하부로 배출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610)의 상면과 제2 헤드(622)의 둘레는 서로 대응되게 맞닿아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때 밀폐력을 높여주면서 제2 헤드(622)가 하우징(610)의 중앙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원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너트(630)의 외주는 상기 제3 너트(650)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제3 너트(650)의 내경을 통해 실린더(300) 내부로 그리스가 흡입될 때 통로를 막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코일스프링(640)은 상기 제3 코일스프링(660)보다 탄성이 약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우징(610)의 승강보다 제2 헤드(622)의 승강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20은 그리스 충전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피스톤(400)의 상부 개구를 밀봉하는 뚜껑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수동식 그리스건(1)에 그리스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에서 뚜껑(420)을 분리한 후, 도 3과 같이 수동식 그리스건(1)의 수나사면(10a)을 피스톤(400)의 암나사면(404)에 결합하고, 피스톤(400)이 상승시키면, 피스톤(400)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된 패킹(410)이 실린더(300)의 내주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펌핑력이 발생된다.
즉, 피스톤(400) 내의 제1 밸브수단(500)측 제1 헤드(512)가 제1 코일스프링(530)의 탄발력에 의해 하강되어 피스톤(400)의 제1 걸림턱(402)에 안착됨으로써 제1 밸브수단(500)을 거치는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400)이 상승할 때 발생되는 펌핑력에 의한 진공압력에 의해 실린더(300) 내의 제2 밸브수단(600)측 제2 헤드(622)가 상승되면서 막고 있던 하우징(610)의 통로를 개방하게 되고, 이 개방된 통로를 통하여 충전탱크(100) 내의 그리스가 실린더(300) 하부 개구를 통해 흡입됨과 동시에 도 3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과 같이 하우징(610)을 거쳐 피스톤(400)의 하부까지 채워지게 된다.
이때, 충전탱크(100) 내에 설치된 압력판(700)은 덮개(200)의 에어통로(20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영향을 받아 하강되면서 충전탱크(100) 내의 그리스를 밑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 가압력에 의해 충전탱크(100) 내의 그리스는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면서 충전탱크(100) 내의 진공압력을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피스톤(400)이 눌러서 하강시키면, 이 피스톤(400)이 하강되는 펌핑력에 의해 상승되었던 실린더(300) 내의 제2 밸브수단(600)측 제2 헤드(622)는 하강되어 하우징(610)의 통로를 폐쇄하게 되고, 피스톤(400) 내의 제1 밸브수단(500)측 제1 헤드(512)는 그리스가 밀려 올라오는 압력에 의해 피스톤(400)의 제1 걸림턱(402)으로부터 상승되어 통로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도 4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제1 밸브수단(500)와 제2 밸브수단(600) 사이로 흡입된 그리스가 피스톤(400)의 통로를 타고 수동식 그리스건(1)의 본체(10)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피스톤(400)을 상승시키는 동작을 여러 번 반복할 때마다 충전탱크(100) 내의 그리스가 실린더(300) 하부를 통해 제1 밸브수단(500)와 제2 밸브수단(600) 사이로 흡입되고, 피스톤(400)을 하강시키는 동작을 여러 번 반복할 때마다 제1 밸브수단(500)와 제2 밸브수단(600) 사이에 채워진 그리스가 피스톤(400)을 통해 수동식 그리스건(1)으로 흡입됨으로써 수동식 그리스건(1) 내에 그리스가 만충전된다.
