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729B1 - 유증기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유증기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729B1
KR100515729B1 KR1020050017688A KR20050017688A KR100515729B1 KR 100515729 B1 KR100515729 B1 KR 100515729B1 KR 1020050017688 A KR1020050017688 A KR 1020050017688A KR 20050017688 A KR20050017688 A KR 20050017688A KR 100515729 B1 KR100515729 B1 KR 100515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vapor
oil vapor
horizontal
fe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광모
Original Assignee
구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모 filed Critical 구광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67D7/0476Vapour recovery systems
    • B67D7/0478Vapour recovery systems constructional features or components
    • B67D7/048Vapour flow control means, e.g. valves,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0Recovery of escaped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는, 유류탱크 내의 유증기를 유조차량의 회수탱크로 회수되도록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에 있어서;
"T"자 형태로 형성된 중공의 몸체와; 너트 체결을 통해 유류탱크측 상/하부파이프가 각기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의 상/하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체결부와; 상기 몸체의 중앙 단부에 유조차량측 호스가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연결부가 체결되는 중앙체결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체결부 내에 설치되며, 중앙체결부측의 수평밸브장치와 대응되어 상하이동을 통해 대기로 통하는 유증기 경로를 개폐하는 수직밸브장치와; 상기 몸체의 중앙체결부 내에 설치되며, 유조차량측 호스 결합에 의한 전후이동을 통해 회수탱크로 통하는 유증기 경로를 개폐하는 수평밸브장치와; 상기 상부 및 하부체결부와 유류탱크측 상/하부파이프 사이에 유증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설치된 밀봉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류탱크 내에 생성된 유증기 압력을 통해 작동되었던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에 비해 보다 정확한 기구적 작동을 구현하여 유류탱크 내에 발생된 유증기가 대기로 배출되지 않고 유조차량의 회수탱크로 회수하여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유증기 회수장치의 상/하단에 너트 체결을 위한 숫나사 형태의 상부체결부 및 하부체결부를 형성함에 따라 기존의 주유소 등 지하에 매설된 유류탱크로부터 대기에 접하도록 연결 설치된 유증기 방출 파이프에 별도의 공사없이 간단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유류탱크 내 잔량의 유류를 전부 비운 다음 상기 유증기 회수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관계로 약 2∼3일 정도의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데 비해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는 유류탱크로부터 잔량의 유류를 비우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등, 종래에 비해 유증기 회수장치의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유증기 회수장치{Vapor recovery apparatus}
본 발명은 유류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조차량의 호스 연결시 수평으로 이동되는 수평밸브장치에 의해 유조차량의 회수탱크로 통하는 유증기 유동경로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밸브장치와 대응되어 상하로 연동되는 수직밸브장치에 의해 대기로 통하는 유증기 유동경로가 차단되도록 유증기 회수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유류탱크 내에 생성된 유증기 압력을 통해 작동되었던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에 비해 보다 정확한 기구적 작동을 구현하여 유류탱크 내 발생된 유증기가 대기로 배출되지 않고 유조차량의 회수탱크로 회수되게 함으로써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는 일정한 부피를 갖는 유류탱크(7)에 저장되게 되는데, 이 때 저장되는 유류의 휘발성에 때문에 유류탱크(7) 내에는 유증기가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발생한 유증기는 파이프(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지만, 이와 같은 경우 유류탱크(7)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되는 유증기의 양이 무시할 정도로 적기 때문에 따라서 대기를 오염시킬 수 있는 정도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유류탱크(7) 내에 새로운 유류를 저장할 때 공급되는 유류의 부피만큼 그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유증기는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되는데, 이 때 유류 공급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증기의 양은 새롭게 공급되는 유류의 부피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 대기를 오염시키는 주범이 된다.
