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652B1 -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 Google Patents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652B1
KR101548652B1 KR1020150098178A KR20150098178A KR101548652B1 KR 101548652 B1 KR101548652 B1 KR 101548652B1 KR 1020150098178 A KR1020150098178 A KR 1020150098178A KR 20150098178 A KR20150098178 A KR 20150098178A KR 101548652 B1 KR101548652 B1 KR 101548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uct
bar
hot wind
du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Priority to KR102015009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652B1/ko
Priority to CN201610146196.4A priority patent/CN10633725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온기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순환팬을 통해 상,하부 분기덕트 측으로 분기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칸막이판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열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온기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는,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와,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온기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측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갖는 덕트부재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 내에 각각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 측으로 송풍하는 순환팬과,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 내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순환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과 간섭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상,하부 칸막이판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A HOT WIND SUPPLY STRUCTURE FOR TENTER MACHINE}
본 발명은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가온기에서 발생된 열풍이 순환팬에 의해 상,하부 분기덕트측으로 분기되어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하부 분기덕트의 내부에 복수의 칸막이판을 각각 배치시켜 좌,우측 공급량을 균일하게 공급함과 아울러, 덕트부재의 내부에 댐퍼를 설치하여 열풍 공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단의 상,하측으로 분사된 열풍의 풍량 차를 줄여서 스톱마크가 발생하는 등의 원단의 불량을 줄일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織物) 또는 편직물(編織物)등의 직물원단의 가공처리과정에는 염색 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히트세팅(heat setting)공정, 염색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건조(drying)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 등이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텐터기(tenter machine)가 사용된다.
종래 텐터기는 상측 공간에 직물원단이 수평으로 통과하며 직물원단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 단부에 각각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가 구비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열풍생성덕트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열기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에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복수개의 열풍출구를 가지는 열풍공급덕트와;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열풍출구에 유입단이 장착되며 타단이 폐쇄되는 채널형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직물원단에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된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과;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내의 공기를 상기 가열기와 열풍생성덕트를 통해 흡입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상기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송풍하여 열풍이 열풍분사노즐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는 직물원단의 처리에 이송속도와 처리조건에 대응하여 그 전체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챔버는 그 전체 길이를 등분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챔버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는 각각 상기 단위챔버 중 상ㆍ하류단에 설치되는 상ㆍ하류단 단위챔버에 구비된다.
종래의 텐터기에 의하여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및 수축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직물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송풍기와 가열기를 가동시키면 송풍기에 의하여 챔버 내부의 공기가 가열기를 통해 열풍생성덕트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가열기와 접촉하면서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되어 180℃ 내지 220℃ 정도의 열풍이 생성되며, 생성된 열풍은 송풍기에 의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다.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열풍분사노즐의 노즐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하면에 분사되어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또는 수축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기존 텐터기의 열풍 공급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3898호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등록일자 : 2006.08.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 열풍 분사덕트와, 상기 열풍 분사덕트측으로 열풍을 안내하기 위해 일측에 연통 설치되어진 공기안내덕트와, 상기 공기안내덕트측으로 열풍을 강제 순환 공급시키는 순환팬과, 챔버내에서 회수된 공기를 상기 순환팬측으로 안내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를 통해 안내되어지는 공기를 재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텐터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덕트는 순환팬에 의해 강제 이송되어진 열풍을 각각 분기시켜 상,하 열풍 분사덕트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 분기덕트와 하부 분기덕트로 구비되어지되, 각각의 분기덕트는 중간 구획벽에 의해 상호 동일한 형상 및 길이의 안내유로를 이루도록 된 것이다.
기존 텐터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7960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등록일자 : 2015.02.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온기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유도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와 연결되고 중간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제1,2안내유로를 가지며 덕트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열풍을 분기시켜 전달하기 위한 상,하부 분기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에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하부 분기덕트로부터 각각 분기된 열풍을 공급받아 챔버 내로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기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측으로 송풍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제1,2순환팬과,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고 제어부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되어 상기 제1,2순환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2구동모터를 구비한다.
