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909B1 -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 Google Patents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909B1
KR102395909B1 KR1020210145582A KR20210145582A KR102395909B1 KR 102395909 B1 KR102395909 B1 KR 102395909B1 KR 1020210145582 A KR1020210145582 A KR 1020210145582A KR 20210145582 A KR20210145582 A KR 20210145582A KR 102395909 B1 KR102395909 B1 KR 102395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air
heating space
hous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5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6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29C2035/046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dr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컨트롤러에 의해 온도 조절되는 전,후방측 하우징로 구성되는 하나의 챔버 내에 배치된 히터와 송풍팬의 배치 위치 및 성능 차이에 따라 좌,우측 부분별 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제품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후측 하우징의 열균형을 이루도록 전,후방측 하우징의 좌측 상부에 마련된 제1히팅존에서 전방측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제1히터부재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으로 열교환된 후에 후방측 하우징의 좌측 내부로 순환 공급되고, 전,후방측 하우징의 우측 상부에 마련된 제2히팅존에서 후방측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제2히터부재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으로 열교환된 후에 전방측 하우징의 우측 내부로 순환 공급되어 전,후방측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열교환된 후에 순환 교차됨에 따라 좌측, 중간, 우측 부위별로 균일하게 필름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방측 하우징의 열풍을 교차 순환시켜 서로 근접된 전,후방측 하우징의 내부 온도에 대한 열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HOT AIR CROSS-FLOW CIRCULATION TYPE FILM DRYER}
본 발명은 하나의 컨트롤러에 의해 온도 조절되는 전,후방측 하우징로 구성되는 하나의 챔버 내에 배치된 히터와 송풍팬의 배치 위치 및 성능 차이에 따라 좌,우측 부분별 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제품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측 하우징의 열균형을 이루도록 전,후방측 하우징의 좌측 상부에 마련된 제1히팅존에서 전방측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제1히터부재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으로 열교환된 후에 후방측 하우징의 좌측 내부로 순환 공급되고, 전,후방측 하우징의 우측 상부에 마련된 제2히팅존에서 후방측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제2히터부재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으로 열교환된 후에 전방측 하우징의 우측 내부로 순환 공급되어 전,후방측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열교환된 후에 순환 교차됨에 따라 좌측, 중간, 우측 부위별로 균일하게 필름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방측 하우징의 열풍을 교차 순환시켜 서로 근접된 전,후방측 하우징의 내부 온도에 대한 열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 챔버는 건조 대상물의 처리에 이송속도와 처리조건에 대응하여 그 전체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챔버는 그 전체 길이를 등분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챔버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건조기 중 필름을 건조시키는 필름 텐터기의 경우에는 내부에 필름이 이송되는 중에 필름의 상측과 하측에서 열풍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하부 열풍분사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히팅존이 상측에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기존 필름 건조기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1540호 "텐터 장치 및 필름 건조 방법"(등록일자 : 2008.09.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필름의 측 가장자리를 클립핑하는 클립 개시 위치와 필름의 클립핑을 퇴피하는 클립 퇴피 위치 사이에서 필름을 클립핑하고 필름을 반송하는 클립; 상기 필름을 향해 건조풍을 공급하여 필름을 반송하면서 필름을 건조시키는 건조풍 송풍기; 상기 필름의 클립핑시에 상기 클립의 주행 경로를 커버하는 클립 커버; 및 상기 클립 커버의 외부의 상기 건조풍이 상기 클립 커버의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클립 커버의 내부로 신선풍을 공급하는 신선풍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기존 필름 건조기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1724호 "필름 시트용 텐터기"(등록일자 : 2020.05.1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히터부재와 제1,2송풍팬을 이용하여 좌,우 양측의 공급덕트측에 열풍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제1,2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열풍이 섞이는 열풍믹스존을 통과하여 공급되도록 하여 좌,우측 공급덕트에 균일한 온도 및 바람 세기의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필름 시트용 텐터기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필름 텐터장치는 전,후방측 하우징으로 구성된 하나의 챔버에 하나의 컨트롤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히터와 송풍팬의 배치 위치 및 각 히터와 송풍팬의 성능 차이가 발생할 경우, 작은 성능 차이에 의해서도 히팅존이 배치된 좌측 또는 우측의 열풍이 반대편측으로 이송되는 중에 좌측, 중간, 우측의 부위별 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되고, 두께가 얇은 필름 시트를 건조하는 중에 열 