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960B1 -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960B1
KR101497960B1 KR20140034551A KR20140034551A KR101497960B1 KR 101497960 B1 KR101497960 B1 KR 101497960B1 KR 20140034551 A KR20140034551 A KR 20140034551A KR 20140034551 A KR20140034551 A KR 20140034551A KR 101497960 B1 KR101497960 B1 KR 10149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ucts
duct
lower branch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4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34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2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endless chain or like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092Heat exchange with valve or movable deflector for heat exchange fluid flow
    • Y10S165/109Heat exchange with valve or movable deflector for heat exchange fluid flow with by-pass of heat exchanger or heat exchanger section
    • Y10S165/11Bypass within or surrounds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의 공급유로의 폭 단면을 가변되도록 형성시켜 열풍의 공급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여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함과 아울러, 원단징행이 정지되어 있을 때 섬유원단의 열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열풍을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는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온기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유도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와 연결되고 중간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제1,2안내유로를 가지며 덕트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열풍을 분기시켜 전달하기 위한 상,하부 분기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에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하부 분기덕트로부터 각각 분기된 열풍을 공급받아 챔버 내로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측으로 송풍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제1,2순환팬과,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고 제어부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되어 상기 제1,2순환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2구동모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A HOT WIND SUPPLY APPARATUS FOR TENTER MACHINE}
본 발명은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하측으로 각각의 공급유로를 통해 열풍을 공급함과 아울러, 열풍의 공급유로의 폭 단면을 가변되도록 형성시켜 열풍의 공급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여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함과 아울러, 텐터기의 원단이송이 정지되는 상황시 섬유원단의 열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열풍을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원단의 가공처리중 주로 염색 후의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건조공정 및 열처리 공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 텐터기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텐터기는 이송되는 섬유원단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이루고 있는 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챔버의 하부 일측에는 구동모터가 구비되어 있고, 이 구동모터의 모터축에는 순환팬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팬은 공기의 흡입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류팬이 사용된다.
그리고, 구동모터가 설치된 반대편에 해당되는 챔버의 하부 일측에는 버너 또는 히터가 구비되고, 버너(또는 히터)와 구동모터의 순환팬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부재가 고정 설치되며, 일단부는 순환팬의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순환팬이 회전될 때 버너 또는 히터에서 발생된 열기가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팬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순환팬이 설치되는 덕트부재에는 그 상부측으로 연통된 공기안내덕트가 분기되어 설치되어 순환팬에 의해 버너 또는 히터에서 발생된 열기가 열풍으로 전환되어 공기안내덕트로 유입되는데, 공기안내덕트는 상,하 분기덕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하 분기덕트의 출구부측에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 설치되는 상,하 분사덕트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하 분사덕트는 내부가 외부와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노즐 역할을 하는 미세한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열풍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텐터기의 경우 순환팬에 의해 강제 상승되어진 열풍이 공기안내덕트로 유입된 후 상하 분기덕트로 분기되는 과정에서 열풍량의 분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이에따라 상하 분사덕트에서 분사되는 열풍량 및 온도분포 불균일현상이 발생하여 섬유원단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5663호 "텐터기 열풍 시스템"(등록일자 : 2005.02.2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건조챔버로 구성되는 텐터기 열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조챔버는 상호 교번으로 연결되는 제1건조챔버와 제2건조챔버가 이루어지되, 적어도 전방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1,2건조챔버와 후방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1,2건조챔버를 포함하고; 전방의 제1,2건조챔버를 제외한 후방에 배치되는 제1,2건조챔버에는 폐열풍을 배기하기 위한 배기관이 설치되며; 제1건조챔버는,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시키는 