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385B1 -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385B1
KR101362385B1 KR1020130004347A KR20130004347A KR101362385B1 KR 101362385 B1 KR101362385 B1 KR 101362385B1 KR 1020130004347 A KR1020130004347 A KR 1020130004347A KR 20130004347 A KR20130004347 A KR 20130004347A KR 101362385 B1 KR101362385 B1 KR 10136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dried
heat exchanger
dr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규
박시우
조경철
이호준
도규회
사공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광기계
(재)한국섬유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광기계, (재)한국섬유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광기계
Priority to KR102013000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터기나 코팅기와 같은 섬유가공기의 건조부에 구성된 건조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건조부를 통과하는 피건조물의 표면과 이면에 분사되는 열풍의 온도와 풍량의 조건을 달리하여, 피건조물에 처리된 기능성 물질의 물성에 적합한 건조조건으로 건조되게 함으로서, 최적의 기능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섬유가공기의 건조부 내에 구성된 건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건조부를 원단, 즉 피건조물을 기준으로 상부건조실과 하부건조실로 구분하되, 상하부건조실에 별도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에는 각각의 송풍팬과 열교환기 및 가열기를 설치함으로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로 공급되는 건조열풍의 온도조건을 달리하여 피건조물이 건조되게 하며, 피건조물을 파지, 이동시키는 핀레일, 즉 이송레일 양측 단부에는 가변분리격판을 구성하여 상하부 건조실이 분리되게 함으로서, 열풍온도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TEXTILE MACHINERY DRYER FOR CONTROLLABLE TEMPERATURE OF DRYING ROOM}
본 발명은 텐터기나 코팅기와 같은 섬유가공기에 구성된 건조부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능성 원단이나 산업용 시트, 인조잔디 등과 같은 피건조물이 건조부를 통과하면서 열풍에 의해 건조되게 하되, 피건조물에 처리된 기능성 물질의 건조조건에 따라 피건조물의 표면과 이면으로 분사되는 열풍의 조건(온도, 풍량 등)을 달리하여 피건조물에 처리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기능상실없이 최적의 조건으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특히 건조실의 양측 공간부를 가변분리격판을 이용하여 건조실이 상하로 완전히 격리되게 함으로서 열풍의 온도설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 수 있게 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능성 의류와 패션의류의 경계선이 모호해지면서 피부와 접촉하는 안감류는 유연성, 흡습성, 드레이프성 등 감성적인 측면이 요구되어지고 있고, 환경과 직접적인 접촉을 하는 외부는 발수성, 난연성, 내구성(내마찰성, 내견뢰도) 등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에서 요구되는 기능의 원단개발을 위하여서는 코팅기와 같은 섬유가공기를 이용하여 원단의 표면과 이면에 원하는 기능성 물질을 처리함으로서 수요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기능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단의 표면과 이면에 처리된 기능성 물질의 서로 다른 기능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코팅시스템에서 최적의 기능성 구현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수지 물성에 적합한 조건의 건조공정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원단의 건조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특허 제475663호 "텐터기 열풍시스템" (특허문헌 1)과, 특허 제613898호 "텐터기의 열풍 공급 분배구조" (특허문헌 2)와, 특허 제1058180호 "텐터기의 댐퍼위치 결정방법 및 장치" (특허문헌 3) 등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에서 제공되고 있는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의 텐터기에 구성된 건조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검토하여 보면 도 6에서와 같이 구성되면서 부분적으로 구성을 달리하여 피건조물 표면과 이면에 균일하고 일정한 온도로 열풍이 분사되게 한다는 것이다.
즉 직육면체 형상의 사각챔버(1)의 하부 일측에 구동모터(M)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M)의 모터축(2)에 순환팬(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순환팬(3)은 공기흡입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축류팬이 사용된다.
