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246B1 -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246B1
KR101631246B1 KR1020150081005A KR20150081005A KR101631246B1 KR 101631246 B1 KR101631246 B1 KR 101631246B1 KR 1020150081005 A KR1020150081005 A KR 1020150081005A KR 20150081005 A KR20150081005 A KR 20150081005A KR 101631246 B1 KR101631246 B1 KR 101631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inclined surface
duct member
width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Priority to KR102015008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가온기과 2개의 순환팬을 이용하여 열풍을 챔버 내부의 원단측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열풍의 온도 편차를 억제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는,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100)와;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온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측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갖는 덕트부재(300)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 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300)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500A,500B) 측으로 송풍하는 제1,2순환팬(450a,450b); 및 상기 덕트부재(300)에 마련되며, 상기 덕트부재(30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열풍을 중앙측으로 집중시키도록 유로의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좌,우측의 제1경사면(610)과, 상기 제1경사면(610)의 단부 각각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측의 수평면(620) 및 상기 수평면(620)의 단부 각각으로부터 유로의 폭이 확대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부재(300)의 좌,우 내측면과 연결되는 제2경사면(630)으로 구성되는 믹싱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믹싱부(600)는 일단부측이 상기 제1경사면(6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측이 제1경사면(610)에 대응되도록 유로의 중앙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면(652) 및 상기 가이드면(652)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면(620)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절곡면(654)으로 구성되어, 상기 일단부측의 결합위치에 따라 유로의 폭이 가변조절되는 폭조절판(6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A HOT WIND GUIDE STRUCTURE FOR TENTER MACHINE}
본 발명은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가온기에서 발생된 열풍을 온도 편차 없이 2개의 제1,2순환팬측에 공급함으로써, 원단의 상,하측으로 분사된 열풍의 온도 차를 줄여서 원단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織物) 또는 편직물(編織物)등의 직물원단의 가공처리과정에는 염색 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히트세팅(heat setting)공정, 염색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건조(drying)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 등이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텐터기(tenter machine)가 사용된다.
종래 텐터기는 상측 공간에 직물원단이 수평으로 통과하며 직물원단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 단부에 각각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가 구비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열풍생성덕트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열기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에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복수개의 열풍출구를 가지는 열풍공급덕트와;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열풍출구에 유입단이 장착되며 타단이 폐쇄되는 채널형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직물원단에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된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과;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내의 공기를 상기 가열기와 열풍생성덕트를 통해 흡입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상기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송풍하여 열풍이 열풍분사노즐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는 직물원단의 처리에 이송속도와 처리조건에 대응하여 그 전체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챔버는 그 전체 길이를 등분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챔버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는 각각 상기 단위챔버 중 상ㆍ하류단에 설치되는 상ㆍ하류단 단위챔버에 구비된다.
종래의 텐터기에 의하여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및 수축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직물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송풍기와 가열기를 가동시키면 송풍기에 의하여 챔버 내부의 공기가 가열기를 통해 열풍생성덕트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가열기와 접촉하면서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되어 180℃ 내지 220℃ 정도의 열풍이 생성되며, 생성된 열풍은 송풍기에 의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다.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열풍분사노즐의 노즐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하면에 분사되어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또는 수축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기존 텐터기의 열풍 공급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3898호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등록일자 : 2006.08.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 열풍 분사덕트와, 상기 열풍 분사덕트측으로 열풍을 안내하기 위해 일측에 연통 설치되어진 공기안내덕트와, 상기 공기안내덕트측으로 열풍을 강제 순환 공급시키는 순환팬과, 챔버내에서 회수된 공기를 상기 순환팬측으로 안내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를 통해 안내되어지는 공기를 재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텐터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덕트는 순환팬에 의해 강제 이송되어진 열풍을 각각 분기시켜 상,하 열풍 분사덕트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 분기덕트와 하부 분기덕트로 구비되어지되, 각각의 분기덕트는 중간 구획벽에 의해 상호 동일한 형상 및 길이의 안내유로를 이루도록 된 것이다.
기존 텐터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7960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등록일자 : 2015.02.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온기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유도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와 연결되고 중간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제1,2안내유로를 가지며 덕트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열풍을 분기시켜 전달하기 위한 상,하부 분기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에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하부 분기덕트로부터 각각 분기된 열풍을 공급받아 챔버 내로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기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측으로 송풍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제1,2순환팬과,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고 제어부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되어 상기 제1,2순환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2구동모터를 구비한다.