제1히터와,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가열된 열풍을 압송하는 제1송풍팬과, 제1송풍팬에 의하여 압송되는 열풍을 직물로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된 제1혼합덕트를 포함하고; 제2건조챔버는,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시키는 제2히터와,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가열된 열풍을 압송하는 제2송풍팬과, 제2송풍팬에 의하여 압송되는 열풍을 직물로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된 제2혼합덕트를 포함하며; 제1건조챔버와 제2건조챔버 사이에는, 제1건조챔버에서 직물을 건조한 후 발생된 폐열풍을 제2건조챔버로 이송하는 제1유입통로와, 제2건조챔버에서 직물을 건조한 후 발생된 폐열풍을 다음 제1건조챔버로 이송하는 제2유입통로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히터 가열방식으로 열풍을 챔버 내에 공급하면서 폐열풍을 회수하여 열풍의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으나, 덕트의 상,하측에 열풍을 균일한 분포로 고르게 공급되지 못할 경우, 섬유 원단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텐터기의 다른 선행기술로는 동 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3898호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등록일자 : 2006.08.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 열풍분사 덕트와, 상기 열풍분사 덕트측으로 열풍을 안내하기 위해 일측에 연통 설치되어진 공기안내덕트와, 상기 공기안내덕트측으로 열풍을 강제 순환 공급시키는 순환팬과, 챔버내에서 회수된 공기를 상기 순환팬측으로 안내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를 통해 안내되어지는 공기를 재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텐터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덕트는 순환팬에 의해 강제 이송되어진 열풍을 각각 분기시켜 상,하 열풍분사 덕트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 분기덕트와 하부 분기덕트로 구비되어지되, 각각의 분기덕트는 중간 구획벽에 의해 상호 동일한 형상 및 길이의 안내유로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부 분기덕트와 하부 분기덕트의 분기지점에 분기되는 열풍공급량의 분배 조절을 위한 조절판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기술은 하나의 팬구동모터로 상,하부 분기덕트에 분기되는 열풍공급량을 조절판을 이용하여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나, 각각의 분기덕트가 중간 구획벽에 의해 상호 동일한 형상 및 길이의 안내유로를 갖게 됨과 아울러 안내유로가 각 부위별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내유로의 길이가 짧을수록 열풍공급량의 편차가 커지게 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안내유로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지게 되어 제품 생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조절판은 상,하부로 공급되는 열풍 공급량의 정확한 제어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부 분기덕트들 중 조절판에 의해 한쪽이 막혀게 될 경우 다른 쪽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버너 등의 가온기로부터 가열된 열풍이 분기덕트 내에 골고루 분포되지 못하고 섞이지 않은 상태로 불균일하게 공급될 경우 이송중인 섬유원단의 부위별로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가 달라지게 되어 섬유 원단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텐터기는 일시적인 정지상태로 인해 원단이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안내유로 내에 열풍이 공급될 경우 섬유 원단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버너 등의 가온기의 가동을 중지시켜 과열을 예방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챔버 내의 온도가 저하되어 가온기와 팬을 재가동할 경우 챔버 내의 온도를 예열시키는 데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에너지가 낭비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챔버내의 온도가 설정온도(건조 정상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생산된 원단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5663호 "텐터기 열풍 시스템"(등록일자 : 2005.02.2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3898호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등록일자 : 2006.08.10)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열풍이 분기되는 상,하부 분기덕트의 안내유로 구조를 개선하여 유로의 길이를 연장시키지 않고도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로 공급하는 열풍공급량의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내유로를 통과하는 열풍이 잘 섞여서 골고루 분포된 후에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측으로 공급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텐터기가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원단이 진행되지 않을 때 열풍이 섬유 원단에 공급됨에 따라 원단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상,하부 분기덕트 내에 각각의 전용 팬을 구비하여 별도의 조절판을 생략하면서 개별 팬모터의 회전속도(rpm)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상,하부 분기덕트에 공급되는 열풍의 풍량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상,하부 분기덕트들 중 어느 한 곳으로만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온기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유도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와 연결되고 중간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제1,2안내유로를 가지며 덕트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열풍을 분기시켜 전달하기 위한 상,하부 분기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에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하부 분기덕트로부터 각각 분기된 열풍을 공급받아 챔버 내로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측으로 송풍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제1,2순환팬과,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고 제어부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되어 상기 제1,2순환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2구동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안내유로는 