그런데, 기존 섬유 건조 및 셋팅기는 하나의 가온기(버너)에서 발생된 열풍을 유도하는 덕트부재를 통해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측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순환팬의 회전 경로에 따른 열풍의 공급량이 좌,우측 부위별로 불균일하게 공급되어 특정 부위에 열풍이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공급될 경우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모터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 섬유 건조 및 셋팅기는 가온기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너무 과도하고 불균일한 열풍이 공급됨에 따라 원단에 스톱마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원단 불량율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3898호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등록일자 : 2006.08.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7960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등록일자 : 2015.02.25)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온기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순환팬을 통해 상,하부 분기덕트 측으로 분기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칸막이판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열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온기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와,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온기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측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갖는 덕트부재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 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 측으로 송풍하는 순환팬을 구비하되,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 내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순환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과 간섭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상,하부 칸막이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 칸막이판은 상기 순환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과 간섭되도록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의 내주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 칸막이판은 상기 순환팬으로부터 공급되는 나선형 열풍 기류에 대해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칸막이판이 반대편 쪽에 위치한 칸막이판보다 상호 간의 간격이 좁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상,하부 칸막이판은 부위별로 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덕트부재에는 내부 유로를 개폐시키는 유로 개폐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유로 개폐수단은 입구박스 패널에 단부가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단부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연결링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회전 동작되는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연결링크 및 회전링크를 매개로 각각 연동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덕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회전축과, 상기 각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동작시 덕트부재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유로를 개폐시키는 복수의 댐퍼를 구비한다.
상기 덕트부재는 열풍이 통과되는 내부 유로를 개폐시키는 유로 개폐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유로 개폐수단은 입구박스 패널에 단부가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단부 좌,우측에 연결핀을 매개로 각각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좌,우측 연결바와, 상기 좌,우측 연결바의 각 단부에 연결링크를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연결바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회전 동작되는 제1,2승강바와, 상기 제1,2승강바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연결링크 및 회전링크를 각각 매개로 연동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좌,우측의 덕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축결합되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제1,2회전축과, 상기 복수의 제1,2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2회전축의 회전동작시 좌,우측 덕트부재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유로를 개폐시키는 복수의 제1,2댐퍼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덕트부재(300)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열풍이 순환팬(450)의 회전으로 인해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의 내부로 열풍이 공급되고, 순환팬(4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열풍의 진입방향이 직선이 아닌 곡선 형태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하부 칸막이판(10A,10B)에 부딪히면서 진입방향이 변환되어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 내부에 골고루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공급됨으로써, 열풍의 불균일 공급시 발생되는 스톱마크 등의 원단 불량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는 상,하부 칸막이판(10A,10B)들의 상호간의 폭 간격과 길이에 따라 열풍의 분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상,하부 분기덕트에 상,하부 칸막이판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상부 칸막이판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유로 개폐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6a,6b,6c는 본 발명 유로 개폐수단의 전진동작시 복수의 댐퍼가 기립동작되어 덕트부재 내의 유로를 차단시키는 동작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유로 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유도 개폐수단의 다른실시예가 섬유 건조 및 셋팅기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100)와,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온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측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갖는 덕트부재(300)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 내에 각각 모터(4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300)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500A,500B) 측으로 송풍하는 순환팬(450)과,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 내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순환팬(45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과 간섭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상,하부 칸막이판(10A,10B)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가온기(100)는 버너를 채택할 수 있으며, 가온기(100)에서 덕트부재(30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온기(100)와 덕트부재(300) 사이에는 가온기(100)의 불꽃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보호커버(150)가 