그런데, 기존 하나의 가온기(버너)에서 발생된 열풍을 유도하는 덕트부재를 통해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측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제1,2순환팬으로 각각 공급하는 과정에서 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를 통해 원단의 상,하측으로 열풍이 분사될 경우 분사되는 열풍의 온도 편차로 인해 원단에 수축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2개의 가온기로 각각 열풍을 공급할 수도 있으나, 2개의 가온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배선설비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3898호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등록일자 : 2006.08.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7960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등록일자 : 2015.02.25)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가온기과 2개의 순환팬을 이용하여 열풍을 챔버 내부의 원단측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열풍의 온도 편차를 억제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와;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온기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측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갖는 덕트부재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 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 측으로 송풍하는 제1,2순환팬; 및 상기 덕트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덕트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열풍을 중앙측으로 집중시키도록 유로의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좌,우측의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의 단부 각각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측의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의 단부 각각으로부터 유로의 폭이 확대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부재의 좌,우 내측면과 연결되는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는 믹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믹싱부는 일단부측이 상기 제1경사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측이 제1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유로의 중앙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면 및 상기 가이드면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절곡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일단부측의 결합위치에 따라 유로의 폭이 가변조절되는 폭조절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면은 단부에 상기 제2경사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경사진 연장면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면은 제1경사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경사면은 길이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조립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폭조절판의 가이드면은 하측부에 상기 조립홈부와 대응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조립홈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립공과 대응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립공과 결합공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제1경사면에 폭조절판의 가이드면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경사면은 덕트부재의 내측면에 대해 30~60°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폭조절판이 없을 경우에는 좌,우측 서로 대칭되는 사다리꼴 형태의 믹싱부 제1경사면과 수평면을 통과하는 중에 외부 공기가 가온된 상태에서 충분히 혼합되어 온도 편차를 줄인 상태에서 상,하부 분기덕트 측으로 공급되고, 폭조절판이 믹싱부에 더 구비된 경우에는 덕트부재의 유로 폭을 가변 조절하여 열풍의 혼합 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버너로 2개의 제1,2순환팬 측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 편차를 줄여서 원단의 상,하측으로 열풍이 분사될 경우 온도 차로 인한 원단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폭조절판의 가이드면과 믹싱부의 제1경사면이 돌출부와 조립홈부에 의해 요철 결합될 경우, 폭조절판의 좌,우 유동이 억제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변형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100)와,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온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측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갖는 덕트부재(300)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 내에 각각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300)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500A,500B) 측으로 송풍하는 제1,2순환팬(450a,450b)과, 상기 열풍이 공급되는 유로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덕트부재(3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믹싱부(60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가온기(100)는 버너를 채택할 수 있으며, 하나의 가온기(100)로 덕트부재(30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온기(100)와 덕트부재(300) 사이에는 가온기(100)의 불꽃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보호커버(150)가 마련되고, 보호커버(150)의 외측 좌,우측에 덕트부재(300)의 내부로 투입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200)가 각각 마련된다.
상부 분기덕트(400A)는 원단의 상측에서 열풍을 분사하기 위한 상부 열풍 분사덕트(500A)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하부 분기덕트(400B)는 원단의 하측에서 열풍을 분사하기 위한 하부 열풍 분사덕트(500B)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제1순환팬(450a)은 상부 분기덕트(400A)의 내부에 배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 구동되어 열풍을 상부 열풍 분사덕트(500A)측으로 송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순환팬(450b)은 하부 분기덕트(400B)의 내부에 배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회전 구동되어 열풍을 하부 열풍 분사덕트(500B)측으로 송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는 덕트부재(300)의 출구로부터 좌,우측으로 분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믹싱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부재(300)에 마련되며, 상기 덕트부재(30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열풍을 중앙측으로 집중시키도록 유로의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좌,우측의 제1경사면(610)과, 상기 각각의 제1경사면(610)의 단부 각각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좌,우측의 수평면(620)과, 상기 각각의 수평면(620)의 단부 각각으로부터 유로의 폭이 확대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부재(300)의 좌,우 내측면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경사면(630)으로 구성된다.
즉, 믹싱부(600)는 좌,우 서로 대칭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되며, 덕트부재(300)의 유로 폭을 축소시켜 좌,우측 필터부재(200)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공기가 보호커버(150)를 통과하면서 가온된 후에 믹싱부(600)를 통과하면서 혼합되도록 한다.
제1경사면(610)은 덕트부재(300)의 내측면에 대해 30~60°의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30°미만의 경사각일 경우에는 열풍을 중앙측으로 집중시키는 가이드 효율이 저하되고, 60°의 경사각을 초과할 경우에는 열풍이 제1경사면(610)에 부딪히게 되어 열풍의 흐름이 자연스럽지 못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온기(100; 버너)에 불꽃이 점화되면 보호커버(150)가 승온되고, 좌,우측의 필터부재(200)를 통과하여 필터링된 공기가 가온기(100)에 의해 승온된 보호커버(150)를 통과하면서 열풍으로 변환되고, 열풍이 좌,우측의 제1경사면(610)의 표면을 따라 수평면(620) 측으로 가이드되면서 통과하는 중에 서로 혼합되어 믹싱된 상태로 좌,우측의 제2경사면(630)을 통과하게 된다.
