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254A -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254A
KR20100058254A KR1020080117002A KR20080117002A KR20100058254A KR 20100058254 A KR20100058254 A KR 20100058254A KR 1020080117002 A KR1020080117002 A KR 1020080117002A KR 20080117002 A KR20080117002 A KR 20080117002A KR 20100058254 A KR20100058254 A KR 20100058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pipe
tenter
air chamb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5353B1 (ko
Inventor
사공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광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광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광기계
Priority to KR1020080117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35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8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frames or like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챔버에서 고르게 확산 또는 혼합되어 고른 온도분포를 가진 상태에서 공급되도록 한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널의 상,하측에 열풍을 분사하도록 설치하는 상부노즐과 하부노즐, 상기 상,하부노즐의 양측에 원단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는 이송레일과, 상기 원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상,하부노즐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터널 하방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와, 상기 버너와 연결되어 열풍챔버로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관을 포함하는 텐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관은 버너와 연결할 수 있도록 후방에 플랜지를 가지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선측에서 열풍챔버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의 양 단부는 폐쇄시키고 전방부 중앙과 상,하측에 형성하여 열풍을 열풍챔버에 고르게 확산분사하는 토출공을 포함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Figure P1020080117002
텐터기, 열풍, 공급

Description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A HOT AIR SUPPLIER FOR TENTER}
본 발명은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터기에 적용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건조하는 데 필요한 열풍을 제공하는 개선된 열풍 공급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텐터기는 제직된 원단을 가공함에 있어서 염색공정 전 염색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셋팅(HEAT SETTING)하는 공정 또는 염색공정 후 염색완료된 원단을 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계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텐터기(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으로 유지되는 터널(2)의 상,하측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상부노즐(3)과 하부노즐(4)이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노즐(3,4)의 양측에는 상,하부노즐(3,4) 사이로 원단(5)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송레일(6)을 순환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상,하부노즐(3,4)은 이송되는 원단(5)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하게 되는 데, 상기 열풍은 터널(1) 하방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B)와 연결되는 열풍관(7)을 통하여 열풍이 열풍챔버(8)로 배출되어 열풍홴(9)을 통하여 상,하부노즐(3,4)로 공급된다.
상기 상,하부노즐(3,4)을 경유하여 원단(5)으로 공급된 열풍의 일부는 이물질 등과 함께 배출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필터(10)를 통하여 열풍챔버(8)로 재순환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열풍챔버로 공급되는 열기와 열풍이 열풍챔버 내에 고르게 확산 되지 못하고 직전으로 뻗어나가기 때문에 상,하부노즐로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편차가 심하게 된다.
그리고, 결국에는 최종적으로 열풍을 전달받는 원단에도 온도편차가 심하여 원단의 건조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가동 초기 또는 원단으로 방출되어 재순환하는 열풍이 함께 혼합되는 과정에는 버너로부터 방출되는 열풍이 열풍챔버에 더더욱 고르게 확산 되지 못하고 직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열풍이 버너로부터 방출될 직선으로 뻗어나가 주위의 공기와 고른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하부노즐을 통하여 원단으로 방출되는 열풍의 온도 또한 균일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열풍챔버 내부의 열풍을 고른 온도로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건조하기 위한 원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고품질 고가의 원단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온도편차가 심할 경우에는 건조된 원단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현상에 의하여 불량처리되므로 불필요한 원자재의 낭비를 가져오고 생산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서 프레임으로 유지되는 터널의 상,하측에 열풍을 분사하도록 설치하는 상부노즐과 하부노즐, 상기 상,하부노즐의 양측에 원단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는 이송레일과, 상기 원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상,하부노즐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터널 