또한 구동모터(M)가 설치된 반대편에 해당되는 사각챔버(1)의 하부 일측에는 버너(B)가 구비되고, 버너(B)와 구동모터(M)의 순환팬(3)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부재(4)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순환팬(3)의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M)의 구동에 의해 순환팬(3)이 회전될때 버너(B)에서 발생된 열기가 화살표방향으로 순환팬(3)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순환팬(3)이 설치되는 덕트부재(4)에는 그 상부측으로 연통된 공기안내덕트(5)가 분기되어 설치되어 순환팬(3)에 의해 버너(B)에서 발생된 열기가 열풍으로 전환되어 공기안내덕트(5)로 유입되며, 공기안내덕트(5)는 상하분기덕트(5a)(5b)로 이루어져 있고, 상하분기덕트(5a)(5b)의 출구부측에는 소형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설치되는 상하분사덕트(6)(7)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하분사덕트(6)(7)는 내부가 외부와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호 마주보는 대항면에는 노즐역할을 하는 미세한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열풍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텐터기에 구성된 건조수단의 경우 버너(B)에서 가열된 열풍의 덕트부재(4) 및 순환팬(3)을 통하여 공기안내덕트(5)로 공급된 다음, 즉 원단 상하에 위치하는 상하분사덕트(6)(7)로 공급된 다음 분사되게 하여 피건조물이 건조되게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피건조물의 일측면 혹은 표면과 이면에 기능성이 상이한 물질이 코팅되면서 기능성 물질의 물성에 따라 건조조건이 상이하여야 최적의 기능성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온도조건의 열풍을 통하여 건조가 되므로 최적의 기능성을 기대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일반코팅기에 구성된 건조부의 경우 챔버 내면 일면에만 분사덕트가 구비된 구조로서 역시 건조조건의 온도가 상이한 기능성 물질이 상하에 코팅된 피건조물의 건조에는 적합치 아니한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특허 제475663호 "텐터기 열풍시스템" 특허 제613898호 "텐터기의 열풍 공급 분배구조" 특허 제1058180호 "텐터기의 댐퍼위치 결정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텐터기나 코팅기와 같은 섬유가공기의 건조부에 구성된 건조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건조부를 통과하는 피건조물의 표면과 이면에 분사되는 열풍의 온도와 풍량의 조건을 달리하여, 피건조물에 처리된 기능성 물질의 물성에 적합한 건조조건으로 건조되게 함으로서, 최적의 기능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섬유가공기의 건조부 내에 구성된 건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건조부를 원단, 즉 피건조물을 기준으로 상부건조실과 하부건조실로 구분하되, 상하부건조실에 별도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에는 각각의 송풍팬과 열교환기 및 가열기를 설치함으로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로 공급되는 건조열풍의 온도조건을 달리하여 피건조물이 건조되게 하며, 피건조물을 파지, 이동시키는 핀레일, 즉 이송레일 양측 단부에는 가변분리격판을 이용, 상하부 건조실이 분리되게 하여, 열풍온도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텐터기나 코팅기와 같은 섬유가공기에 구성된 건조부에 피건조물이 통과하면서 건조되게 하되, 건조부를 상,하부 건조실로 분리되게 한 다음 상하부 열풍분사덕트를 통하여 분사되는 열풍의 온도조건을 달리하여 피건조물에 처리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물성에 적합한 온도로 설정, 건조되게 함으로서, 기능성 물질의 기능성 상실없이 최적의 조건으로 건조되게 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기능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건조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2 : 본 발명 건조장치에서 이송레일 양측단부에 롤스크린으로 구성된 가변분리격판을 적용한 상태도
도 3 : 도 2의 요부구성도
도 4 : 본 발명 건조장치에서 이송레일 양측단부에 절첩스크린으로 구성된 가변분리격판을 적용한 상태도
도 5 : 도 4의 요부구성도
도 6 : 종래 섬유가공기의 건조부 구성도
도 7 : 일반 코팅기의 개략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텐터기, 혹은 코팅기(도 7 참조)와 같은 섬유가공기에 구성된 건조부(10)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로서, 건조부(10) 중앙 양측에 핀레일, 즉 이송레일(20)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레일(20) 사이에 기능성 물질이 일면 혹은 양면에 코팅된 원단이나 산업용 시트, 인조잔디 등과 같은 피가공물(W)이 파지되게 함으로서, 건조부(10)가 상부건조실(30)과 하부건조실(30')로 분리구성되게 한다.
상부건조실(30) 일측에는 버너와 같은 상부가열기(40)와 상부가열기(40)에 의해 가열되는 상부열교환기(50)를 구성하고, 상부열교환기(50)는 상부열풍공급덕트(60) 내에 위치되게 하고, 상부열풍공급덕트(60)의 단부에는 상부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송풍팬(70)을 설치하고, 상부송풍팬(70)은 피건조물(W)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열풍분사덕트(80)와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상부송풍팬(70)을 작동시키면 상부열교환기(50)에서 가열된 열풍이 상부열풍공급덕트(60)를 통하여 상부송풍팬(70)으로 흡입되고, 상부송풍팬(70)으로 흡입된 열풍은 상부열풍분사덕트(80)로 송풍되어 상부열풍분사덕트(80)에 구성된 열풍분사공(81)을 통하여 피건조물(W) 상부에 분사된다.