마련되고, 보호커버(150)의 외측 좌,우측에 덕트부재(300)의 내부로 투입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200)가 각각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는 덕트부재(300)의 출구로부터 분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부 분기덕트(400A)는 원단의 상측에서 열풍을 분사하기 위한 상부 열풍 분사덕트(500A)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하부 분기덕트(400B)는 원단의 하측에서 열풍을 분사하기 위한 하부 열풍 분사덕트(500B)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상,하부 칸막이판(10A,10B)은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하부 칸막이판(10A,10B)은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 내에 배치된 것이 3개 이상일 경우(여기서는 하부 칸막이판(10B)은 2개로 표시되어 있으나 3개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일측(도면의 우측)에 배치된 칸막이판의 간격(W2)이 타측(도면의 좌측)에 배치된 칸막이판 간의 간격(W1)보다 더 좁게 배치(W1>W2)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순환팬(450)의 회전시 열풍의 회전 경로상 도면에서 보이는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의 우측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가장 많은 풍량의 열풍이 공급되므로, 상기한 좁게 배치된 상,하부 칸막이판(10A,10B)들이 순환팬(45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과 부딪히면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하부 칸막이판(10A,10B)은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이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의 일측에 배치된 상,하부 칸막이판(10A,10B)의 길이를 다른 상,하부 칸막이판(10A,10B)에 비해 더 길게 형성(ℓ1<ℓ2<ℓ3)시켜 열풍을 균일하게 분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순환팬(450)은 하나의 순환팬(450)으로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측으로 분기 공급하거나,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측에 각각 열풍을 공급하도록 제1,2순환팬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순환팬은 상부 분기덕트(400A)의 하측에 배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 구동되어 열풍을 상부 열풍 분사덕트(500A)측으로 송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순환팬은 하부 분기덕트(400B)의 하측에 배치되어 모터(430)의 구동력으로 회전 구동되어 열풍을 하부 열풍 분사덕트(500B)측으로 송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가온기(100)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측으로 가이드하는 도중에 과도한 열풍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덕트부재(300)의 내부 유로를 개폐시키는 유로 개폐수단(6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유로 개폐수단(6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박스 패널(605)에 단부가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바(620)와, 상기 이동바(620)의 단부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바(630)와, 상기 연결바(630)의 단부에 연결링크(6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630)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회전 동작되는 승강바(650)와, 상기 승강바(650)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연결링크(640) 및 회전링크(645)를 매개로 각각 연동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덕트부재(300)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회전축(660)과, 상기 각 회전축(66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660)의 회전동작시 덕트부재(300)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유로를 개폐시키는 복수의 댐퍼(67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바(620)는 일단부가 입구박스 패널(605)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바(630)는 일단부가 상기 이동바(620)의 타단부에 연결핀(볼트; 635)으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연결링크(64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연결바(630)와 이동바(620)는 연결링크(640)의 회전 동작시 발생되는 높이 변위에 대해 보상하기 위해 연결바(630)와 이동바(620)의 연결부위에 유격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유격은 핀 연결되는 연결바(630)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632)과 핀 사이의 여유공간으로 구성된다.
연결링크(640)는 대략 "ㄱ"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연결바(630)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승강바(650)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고 중간부위가 최하단의 회전축(660)과 축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회전링크(645)는 연결링크(640)의 상측에 배치되고 승강바(650)와 회전축(660)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연결링크(640)는 승강바(650)의 하부에 승강바(650)와 연결바(630)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면서 최하단의 회전축(66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회전링크(645)는 최하단의 회전축(660)이 아닌 상측의 회전축(660)들과 승강바(650)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승강바(650)의 승강동작에 따라 회전축(660)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로 개폐수단(600)은 이동바(620)를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전,후진 시키거나, 이동모터(610)를 이용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이동바(620)의 전,후진 이동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이동바(620)의 단부에 연결되고 입구박스 패널(605)에 지지된 이동모터(6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가온기(100; 버너)에 불꽃이 점화되면 보호커버(150)가 승온되고, 좌,우측의 필터부재(200)를 통과하여 필터링된 공기가 가온기(100)에 의해 승온된 보호커버(150)를 통과하면서 열풍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열풍이 덕트부재(300)를 통과하여 순환팬(450)에 의해 열풍이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덕트부재(300)는 유로 개폐수단(600)에 의해 내부 유로의 개방 또는 차단이 결정되며, 본 발명 유로 개폐수단(600)의 작동과정은 사용자의 수작업 또는 이동모터(610)의 구동력으로 이동바(620)를 밀어서 전진시키면, 도 6a에서와 같이, 이동바(620)의 단부와 핀 연결된 연결바(630)가 연동되면서 전진 이동되고, 연결바(630)가 전진 이동됨에 따라, 연결링크(640)가 도 6b에서와 같이 최하단의 회전축(660)을 기준으로 회전된 후에, 도 6c에서와 같이 연결링크(640)의 타측과 연결된 승강바(650)가 상승된다.
승강바(650)의 상승동작시 승강바(650)의 일측에 상,하로 축 결합된 회전축(660)이 회전되면서 회전축(660)에 각각 결합된 각각의 댐퍼(670)를 수직으로 기립되게 회전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덕트부재(300)의 내부 유로가 기립동작된 각각의 댐퍼(670)에 의해 폐쇄되어 가온기(100)의 열풍이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과도한 열풍이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원단 불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의 수작업 또는 이동모터(610)의 구동력으로 이동바(620)를 후진방향(입구박스 패널(605)측)으로 당기면, 이동바(620)의 단부와 핀 연결된 연결바(630)가 연동되면서 후진 이동되고, 하단의 회전축(660)을 기준으로 연결링크(640)가 원래 위치로 회전되면서 연결링크(640)의 타측과 연결된 승강바(650)가 원 위치로 하강동작되어 복귀된다.