중간에 열풍의 흐름 저항을 갖도록 상기 덕트부재와의 연결지점의 폭보다 중간 부위의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섬유원단의 진행이 정지되는 상태를 판단하고 이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하부 분기덕트 내의 열풍을 챔버 내부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하부 분기덕트에 각각 챔버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 결합되어 회전동작시 상,하부 분기덕트 내의 열풍을 챔버 내부로 바이패스시키는 제1,2댐퍼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2댐퍼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각각의 댐퍼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상부 분기덕트에 챔버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 결합되어 회전동작시 상부 분기덕트 내의 열풍을 챔버 내부로 바이패스시키는 제1댐퍼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를 연통시키도록 중간 구획벽에 마련되며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 결합되고 회전동작시 상기 하부 분기덕트 내의 열풍을 상부 분기덕트의 내부로 유도하는 제3댐퍼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3댐퍼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각각의 댐퍼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하부 분기덕트에 챔버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 결합되어 회전동작시 하부 분기덕트 내의 열풍을 챔버 내부로 바이패스시키는 제2댐퍼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를 연통시키도록 중간 구획벽에 마련되며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 결합되고 회전동작시 상기 상부 분기덕트 내의 열풍을 하부 분기덕트의 내부로 유도하는 제4댐퍼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4댐퍼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각각의 댐퍼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온기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유도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와 연결되고 중간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제1,2안내유로를 가지며 덕트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열풍을 분기시켜 전달하기 위한 상,하부 분기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에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하부 분기덕트로부터 각각 분기된 열풍을 공급받아 챔버 내로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의 분기 전 위치에 마련되고 송풍모터의 회전력으로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측으로 동시에 공급하는 공급팬을 구비하되, 상기 제1,2안내유로는 열풍의 흐름 저항을 갖도록 상기 덕트부재와의 연결지점의 폭보다 중간 부위의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부 분기덕트 내에 형성된 제1,2안내유로의 폭은 덕트부재와의 연결부위 폭보다 중간부위 유로 폭 크기가 좁게 형성되어 열풍의 이동과정에서 흐름 저항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1,2구동모터의 회전속도가 동일한 조건하에서 본 발명은 유로의 길이를 연장시키지 않고도 상,하부 분기덕트의 내부 좌,우로 균일하게 열풍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로 공급하는 열풍공급량의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내유로를 통과하는 열풍을 잘 섞여서 골고루 분포된 후에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측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 분기덕트에 바이패스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섬유원단의 이송이 정지되는 상황을 판단하여 열풍을 챔버의 내부로 바이패스시켜 가온기 가동을 중지시키지 않고도 섬유원단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하부 분기덕트 및 각각의 분기덕트 내에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제1,2순환팬 및 제1,2구동모터를 구비하므로, 기존의 조절판을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공급시스템과 비교할 때 상,하부 분기덕트 내에 공급되는 열풍 공급량을 독립적으로 정밀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제1,2순환팬들 중 하나를 정지시켜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들 중 한쪽으로만 열풍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의 제3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의 제4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의 제5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여기서, 섬유건조 셋팅기는 텐터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챔버(10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101)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온기(101)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유도하는 덕트부재(102)와, 상기 덕트부재(102)와 연결되고 중간 구획벽(113)에 의해 구획되어 제1,2안내유로(110A,110B)를 가지며 덕트부재(102)로부터 전달되는 열풍을 분기시켜 전달하기 위한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에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로부터 각각 분기된 열풍을 공급받아 챔버(100) 내로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하측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102)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측으로 송풍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제1,2순환팬(210,310)과,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고 제어부(400)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되어 상기 제1,2순환팬(210,31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2구동모터(200,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온기(101)는 일 예로 버너 또는 히터를 채용할 수 있으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덕트부재(102)는 챔버(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열풍의 흐름방향을 횡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갖는다.