하부건조실(30') 일측에는 버너와 같은 하부가열기(40')와 하부가열기(40')에 의해 가열되는 하부열교환기(50')를 구성하고, 하부열교환기(50')는 하부열풍공급덕트(60') 내에 위치되게 하고, 하부열풍공급덕트(60')의 단부에는 하부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송풍팬(70')을 설치하고, 하부송풍팬(70')은 피건조물(W) 하단에 위치하는 하부열풍분사덕트(80')와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하부송풍팬(70')을 작동시키면 하부열교환기(50')에서 가열된 열풍이 하부열풍공급덕트(60')를 통하여 하부송풍팬(70')으로 흡입되고, 하부송풍팬(70')으로 흡입된 열풍은 하부열풍분사덕트(80')로 송풍되어 하부열풍분사덕트(80')에 구성된 열풍분사공(81)을 통하여 피건조물(W) 하부에 분사된다.
이때 상하부열교환기(50)(50')는 상하부가열기(40)(40')의 조작으로 온도조절이 가능케 구성되어 있어 상하부 열풍분사덕트(80)(80')의 열풍분사공(81)을 통하여 분사되는 건조열풍의 온도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하부모터(M)(M')에 의해 회전하는 상하부송풍팬(70)(70')의 회전조정을 통하여 풍량이 조절된다.
건조부(10) 상단에는 상부배풍팬(90)과 하부배풍팬(90')을 설치하여 상하부건조실(30)(30') 내의 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측 이송레일(20)과 건조부(10)의 본체 측판(12)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13)에 가변분리격판(100)을 장치하고, 상기 가변분리격판(100)에 의해 건조부(10) 내에 구성된 상부건조실(30)과 하부건조실(30')이 완전히 격리되게 함으로서 상하부건조실(30)(30')의 열풍온도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분리격판(100)은 이송레일(20)과, 본체 측판(12)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부(13)를 차단하는 모든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단, 피건조물(W)의 폭에 따라 이송레일(20)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기 때문에 가변분리격판(100)의 폭은 넓게 혹은 좁게 조정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3은 가변분리격판(100)으로서 롤스크린(110)을 적용한 것으로서, 이송레일(20) 일측에 롤스크린(110) 일측 단부를 고정하고, 본체 측판(12) 일측에 롤스크린(110)이 권취된 권취롤러(111)를 설치하고 상기 권취롤러(111)는 서브모터(M1)에 의해 정역회전되게 함으로서 공간부(13)의 간격에 맞게 롤스크린(110)의 폭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권취롤러(111)의 정역회전수단으로서 서브모터(M1)를 이용하였으나, 서브모터(M1)가 아닌 권취롤러(111)를 정역회전시켜 롤스크린(110)의 폭이 조정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가변분리격판(100)으로서 절첩스크린(120)을 적용한 것으로서 이송레일(20)과 본체 측판(12) 사이에 주름(121)이 형성된 절첩스크린(120)을 설치하여 공간부(13)의 간격에 맞게 절첩스크린(120)의 폭이 간편하게 조정될 수 있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텐터기나 코팅기와 같은 섬유가공기의 건조부(10)에 적용하여 사용하게 되며, 피건조물(W)의 표면과 이면에 코팅된 기능성 물질의 물성에 따라 상하부건조실(30)(30')에 구성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80)(80')로부터 분사되는 열풍의 온도나 풍량이 조정되게 하여 최적의 기능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피건조물(W) 표면에 코팅된 기능성 물질의 경우 120℃의 온도조건에서 건조되는 것이 기능성 물질의 물성변화없이 최적의 기능성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고, 이면에 코팅된 기능성 물질의 경우 80℃의 온도조건에서 건조되는 것이 기능성 물질의 물성변화없이 최적의 기능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종래의 건조장치는 단일의 버너와 열교환기를 통하여 동일한 온도의 열풍이 분사되어 건조가 되므로 최적의 건조조건을 충족할 수 없기 때문에 기능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건조장치는 상부건조실(30)에 구성된 상부가열기(40)의 설정을 통하여 상부열교환기(50)의 열교환온도를 120℃로 정확히 설정할 수 있어, 상부열교환기(50)를 통하여 가열된 120℃의 열풍이 상부송풍팬(70) 및 상부열풍분사덕트(80)의 열풍분사공(81)을 통하여 피건조물(W)의 표면에 코팅된 기능성 물질을 건조하게 되므로 최적의 기능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건조실(30')에 구성된 하부가열기(40')의 설정을 통하여 하부열교환기(50')의 열교환온도를 80℃로 정확히 설정할 수 있어 하부열교환기(50')를 통하여 가열된 80℃의 열풍이 하부송풍팬(70') 및 하부열풍분사덕트(80')의 열풍분사공(81)을 통하여 피건조물(W)의 이면에 코팅된 기능성 물질을 건조하게 되므로 최적의 기능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하부송풍팬(70)(70')의 회전조정에 의하여 열풍의 풍량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요구되는 최적의 풍량으로 피건조물(W)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피건조물(W)을 파지하는 이송레일(20)과 본체 측판(12) 사이의 공간부(13)를 통하여 상하부건조실(30)(30')의 열풍이 혼합되어 온도조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가변분리격판(100)을 통하여 공간부(13)가 완전히 차단되게 함으로서 상하부건조실(30)(30')의 열풍이 혼합될 염려가 없어 상하부건조실(30)(30')의 온도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부(13)의 가변분리격판(100)으로서 여러수단들이 제공될 수 있겠으나,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롤스크린(110)을 이용하거나,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절첩스크린(120)을 이용할 수 있다.