그리고 수동식 그리스건(1) 내에 그리스가 만충전된 상태에서 다시 피스톤(400)을 눌러주면, 도 5와 같이 실린더(300) 내에서 제1 밸브수단(500)과 제2 밸브수단(600) 사이에 채워진 그리스가 하우징(610)의 중앙 통로를 폐쇄하도록 하강된 제2 헤드(622)에 누름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헤드(622)와 함께 하우징(610)이 하강되면서 하우징(610)과 제2 걸림턱(302) 사이가 벌어짐으로써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 틈새는 제1 밸브수단(500)와 제2 밸브수단(600) 사이에서 상기 수동식 그리스건(1)으로 흡입되지 못하고 남아 있던 그리스를 하우징(6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612)를 통해 도 5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충전탱크(100) 내로 배출시키게 되고, 도 2와 같이 다음 수동식 그리스건(1)에 그리스를 충전하기 위하여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처럼, 본 발명의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는 덮개(200)를 매개로 충전탱크(100) 내의 실린더(300)에 제2 밸브수단(600)이 설치되고, 덮개(200)를 통해 실린더(300) 내부로 긴밀하게 삽입되어 승강하는 피스톤(400)에 제1 밸브수단(500)이 설치되며, 피스톤(40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기존의 수동식 그리스건(1)이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피스톤(400)을 승강시키는 펌핑력에 의해 충전탱크(100) 내의 그리스를 실린더(300)와 피스톤(400)을 통해 수동식 그리스건(1)에 충전할 때 공기층 형성을 배제한 상태에서 빠른 시간 내에 만충전이 가능하고, 수동식 그리스건(1)의 전방측 수나사면(10a)이 형성된 개구부 외부에 그리스가 묻는 현상을 예방하여 그리스 소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식 그리스건(1)에 그리스가 만충전된 후 수나사면(10a)의 개구부를 헝겊 등으로 닦아주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현장 주변을 청결하게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수동식 그리스건 10a : 수나사면
100 : 충전탱크 102 : 체크밸브
104 : 개구부 200 : 덮개
202 : 에어통로 204 : 관통홀
300 : 실린더 302 : 제2 걸림턱
400 : 피스톤 402 : 제1 걸림턱
404 : 암나사면 410 : 패킹
500 : 제1 밸브수단 512 : 제1 헤드
510 : 제1 축 520 : 제1 너트
530 : 제1 코일스프링 600 : 제2 밸브수단
610 : 하우징 612 : 오목부
620 : 제2 축 622 : 제2 헤드
630 : 제2 너트 640 : 제2 코일스프링
650 : 제3 너트 660 : 제3 코일스프링
700 : 압력판

Claims (7)

  1. 하부의 체크밸브(102)를 통해 그리스를 공급받아 보관하는 원통 형태의 충전탱크(100);
    상기 충전탱크(100)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일측에 에어통로(202)가 구비되며, 상기 충전탱크(100)의 상부 개구부(104)에 나사 결합되면서 중앙에 관통홀(204)이 형성되는 덮개(200);
    상기 덮개(200)의 하면 중앙에 상기 관통홀(204)과 중심이 일치되게 통로가 연결되면서 상기 충전탱크(100) 내부 바닥까지 인접되게 수직으로 결합되는 실린더(300);
    하부가 상기 관통홀(204)을 통해 상기 실린더(300)의 내주면과 패킹(410)을 매개로 밀봉되며, 상부가 상기 덮개(200)의 상부에 수동식 그리스건(1)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하는 피스톤(400);
    상기 피스톤(400)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400)이 하강될 때 펌핑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300) 내의 그리스가 상기 피스톤(400) 속으로 흡입되도록 통로를 개방 또는 상기 피스톤(400)이 상승될 때 통로를 폐쇄하는 제1 밸브수단(500); 및
    상기 실린더(300)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400)이 하강될 때 통로를 폐쇄 또는 상기 피스톤(400)이 상승될 때 펌핑력에 의해 상기 충전탱크(100) 내의 그리스가 상기 실린더(300) 속으로 흡입되도록 통로를 개방하는 제2 밸브수단(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00) 내의 상단에는 상기 수동식 그리스건(1)의 전방측 개구에 형성된 수나사면(10a)이 결합되도록 암나사면(40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수단(500)은,
    상기 피스톤(400) 내의 하부 일정 높이에 형성된 링 형태의 제1 걸림턱(402) 상면에 배치되는 제1 헤드(512);
    상기 제1 헤드(512) 하면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걸림턱(402) 중앙을 관통하는 제1 축(510);
    상기 제1 축(510) 하단에 체결되는 제1 너트(520); 및
    상기 제1 걸림턱(402) 하면 가장자리와 상기 제1 너트(520)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헤드(512)가 상기 제1 걸림턱(402) 상면에 긴밀하게 안착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코일스프링(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512), 제1 축(510), 제1 너트(520), 제1 코일스프링(530)은 상기 피스톤(400) 내경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걸림턱(402)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헤드(512)가 승강할 때 상기 제1 걸림턱(402) 상면과 맞닿아 통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수단(600)은,
    상기 실린더(300) 내의 하부 일정 높이에 형성된 링 형태의 제2 걸림턱(302) 하면에 배치되는 링 형태의 하우징(610);
    상기 하우징(610) 상면에 배치되는 제2 헤드(622);
    상기 제2 헤드(622) 하면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610)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2 축(620);
    상기 제2 축(620) 하단에 체결되는 제2 너트(630);