이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파이프(10)를 통해 유조차량(2)으로부터 유류탱크(7)측으로 새롭게 유류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유류탱크(7)의 상부 공간 즉, 유류의 상부 공간에 저장된 유증기는 파이프(4)와 회수장치(100)를 통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며, 상기 외부로 배출된 유증기는 유조차량(2)과 연결된 호스(6)를 통해 유조차량(2)의 회수탱크(5)로 배출 저장되어 소정의 장소에서 유증기를 소각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유류를 공급할 때 발생되는 유증기를 회수하여 소정의 장소에서 별도 처리되는 관계로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한 유류탱크(7)로부터 배출되는 유증기를 관리할 수 있는 장치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0328045 호에 기재된 유증기 회수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러한 유증기 회수장치(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는, 전체 형상이 "T"자형 밸브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구성되는 원통형 상부몸체(120)와, 상기 상부몸체(120)와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 하부몸체(110)와, 상기 하부몸체(110)의 측부에 나사 결합하는 원통형 우측몸체(15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하부몸체(110)의 하단은 유류탱크(7)의 파이프(4)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부몸체(120)의 상단은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파이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몸체(150)는 유조차량(2)로부터 연결되는 호스(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20)의 상단은 연결소켓(130)과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소켓(130)은 외부로 인출되는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20)의 내벽에는 지지부(124)가 고정되되, 상기 지지부(124)의 상부에는 원판형상의 패킹부재(123)가 안치되고, 상기 패킹부재(12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축(1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축(122)의 외주면에는 압축스프링(121)이 삽입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원통형상의 우측몸체(150) 일단은 하부몸체(110)의 일측과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고정수단(161)을 통하여 유조차량(2)의 호스(6, 162)와 연결되는 고정수단(161)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상기 우측몸체(150)의 좌측부와 나사 결합되는 지지부(140) 내부에는 원판 형상의 패킹판(14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패킹판(145)은 그 중앙부를 통하여 개봉축(144)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개봉축(144)은 축 구멍(146)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개봉축(144)의 우측단부에는 상기 개봉축(144)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압축스프링(15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스프링(151)은 누름봉(16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유증기 회수장치의 작동과정을 도 2와 대비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유조차량(2)으로부터 유류탱크(7) 내부로 유류를 공급하지 않을 때 즉, 호스(162)를 연결하지 않을 때에는 패킹판(145)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지지부(140) 내부에 형성된 구멍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유류탱크(7)의 내부로부터 하부몸체(110)의 하부를 통하여 이동하는 유증기는 상부몸체(120)를 통하여 대기로 나가게 된다.
이 때, 패킹부재(123)는 유류탱크(7)의 내부에 생성된 유증기의 소정 압력에 따라 압축스프링(121)의 탄성을 이기고 상승하게 되는 등, 상기 지지부(124)에 형성된 구멍을 막고 있는 패킹부재(123)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패킹부재(123)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패킹부재(123)에 의해 막혀 있던 지지부(124)의 구멍이 개방되면서 상기 지지부(124)의 개방된 구멍을 통해 유증기가 대기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 때, 대기로 배출되는 유증기의 경우 유류탱크(7)의 내부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되는 유증기의 양이 많지 않은 관계로 외부 즉, 대기에 그대로 유출시켜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조차량(2)으로부터 유류탱크(7) 내부로 유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호스(162)를 연결시키게 되면, 패킹판(145)이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부(140) 내부에 형성된 구멍이 개방되게 되면서 상기 유류탱크(7)에 공급되는 유류의 양만큼 발생된 유증기는 유류탱크(7)로부터 하부몸체(110)의 하부를 거쳐 상기 개방된 지지부(140)의 구멍을 통하여 호스(162)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회수된 유증기는 유조차량(2)의 상단에 구비된 회수탱크(5)에 회수되어 대기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외부의 소정의 장소에서 처리된다.
이 때, 상기 패킹부재(123)는 우측몸체(15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유증기의 압력차에 의해 닫힘에 따라 유증기는 상부몸체(12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유류탱크(7)내의 유증기 압력은 유류의 저장 정도에 따라 가변적인데, 이 때 가변적인 유증기 압력에 따라 패킹부재(123)의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유해성 가스인 유증기가 회수되지 않고 대기에 그대로 방출되어 유증기에 의한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는 등, 유증기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없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또 다른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 0358432 호)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와 마찬가지로 유류탱크(7) 내 유증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질량체(210)를 상하 이동시켜 접촉부로부터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유증기가 상부방향으로 유출 또는 차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미 설명 부호 211은 축, 210은 질량체, 201은 접촉부, 212는 하부축, 200은 몸체, 222는 헤드부, 221은 경사부, 220은 지지축, 223은 패킹판, 