덕트부재(102)의 일단에는 챔버(100) 내의 공기가 순환될 때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108)가 배치되어 있다.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는 일단이 덕트부재(102)의 단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측과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즉, 상부 분기덕트(111)는 타단이 상부 열풍분사 덕트(105)와 연결되고, 하부 분기덕트(112)는 타단이 하부 열풍분사 덕트(106)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제1,2안내유로(110A,110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이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의 내부를 통과할 때 열풍의 흐름 저항을 갖도록 상기 덕트부재(102)와의 연결지점(111a,112a)의 폭(ℓ1,ℓ3)보다 중간 부위(111b,112b)의 유로 폭(ℓ2,ℓ4)이 좁게 형성된다.(ℓ1〉ℓ2, ℓ3 〉ℓ4)
제1순환팬(210)은 상부 분기덕트(111) 내에 배치되고 제1구동모터(200)의 모터축(205)에 축 결합되어 제1구동모터(2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조로서, 덕트부재(102)를 통해 가이드되는 열풍을 상부 열풍분사 덕트(105)측으로 송풍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순환팬(310)은 하부 분기덕트(112) 내에 배치되고 제2구동모터(300)의 모터축(305)에 축 결합되어 제2구동모터(3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조로서, 덕트부재(102)를 통해 가이드되는 열풍을 하부 열풍분사 덕트(106)측으로 송풍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구동모터(200)는 상부 분기덕트(111)의 일측에 지지되고, 제2구동모터(300)는 하부 분기덕트(112)의 일측에 지지된다.
또한, 각각의 모터축(205,305)들은 제1,2순환팬(210,310)을 관통하여 축결합된 후에 하부 분사덕트(112)의 타측에 마련된 지지덕트(1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제1실시예는 가온기(101)에서 가온됨에 따라 챔버(100) 내의 공기가 가온된 열풍이 필터부재(108)를 통과하여 덕트부재(102) 내부로 횡방향 이동되고, 덕트부재(102)의 내부를 통해 횡방향 이동되는 열풍은 제1,2순환팬(210,310)의 회전에 의해 상,하부 분기덕트(111,112) 내에 안내된 후에,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와 연결된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를 통해 섬유원단의 상,하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제1,2순환팬(210,310)은 제1,2구동모터(200,300)의 모터축(205,305)에 축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2구동모터(200,30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제1,2순환팬(210,310)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덕트부재(102)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111,112) 내부로 송풍하게 된다.
한편, 제1,2구동모터(200,300)는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속도(rpm)가 가변되며, 이는 챔버(100) 내부에서 이송중인 섬유원단의 조건에 따라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 내에 형성된 제1,2안내유로(110A,110B)의 폭은 덕트부재(102)와의 연결부위 폭보다 중간부위 유로 폭 크기가 좁게 형성되어 열풍의 이동과정에서 흐름 저항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1,2구동모터(200,300)의 회전속도가 동일한 조건하에서 본 발명은 유로의 길이를 연장시키지 않고도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의 내부로 균일하게 열풍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로 공급하는 열풍공급량의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1,2안내유로(110A,110B)를 통과하는 열풍이 잘 섞여서 골고루 분포된 후에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측으로 공급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 분기덕트(111,112) 내에서 각각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제1,2순환팬(210,310) 및 제1,2구동모터(200,300)를 구비하므로, 기존의 조절판을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공급시스템과 비교할 때 상,하부 분기덕트(111,112) 내에 공급되는 열풍 공급량을 독립적으로 정밀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제1,2순환팬(210,310)들 중 하나를 정지시켜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들 중 한쪽으로만 열풍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4를 참조함과 아울러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를 구비하되, 섬유원단의 진행이 정지되는 상태를 판단하고 이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하부 분기덕트(111,112) 내의 열풍을 챔버(100) 내부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섬유원단이 정지되는 상태는 운전자의 조작 스위치 조작에 의해 섬유원단의 진행 이송이 일시 정지되거나, 다른 상황에 의해 타의적으로 섬유원단의 진행 이송이 일시 정지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섬유원단의 진행 일시 정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는 공지의 섬유 이송라인(체인)에 배치되어 이송라인의 정지시 이를 제어부(400)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바이패스수단은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에 각각 챔버(100)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 결합되어 회전동작시 상,하부 분기덕트(111,112) 내의 열풍을 챔버(100) 내부로 바이패스시키는 제1,2댐퍼(510,52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2댐퍼(510,520)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제1,2댐퍼(510,52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각각의 댐퍼구동부(600)를 구비한다.