불균형으로 인해 필름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1540호 "텐터 장치 및 필름 건조 방법"(등록일자 : 2008.09.2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1724호 "필름 시트용 텐터기"(등록일자 : 2020.05.11)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컨트롤러에 의해 온도 조절되는 전,후방측 하우징로 구성되는 하나의 챔버 내에 배치된 히터와 송풍팬의 배치 위치 및 성능 차이에 따라 좌,우측 부분별 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제품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름의 이송방향과 근접되는 전,후방측 하우징들의 열풍이 서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챔버의 부위별 열균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어 하나의 챔버 내에 밀접되게 배치된 전,후방측 하우징 내의 부위별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열풍을 교차 순환시켜 서로 근접된 전,후방측 하우징의 내부 온도에 대한 열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름의 이송방향으로 서로 근접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필름의 상,하측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덕트가 각각 구비되는 전,후방측 하우징와;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의 좌측 상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방측 하우징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시키고 상기 후방측 하우징의 좌측으로 공급하는 제1히팅존과;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의 우측 상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방측 하우징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시키고 상기 전방측 하우징의 우측으로 공급하는 제2히팅존과; 상기 전방측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상,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히팅존의 내부로 리턴시키는 상기 제1리턴덕트; 및 상기 후방측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상,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히팅존의 내부로 리턴시키는 상기 제2리턴덕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히팅존은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의 상부를 제1,2히팅공간부로 구획하도록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연통되도록 제1통공이 형성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히팅공간부의 바닥에 천공되고 전방측 하우징 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전방측 하우징의 좌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전방측 하우징 내의 공기 리턴 통로가 되는 제1연통공과, 상기 제1연통공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가열시켜 열교환하도록 상기 제1히팅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히터부재와, 상기 제1히팅존의 내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히터부재를 통해 열교환되어 가열된 열풍 공기를 상기 제1통공을 통해 상기 제2히팅공간부의 내측으로 송풍시키는 제1송풍팬과, 상기 제2히팅공간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열풍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 및 상기 제2히팅공간부의 바닥에 천공되어 상기 제2히팅공간부의 열풍 공기를 상기 후방측 하우징 내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측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공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히팅존은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의 상부를 제3,4히팅공간부로 구획하도록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연통되도록 제2통공이 형성되는 제2격벽과, 상기 제3히팅공간부의 바닥에 천공되고 후방측 하우징 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후방측 하우징의 우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측 하우징 내의 공기 리턴 통로가 되는 제3연통공과, 상기 제3연통공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가열시켜 열교환하도록 상기 제2히팅존의 제3히팅공간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히터부재와, 상기 제2히팅존의 내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히터부재를 통해 열교환되어 가열된 열풍 공기를 상기 제2통공을 통해 상기 제4히팅공간부의 내측으로 송풍시키는 제2송풍팬과, 상기 제4히팅공간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열풍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 및 상기 제4히팅공간부의 바닥에 천공되어 상기 제4히팅공간부의 열풍 공기를 상기 전방측 하우징 내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측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제4연통공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2히팅존의 열풍을 공급받아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측으로 분배 공급하는 분배덕트가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은 전,후방측 하우징의 좌측 상부에 마련된 제1히팅존에서 전방측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제1히터부재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으로 열교환된 후에 후방측 하우징의 좌측 내부로 순환 공급되고, 전,후방측 하우징의 우측 상부에 마련된 제2히팅존에서 후방측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제2히터부재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으로 열교환된 후에 전방측 하우징의 우측 내부로 순환 공급됨에 따라 전,후방측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열교환된 후에 순환 교차됨에 따라 좌측, 중간, 우측 부위별로 