225는 압 축스프링, 224는 플레이트, 240은 마개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 전술한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실용신안등록 제 0328045 호)와 마찬가지로 유류탱크(7) 내의 유증기의 압력이 가변적이면서 그 압력의 세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그 압력을 이용하여 기구적인 작동을 구현하기가 매우 힘들며, 상기와 같은 작동에 있어 많은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유조차량의 호스 연결시 수평으로 이동되는 수평밸브장치에 의해 유조차량의 회수탱크로 통하는 유증기 유동경로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밸브장치와 대응되어 상하로 연동되는 수직밸브장치에 의해 대기로 통하는 유증기 유동경로가 차단되도록 유증기 회수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유류탱크 내에 생성된 유증기 압력을 통해 작동되었던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에 비해 보다 정확한 기구적 작동을 구현하여 유류탱크 내 발생된 유증기가 대기로 배출되지 않고 유조차량의 회수탱크로 회수하여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증기 회수장치의 상/하단에 너트 체결을 위한 숫나사 형태의 상부체결부 및 하부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주유소 등 지하에 매설된 유류탱크로부터 대기 상에 접하도록 연결 설치된 유증기 방출 파이프에 별도의 공사없이 간단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유류탱크 내에생성된 유증기 압력을 통해 작동되었던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에 비해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유증기 회수장치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저렴해지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유류탱크 내 잔량의 유류를 전부 비운 다음 상기 유증기 회수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관계로 약 2∼3일 정도의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데 비해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는 유류탱크로부터 잔량의 유류를 비우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등, 종래에 비해 유증기 회수장치의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는, 유류탱크 내의 유증기를 유조차량의 회수탱크로 회수되도록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에 있어서;
"T"자 형태로 형성된 중공의 몸체와;
너트 체결을 통해 유류탱크측 상/하부파이프가 각기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의 상/하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체결부와;
상기 몸체의 중앙 단부에 유조차량측 호스가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연결부가 체결되는 중앙체결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체결부 내에 설치되며, 중앙체결부측의 수평밸브장치와 대응되어 상하이동을 통해 대기로 통하는 유증기 경로를 개폐하는 수직밸브장치와;
상기 몸체의 중앙체결부 내에 설치되며, 유조차량측 호스 결합에 의한 전후이동을 통해 회수탱크로 통하는 유증기 경로를 개폐하는 수평밸브장치와;
상기 상부 및 하부체결부와 유류탱크측 상/하부파이프 사이에 유증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설치된 밀봉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몸체의 상부체결부 내측에는 수직밸브장치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하측 단부 내에는 유류탱크측의 상부파이프 및 하부파이프가 각각 결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밸브장치는 상부체결부 내측의 돌기부 상단에 나사 고정되며, 유증기 유동홀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관통 설치되어 중앙체결부측 수평밸브장치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패킹부재의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직이송축과; 상기 수직이송축과 안착부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밸브장치의 전후이동에 따라 가압된 수직이송축을 원위치로 탄성복원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수직이송축과 결합된 상태로 안착부 상단에 설치되며, 수직이송축의 상하이동을 통해 유증기 유동홀을 개방/밀폐시키면서 대기로 통하는 유증기의 경로를 개폐하는 패킹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는 각 유증기 유동홀로부터 배출된 유증기가 한 곳에 모여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유증기 유동홀과 연통되게 유증기 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직이송축의 하단 외주면에는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돌기 하단에는 전후이동되는 수평밸브장치의 수평이송축과 대응되는 작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이송축의 상단에는 결합된 패킹부재의 이탈 방지를 위한 패킹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밸브장치는 중앙체결부에 체결된 연결부 내측에 결합되며, 유증기 유동홀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시트에 관통 설치되어 유조차량측 호스의 결합 유무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패킹부재의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평이송축과; 상기 수평이송축의 일측단과 나사 결합되어 밸브시트의 하단측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재와;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를 통해 밸브시트의 하단에 고정되어 유조차량측 호스의 분리시 가압된 수평이송축을 원위치로 탄성복원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수평이송축과 결합된 상태로 밸브시트 상단에 설치되며, 수평이송축의 전후이동을 통해 유증기 유동홀을 개방/밀폐시키면서 회수탱크로 통하는 유증기의 경로를 개폐하는 패킹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시트의 상단에는 유류탱크측으로부터 배출된 유증기가 밸브시트 상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각 유증기 유동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유증기 유동홀과 연통되게 유증기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시트 하단에는 스프링의 일측이 삽착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평이송축은 유조차량측 호스의 결합 유무에 따른 전후 이동시 수직이송축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이송축의 작동부와 대응되는 전방축과; 상기 전방축 일단에 체결되어 유조차량측 호스의 결합에 따른 전방축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가압력을 전방축으로 전달하는 후방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축의 일측단에는 