댐퍼구동부(600)는 각각의 댐퍼를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개폐시키는 모터 또는 실린더를 채용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댐퍼(510)는 상부 분기덕트(111)에 마련되고 일단부가 상부 분기덕트(111)와 힌지축 결합되고 타단부가 중간 구획벽(113)측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회전동작시 상부 분기덕트(111)와 챔버(100) 내부를 연통시키게 된다.
제2댐퍼(520)는 하부 분기덕트(112)에 마련되고 일단부가 하부 분기덕트(112)와 힌지축 결합되고 타단부가 중간 구획벽(113)측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회전동작시 하부 분기덕트(112)와 챔버(100) 내부가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1,2댐퍼(510,520)는 평상시에는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에 밀착되어 제1,2안내유로(110A,110B)의 열풍 흐름에 간섭되지 않지만, 회전동작시에는 제1,2안내유로(110A,110B)의 열풍이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댐퍼구동부(600)는 제1,2댐퍼(510,520)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의 모터의 모터축 또는 실린더의 로드가 제1,2댐퍼(510,520)의 회전축과 연동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바이패스수단은 제어부(400)에서 섬유원단의 이송이 정지된 것을 판단한 후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어신호가 댐퍼구동부(600)에 각각 전달됨에 따라 댐퍼구동부(600)가 구동되면서 제1,2댐퍼(510,520)를 회전시킴으로써, 열풍이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의 제1,2안내유로(110A,110B)에서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측으로 공급되지 못하고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 외측의 챔버(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제1,2구동모터(200,300)의 구동(속도, 구동 정지)을 각각 제어함과 아울러, 상황시 각각의 댐퍼들을 개폐시키는 댐퍼구동부(600)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이패스수단은 텐터기가 일시 정지되는 상황시 가온기(101)를 중지시키지 않고도 열풍이 섬유원단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원단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존 가온기(101)를 중지시키는 방식에서 발생되는 가온기(101)의 재가동을 위한 시간 소모 및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원단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6을 참조함과 아울러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의 바이패스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것으로, 상부 분기덕트(111)에 챔버(100)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 결합되어 회전동작시 상부 분기덕트(111) 내의 열풍을 챔버(100) 내부로 바이패스시키는 제1댐퍼(510)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를 연통시키도록 중간 구획벽(113)에 마련되며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 결합되고 회전동작시 상기 하부 분기덕트(112) 내의 열풍을 상부 분기덕트(111)의 내부로 유도하는 제3댐퍼(53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3댐퍼(510,53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각각의 댐퍼구동부(600)로 구성된다.
제3댐퍼(530)는 중간 구획벽(113)을 개구시켜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를 연통시키도록 중간 구획벽(113)에 마련되고, 일단부가 중간 구획벽(113)에 힌지축 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부 분기덕트(112)측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회전동작시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를 서로 연통시키면서 하부 분기덕트(112)의 제2안내유로 내에 열풍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부 분기덕트(111)측으로 열풍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제1,3댐퍼(510,530)는 평상시에는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의 제1,2안내유로(110A,110B) 내부를 따라 열풍이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측으로 공급되는 것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상부 분기덕트(111)와 중간 구획벽(113)에 밀착된다.
