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867B1 -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 Google Patents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867B1
KR102252867B1 KR1020200147296A KR20200147296A KR102252867B1 KR 102252867 B1 KR102252867 B1 KR 102252867B1 KR 1020200147296 A KR1020200147296 A KR 1020200147296A KR 20200147296 A KR20200147296 A KR 20200147296A KR 102252867 B1 KR102252867 B1 KR 102252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abric
height
hot air
t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7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867B1/ko
Priority to CN202110761324.7A priority patent/CN114438691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 B05B15/628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of variable length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11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heated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터기의 내부로 원단이 이송되는 중에 원단 처짐이 발생할 경우 원단의 하부가 하부 분사덕트의 상부와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단의 이송중에 원단의 하부가 하부노즐커버에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원단의 쓸림현상 방지 및 유연제 고착으로 인해 뾰족하게 돌출된 부위에 원단에 접촉됨에 따라 원단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부노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원단의 최종 세팅작업시 폭이 넓은 원단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존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의 용량이 커지고 하부노즐이 하강동작되더라도 흡입가이드덕트와의 간섭을 예방하고 텐터기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RISING AND FALLING STRUCTURE FOR NOZZLE OF TENTER MACHINE}
본 발명은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텐터기의 내부로 원단이 이송되는 중에 원단 처짐이 발생할 경우 원단의 하부가 하부 분사덕트의 상부와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첫번째 목적이 있고, 원단의 이송중에 원단의 하부가 하부노즐커버에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원단의 쓸림현상 방지 및 유연제 고착에 의한 돌출 부위에 원단에 접촉됨에 따라 원단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부노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두번째 목적이 있으며, 세번째로는 원단의 최종 세팅작업시 폭이 넓은 원단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기존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의 용량이 커지고 하부노즐이 하강동작되더라도 흡입가이드덕트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텐터기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織物) 또는 편직물(編織物)등의 직물원단의 가공처리과정에는 염색 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히트세팅(heat setting)공정, 염색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건조(drying)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 등이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텐터기(tenter machine)가 사용된다.
종래 텐터기는 상측 공간에 직물원단이 수평으로 통과하며 직물원단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 단부에 각각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가 구비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열풍생성덕트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열기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에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복수개의 열풍출구를 가지는 열풍공급덕트와;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열풍출구에 유입단이 장착되며 타단이 폐쇄되는 채널형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직물원단에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된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과;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내의 공기를 상기 가열기와 열풍생성덕트를 통해 흡입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상기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송풍하여 열풍이 열풍분사노즐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는 직물원단의 처리에 이송속도와 처리조건에 대응하여 그 전체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챔버는 그 전체 길이를 등분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챔버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는 각각 상기 단위챔버 중 상ㆍ하류단에 설치되는 상ㆍ하류단 단위챔버에 구비된다.
종래의 텐터기에 의하여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및 수축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직물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송풍기와 가열기를 가동시키면 송풍기에 의하여 챔버 내부의 공기가 가열기를 통해 열풍생성덕트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가열기와 접촉하면서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되어 180℃ 내지 220℃ 정도의 열풍이 생성되며, 생성된 열풍은 송풍기에 의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다.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열풍분사노즐의 노즐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하면에 분사되어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또는 수축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기존 텐터기의 열풍 공급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3898호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등록일자 : 2006.08.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와, 상기 열풍분사덕트측으로 열풍을 안내하기 위해 일측에 연통 설치되어진 공기안내덕트와, 상기 공기안내덕트측으로 열풍을 강제 순환 공급시키는 순환팬과, 챔버내에서 회수된 공기를 상기 순환팬측으로 안내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를 통해 안내되어지는 공기를 재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텐터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덕트는 순환팬에 의해 강제 이송되어진 열풍을 각각 분기시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 분기덕트와 하부분기덕트(220)로 구비되어지되, 각각의 분기덕트는 중간 구획벽에 의해 상호 동일한 형상 및 길이의 안내유로를 이루도록 된 것이다.