수평이송축의 전후이동에 따른 수직이송축 작동부의 상하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사부를 갖는 확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송축의 작동부는 경사부 및 확경부로 이루어진 전방축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수직이송축의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하단에는 안착부 또는 밸브시트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고무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고무패킹 하단에는 패킹부재 하단에 설치된 고무패킹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지지워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밀봉링은 탄성을 갖는 일반고무재나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밀봉링은 상부체결부 및 하부체결부와 각 너트간의 체결시 유류탱크측 상/하부파이프의 고정력 및 상기 상/하부체결부와 유류탱크측 상/하부파이프 사이의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일측단의 외경이 타측단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는, 유류탱크(7) 내의 유증기를 유조차량(2)의 회수탱크(5)로 회수되도록 하는 일종의 밸브체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T"자 형태로 형성된 중공의 몸체(500)와; 너트(704,701) 체결을 통해 유류탱크(7)측 상/하부파이프(503,502)가 각기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500)의 상/하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체결부(504) 및 하부체결부(501)와; 상기 몸체(500)의 중앙 단부에 유조차량(2)측 호스(6)가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연결부(801)가 체결되는 중앙체결부(505)와; 상기 몸체(500)의 상부체결부(504) 내에 설치되며, 중앙체결부(505)측의 수평밸브장치(805)와 대응되어 상하이동을 통해 대기로 통하는 유증기 경로를 개폐하는 수직밸브장치(600)와; 상기 몸체(500)의 중앙체결부(505) 내에 설치되며, 유조차량(2)측 호스(6) 결합에 의한 전후이동을 통해 회수탱크(5)로 통하는 유증기 경로를 개폐하는 수평밸브장치(805)와; 상기 상부체결부(504) 및 하부체결부(501)와 유류탱크(7)측 상/하부파이프(503,502) 사이에 유증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설치된 밀봉링(702,70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 중 상기 몸체(5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내부가 빈 중공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몸체(500)의 상/하측 단부 외주면에는 숫나사 형태의 상부체결부(504)와 하부체결부(50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체결부(504) 및 하부체결부(501)와 너트(704,701)간의 체결에 의한 조임력을 통해 유류탱크(7)측의 상부파이프(503) 및 하부파이프(502)가 몸체(500)의 상/하단에 각각 고정됨은 물론, 상기한 몸체(500)를 통해 유류탱크(7)측 하부파이프(502)와 연결된 상부파이프(503)가 대기에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500)의 중앙 단부 내주면에 역시 몸체(500)의 상/하측 단부에 형성된 상부체결부(504) 및 하부체결부(501)와 마찬가지로 유조차량(2)측 호스(6)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연결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수평밸브장치(805)가 결합된 밸브시트(810)를 상기 몸체(500)의 중앙 단부 내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801)가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 형태의 중앙체결부(505)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연결부(801)의 경우 중공의 원통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500)의 중앙 단부의 중앙체결부(505)와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단의 외주면엔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나사가 형성된 일측단의 외주면 내측엔 밸브시트(810)와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801)의 외주면에는 유조차량(2)측의 호스(6)가 연결부(801)에 체결될 때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홈(802)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몸체(500)의 상/하측 단부 내주면에는 유류탱크(7)측의 상부파이프(503)와 하부파이프(502)가 상기 몸체(500)의 상/하측에 각기 결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50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몸체(500)의 상부체결부(504) 내측 즉, 상기 상부체결부(504)측에 형성된 걸림턱(506)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801) 및 밸브시트(810)를 통해 중앙체결부(505)측에 고정된 수평밸브장치(805)와의 대응작용을 통해 상하이동하는 수직밸브장치(600) 및 상기 수직밸브장치(600)를 고정 지지하는 안착부(510)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부(50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부(508)에는 상기 안착부(510)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관통홀(509)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 중 상기 수직밸브장치(600)는, 몸체(500)의 상부체결부(504)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801) 및 밸브시트(810)를 통해 중앙체결부(505)측에 고정된 수평밸브장치(805)와의 대응작용을 통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유류탱크(7)로부터 대기로 통하는 유증기의 경로를 개폐하는 요소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체결부(504) 내측의 돌기부(508) 상단에 나사 고정되며, 유증기 유동홀(512)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 안착부(510)와; 상기 안착부(510)에 관통 설치되어 중앙체결부(505)측 수평밸브장치(805)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패킹부재(601)의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직이송축(602)과; 상기 수직이송축(602)과 안착부(510)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밸브장치(805)의 전후이동에 따라 가압된 수직이송축(602)을 원위치로 탄성복원시키는 스프링(606)과; 상기 수직이송축(602)과 결합된 상태로 안착부(510) 상단에 설치되며, 수직이송축(602)의 상하이동을 통해 유증기 유동홀(512)을 개방/밀폐시키면서 대기로 통하는 유증기의 경로를 개폐하는 패킹부재(601)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수직밸브장치(600)의 구성요소 중 안착부(510)의 경우, 전체 형상이 원뿔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중앙엔 