하지만, 텐터기가 일시 정지되어 섬유원단의 진행이 일시 정지될 경우 제1,2안내유로(110A,110B) 내의 제1,3댐퍼(510,530)가 회전 동작되고, 제1,3댐퍼(510,530)의 회전시 제1,2안내유로(110A,110B)가 폐쇄됨과 아울러, 하부 분기덕트(112)의 제2안내유로를 통과하던 열풍이 제3댐퍼(530)를 통해 개구된 중간 구획벽(113)을 통해 상부 분기덕트(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데, 열풍이 제1댐퍼(510)의 회전에 의해 상부 분기덕트(111)의 제1안내유로가 폐쇄됨에 따라 개구된 챔버(100)의 내부로 공급되므로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로의 열풍 공급이 차단된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함과 아울러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의 바이패스수단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인 것으로, 바이패스수단은 하부 분기덕트(112)에 챔버(100)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 결합되어 회전동작시 하부 분기덕트(112) 내의 열풍을 챔버(100) 내부로 바이패스시키는 제2댐퍼(520)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를 연통시키도록 중간 구획벽(113)에 마련되며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 결합되고 회전동작시 상기 상부 분기덕트(111) 내의 열풍을 하부 분기덕트(112)의 내부로 유도하는 제4댐퍼(54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4댐퍼(520,54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각각의 댐퍼구동부(600)로 구성된 것이다.
제4댐퍼(540)는 중간 구획벽(113)을 개구시켜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를 연통시키도록 중간 구획벽(113)에 마련되고, 일단부가 중간 구획벽(113)에 힌지축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부 분기덕트(111)측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회전동작시 단부가 상부 분기덕트(111)측으로 회전되면서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를 서로 연통시킴과 아울러, 상부 분기덕트(111)의 제1안내유로(110A) 내에 열풍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고, 하부 분기덕트(112)측으로 열풍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제2,4댐퍼(520,540)의 동작시 제4댐퍼(540)의 단부가 중간 구획벽(113)에서 하부 분기덕트(112)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부 분기덕트(111)의 제1안내유로를 통과하는 열풍이 하부 분기덕트(112)측으로 가이드된다.
또한, 제2댐퍼(520)의 단부가 중간 구획벽(113)측으로 회전되면서 하부 열풍분사 덕트측으로 공급되는 제2안내유로(110B)를 닫아서 열풍을 챔버(100)의 내부로 유도하게 되면서 덕트부재(102)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섬유원단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제5실시예]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도 8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달리, 하나의 구동모터로 하나의 순환팬을 구동시켜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측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구성은 챔버(10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101)와,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온기(101)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유도하는 덕트부재(102)와, 덕트부재(102)와 연결되고 중간 구획벽(113)에 의해 구획되어 제1,2안내유로(110A,110B)를 가지며 덕트부재(102)로부터 전달되는 열풍을 분기시켜 전달하기 위한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에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로부터 각각 분기된 열풍을 강제순환수단에 의해 공급받아 챔버(100) 내로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의 분기 전 위치에 마련되고 송풍모터(250)의 회전력으로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측으로 동시에 공급하는 공급팬(255)을 구비하되, 상기 제1,2안내유로(110A,110B)는 열풍의 흐름 저항을 갖도록 상기 덕트부재(102)와의 연결지점(111a,112a)의 폭(ℓ1,ℓ3)보다 중간 부위(111b,112b)의 폭(ℓ2,ℓ4)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제1,2안내유로(110A,110B)의 유로의 길이를 연장시키지 않고도 기존 동일한 폭을 갖는 제1,2안내유로(110A,110B)를 갖는 종래 텐터기에 비해 상,하부 분사덕트로 공급하는 열풍공급량의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1,2안내유로(110A,110B)를 통과하는 열풍이 잘 섞여서 골고루 분포된 후에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측으로 공급되는 이점을 갖는다.