기존 텐터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은 동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320004호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등록일자 : 2001.12.2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수직 및 수평 지지대가 상호 연결되어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프레임과; 좌우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어느 한쌍의 일측벽판 하부측에 각각 섬유원단 투입구 및 섬유원단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섬유원단 투입구로 투입된 섬유원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섬유원단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공기가 분사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공기 분사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 하측에 상하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공기 분사 노즐과; 일측은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공기가 세가지의 경로로 분기되어 배출되도록 상ㆍ중ㆍ하측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ㆍ중측 배출구는 상기 공기 분사노즐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공기 이송 덕트와; 상기 상ㆍ중측 배출구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중측 배출구에서 하측 배출구를 교대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바이패스 댐퍼와; 상기 댐퍼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터어보팬으로 버너 어셈블리로부터 발생된 화염에 의해 데워진 열기를 상기 공기 이송 덕트 및 상기 공기 분사 노즐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어보팬은 상기 공기 이송 덕트의 입구부측 내부에 수평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쌍이 위치되고, 상기 터어보팬은 상기 밀폐부재의 상판에 고정 설치된 한쌍의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 설치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버너는 화염에서 발생된 열기를 상기 터어보팬의 직하방에서 분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밀폐부재의 우측 벽판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 텐터기의 내부로 원단이 이송되는 중에 원단 처짐이 발생할 경우 원단의 하부가 하부분사덕트 및 하부노즐커버에 접촉되어 원단에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기존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의 용량이 커질 경우, 상기 송풍팬의 중심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공급덕트의 흡입구가 커지게 되며, 원단이 이송되는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전체적인 설비의 부피가 커지게 될 뿐만 아니라, 하부노즐의 하강동작시 간섭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3898호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등록일자 : 2006.08.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320004호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등록일자 : 2001.12.24)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첫번째 목적은 텐터기의 내부로 원단이 이송되는 중에 원단 처짐이 발생할 경우 원단의 하부가 하부 분사덕트의 상부와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원단의 이송중에 원단의 하부가 하부노즐커버에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쓸림현상 방지 및, 유연제 고착으로 인해 뾰족하게 돌출된 부위에 원단에 접촉됨에 따라 원단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부노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원단의 최종 세팅작업시 폭이 넓은 원단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기존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팬의 용량이 커지고 하부노즐이 하강동작되더라도 흡입가이드덕트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텐터기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이 공급덕트 내에 공급되고 상기 공급덕트로부터 상,하로 분기되도록 상부분기덕트와 하부분기덕트를 통해 상부분사덕트와 하부분사덕트측에 각각 공급되며, 상부노즐과 하부노즐을 통해 원단의 상,하측으로 공급되는 경로를 가지되,
상기 원단과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원단에 대한 상기 하부분사덕트와 하부노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하부분기덕트에 상기 하부분사덕트와 연통되며 높이가 상기 하부분사덕트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 복수의 장공과; 상기 하부분기덕트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장공과 대응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일측에 상기 지지판과 하부분기덕트의 전면 사이에 개재되는 플랜지판이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하부분사덕트의 내부로 진입되어 끼워지도록 절곡된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 및 상기 하부분기덕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공급덕트의 하단을 지지하며 높이조절부에 의해 승강동작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지지브라켓;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분기덕트는 제2상부덕트의 폭 단면 길이가 제1상부덕트의 폭 단면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분기덕트는 제2하부덕트의 단면 높이가 제1하부덕트의 단면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일측단과 타측단이 상측으로 절곡되고 중간에 승강축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고정블록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공급덕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측에 마련되고 승강축의 하단이 나사 체결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블록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기립 설치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2조절너트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상부분기덕트는 상기 공급덕트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공급되는 수직방향의 제1상부덕트와, 상기 제1상부덕트의 상측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상부덕트, 및 상기 제1상부덕트와 제2상부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만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분기덕트는 상기 공급덕트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공급되며 경사진 각도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하부덕트와, 상기 제1하부덕트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하부덕트, 및 상기 제1,2하부덕트의 연결부위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만곡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상기 공급덕트의 내부로 공급하는 흡입가이드덕트를 더 구비하되, 상기 흡입가이드덕트는 상기 히터측 방향의 일측 부위가 상기 공급덕트 측 타측부위보다 더 큰 층고를 가지며, 상기 흡입가이드덕트의 타측 부위가 상기 공급덕트의 내부로 진입되어 끼워지도록 연장부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원단의 종류 및 이송중 처짐 정도를 고려하여 원단의 하측이 하부노즐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부노즐 및 하부분사덕트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원단의 접촉을 예방하면서 하부노즐을 원단의 하측에 최대한 근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단의 손상을 예방하면서 원단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연결덕트의 일측에 수직방향의 플랜지판이 형성되므로, 연결덕트의 높이 조절시 상기 연결덕트의 일측이 지지판과 하부분기덕트의 전면 사이에서 상,하로 승강동작되면서 상기 장공과의 연통 위치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장공의 개방부위를 밀폐시켜 열풍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지지브라켓의 높낮이 조절시 승강축에 대한 제1,2조절너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지지브라켓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1,2조절너트의 나사 체결방식으로 지지브라켓의 상,하 승강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흡입가이드덕트는 히터측 방향의 일측 부위가 공급덕트 측 타측부위보다 더 큰 층고를 가지며, 상기 흡입가이드덕트의 타측 부위가 상기 공급덕트의 흡입구 내부로 진입되어 끼워지도록 연장부가 형성되므로, 송풍팬의 부피가 커지게 되더라도 하부노즐의 하강동작시 간섭되는 것을 예방하고 텐터기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높낮이조절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높낮이조절수단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A부위 확대도.