수직이송축(602)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 주위의 원주면에는 유류탱크(7)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증기가 안착부(5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유증기 유동홀(512)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510)의 상단에는 각 유증기 유동홀(512)을 통해 배출된 유증기가 한 곳에 모여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유증기 유동홀(512)과 연통되는 유증기 배출홀(513)이 형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511은 나사홀(511)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밸브장치(600)의 구성요소 중 수직이송축(602)의 경우, 중앙체결부(505)측 수평밸브장치(805)의 전후이동에 따라 안착부(510) 내부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패킹부재(601)의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요소로서, 상기 수직이송축(602)의 상단엔 상기 결합된 패킹부재(601)의 이탈 방지를 위한 패킹 지지부(60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이송축(602)의 하단 외주면에는 스프링(606)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돌기(605)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지지돌기(605) 하단에는 전후이동되는 수평밸브장치(805)의 수평이송축(825)과 대응되는 작동부(607)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작동부(607)의 경우 수평밸브장치(805)의 수평이송축(825) 중 경사부(832) 및 확경부(831)로 이루어진 전방축(83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수직이송축(602)의 상하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직밸브장치(600)의 구성요소 중 패킹부재(601)의 경우, 수직이송축(602)의 상하이동을 통해 안착부(510)의 유증기 유동홀(512)을 개방/밀폐시키면서 대기로 통하는 유증기의 경로를 개폐하는 요소로서, 전체 형상이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그 하단에는 안착부(510) 또는 밸브시트(810)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고무패킹(60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패킹(603) 하단에는 패킹부재(601) 하단에 설치된 고무패킹(603)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지지워셔(60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 중 상기 수평밸브장치(805)는, 몸체(500)의 중앙체결부(505) 내에 설치되어 유조차량(2)측 호스(6)의 결합 유무에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유류탱크(7)로부터 유조차량(2)의 회수탱크(5)로 통하는 유증기의 경로를 개폐하는 요소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체결부(505)에 체결된 연결부(801) 내측에 결합되며, 유증기 유동홀(813)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 밸브시트(810)와; 상기 밸브시트(810)에 관통 설치되어 유조차량(2)측 호스(6)의 결합 유무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패킹부재(820)의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평이송축(825)과; 상기 수평이송축(825)의 일측단과 나사 결합되어 밸브시트(810)의 하단측에 설치되는 스프링(84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재(840)와;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840)를 통해 밸브시트(810)의 하단에 고정되어 유조차량(2)측 호스(6)의 분리시 가압된 수평이송축(825)을 원위치로 탄성복원시키는 스프링(842)과; 상기 수평이송축(825)과 결합된 상태로 밸브시트(810) 상단에 설치되며, 수평이송축(825)의 전후이동을 통해 유증기 유동홀(813)을 개방/밀폐시키면서 회수탱크(5)로 통하는 유증기의 경로를 개폐하는 패킹부재(82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수평밸브장치(805)의 구성요소 중 밸브시트(810)의 경우, 중앙체결부(505)에 체결된 연결부(801) 내측의 암나사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원통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중앙엔 수직이송축(602)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 주위의 원주면에는 유류탱크(7)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증기가 밸브시트(8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유증기 유동홀(813)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시트(810)의 상단에는 유류탱크(7)측으로부터 배출된 유증기가 밸브시트(810) 상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유입된 유증기가 각 유증기 유동홀(81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유증기 유동홀(813)과 연통되는 유증기 유입홀(8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시트(810) 하단에는 스프링(842)의 일측이 삽착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 결합돌기(8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밸브장치(805)의 구성요소 중 수평이송축(825)의 경우, 유조차량(2)측 호스(6)의 결합 유무에 따라 밸브시트(810) 내부를 전후로 이동하면서 패킹부재(820)의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요소로서, 상기 유조차량(2)측 호스(6)의 결합 유무에 따른 전후 이동시 수직이송축(602)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이송축(602)의 작동부(607)와 대응되는 전방축(830)과; 상기 전방축(830) 일단에 체결되어 유조차량(2)측 호스(6)의 결합에 따른 전방축(830)이 전방(前方)으로 이동될 수 있게 가압력을 전방축(830)으로 전달하는 후방축(850)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전방축(830)의 일측단에는 수평이송축(825)의 전후이동에 따른 수직이송축(602) 작동부(607)의 상하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사부(832)를 갖는 확경부(8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평밸브장치(805)의 구성요소 중 패킹부재(820)의 경우, 수평이송축(825)의 전후이동을 통해 밸브시트(810)의 유증기 유동홀(813)을 개방/밀폐시키면서 회수탱크(5)로 통하는 유증기의 경로를 개폐하는 요소로서, 전체 구조가 전술한 수직밸브장치(600)의 구성요소인 패킹부재(601)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 설명 부호 821, 822는 패킹부재(820) 하단에 설치된 고무패킹(821) 및 상기 고무패킹(821)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지지워셔(822)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 중 상기 밀봉링(702,706)은, 몸체(500)의 상부체결부(504) 및 하부체결부(501)와 