    상기 하우징(610) 하면 내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너트(630)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헤드(622)가 상기 하우징(610) 상면에 긴밀하게 안착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2 코일스프링(640);
    상기 실린더(300) 내의 하단에 체결되는 제3 너트(650); 및
    상기 하우징(610) 하면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3 너트(650)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610)이 승강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3 코일스프링(6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스톤(400)이 하강하는 펌핑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610)이 상기 제2 걸림턱(302)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실린더(300) 내의 상부에 잔존하는 그리스가 상기 제2 밸브수단(600)의 하부로 수거되도록 상하부 및 측면으로 통로가 개방된 다수의 오목부(612)가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탱크(100)의 내주면과 상기 실린더(300)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충전탱크(100) 내의 그리스를 밑으로 가압하는 링 형태의 압력판(70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KR1020210160229A 2021-11-19 2021-11-19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KR102659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29A KR102659920B1 (ko) 2021-11-19 2021-11-19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PCT/KR2022/016161 WO2023090666A1 (ko) 2021-11-19 2022-10-21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29A KR102659920B1 (ko) 2021-11-19 2021-11-19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640A KR20230073640A (ko) 2023-05-26
KR102659920B1 true KR102659920B1 (ko) 2024-04-24

Family

ID=8639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229A KR102659920B1 (ko) 2021-11-19 2021-11-19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9920B1 (ko)
WO (1) WO202309066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69B1 (ko) 2018-09-19 2018-11-05 조동훈 유압식 그리스 자동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06825A (en) * 1993-08-27 1997-11-20 Oren Haytner And Avi Haytner B Apparatus for filling grease guns
KR100414910B1 (ko) * 2000-11-09 2004-01-13 양재석 그리스 공급기
KR200415572Y1 (ko) 2006-02-15 2006-05-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식 그리스 주입기
KR101055894B1 (ko) * 2009-04-27 2011-08-09 표영호 그리스 주입 보조기구
KR102157849B1 (ko) * 2018-04-09 2020-09-18 윤은중 그리스 건에 대한 그리스 주입장치
KR101942964B1 (ko) * 2018-12-07 2019-01-28 조동훈 유압식 그리스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69B1 (ko) 2018-09-19 2018-11-05 조동훈 유압식 그리스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640A (ko) 2023-05-26
WO2023090666A1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3859A (ko)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펌프디스펜서 용기
KR100470132B1 (ko) 압력플러시장치
KR100918856B1 (ko) 화장품용기용 압출펌프
KR20120032135A (ko)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 펌프디스펜서 용기
KR102659920B1 (ko) 수동식 그리스건용 그리스 충전장치
US20130019754A1 (en) Brewing device with leak-proof structure
KR20140002216U (ko) 피스톤 하강식 에어리스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CN116534454B (zh) 一种用于石油开采的储存油罐
KR200481587Y1 (ko) 양변기용 압축기
US4097937A (en) Apparatus for clearing drains
CN107923232B (zh) 填料箱容纳设备
KR100998348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KR200477737Y1 (ko) 내용물 누출 방지 노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CN212712686U (zh) 一种灌装机具有防滴漏的单向罐装装置
KR101012546B1 (ko) 진공펌핑 용기
JP2639837B2 (ja) クリーム等吐出容器および該容器に対する吐出装置の組付け方法
KR102206475B1 (ko)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KR20090127979A (ko) 분무기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CN210265533U (zh) 一种汽车轴承外圈注油装置
JP3816222B2 (ja) 液受皿を取り付けた注出容器
JP4222473B2 (ja) 中皿上昇式液体吐出容器
CN215111962U (zh) 一种用于立式破碎机的轴承润滑油加注装置
JP4112148B2 (ja) 縦型ポンプ式容器と該容器が有する摺動筒移動用治具との組合せ
CN218935289U (zh) 密封件及清洁机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