100 : 챔버 101 : 가온기
102 : 덕트부재 105,106 :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
108 : 필터부재 110A,110B : 제1,2안내유로
111,112 : 상,하부 분기덕트 111a,112a : 연결지점
111b,112b : 중간 부위 113 : 중간 구획벽
114 : 지지덕트 200,300 : 제1,2구동모터
205,305 : 모터축 210,310 : 제1,2순환팬
250 : 송풍모터 255 : 공급팬
400 : 제어부 510,520,530,540 : 제1,2,3,4댐퍼
600 : 댐퍼구동부

Claims (7)

  1. 챔버(10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101)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온기(101)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유도하는 덕트부재(102)와,
    상기 덕트부재(102)와 연결되고 중간 구획벽(113)에 의해 구획되어 제1,2안내유로(110A,110B)를 가지며 덕트부재(102)로부터 전달되는 열풍을 분기시켜 전달하기 위한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에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로부터 각각 분기된 열풍을 공급받아 챔버(100) 내로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102)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측으로 송풍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제1,2순환팬(210,310)과,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고 제어부(400)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되어 상기 제1,2순환팬(210,31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2구동모터(200,3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안내유로(110A,110B)는 열풍의 흐름 저항을 갖도록 상기 덕트부재(102)와의 연결지점(111a,112a)의 폭(ℓ1,ℓ3)보다 중간 부위(111b,112b)의 폭(ℓ2,ℓ4)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섬유원단의 진행이 정지되는 상태를 판단하고 이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하부 분기덕트(111,112) 내의 열풍을 챔버(100) 내부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에 각각 챔버(100)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 결합되어 회전동작시 상,하부 분기덕트(111,112) 내의 열풍을 챔버(100) 내부로 바이패스시키는 제1,2댐퍼(510,52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2댐퍼(510,52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각각의 댐퍼구동부(6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상부 분기덕트(111)에 챔버(100)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 결합되어 회전동작시 상부 분기덕트(111) 내의 열풍을 챔버(100) 내부로 바이패스시키는 제1댐퍼(510)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를 연통시키도록 중간 구획벽(113)에 마련되며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 결합되고 회전동작시 상기 하부 분기덕트 내의 열풍을 상부 분기덕트(111)의 내부로 유도하는 제3댐퍼(53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3댐퍼(510,53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각각의 댐퍼구동부(6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하부 분기덕트(112)에 챔버(100)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 결합되어 회전동작시 하부 분기덕트 내의 열풍을 챔버(100) 내부로 바이패스시키는 제2댐퍼(520)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를 연통시키도록 중간 구획벽(113)에 마련되며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 결합되고 회전동작시 상기 상부 분기덕트(111) 내의 열풍을 하부 분기덕트의 내부로 유도하는 제4댐퍼(54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4댐퍼(520,54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각각의 댐퍼구동부(6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7. 챔버(10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101)와,
    상기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온기(101)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유도하는 덕트부재(102)와,
    상기 덕트부재(102)와 연결되고 중간 구획벽(113)에 의해 구획되어 제1,2안내유로(110A,110B)를 가지며 덕트부재(102)로부터 전달되는 열풍을 분기시켜 전달하기 위한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에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하부 분기덕트(111,112)로부터 각각 분기된 열풍을 강제순환수단에 의해 공급받아 챔버(100) 내로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 덕트(105,106)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의 분기 전 위치에 마련되고 송풍모터(250)의 회전력으로 열풍을 상,하부 분기덕트(111,112)측으로 동시에 공급하는 공급팬(255)을 구비하되,
    상기 제1,2안내유로(110A,110B)는 열풍의 흐름 저항을 갖도록 상기 덕트부재(102)와의 연결지점(111a,112a)의 폭(ℓ1,ℓ3)보다 중간 부위(111b,112b)의 폭(ℓ2,ℓ4)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KR20140034551A 2014-03-25 2014-03-25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KR10149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4551A KR101497960B1 (ko) 2014-03-25 2014-03-25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4551A KR101497960B1 (ko) 2014-03-25 2014-03-25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960B1 true KR101497960B1 (ko) 2015-03-12