유류탱크(7)측의 상부파이프(503)와 하부파이프(50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체결부(504) 및 하부체결부(501)에 체결되는 너트(704,701)의 가압력을 통해 각 체결부와 파이프 사이를 밀폐하여 유증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요소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체결부(504) 및 하부체결부(501)와 각 너트(704,701)간의 체결시 유류탱크(7)측 상부파이프(503) 및 하부파이프(502)의 고정력과 함께, 몸체(500)의 상부체결부(504) 및 하부체결부(501)와 유류탱크(7)측의 상부파이프(503) 및 하부파이프(502) 사이에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일측단의 외경이 타측단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등 상기 밀봉링(702,706)의 외경이 경사져 있으며, 이러한 밀봉링(702,706)의 경우 탄성을 갖는 일반고무재나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에 대한 작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유류탱크(7)의 상부파이프(503) 및 하부파이프(502) 사이에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가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평상시에는 상기 유증기 회수장치의 구성요소 중 연결부(801) 및 밸브시트(810)를 통해 몸체(500)의 중앙체결부(505)측에 고정된 수평밸브장치(805)의 수평이송축(825) 즉, 상기 수평이송축(825)의 전방축(830) 확경부(831)에 상기 몸체(500)의 상부체결부(504) 내에 설치된 수직밸브장치(600) 중 수직이송축(602)의 작동부(607)가 위치됨에 따라 상기 확경부(831)에 의한 수직이송축(602)이 스프링(606)을 가압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와 연동적으로 상기 수직이송축(602)에 고정된 패킹부재(601) 역시 상기 수직이송축(602)의 상승작용에 의해 상부체결부(504) 내측 돌기부(508)에 고정된 안착부(510)의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밀폐되었던 안착부(510)의 유증기 유동홀(512)이 개방되는 등, 상기 수직밸브장치(600)의 상승에 따른 몸체(500)의 상하단이 항시 개방된 상태가 되어 유류탱크(7) 내의 유증기가 개방된 안착부(510)의 유증기 유동홀(512)을 통해 대기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이송축(602) 상승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 즉, 몸체(500)의 상하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조차량(2)측 호스(6)를 몸체(500)의 중앙체결부(505)에 체결된 연결부(801)에 결합하게 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6) 내에 형성된 돌기부(미도시)의 가압작용에 의해 수평밸브장치(805) 즉, 수평이송축(825)의 후방축(850)에 결합된 스프링 지지부재(840)와 수평이송축(825) 및 상기 연결부(801) 내에 체결된 밸브시트(810)의 유증기 유동홀(813)을 밀폐하고 있던 패킹부재(820)가 전방(前方)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패킹부재(820)에 의해 밀폐되어 있던 밸브시트(810)의 유증기 유동홀(813)이 점차적으로 개방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수평이송축(825) 중 전방축(830)의 확경부(831)에 위치되어 있던 수직이송축(602)의 작동부(607)가 상기와 같은 수평이송축(825)의 전방(前方) 이동에 따라 상기 확경부(831) 및 경사부(832)를 따라 전방축(830)의 외주면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전방축(830)의 확경부(831)에 의해 상승되었던 수직이송축(602)이 가압된 스프링(606)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하강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동부(607)의 슬라이딩 작용을 통해 수직이송축(602)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수직이송축(602)의 상단에 결합된 패킹부재(601) 역시 상기 하강하는 수직이송축(602)과 더불어 하강하면서 개방되었던 안착부(510)의 유증기 유동홀(512)을 밀폐하게 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하강된 수직이송축(602)의 패킹부재(601)에 의해 안착부(510)의 유증기 유동홀(512)이 밀폐되게 되면, 상기 유류탱크(7)측으로부터 몸체(500) 내로 배출된 유증기는 배출된 유증기는 밀폐된 안착부(510)의 유증기 유동홀(512)을 통해 상부파이프(503)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호스(6) 결합을 통해 개방된 밸브시트(810)의 유증기 유동홀(813)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부(801)와 결합된 호스(6) 측으로 배출되게 되고, 상기 호스(6) 측으로 배출된 유증기는 유조차량(2)의 회수탱크(5)로 회수되어 소정의 장소에서 소각 또는 소정의 방법으로 처리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증기를 회수한 후 상기 호스(6)를 몸체(500)의 중앙체결부(505)에 체결된 연결부(801)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호스(6) 내 돌기부의 가압작용을 통해 압축되었던 스프링(842) 즉, 수평이송축(825)에 삽착되어 스프링 지지부재(840)와 밸브시트(810) 하단 사이에 지지 고정된 스프링(8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평이송축(825) 및 패킹부재(820)가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패킹부재(820)에 의해 개방되었던 밸브시트(810)의 유증기 유동홀(813)을 밀폐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이송축(602)의 작동부(607)가 다시 수평이송축(825)의 구성요소인 전방축(830)의 확경부(831)에 위치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몸체(500) 상하단의 개방상태 즉, 상기 확경부(831)에 의한 수직이송축(602) 및 패킹부재(601)가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패킹부재(601)에 의해 밀폐되었던 안착부(510)의 유증기 유동홀(512)이 개방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류탱크(7) 내 잔량의 유증기가 대기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는, 유조차량의 호스 연결시 수평으로 이동되는 수평밸브장치에 의해 유조차량의 회수탱크로 통하는 유증기 유동경로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밸브장치와 대응되어 상하로 연동되는 수직밸브장치에 의해 대기로 통하는 유증기 유동경로가 차단되도록 유증기 회수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유류탱크 내 생성된 유증기 압력을 통해 작동되었던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에 비해 보다 정확한 기구적 작동을 구현하여 유류탱크 내에 발생된 유증기가 대기로 배출되지 않고 유조차량의 회수탱크로 회수하여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증기 회수장치의 상/하단에 너트 체결을 위한 숫나사 형태의 상부체결부 및 하부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주유소 등 지하에 매설된 유류탱크로부터 대기 상에 접하도록 연결 설치된 유증기 방출 파이프에 별도의 공사없이 간단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있다.