또한, 믹싱부(6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대칭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되어 유로가 좁아지면서 열풍의 흐름 속도가 빨라지며 부압이 생성되는 벤튜리관의 원리가 적용됨에 따라 좌,우측의 필터부재(200)를 통과한 공기가 용이하게 혼합된 후에 좌,우측의 제2경사면(630)을 통과한 후에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 내부로 분기되어 공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 믹싱부(600)의 다른 실시예는 일단부측이 상기 제1경사면(6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측이 유로의 중앙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일단부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유로의 폭을 가변 조절하기 위한 폭조절판(650)을 더 구비한다.
폭조절판(650)은 열풍의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판으로서, 제1경사면(610)에 일단부측이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고 타단부측이 자유단이 되어 수평면(620)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폭조절판(650)은 일단부에 상기 제1경사면(610)에 대응되는 가이드면(652)과, 상기 가이드면(652)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면(620)과 대응되는 절곡면(65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폭조절판(650)의 절곡면(654)은 단부가 제2경사면(630)과 대응되는 형태로 경사진 연장면(65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폭조절판(650)은 각각의 일단부가 좌,우측의 제1경사면(610)에 각각 결합되므로, 제1경사면(610)과의 결합 위치에 따라 서로 간의 간격이 가변 조절되어 유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폭조절판(650)의 간격이 좁을수록 공기의 믹싱 효율이 향상되지만, 폭 간격이 너무 좁을 경우에는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360~750m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폭조절판(650)의 가이드면(652)이 좌,우측의 제1경사면(610)에 각각 볼트로 고정됨에 따라 타단부가 자유단이 되어 수평면(620)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의 믹싱부(600)가 고정 방식인 데 반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폭조절판(650)의 일단부가 제1경사면(610)에 결합되는 결합 위치에 따라 유로 폭을 가변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이므로, 작업자가 폭조절판(650)의 상호 간격을 가변 조정하여 최적의 열풍 공급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폭조절판(650)과 믹싱부(600)의 연결구조가 상이한 구조를 가지며, 이를 위한 상기 믹싱부(600)는 상기 제1경사면(610)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조립공(614)이 형성된 조립홈부(612)가 구비되며, 상기 폭조절판(650)의 가이드면(652)하측부에 상기 조립홈부(612)와 대응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조립홈부(612)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립공(614)과 대응되는 결합공(652b)이 형성되는 돌출부(652a)가 구비되고, 상기 조립공(614)과 결합공(652b)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제1경사면(610)에 폭조절판(650)의 가이드면(652)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660)를 더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폭조절판(650)의 가이드면(652) 하측에 돌출부(652a)가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돌출부(652a)가 조립홈부(612) 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 후에 조립공(614)과 결합공(652b)을 관통하는 체결부재(660)에 의해 폭조절판(650)의 가이드면(652)과 제1경사면(610)이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돌출부(652a)와 조립홈부(612)의 요철 결합으로 인해 폭조절판(650)의 좌,우측 유동이 억제되도록 결합되므로, 폭조절판(650)의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폭조절판(650)이 없을 경우에는 좌,우측 서로 대칭되는 사다리꼴 형태의 믹싱부(600) 제1경사면(610)과 수평면(620)을 통과하는 중에 외부 공기가 가온된 상태에서 충분히 혼합되어 온도 편차를 줄인 상태에서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 측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하고, 폭조절판(650)이 믹싱부(600)에 더 구비된 경우에는 덕트부재(300)의 유로 폭을 가변 조절하여 열풍의 혼합 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버너로 2개의 제1,2순환팬(450a,450b) 측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 편차를 줄여서 원단의 상,하측으로 열풍이 분사될 경우 온도 차로 인한 원단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0 : 가온기 150 : 보호커버
200 : 필터부재 300 : 덕트부재
400A,400B : 상,하부 분기덕트 450a,450b : 제1,2순환팬
500A,500B :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 600 : 믹싱부
610 : 제1경사면 612 : 조립홈부
614 : 조립공 620 : 수평면
630 : 제2경사면 650 : 폭조절판
652 : 가이드면 652a : 돌출부
652b : 결합공 654 : 절곡면
656 : 연장면 660 : 체결부재

Claims (5)

  1.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100)와;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온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측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갖는 덕트부재(300)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 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300)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500A,500B) 측으로 송풍하는 제1,2순환팬(450a,450b); 및