본 발명에 따른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히터(50;버너)에 의해 가열된 열풍이 공급덕트(100) 내에 공급되고 상기 공급덕트(100)로부터 상,하로 분기되도록 상부분기덕트(210)와 하부분기덕트(220)를 통해 상부분사덕트(310)와 하부분사덕트(320)측에 각각 공급되며, 상부노즐(10)과 하부노즐(20)을 통해 원단의 상,하측으로 공급되는 경로를 가지되, 상기 원단과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원단에 대한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와 하부노즐(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400)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공급덕트(100)에는 상기 상부분기덕트(210)와 하부분기덕트(220)의 내부로 열풍의 공급을 조절하는 조절댐퍼(230)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댐퍼(230)는 상기 상부분기덕트(210)와 하부분기덕트(220)의 분기 부위에 배치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분기덕트(210)와 하부분기덕트(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부분기덕트(210)와 하부분기덕트(220)는 하측의 공급덕트(10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지나는 경로의 내부 단면적이 축소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함으로써, 열풍의 공급 중 간섭현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부분기덕트(210)는 상기 공급덕트(10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공급되는 수직방향의 제1상부덕트(212)와, 상기 제1상부덕트(212)의 상측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상부덕트(214), 및 상기 제1상부덕트(212)와 제2상부덕트(214)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만곡면(21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분기덕트(220)는 상기 공급덕트(10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공급되며 경사진 각도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하부덕트(222)와, 상기 제1하부덕트(22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하부덕트(224), 및 상기 제1,2하부덕트의 연결부위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만곡면(225)으로 구성된다.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0)은 상기 하부분기덕트(220)에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와 연통되며 높이가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 복수의 장공(410)과; 상기 하부분기덕트(220)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장공(410)과 대응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지지판(420)과; 일측에 상기 지지판(420)과 하부분기덕트(220)의 전면 사이에 개재되는 플랜지판(432)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의 내부로 진입되어 끼워지도록 절곡된 연결덕트(430); 및 상기 연결덕트(430) 및 상기 하부분기덕트(22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공급덕트(100)의 하단을 지지하며 높이조절부(450)에 의해 승강동작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지지브라켓(4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440)은 일측단과 타측단이 상측으로 휘어진 절곡단(442,444)이 형성되고 중간에 승강축(453)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고정블록(445)이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부(450)는 상기 공급덕트(10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받침플레이트(451)와, 상기 받침플레이트(451)의 상측에 마련되고 승강축(453)의 하단이 나사 체결되는 지지블록(452)과, 상기 지지브라켓(44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블록(45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기립 설치되는 승강축(453)과, 상기 승강축(453)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브라켓(440)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44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2조절너트(454,455)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받침플레이트(451)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가이드덕트(500)가 끼워지는 공급덕트(100)의 흡입구(105)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420)의 하부가 볼트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블록(452)은 상기 받침플레이트(451)의 상측에 볼트로 고정되고, 중앙에 상기 승강축(453)이 스터드볼트 형태로 기립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452)은 중앙에 승강축(453)이 나사 체결방식으로 하단부가 체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축(453)이 기립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브라켓(440)은 상기 연결덕트(43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브라켓(440)은 상기 제1,2조절너트(454,455)의 체결 높이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며, 상기 지지브라켓(440)의 높이에 따라 상기 연결덕트(430) 및 상기 연결덕트(430)에 끼워진 하부분사덕트(320)의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연결덕트(430)는 상기 장공(410)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연통된 연통공(435)이 형성되고, 높낮이 조절시 상기 장공(410)과의 연통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밀폐하도록 일측 부위에 플랜지판(43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연결덕트(430)는 타측에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의 내부로 진입되는 절곡부(43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434)는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구조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분기덕트(220)의 전면에는 복수의 장공(410)이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장공(410)들 마다 대응되도록 지지판(420)에 복수의 고정공(425)이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장공(410)과 고정공(425)의 갯수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굳이 구체적인 숫자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판(420)은 상기 하부분기덕트(220)의 전면에 볼트로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덕트(430)의 일측 부위가 개재되도록 상기 하부분기덕트(220)의 전면과 이격된 간극을 갖도록 결합된다.