Family

ID=5302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4551A KR101497960B1 (ko) 2014-03-25 2014-03-25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96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735B1 (ko) * 2014-06-18 2015-07-23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KR101548652B1 (ko) 2015-07-10 2015-08-3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KR101631246B1 (ko) 2015-06-09 2016-06-16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KR101652886B1 (ko) * 2015-05-12 2016-08-3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더블 댐퍼 각도 조절기를 구비한 텐터기
KR101758243B1 (ko) 2016-04-15 2017-07-14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텀블러장치
KR101890921B1 (ko) 2017-04-28 2018-08-22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원단 수축 건조기의 열풍 공급장치
KR101974939B1 (ko) 2018-10-31 2019-05-07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오토필터장치를 구비한 섬유건조 셋팅기
CN109945602A (zh) * 2019-03-18 2019-06-28 江苏九盛印染设备有限公司 拉幅定型机烘箱系统
KR102122557B1 (ko) * 2019-01-23 2020-06-12 신성재 원단 텀블러 가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666Y1 (ko) * 2000-10-31 2001-05-15 일성기계공업주식회사 열풍 건조시스템
KR100323209B1 (ko) * 1999-04-17 2002-02-19 김원묵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KR100357687B1 (ko) * 2000-10-31 2002-10-19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KR100613898B1 (ko) *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209B1 (ko) * 1999-04-17 2002-02-19 김원묵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KR200224666Y1 (ko) * 2000-10-31 2001-05-15 일성기계공업주식회사 열풍 건조시스템
KR100357687B1 (ko) * 2000-10-31 2002-10-19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KR100613898B1 (ko) *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735B1 (ko) * 2014-06-18 2015-07-23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KR101652886B1 (ko) * 2015-05-12 2016-08-3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더블 댐퍼 각도 조절기를 구비한 텐터기
KR101631246B1 (ko) 2015-06-09 2016-06-16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KR101548652B1 (ko) 2015-07-10 2015-08-3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KR101758243B1 (ko) 2016-04-15 2017-07-14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텀블러장치
KR101890921B1 (ko) 2017-04-28 2018-08-22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원단 수축 건조기의 열풍 공급장치
KR101974939B1 (ko) 2018-10-31 2019-05-07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오토필터장치를 구비한 섬유건조 셋팅기
KR102122557B1 (ko) * 2019-01-23 2020-06-12 신성재 원단 텀블러 가공장치
CN109945602A (zh) * 2019-03-18 2019-06-28 江苏九盛印染设备有限公司 拉幅定型机烘箱系统
CN109945602B (zh) * 2019-03-18 2024-02-06 江苏九盛印染设备有限公司 拉幅定型机烘箱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96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KR101538735B1 (ko)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KR100613898B1 (ko)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EP1781854B1 (en)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both an open width fabric and a fabric in rope form
US4783908A (en) Infrared drying apparatus
KR101631246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KR101652886B1 (ko) 더블 댐퍼 각도 조절기를 구비한 텐터기
CN110725090B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JP3021812B2 (ja) 対流式−乾燥及び/又は定着機械
JPH0681266A (ja) まつすぐな製品を連続的に処理する装置
JP3181891B2 (ja) 筒状編地の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101548652B1 (ko)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US4693016A (en) Drying apparatus
KR20130041811A (ko) 직물 웨브의 열처리 장치
US8806903B2 (en) Garment tunnel finisher with atomized spray and hot air mix
JP2002018970A (ja) 熱処理装置
KR19990068344A (ko) 텐터기의열풍공급시스템
JPH0630298Y2 (ja) 待機機能付きのシート材用乾燥装置及びこの乾燥装置を備えたシート材塗工ライン
KR101890921B1 (ko) 원단 수축 건조기의 열풍 공급장치
CN211142510U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KR100357687B1 (ko)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CN102653920B (zh) 烘干机
JP3545515B2 (ja) 特殊麦芽の製造方法及び特殊麦芽の製造装置
JP7365284B2 (ja) 熱風式乾燥炉
KR200276927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