그리고, 유류탱크 내에 생성된 유증기 압력을 통해 작동되었던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에 비해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유증기 회수장치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저렴해지는 효과도 있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유증기 회수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유류탱크 내 잔량의 유류를 전부 비운 다음 상기 유증기 회수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관계로 약 2∼3일 정도의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데 비해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는 유류탱크로부터 잔량의 유류를 비우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등, 종래에 비해 유증기 회수장치의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유증기 회수장치가 실제 주유소에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종래 유증기 회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 유증기 회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증기 회수장치에 대한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유조차량 4. 파이프
5. 회수탱크 6. 호스
7. 유류탱크 500. 몸체
501. 하부체결부 502. 하부파이프
503. 상부파이프 504. 상부체결부
505. 중앙체결부 506. 걸림턱
508. 돌기부 510. 안착부
512, 813. 유증기 유동홀 513. 유증기 배출홀
600. 수직밸브장치 601, 820. 패킹부재
602. 수직이송축 603. 고무패킹
604. 지지워셔 605. 스프링 지지돌기
606, 842. 스프링 607. 작동부
608. 패킹 지지부 701, 704. 너트
702, 706. 밀봉링 801. 연결부
802. 결합홈 805. 수평밸브장치
810. 밸브시트 811. 스프링 결합돌기
812. 유증기 유입홀 825. 수평이송축
830. 전방축 831. 확경부
832. 경사부 840. 스프링 지지부재
850. 후방축

Claims (14)

  1. 유류탱크 내의 유증기를 유조차량의 회수탱크로 회수되도록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에 있어서;
    "T"자 형태로 형성된 중공의 몸체와;
    너트 체결을 통해 유류탱크측 상/하부파이프가 각기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의 상/하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체결부와;
    상기 몸체의 중앙 단부에 유조차량측 호스가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연결부가 체결되는 중앙체결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체결부 내에 설치되며, 중앙체결부측의 수평밸브장치와 대응되어 상하이동을 통해 대기로 통하는 유증기 경로를 개폐하는 수직밸브장치와;
    상기 몸체의 중앙체결부 내에 설치되며, 유조차량측 호스 결합에 의한 전후이동을 통해 회수탱크로 통하는 유증기 경로를 개폐하는 수평밸브장치와;
    상기 상부 및 하부체결부와 유류탱크측 상/하부파이프 사이에 유증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설치된 밀봉링을 구비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의 상부체결부 내측에는 상기 수직밸브장치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하측 단부 내에는 유류탱크측의 상부파이프 및 하부파이프가 각각 결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밸브장치는 상부체결부 내측의 돌기부 상단에 나사 고정되며, 유증기 유동홀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관통 설치되어 중앙체결부측 수평밸브장치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패킹부재의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직이송축과;
    상기 수직이송축과 안착부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밸브장치의 전후이동에 따라 가압된 수직이송축을 원위치로 탄성복원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수직이송축과 결합된 상태로 안착부 상단에 설치되며, 수직이송축의 상하이동을 통해 유증기 유동홀을 개방/밀폐시키면서 대기로 통하는 유증기의 경로를 개폐하는 패킹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는 각 유증기 유동홀로부터 배출된 유증기가 한 곳에 모여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유증기 유동홀과 연통되게 유증기 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축의 하단 외주면에는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돌기 하단에는 전후이동되는 수평밸브장치의 수평이송축과 대응되는 작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이송축의 상단에는 결합된 패킹부재의 이탈 방지를 위한 패킹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밸브장치는 중앙체결부에 체결된 연결부 내측에 결합되며, 유증기 유동홀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시트에 관통 설치되어 유조차량측 호스의 결합 유무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패킹부재의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평이송축과;
    상기 수평이송축의 일측단과 나사 결합되어 밸브시트의 하단측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재와;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를 통해 밸브시트의 하단에 고정되어 유조차량측 호스의 분리시 가압된 수평이송축을 원위치로 탄성복원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수평이송축과 결합된 상태로 밸브시트 상단에 설치되며, 수평이송축의 전후이동을 통해 유증기 유동홀을 개방/밀폐시키면서 회수탱크로 통하는 유증기의 경로를 개폐하는 패킹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의 상단에는 유류탱크측으로부터 배출된 유증기가 밸브시트 상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각 유증기 유동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유증기 유동홀과 연통되게 유증기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시트 하단에는 스프링의 일측이 삽착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축은 유조차량측 호스의 결합 유무에 따른 전후 이동시 수직이송축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이송축의 작동부와 대응되는 전방축과;