상기 연결덕트(430)는 플랜지판(432)이 상기 연결덕트(430)의 상,하 승강동작시 상기 장공(410)의 개방부위를 차단하여 열풍의 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덕트(100)의 흡입구(105)에는 상기 히터(50;버너)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상기 공급덕트(100)의 내부로 공급하는 흡입가이드덕트(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흡입가이드덕트(500)는 상기 히터(50)측 방향의 일측 부위 내경 높이(H1)가 상기 공급덕트(100) 측 타측부위의 내경높이(H2)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H1>H2), 상기 흡입가이드덕트(500)의 타측 부위가 상기 공급덕트(100)의 흡입구(105) 내부로 진입되어 끼워지도록 연장부(510)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흡입가이드덕트(500)는 타측이 공급덕트(100)의 흡입구(105)에 끼워져 결합되고 일측이 열풍덕트(60)와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51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의 하강동작시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텐터기 내에 공급되어 이송되는 원단의 종류에 따라 원단 처짐 발생시 원단의 하부가 하부노즐(20)커버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부분사덕트(320)의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한 원단의 처짐 정도에 따라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0)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0)의 조절작업은 상기 지지브라켓(440)의 승강동작 중 상승동작시 상기 제1조절너트(45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조절너트(454)를 상승시킴으로써 제2조절너트(455)와의 간격을 더 이격시킨 후에, 지지브라켓(440)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2조절너트(45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상승된 지지브라켓(440)의 하측에 밀착시켜 제1조절너트(454)와의 간격을 원래 간격으로 조정함으로써, 상승된 지지브라켓(440)의 상,하측에 제1,2조절너트(454,455)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지지브라켓(440)을 상승된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지지브라켓(440)을 하강동작할 경우, 상기 제2조절너트(455)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높이에 하강동작시키고, 하강동작된 제2조절너트(455)측으로 지지브라켓(440)을 하강동작시킨 후에, 제1조절너트(454)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하강동작된 지지브라켓(440)의 상측에 밀착되도록 하강동작시킴으로써, 하강동작된 지지브라켓(440)의 상,하측에 제1,2조절너트(454,455)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지지브라켓(440)을 하강된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0)은 상기 지지브라켓(440)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연결덕트(4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브라켓(440)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연결덕트(4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덕트(430)에 끼워진 하부분사덕트(320)의 높낮이를 승강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연결덕트(430)의 높이 조절시 상기 연결덕트(430)의 일측이 지지판(420)과 하부분기덕트(220)의 전면 사이에서 상,하로 승강동작되며, 상기 연결덕트(430)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판(432)이 장공(410)과의 연통 위치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장공(410)의 개방부위를 밀폐시켜 열풍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덕트(100) 내에 구비된 송풍팬(110)이 구동모터(150)에 의해 회전구동됨에 따라, 히터(50)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상부분기덕트(210)와 하부분기덕트(220)에 송풍하여 공급하게 된다.