본 발명은 덕트부재(300)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열풍이 순환팬(450)의 회전으로 인해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의 내부로 열풍이 공급되고, 순환팬(4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열풍의 진입방향이 직선이 아닌 곡선 형태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하부 칸막이판(10A,10B)에 부딪히면서 진입방향이 변환되어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 내부에 골고루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공급됨으로써, 열풍의 불균일 공급시 발생되는 스톱마크 등의 원단 불량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는 상,하부 칸막이판(10A,10B)들의 상호간의 폭 간격과 길이에 따라 열풍의 분배량 조절이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유로 개폐수단(6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입구박스 패널(605)에 단부가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바(620)와, 상기 이동바(620)의 단부 좌,우측에 연결핀을 매개로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좌,우측 연결바(630A,630B)와, 상기 좌,우측 연결바(630A,630B)의 각 단부에 연결링크(640)를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연결바(630A,630B)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회전 동작되는 제1,2승강바(650A,650B)와, 상기 제1,2승강바(650A,650B)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연결링크(640) 및 회전링크(645)를 각각 매개로 연동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좌,우측의 덕트부재(300)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축결합되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제1,2회전축(660A,660B)과, 상기 복수의 제1,2회전축(660A,660B)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2회전축(660A,660B)의 회전동작시 좌,우측 덕트부재(300)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유로를 개폐시키는 복수의 제1,2댐퍼(670A,670B)로 구성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의 유로 개폐수단(600)은 사용자의 수작업 또는 이동모터(610)의 전,후진 이동력에 의해 이동바(620)가 전,후진 동작되고, 이동바(620)의 움직임이 좌측 연결바와 우측 연결바에 동시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좌,우측 연결바(630A,630B)의 전,후 움직임이 연결링크(640)를 통해 제1,2승강바(650A,650B)측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이동모터(610)를 통해 이동바(620)가 밀어서 전진시킬 경우 좌,우측 연결바(630A,630B)에 전진 이동력이 전달되고, 좌,우측 연결바(630A,630B)의 전진 이동시 회전되는 연결링크(640)를 통해 제1,2승강바(650A,650B)에 전달되어 제1,2승강바(650A,650B)를 상승시키게 된다.
제1,2승강바(650A,650B)의 승강동작시 제1,2승강바(650A,650B)에 회전링크(645)를 매개로 연결된 각각의 제1,2회전축(660A,660B)이 회전동작되어 각각의 제1,2댐퍼(670A,670B)를 덕트부재(30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기립되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가온기(100)에서 덕트부재(300)를 통해 통과하는 내부 유로를 차단하여 열풍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이동바(620)의 후진 동작시에는 좌,우측 연결바(630A,630B)가 후진동작되면서 연결링크(640)를 통해 연결된 제1,2승강바(650A,650B)를 하강동작시키고, 제1,2댐퍼(670A,670B)를 수평으로 회전시켜 덕트부재(300)의 내부 유로를 개방시킨다.
이러한 유로 개폐수단(600)은 좌,우 양측으로 배치된 덕트부재(300)들의 내부 유로를 개폐시켜 과동한 열풍이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A : 상부 칸막이판 10B : 하부 칸막이판
100 : 가온기 150 : 보호커버
200 : 필터부재 300 : 덕트부재
400A,400B : 상,하부 분기덕트 450 : 순환팬
500A,500B :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 600 : 유로 개폐수단
605 : 입구박스 패널 610 : 이동모터
620 : 이동바 630 : 연결바
630A,630B : 좌,우측 연결바 632 : 장공
635 : 연결핀 640 : 연결링크
645 : 회전링크 650 : 승강바
650A,650B : 제1,2승강바 660 : 회전축
660A,660B : 제1,2회전축 670 : 댐퍼
670A,670B : 제1,2댐퍼

Claims (6)

  1.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100)와,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온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측으로 유도하는 유로를 갖는 덕트부재(300)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 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300)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하부 열풍 분사덕트(500A,500B) 측으로 송풍하는 순환팬(450)을 구비하되,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 내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순환팬(45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과 간섭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상,하부 칸막이판(10A,10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칸막이판(10A,10B)은 상기 순환팬(45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과 간섭되도록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400A,400B)의 내주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하부 칸막이판(10A,10B)이 3개이상일 경우, 상기 순환팬(450)으로부터 공급되는 나선형 열풍 기류에 대해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칸막이판이 반대편 쪽에 위치한 칸막이판보다 상호 간의 간격이 좁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칸막이판(10A,10B)은 부위별로 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재(300)에는 내부 유로를 개폐시키는 유로 개폐수단(60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수단(600)은 입구박스 패널(605)에 단부가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바(620)와,
    상기 이동바(620)의 단부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바(630)와,
    상기 연결바(630)의 단부에 연결링크(6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630)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회전 동작되는 승강바(650)와,