    상기 전방축 일단에 체결되어 유조차량측 호스의 결합에 따른 전방축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가압력을 전방축으로 전달하는 후방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축의 일측단에는 수평이송축의 전후이동에 따른 수직이송축 작동부의 상하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사부를 갖는 확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축의 작동부는 경사부 및 확경부로 이루어진 전방축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수직이송축의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12.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하단에는 안착부 또는 밸브시트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고무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고무패킹 하단에는 패킹부재 하단에 설치된 고무패킹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지지워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은 탄성을 갖는 일반고무재나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은 상부체결부 및 하부체결부와 각 너트간의 체결시 유류탱크측 상/하부파이프의 고정력 및 상기 상/하부체결부와 유류탱크측 상/하부파이프 사이의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일측단의 외경이 타측단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KR1020050017688A 2004-06-16 2005-03-03 유증기 회수장치 KR100515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761A KR20040062515A (ko) 2004-06-16 2004-06-16 유증기 회수장치
KR1020040044761 2004-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5729B1 true KR100515729B1 (ko) 2005-09-20

Family

ID=373048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761A KR20040062515A (ko) 2004-06-16 2004-06-16 유증기 회수장치
KR1020050017688A KR100515729B1 (ko) 2004-06-16 2005-03-03 유증기 회수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761A KR20040062515A (ko) 2004-06-16 2004-06-16 유증기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00625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726B1 (ko) * 2005-02-14 2006-06-30 구광모 볼밸브가 설치된 유증기 회수장치
KR100596073B1 (ko) * 2004-11-23 2006-07-05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증기 회수장치
CN103523417A (zh) * 2013-10-30 2014-01-22 海湾环境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储油罐呼吸气回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510B1 (ko) * 2013-09-27 2014-05-08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류 저장탱크의 유해가스 치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73B1 (ko) * 2004-11-23 2006-07-05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증기 회수장치
KR100594726B1 (ko) * 2005-02-14 2006-06-30 구광모 볼밸브가 설치된 유증기 회수장치
CN103523417A (zh) * 2013-10-30 2014-01-22 海湾环境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储油罐呼吸气回收系统
CN103523417B (zh) * 2013-10-30 2015-12-09 海湾环境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储油罐呼吸气回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515A (ko)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35757Y2 (ko)
US3715032A (en) Fluid treatment devices
CA1316505C (en) Valve for a container for dispensing a pressurized fluid
US2845085A (en) Separable, yieldable mounting for valves
KR100515729B1 (ko) 유증기 회수장치
JP2774198B2 (ja) 負圧トイレシステムとその排出弁
JPH02501157A (ja) 自動ドレーンバルブ
US2923308A (en) Irrigation coupler gasket
JP5266052B2 (ja) 高圧空気パルスを制御するための弁
US6341624B1 (en) Valve for cryogenic fluid
US5082238A (en) Nonjamming vacuum valve having tapered plunger
US5498138A (en) Sampling pump having a fluid motor pressure regulator
US20040074538A1 (en) Pressur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s
USRE27626E (en) Beer tapping device
US92538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nging coolant in a linear accelerator
CA2039288C (en) Main valve and seat for use in filling containers to a predetermined level
WO1989004399A1 (en) Tar-spray with valve
US6957674B2 (en) Locking fuel nozzle
ZA974253B (en) Device for removing fluid from a container with pressurized air and thereafter placing the container under vacuum.
CN213452842U (zh) 一种lpg小型储罐的排污结构
KR100594726B1 (ko) 볼밸브가 설치된 유증기 회수장치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CN209196166U (zh) 一种水利控制阀
CN108579823B (zh) 一种采用分配器贴近树脂床层运行的工艺
US3785394A (en) Water control valv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