상기 상부분기덕트(210)는 수직방향의 제1상부덕트(212)를 통해 열풍이 진입된 후에 제1만곡면(215)에 부딪히면서 수평방향의 제2상부덕트(214)의 내부로 공급되는 경로를 따라 상부분사덕트(310)의 내부로 열풍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부분기덕트(210)는 제2상부덕트(214)의 폭 단면 길이가 상기 제1상부덕트(212)의 폭 단면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열풍이 상부분기덕트(210)를 통해 상부분사덕트(3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중에 열풍의 상쇄 및 간섭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분기덕트(220)는 경사진 각도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하부덕트(222)를 통해 열풍이 내부로 진입된 후에 제2만곡면(225)에 부딪히면서 수평방향의 제2하부덕트(224)의 내부로 공급되는 경로를 따라 하부분사덕트(320)의 내부로 열풍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하부분기덕트(220)는 제2하부덕트(224)의 단면 높이가 상기 제1하부덕트(222)의 단면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므로, 열풍이 하부분기덕트(220)를 통해 하부분사덕트(320)의 내부로 공급되는 중에 병목 구조로 인한 열풍의 간섭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상부노즐(10)은 상부분사덕트(3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부노즐(20)은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원단의 종류나 원단의 처짐 정도를 텐터기 내에 이송하기 전에 판단하여 높낮이 조절수단(400)을 세팅함으로써, 원단과 하부노즐(20)간의 접촉을 배제하면서 하부노즐(20)을 최대한 원단의 하측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원단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단의 종류 및 이송중 처짐 정도를 고려하여 원단의 하측이 하부노즐(2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부노즐(20) 및 하부분사덕트(3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원단의 접촉을 예방하면서 하부노즐(20)을 원단의 하측에 최대한 근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단의 손상을 예방하면서 원단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연결덕트(430)의 일측에 수직방향의 플랜지판(432)이 형성되므로, 연결덕트(430)의 높이 조절시 상기 연결덕트(430)의 일측이 지지판(420)과 하부분기덕트(220)의 전면 사이에서 상,하로 승강동작되면서 상기 장공(410)과의 연통 위치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장공(410)의 개방부위를 밀폐시켜 열풍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지지브라켓(440)의 높낮이 조절시 승강축(453)에 대한 제1,2조절너트(454,455)의 회전방향에 따라 지지브라켓(44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1,2조절너트(454,455)의 나사 체결방식으로 지지브라켓(440)의 상,하 승강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흡입가이드덕트(500)는 히터(50)측 방향의 일측 부위가 공급덕트(100) 측 타측부위보다 더 큰 층고를 가지며, 상기 흡입가이드덕트(500)의 타측 부위가 상기 공급덕트(100)의 흡입구(105) 내부로 진입되어 끼워지도록 연장부(510)가 형성되므로, 송풍팬(110)의 부피가 커지게 되더라도 하부노즐(20)의 하강동작시 간섭되는 것을 예방하고 텐터기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상부노즐 20 : 하부노즐
50 : 히터 60 : 열풍덕트
100 : 공급덕트 105 : 흡입구
110 : 송풍팬 150 : 구동모터
210 : 상부분기덕트 212 : 제1상부덕트
214 : 제2상부덕트 215 : 제1만곡면
220 ; 하부분기덕트 222 : 제1하부덕트
224 : 제2하부덕트 225 : 제2만곡면
230 : 조절댐퍼 310 : 상부분사덕트
320 : 하부분사덕트 400 : 높낮이조절수단
410 : 장공 420 : 지지판
425 : 고정공 430 : 연결덕트
432 : 플랜지판 434 : 절곡부
435 : 연통공 440 : 지지브라켓
442,444 : 절곡단 445 : 지지블록
450 : 높이조절부 451 : 받침플레이트
452 : 지지블록 453 : 승강축
454,455 : 제1,2조절너트 500 : 흡입가이드덕트
510 : 연장부

Claims (6)

  1. 히터(50)에 의해 가열된 열풍이 공급덕트(100) 내에 공급되고 상기 공급덕트(100)로부터 상,하로 분기되도록 상부분기덕트(210)와 하부분기덕트(220)를 통해 상부분사덕트(310)와 하부분사덕트(320)측에 각각 공급되며, 상부노즐(10)과 하부노즐(20)을 통해 원단의 상,하측으로 공급되는 경로를 가지되,
    상기 원단과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원단에 대한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와 하부노즐(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400)을 구비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400)은 상기 하부분기덕트(220)에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와 연통되며 높이가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 복수의 장공(410)과; 상기 하부분기덕트(220)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장공(410)과 대응되는 고정공(425)이 형성된 지지판(420)과; 일측이 상기 지지판(420)과 하부분기덕트(220)의 전면 사이에 개재되는 플랜지판(432)이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하부분사덕트(320)의 내부로 진입되어 끼워지도록 절곡된 연결덕트(430); 및 상기 연결덕트(430) 및 상기 하부분기덕트(22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공급덕트(100)의 하단을 지지하며 높이조절부(450)에 의해 승강동작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지지브라켓(4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분기덕트(210)는 제2상부덕트(214)의 폭 단면 길이가 제1상부덕트(212)의 폭 단면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분기덕트(220)는 제2하부덕트(224)의 단면 높이가 제1하부덕트(222)의 단면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440)은 일측단과 타측단이 상측으로 절곡되고 중간에 승강축(453)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고정블록(44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450)는 상기 공급덕트(10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받침플레이트(451)와,
    상기 받침플레이트(451)의 상측에 마련되고 승강축(453)의 하단이 나사 체결되는 지지블록(452)과,
    상기 지지브라켓(44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블록(45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기립 설치되는 승강축(453)과,