균일하게 필름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터와 송풍팬의 배치위치 및 각 히터와 송풍팬의 성능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서로 근접된 전,후방측 하우징의 내부 온도에 대한 열균형이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2의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1히팅존의 열풍 공기 흐름 상태를 화살표로 표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제2히팅존의 열풍 공기 흐름 상태를 화살표로 표시한 사용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필름의 이송방향으로 서로 근접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필름의 상,하측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가 각각 구비되는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와;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좌측 상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시키고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의 좌측으로 공급하는 제1히팅존(200)과;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우측 상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시키고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의 우측으로 공급하는 제2히팅존(300)과;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의 상,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히팅존(200)의 내부로 리턴시키는 상기 제1리턴덕트(410,420); 및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의 상,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히팅존(300)의 내부로 리턴시키는 상기 제2리턴덕트(430,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는 필름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횡방향으로 서로 근접되게 배치되고,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좌측 상부에 제1히팅존(200)이 배치되며,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우측 상부에 제2히팅존(300)이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히팅존(2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상부를 제1,2히팅공간부(200a,200b)로 구획하도록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연통되도록 제1통공(215)이 형성되는 제1격벽(210)과, 상기 제1히팅공간부(200a)의 바닥에 천공되고 전방측 하우징(110) 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의 좌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전방측 하우징(110) 내의 공기 리턴 통로가 되는 제1연통공(205)과, 상기 제1연통공(205)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가열시켜 열교환하도록 상기 제1히팅존(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히터부재(220)와, 상기 제1히팅존(200)의 내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히터부재(220)를 통해 열교환되어 가열된 열풍 공기를 상기 제1통공(215)을 통해 상기 제2히팅공간부(200b)의 내측으로 송풍시키는 제1송풍팬(230)과, 상기 제2히팅공간부(200b)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송풍팬(230)에 의해 송풍된 열풍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240), 및 상기 제2히팅공간부(200b)의 바닥에 천공되어 상기 제2히팅공간부(200b)의 열풍 공기를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 내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측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공(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히팅존(200)은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좌측 상부측에 하나의 케이싱 형태로 마련되고, 케이싱 형태로 구성된 제1히팅존(200)의 내부를 격벽으로 제1,2히팅공간부(200a,200b)로 구획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격벽(210)은 상기 제1,2히팅공간부(200a,200b)를 구획하도록 마련되고, 제1,2히팅공간부(200a,200b)를 연통시키는 제1통공(21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히팅공간부(200a)는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의 좌측 상부에 마련되고, 제1연통공(205)을 통해 전방측 하우징(11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제1송풍팬(230)이 구비되며, 상기 송풍된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가열하는 제1히터부재(2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송풍팬(230)은 제1송풍모터(235)로부터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제1연통공(205)을 통해 전방측 하우징(11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히팅공간부(200a)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제1히팅공간부(200a) 내의 열풍 공기를 제1격벽(210)의 제1통공(215)을 통해 제2히팅공간부(200b)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2히팅공간부(200b)는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의 좌측 상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제1필터부재(2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히팅존(300)은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우측 상부를 제3,4히팅공간부(300a,300b)로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연통되도록 제2통공(315)이 형성되는 제2격벽(310)과, 상기 제3히팅공간부(300a)의 바닥에 천공되고 후방측 하우징(120) 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의 