롤스크린(110)의 경우 이송레일(20) 일측에 롤스크린(110) 일측 단부를 고정설치하고, 본체 측판(12) 일측에 롤스크린(110)이 감긴 권취롤러(111)를 설치하여 서브모터(M1)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정역회전되면서 롤스크린(110)이 감기거나 풀어지게 함으로서, 피건조물(W)의 폭에 따라 이송레일(20)이 이동하여 공간부(13)의 간격이 변하더라도 변형되는 간격에 맞게 롤스크린(110)의 폭을 조정할 수 있어 공간부(13)의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절첩스크린(120)의 경우 이송레일(20)과 본체 측판(12) 사이에 주름(121)이 형성된 절첩스크린(120)을 설치하여, 피건조물(W)의 폭에 따라 이송레일(20)이 이동하여 공간부(13)의 간격이 변하더라도 변형되는 간격에 맞게 절첩스크린(120)의 폭이 조정되므로 공간부(13)의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건조부(10)를 상하부건조실(30)(30')로 구분되게 한 다음, 상하부건조실(30)(30')에 각각 별도로 구성된 상하부가열기(40)(40') 및 상하부열교환기(50)(50')를 통하여 열풍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어 피건조물(W) 표면과 이면에 코팅된 기능성 물질의 물성에 적합한 온도로 건조되게 함으로서 최적의 기능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공간부(13)를 가변분리격판(100)으로 분리되게 하여 상하부건조실(30)(30')이 차단되게 함으로서, 상하부건조실(30)(30')의 열풍온도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정확한 온도조건으로 피건조물(W)을 건조할 수 있어 상품성과 기능성이 우수한 양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건조부 (12)--본체 측판
(13)--공간부 (20)--이송레일
(30)--상부건조실 (30')--하부건조실
(40)--상부가열기 (40')--하부가열기
(60)--상부열풍공급덕트 (60')--하부열풍공급덕트
(70)--상부송풍팬 (70')--하부송풍팬
(80)--상부열풍분사덕트 (80')--하부열풍분사덕트
(81)--열풍분사공 (90)--상부배풍팬
(90')--하부배풍팬 (100)--가변분리격판
(110)--롤스크린 (111)--권취롤러
(120)--절첩스크린 (121)--주름

Claims (4)

  1. 가열기와 열교환기 송풍팬 및 열풍분사덕트로 구성되어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열풍이 송풍기를 통하여 열풍분사덕트로 공급분사되게 함으로서 이송레일에 파지된 피건조물이 건조되게 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건조부(10) 내에 설치된 이송레일(20)을 기준으로 상부건조실(30)과 하부건조실(30')이 분리구성되게 하되, 상부건조실(30) 일측에 상부가열기(40)와 상부열교환기(50) 및 상부열풍공급덕트(60)를 구성하고, 상부열풍공급덕트(60) 일측에 상부송풍팬(70)을 설치하고, 상부송풍팬(70)은 피건조물(W)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열풍분사덕트(80)와 연결되게 하여 상부열교환기(50)에서 가열된 열풍이 피건조물(W) 표면(상부)에 분사되게 하고, 하부건조실(30') 일측에 하부가열기(40')와 하부열교환기(50') 및 하부열풍공급덕트(60')를 설치하고, 하부열풍공급덕트(60') 일측에 하부송풍팬(70')을 설치하고, 하부송풍팬(70')은 피건조물(W) 하단에 위치하는 하부열풍분사덕트(80')와 연결되게 하여 하부열교환기(50')에서 가열된 열풍이 피건조물(W) 이면(하부)에 분사되게 함으로서, 피건조물(W)의 표면과 이면에 분사되는 열풍의 온도 및 풍량이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건조부(10) 내면에 구성된 이송레일(20)과 본체 측판(12) 사이에 공간부(13)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공간부(13)에 가변분리격판(100)을 통하여 공간부(13)가 차단되게 하여, 상하부건조실(30)(30')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상하부건조실(30)(30')의 온도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공간부(13)를 차단하는 가변분리격판(100)을 롤스크린(110)으로 구성하되, 이송레일(20) 일측에 롤스크린(110) 일측 단부를 고정하고, 본체 측판(12) 측부에 롤스크린(110)이 권취된 권취롤러(111)를 설치하여 롤스크린(110)에 의해 공간부(13)가 차단되게 하고, 상기 권취롤러(111)는 정역회전되게 하여 공간부(13)의 간격에 맞게 롤스크린(110)의 폭이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공간부(13)를 차단하는 가변분리격판(100)을 주름(121)이 형성된 절첩스크린(120)으로 구성하되, 절첩스크린(120) 일측은 이송레일(20) 측부에 고정되게 하고, 타측은 본체 측판(12) 측부에 고정되게 하여 절첩스크린(120)에 의해 공간부(13)가 차단되게 하고, 상기 절첩스크린(120)은 주름(121)에 의해 공간부(13)의 간격에 맞게 폭이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KR1020130004347A 2013-01-15 2013-01-15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KR10136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347A KR101362385B1 (ko) 2013-01-15 2013-01-15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347A KR101362385B1 (ko) 2013-01-15 2013-01-15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385B1 true KR101362385B1 (ko) 2014-02-12