    상기 덕트부재(300)에 마련되며, 상기 덕트부재(30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열풍을 중앙측으로 집중시키도록 유로의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좌,우측의 제1경사면(610)과, 상기 제1경사면(610)의 단부 각각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측의 수평면(620) 및 상기 수평면(620)의 단부 각각으로부터 유로의 폭이 확대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부재(300)의 좌,우 내측면과 연결되는 제2경사면(630)으로 구성되는 믹싱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믹싱부(600)는 일단부측이 상기 제1경사면(6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측이 제1경사면(610)에 대응되도록 유로의 중앙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면(652) 및 상기 가이드면(652)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면(620)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절곡면(654)으로 구성되어, 상기 일단부측의 결합위치에 따라 유로의 폭이 가변조절되는 폭조절판(6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654)은 단부에 상기 제2경사면(630)과 대응되는 형태로 경사진 연장면(65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652)은 제1경사면(610)에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610)은 길이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조립공(614)이 형성된 조립홈부(612)가 구비되며, 상기 폭조절판(650)의 가이드면(652)은 하측부에 상기 조립홈부(612)와 대응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조립홈부(612)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립공(614)과 대응되는 결합공(652b)이 형성된 돌출부(652a)가 구비되고, 상기 조립공(614)과 결합공(652b)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제1경사면(610)에 폭조절판(650)의 가이드면(652)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6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610)은 덕트부재(300)의 내측면에 대해 30~60°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KR1020150081005A 2015-06-09 2015-06-09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KR101631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005A KR101631246B1 (ko) 2015-06-09 2015-06-09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005A KR101631246B1 (ko) 2015-06-09 2015-06-09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246B1 true KR101631246B1 (ko) 2016-06-16

Family

ID=5635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005A KR101631246B1 (ko) 2015-06-09 2015-06-09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2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472B1 (ko) 2016-08-24 2017-10-23 양형학 타르발생 저감형 열풍공급장치
CN108729091A (zh) * 2018-08-19 2018-11-02 江苏恒进印染机械有限公司 一种双层定型机
CN109945602A (zh) * 2019-03-18 2019-06-28 江苏九盛印染设备有限公司 拉幅定型机烘箱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98B1 (ko)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KR101362385B1 (ko) * 2013-01-15 2014-02-12 주식회사 미광기계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KR101497960B1 (ko) 2014-03-25 2015-03-12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KR101511993B1 (ko) * 2014-01-27 2015-04-14 김진재 축사 및 식물 재배용 송풍히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98B1 (ko)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KR101362385B1 (ko) * 2013-01-15 2014-02-12 주식회사 미광기계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KR101511993B1 (ko) * 2014-01-27 2015-04-14 김진재 축사 및 식물 재배용 송풍히터
KR101497960B1 (ko) 2014-03-25 2015-03-12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472B1 (ko) 2016-08-24 2017-10-23 양형학 타르발생 저감형 열풍공급장치
CN108729091A (zh) * 2018-08-19 2018-11-02 江苏恒进印染机械有限公司 一种双层定型机
CN109945602A (zh) * 2019-03-18 2019-06-28 江苏九盛印染设备有限公司 拉幅定型机烘箱系统
CN109945602B (zh) * 2019-03-18 2024-02-06 江苏九盛印染设备有限公司 拉幅定型机烘箱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898B1 (ko)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KR101631246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KR101229347B1 (ko)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KR10149796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KR10179893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CN103939983A (zh) 室内空调器
CN104894790A (zh) 一种拉幅定型机烘箱热平衡系统
KR101548652B1 (ko)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JP3021812B2 (ja) 対流式−乾燥及び/又は定着機械
CN110725090B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KR101519367B1 (ko) 텐터기용 공기분사덕트의 공기분사각도 조절장치
KR101652886B1 (ko) 더블 댐퍼 각도 조절기를 구비한 텐터기
JP6623225B2 (ja) 特に炭素繊維原料の酸化安定化のためのモジュール炉
US20090120304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102307301B1 (ko) 텐터기의 열풍 분배용 댐퍼장치
KR20150117979A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가이드구조체
JP6920465B2 (ja) フィルム製造装置
KR101075353B1 (ko)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CN109945602B (zh) 拉幅定型机烘箱系统
KR101362385B1 (ko)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CN209801941U (zh) 拉幅定型机烘箱系统
EP2378229A1 (en) Stenter
KR102505257B1 (ko) 텐터기용 상,하부 열풍 분배댐퍼장치
KR20150009342A (ko) 카본히터를 이용한 전기 열풍기
KR102252867B1 (ko)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