우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 내의 공기 리턴 통로가 되는 제3연통공(305)과, 상기 제3연통공(305)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가열시켜 열교환하도록 상기 제2히팅존(300)의 제3히팅공간부(300a)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히터부재(320)와, 상기 제2히팅존(300)의 내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히터부재(320)를 통해 열교환되어 가열된 열풍 공기를 상기 제2통공(315)을 통해 상기 제4히팅공간부(300b)의 내측으로 송풍시키는 제2송풍팬(330)과, 상기 제4히팅공간부(300b)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송풍팬(330)에 의해 송풍된 열풍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340), 및 상기 제4히팅공간부(300b)의 바닥에 천공되어 상기 제4히팅공간부(300b)의 열풍 공기를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 내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측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제4연통공(3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히팅존(300)은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우측 상부측에 하나의 케이싱 형태로 마련되고, 케이싱 형태로 구성된 제2히팅존(300)의 내부를 상기 제2격벽(310)으로 제3,4히팅공간부(300a,300b)로 구획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2격벽(310)은 상기 제3,4히팅공간부(300a,300b)를 구획하도록 마련되고, 제3,4히팅공간부(300a,300b)를 연통시키는 제2통공(31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3히팅공간부(300a)는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의 우측 상부에 마련되고, 제3연통공(305)을 통해 후방측 하우징(12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제2송풍팬(330)이 구비되며, 상기 송풍된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가열하는 제2히터부재(3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송풍팬(330)은 제2송풍모터(335)로부터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제3연통공(305)을 통해 후방측 하우징(12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3히팅공간부(300a)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제3히팅공간부(300a) 내의 열풍 공기를 제2격벽(310)의 제2통공(315)을 통해 제4히팅공간부(300b)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4히팅공간부(300b)는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의 우측 상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제2필터부재(340)가 구비된다.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2히팅존(200)(300)의 열풍을 공급받아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측으로 분배 공급하는 분배덕트(45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분배덕트(450)는 상기 제2연통공(250)과 제4연통공(350)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각각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측으로 분배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히팅존(200)은 상기 제1히팅공간부(200a) 내에 배치된 제1송풍팬(230)의 회전 구동시 전방측 하우징(110) 내의 공기가 상기 제1리턴덕트(410,420) 및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의 좌측 상부면에 형성된 제1연통공(205)을 통해 제1히팅공간부(200a) 내로 유입되고, 상기 제1히팅공간부(200a) 내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히터부재(220)에 의해 가열되도록 열교환된 후에 제1통공(215)을 통해 제2히팅공간부(200b) 내로 송풍되며, 제1격벽(210)의 제1통공(215)을 통해 유입된 열풍을 제2히팅공간부(200b) 내에 배치된 제1필터부재(240)를 통과시키면서 필터링한 후에 제2연통공(250)을 통해 후방측 하우징(120)의 좌측 내부로 공급하여 분배덕트(450)를 통해 후방측 하우징(120)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측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후방측 하우징(12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이송되는 필름의 상,하측으로 열풍을 분사하여 필름을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제2히팅존(300)은 상기 제3히팅공간부(300a) 내에 배치된 제2송풍팬(330)의 회전 구동시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 내의 공기가 상기 제2리턴덕트(430,440) 및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의 우측 상부면에 형성된 제3연통공(305)을 통해 제3히팅공간부(300a) 내로 유입되고, 상기 제3히팅공간부(300a) 내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히터부재(320)에 의해 열풍의 공기로 열교환된 후에 제2격벽(310)의 제2통공(315)을 통해 제4히팅공간부(300b) 내로 송풍되며, 제2격벽(310)의 제2통공(315)을 통해 유입된 열풍을 제4히팅공간부(300b) 내에 배치된 제2필터부재(340)를 통과시키면서 필터링한 후에 제4연통공(350)을 통해 전방측 하우징(110)의 우측 내부로 공급하여 분배덕트(450)를 통해 전방측 하우징(110)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측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전방측 하우징(11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이송되는 필름의 상,하측으로 열풍을 분사하여 필름을 건조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좌측 상부에 마련된 제1히팅존(200)에서 전방측 하우징(110)의 내부 공기가 제1히터부재(220)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으로 열교환된 후에 후방측 하우징(120)의 좌측 내부로 순환 공급되고,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우측 상부에 마련된 제2히팅존(300)에서 후방측 하우징(120)의 내부 공기가 제2히터부재(320)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으로 열교환된 