    상기 승강바(650)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연결링크(640) 및 회전링크(645)를 매개로 각각 연동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덕트부재(300)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회전축(660)과,
    상기 각 회전축(66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660)의 회전동작시 덕트부재(300)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유로를 개폐시키는 복수의 댐퍼(6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개폐수단(600)은 입구박스 패널(605)에 단부가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바(620)와,
    상기 이동바(620)의 단부 좌,우측에 연결핀을 매개로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좌,우측 연결바(630A,630B)와,
    상기 좌,우측 연결바(630A,630B)의 각 단부에 연결링크(640)를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연결바(630A,630B)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회전 동작되는 제1,2승강바(650A,650B)와,
    상기 제1,2승강바(650A,650B)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연결링크(640) 및 회전링크(645)를 각각 매개로 연동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좌,우측의 덕트부재(300)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축결합되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제1,2회전축(660A,660B)과,
    상기 복수의 제1,2회전축(660A,660B)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2회전축(660A,660B)의 회전동작시 좌,우측 덕트부재(300)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유로를 개폐시키는 복수의 제1,2댐퍼(670A,670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KR1020150098178A 2015-07-10 2015-07-10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KR101548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178A KR101548652B1 (ko) 2015-07-10 2015-07-10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CN201610146196.4A CN106337258B (zh) 2015-07-10 2016-03-15 拉幅机的热风供给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178A KR101548652B1 (ko) 2015-07-10 2015-07-10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652B1 true KR101548652B1 (ko) 2015-08-31

Family

ID=5406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178A KR101548652B1 (ko) 2015-07-10 2015-07-10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8652B1 (ko)
CN (1) CN10633725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472B1 (ko) 2016-08-24 2017-10-23 양형학 타르발생 저감형 열풍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258B1 (ko) * 2021-06-10 2022-01-10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200A (en) 1993-10-15 1996-10-15 Solipat Ag Device for heat treatment of a continuously guided material web, in particular a textile web
KR100613898B1 (ko)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KR101497960B1 (ko) 2014-03-25 2015-03-12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51850U (zh) * 2013-08-28 2014-02-26 无锡市华洋染整机械有限公司 一种带有导流板的热定型机烘箱
CN203625668U (zh) * 2013-09-29 2014-06-04 绍兴市嘉德机械有限公司 定型机切导风装置
CN204455591U (zh) * 2015-01-26 2015-07-08 宁波大千纺织品有限公司 一种定型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200A (en) 1993-10-15 1996-10-15 Solipat Ag Device for heat treatment of a continuously guided material web, in particular a textile web
KR100613898B1 (ko)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KR101497960B1 (ko) 2014-03-25 2015-03-12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472B1 (ko) 2016-08-24 2017-10-23 양형학 타르발생 저감형 열풍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37258B (zh) 2018-10-16
CN106337258A (zh)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347B1 (ko)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KR100613898B1 (ko)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KR10149796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EP1781854B1 (en)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both an open width fabric and a fabric in rope form
KR101548652B1 (ko)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KR101448546B1 (ko) 공기 순환 유닛을 갖는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처리 장치 및 그 열처리 방법
KR101358062B1 (ko) 목재 건조장치
KR10179893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KR101538735B1 (ko)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KR101631246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KR100320004B1 (ko)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CN110725090B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US20090120304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20130041811A (ko) 직물 웨브의 열처리 장치
KR20150117979A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가이드구조체
KR102307301B1 (ko) 텐터기의 열풍 분배용 댐퍼장치
JPH05187771A (ja) 対流式−乾燥及び/又は定着機械
KR102505257B1 (ko) 텐터기용 상,하부 열풍 분배댐퍼장치
KR102252867B1 (ko)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KR101652886B1 (ko) 더블 댐퍼 각도 조절기를 구비한 텐터기
CN209801941U (zh) 拉幅定型机烘箱系统
CN109945602B (zh) 拉幅定型机烘箱系统
KR101217792B1 (ko) 건조물 건조시스템
KR101362385B1 (ko)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KR100357687B1 (ko)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