    상기 승강축(453)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브라켓(440)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44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2조절너트(454,4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분기덕트(210)는 상기 공급덕트(10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공급되는 수직방향의 제1상부덕트(212)와, 상기 제1상부덕트(212)의 상측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상부덕트(214), 및 상기 제1상부덕트(212)와 제2상부덕트(214)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만곡면(215)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분기덕트(220)는 상기 공급덕트(10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공급되며 경사진 각도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하부덕트(222)와, 상기 제1하부덕트(22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하부덕트(224), 및 상기 제1,2하부덕트의 연결부위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만곡면(22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50)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상기 공급덕트(100)의 내부로 공급하는 흡입가이드덕트(5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흡입가이드덕트(500)는 상기 히터(50)측 방향의 일측 부위가 상기 공급덕트(100) 측 타측부위보다 더 큰 층고를 가지며, 상기 흡입가이드덕트(500)의 타측 부위가 상기 공급덕트(100)의 흡입구(105) 내부로 진입되어 끼워지도록 연장부(5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KR1020200147296A 2020-11-06 2020-11-06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KR102252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296A KR102252867B1 (ko) 2020-11-06 2020-11-06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CN202110761324.7A CN114438691B (zh) 2020-11-06 2021-07-06 拉幅机用下部喷嘴升降结构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296A KR102252867B1 (ko) 2020-11-06 2020-11-06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867B1 true KR102252867B1 (ko) 2021-05-18

Family

ID=7615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296A KR102252867B1 (ko) 2020-11-06 2020-11-06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2867B1 (ko)
CN (1) CN114438691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4197B2 (ja) * 1993-11-04 1998-06-11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ウエブの熱処理装置
KR100320004B1 (ko) 1999-10-01 2002-01-10 김원묵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KR100613898B1 (ko)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367B1 (ko) * 2013-11-15 2015-05-13 (재)한국섬유기계연구원 텐터기용 공기분사덕트의 공기분사각도 조절장치
KR20150117979A (ko) * 2014-04-11 2015-10-2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가이드구조체
KR101798930B1 (ko) * 2016-05-30 2017-12-12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JP6571063B2 (ja) * 2016-11-04 2019-09-04 株式会社ヒラノK&E ウエブの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4197B2 (ja) * 1993-11-04 1998-06-11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ウエブの熱処理装置
KR100320004B1 (ko) 1999-10-01 2002-01-10 김원묵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KR100613898B1 (ko)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38691A (zh) 2022-05-06
CN114438691B (zh) 202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898B1 (ko)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KR101229347B1 (ko)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JPH06184978A (ja) ウェブ材料の対流式乾燥システム
KR10179893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CN110725090B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KR102252867B1 (ko)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KR100320004B1 (ko)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KR102111724B1 (ko) 필름 시트용 텐터기
KR101631246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KR101548652B1 (ko)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US9260815B2 (en) Garment tunnel finisher with atomized spray and hot air mix
KR102307301B1 (ko) 텐터기의 열풍 분배용 댐퍼장치
JPH05187771A (ja) 対流式−乾燥及び/又は定着機械
KR20130041811A (ko) 직물 웨브의 열처리 장치
CN209523023U (zh) 一种带有烘干加热装置的平幅热风烘干机
CN211142511U (zh) 出气机构以及复式定型装置
KR100357687B1 (ko)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KR20150117979A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가이드구조체
KR102505257B1 (ko) 텐터기용 상,하부 열풍 분배댐퍼장치
US7845197B2 (en) Triple pass tunnel finisher with an articulated spraying function
KR101362385B1 (ko)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KR940006246B1 (ko) 텐터기 및 건조기의 노즐에 미치는 고온공기의 분사방향과 풍압조절방법 및 그 장치
JP2764197B2 (ja) ウエブの熱処理装置
KR20100058254A (ko)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CN211142510U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