후에 전방측 하우징(110)의 우측 내부로 순환 공급되므로, 하나의 컨트롤러에 의해 온도 조절되는 하나의 건조 챔버 내에 서로 근접되게 배치된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내부 공기가 열교환된 후에 순환 교차됨에 따라 좌측, 중간, 우측 부위별로 균일하게 필름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컨트롤러에 의해 온도 조절되는 건조 챔버의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히터와 송풍팬이 설치되고 각각 배치된 히터와 송풍팬의 성능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서로 근접된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내부 온도에 대한 열균형이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와는 달리, 제1,2송풍팬(230,330)이 전,후측 하우징(110,120)에 배치되고, 상기 제1리턴덕트(410,420)와 연결되는 상기 제1연통공(205)이 제1히팅공간부(200a)의 양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배덕트(450)와 연결된 제2연통공(250)이 제2히팅공간부(200b)에 형성되고, 상기 제2리턴덕트(430,440)와 연결되는 제3연통공(305)이 제3히팅공간부(300a)의 양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배덕트(450)와 연결된 제4연통공(350)이 제4히팅공간부(300b)에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송풍팬(230)은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 내부에 배치되고 양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연통공(250)의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회전 구동시 상기 제1리턴덕트(410,420)를 통해 전방측 하우징(110) 내에서 리턴되는 공기를 상기 제1히팅공간부(200a)의 제1연통공(205)을 통해 흡입하고 제1히터부재(220)를 통해 열교환시킨 후에 상기 제2연통공(250)을 통해 후방측 하우징(1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송풍팬(330)은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고 양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4연통공(35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회전 구동시 상기 제2리턴덕트(430,440)를 통해 후방측 하우징(120) 내에서 리턴되는 공기를 상기 제3히팅공간부(300a)의 제3연통공(305)을 통해 흡입하고 제2히터부재(320)를 통해 열교환시킨 후에 상기 제4연통공(350)을 통해 전방측 하우징(1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와는 달리 전,후측 하우징(110,120)의 내부에 제1,2송풍팬(230,330)이 배치되더라도 앞의 선 실시 예와 동일하게 전,후방측 하우징(110,120) 내의 공기를 순환 교차방식으로 리턴되는 공기를 열교환한 후에 서로 근접된 다른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서로 근접된 하우징 내의 좌측과 우측 부위별 열 편차를 줄여서 건조 챔버 내의 열균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52,54 : 상,하부 열풍분사덕트 110,120 : 전,후방측 하우징
200 : 제1히팅존 200a : 제1히팅공간부
200b : 제2히팅공간부 205 : 제1연통공
210 : 제1격벽 215 : 제1통공
220 : 제1히터부재 230 : 제1송풍팬
235 : 제1송풍모터 240 : 제1필터부재
250 : 제2연통공 300 : 제2히팅존
300a : 제3히팅공간부 300b : 제4히팅공간부
305 : 제3연통공 310 : 제2격벽
315 : 제2통공 320 : 제2히터부재
330 : 제2송풍팬 335 : 제2송풍모터
340 : 제2필터부재 350 : 제4연통공
410,420 : 제1리턴덕트 430,440 : 제2리턴덕트
450 : 분배덕트

Claims (4)

  1. 필름의 이송방향으로 서로 근접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필름의 상,하측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가 각각 구비되는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와;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좌측 상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시키고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의 좌측으로 공급하는 제1히팅존(200)과;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우측 상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시키고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의 우측으로 공급하는 제2히팅존(300)과;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의 상,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히팅존(200)의 내부로 리턴시키는 제1리턴덕트(410,420); 및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의 상,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히팅존(300)의 내부로 리턴시키는 제2리턴덕트(430,4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히팅존(200)은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상부를 제1,2히팅공간부(200a,200b)로 구획하도록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연통되도록 제1통공(215)이 형성되는 제1격벽(210)과,
    상기 제1히팅공간부(200a)의 바닥에 천공되고 전방측 하우징(110) 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의 좌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전방측 하우징(110) 내의 공기 리턴 통로가 되는 제1연통공(205)과,
    상기 제1연통공(205)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가열시켜 열교환하도록 상기 제1히팅존(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히터부재(220)와,
    상기 제1히팅존(200)의 내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히터부재(220)를 통해 열교환되어 가열된 열풍 공기를 상기 제1통공(215)을 통해 상기 제2히팅공간부(200b)의 내측으로 송풍시키는 제1송풍팬(230)과,
    상기 제2히팅공간부(200b)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송풍팬(230)에 의해 송풍된 열풍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240), 및