Family

ID=5027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347A KR101362385B1 (ko) 2013-01-15 2013-01-15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3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246B1 (ko) * 2015-06-09 2016-06-16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KR20180077456A (ko) 2016-12-29 2018-07-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섬유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386A (ja) 2000-01-20 2001-07-24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乾燥機
KR20050119256A (ko) * 2004-06-16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KR100613898B1 (ko)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KR20110029578A (ko) * 2009-09-16 2011-03-2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히트펌프식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386A (ja) 2000-01-20 2001-07-24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乾燥機
KR20050119256A (ko) * 2004-06-16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KR100613898B1 (ko)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KR20110029578A (ko) * 2009-09-16 2011-03-2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히트펌프식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246B1 (ko) * 2015-06-09 2016-06-16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KR20180077456A (ko) 2016-12-29 2018-07-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섬유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46965B (da) Toerreapparat, der er indrettet til at drives med damp og varm luft, for tekstilbeklaedningsstykker
KR100613898B1 (ko)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CN203629231U (zh) 一种纺织品烘干机
KR101362385B1 (ko)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SE461992B (sv) Foerfarande foer torkning av en pappersbana eller liknande
CN104894790A (zh) 一种拉幅定型机烘箱热平衡系统
KR10179893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US5619808A (en) Apparatus for blowing air at a length of textile fabric
KR101519367B1 (ko) 텐터기용 공기분사덕트의 공기분사각도 조절장치
KR102111724B1 (ko) 필름 시트용 텐터기
KR101631246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KR101362386B1 (ko) 에어커튼으로 상하부건조실이 분리되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CN104032529B (zh) 拉幅定型机的热风送风系统
JP6920465B2 (ja) フィルム製造装置
CN110725090A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KR102395909B1 (ko)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KR20150117979A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가이드구조체
CN105442222A (zh) 织物烘干箱
KR20120113763A (ko)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시트 재료를 열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N208839876U (zh) 一种抗菌除异味的纺织品加工装置
CN211142517U (zh) 用于复式定型装置的送风机构以及复式定型装置
CN211142510U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WO2015022705A1 (en) Fluid treatment unit for fabrics, cellulosic and the like material as well as fluid treatment method
WO2017164833A1 (en) Nozzle system
CN203866566U (zh) 拉幅定型机的热风送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