    상기 제2히팅공간부(200b)의 바닥에 천공되어 상기 제2히팅공간부(200b)의 열풍 공기를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 내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측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공(2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히팅존(300)은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상부를 제3,4히팅공간부(300a,300b)로 구획하도록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연통되도록 제2통공(315)이 형성되는 제2격벽(310)과,
    상기 제3히팅공간부(300a)의 바닥에 천공되고 후방측 하우징(120) 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의 우측 상부면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측 하우징(120) 내의 공기 리턴 통로가 되는 제3연통공(305)과,
    상기 제3연통공(305)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가열시켜 열교환하도록 상기 제2히팅존(300)의 제3히팅공간부(300a)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히터부재(320)와,
    상기 제2히팅존(300)의 내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히터부재(320)를 통해 열교환되어 가열된 열풍 공기를 상기 제2통공(315)을 통해 상기 제4히팅공간부(300b)의 내측으로 송풍시키는 제2송풍팬(330)과,
    상기 제4히팅공간부(300b)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송풍팬(330)에 의해 송풍된 열풍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340), 및
    상기 제4히팅공간부(300b)의 바닥에 천공되어 상기 제4히팅공간부(300b)의 열풍 공기를 상기 전방측 하우징(110) 내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측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제4연통공(3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측 하우징(110,1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2히팅존(200)(300)의 열풍을 공급받아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52,54)측으로 분배 공급하는 분배덕트(450)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KR1020210145582A 2021-10-28 2021-10-28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KR102395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582A KR102395909B1 (ko) 2021-10-28 2021-10-28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582A KR102395909B1 (ko) 2021-10-28 2021-10-28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909B1 true KR102395909B1 (ko) 2022-05-10

Family

ID=8159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582A KR102395909B1 (ko) 2021-10-28 2021-10-28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644B1 (ko) * 2023-01-19 2023-07-26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횡방향 연신설비의 공기순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540B1 (ko) 2004-09-27 2008-10-0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텐터 장치 및 필름 건조 방법
JP2018047690A (ja) * 2016-09-15 2018-03-29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111724B1 (ko) 2019-11-28 2020-05-15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필름 시트용 텐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540B1 (ko) 2004-09-27 2008-10-0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텐터 장치 및 필름 건조 방법
JP2018047690A (ja) * 2016-09-15 2018-03-29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111724B1 (ko) 2019-11-28 2020-05-15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필름 시트용 텐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644B1 (ko) * 2023-01-19 2023-07-26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횡방향 연신설비의 공기순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81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95909B1 (ko)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KR102100473B1 (ko) 폐열 회수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CA266845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uniform drying of board materials
KR102111724B1 (ko) 필름 시트용 텐터기
KR101242649B1 (ko) 피혁자동도장장치의 건조기 시스템
KR101492912B1 (ko) 직물 웨브의 열처리 장치
JP2005345068A (ja) 浴室乾燥機
KR20050103613A (ko)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KR20050020589A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US20210025105A1 (en) Clothes care apparatus
US3548513A (en) Dryer with ejectors
KR101362385B1 (ko)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JP6592419B2 (ja) ウエブの熱処理装置
KR20170046834A (ko) 음압식 고속 공기제트 의류 건조기
KR101835206B1 (ko) 식품 건조기
JPH0623729A (ja) ウエブの熱処理装置
JPH0623912Y2 (ja) 布帛の移動式乾燥装置
KR20210015349A (ko) 의류관리장치
JPH11290751A (ja) 熱風式乾燥炉
JP3674104B2 (ja) ガス衣類乾燥機
JPS5926231Y2 (ja) 単板乾燥機の熱風漏洩防止装置
KR100237997B1 (ko) 빵 냉각제습장치
KR200143158Y1 (ko) 농산물 건조기 연소실 구조
JP2510968Y2 (ja) 穀物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