하방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와, 상기 버너와 연결되어 열풍챔버로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관을 포함하는 텐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관은 버너와 연결할 수 있도록 후방에 플랜지를 가지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선측에서 열풍챔버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의 양 단부는 폐쇄시키고 전방부 중앙과 상,하측에 형성하여 열풍을 열풍챔버에 고르게 확산분사하는 토출공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버너에서 발생하는 열풍과 상,하부노즐을 경유하여 순환되는 열풍이 열풍챔버에서 고르게 확산 또는 혼합되어 고른 온도분포를 가진 상태에서 원단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효율적인 건조와 텐터기의 품질과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버너와 연결되는 열풍관을 개조하여 열풍챔버 내부 전체에 고르게 확산시키도록 하는 것은 물론, 원단으로 공급된 후 재사용을 위하여 순환되는 열풍 역시 열풍챔버 내에서 고르게 혼합되어 균일한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하부노즐로 공급시키도록 함으로서 원단의 건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열풍 공급장치가 적용된 텐터기의 전체 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인 열풍 공급장치가 적용된 텐터기의 전체 평면 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의 연결관을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의 연결관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텐터기(100)는 프레임으로 유지되는 터널(101)의 상,하측에 열풍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노즐(102)과 하부노즐(103)이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노즐(102,103)의 양측에는 상,하부노즐(102,103) 사이로 원단(104)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송레일(105)을 순환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상,하부노즐(102,103)은 이송되는 원단(104)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하게 되는 데, 상기 열풍은 터널(101) 하방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106)와 연결되는 열풍관(107)을 통하여 열풍이 열풍챔버(108)로 배출되어 열풍홴(109)을 통하여 상,하부노즐(102,103)로 공급된다.
상기 상,하부노즐(102,103)을 경유하여 원단(104)으로 공급된 열풍의 일부는 이물질 등과 함께 배출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필터(110)를 통하여 열풍챔버(108)로 재순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풍관(107)과 열풍챔버(108)를 개선하여 상,하부노즐(102,103)로 공급되는 열풍을 균일한 온도분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 서 원단(104) 건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풍관(107)은 버너(106)와 연결할 수 있도록 후방에 플랜지(111)를 가지는 연결관(112)을 돌출시키고, 상기 연결관(112)의 선측에서 열풍챔버(108)의 폭 방향으로 토출관(113)을 연결한 T형상이 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토출관(113)의 양 단부는 폐쇄시키고 토출관(113)의 전방부 중앙과 상,하측에는 많은 수의 토출공(114,115)을 형성하여 열풍이 전방과 상,하 방향을 통하여 열풍챔버(108) 내부에 고르게 확산 되도록 한다.
상기 토출공(114,115)에는 선택에 의하여 토출공(114,115)의 개,폐정도를 달리하여 열풍챔버(108)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커버(116)를 더 구비한다.
상기 조절커버(116)는 토출공(114,115) 주위에 형성하는 단속공(117)과 상기 단속공(117)에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118)으로 단속되는 차단판(119)으로 구성하고, 상기 단속공(117)의 위치는 본 발명의 도면상에서는 토출공(114,115)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자유로운 위치에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는,
버너(106)에 의하여 열풍이 열풍관(107)을 구성하는 토출관(113)으로 이송된 후 토출관(113)의 전방 중앙과 상,하측에 형성되는 많은 수의 토출공(114,115)을 통하여 열풍챔버(108)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열풍은 열풍챔버(108) 내부 천체에 고르게 확산 및 혼합 된 상태에서 열풍홴(109)을 통하여 상,하부노즐(102,103)로 공급하여 이송레일(105)에 의하여 이송되는 원단(104)에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열풍에 의하여 원단을 건조한 열풍의 일부는 이물질과 함께 배출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필터(110)에 의하여 필터링 된 상태에서 열풍챔버(108) 내부로 재순환되어 열풍관(107)을 통하여 공급되는 새로운 열풍과 혼합 사용된다.
이와 같이 열풍관(107)을 통하여 새로이 공급되는 열풍과 재순환되는 열풍은 열풍챔버(108) 내부에서 고르게 확산 되고 다시 혼합되어 고른 온도분포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하부노즐(102,103)로 공급되므로 원단(104)의 건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열풍 공급장치가 적용된 텐터기의 전체 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인 열풍 공급장치가 적용된 텐터기의 전체 평면 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의 연결관을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의 연결관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텐터기
107; 열풍관
108; 열풍챔버
112; 연결관
113; 토출관
114,115; 토출공
116; 조절커버

Claims (2)

  1. 프레임으로 유지되는 터널(101)의 상,하측에 열풍을 분사하도록 설치하는 상부노즐(102)과 하부노즐(103);
    상기 상,하부노즐(102,103)의 양측에 원단(104)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는 이송레일(105)과;
    상기 원단(104)을 건조할 수 있도록 상,하부노즐(102,103)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터널(101) 하방 일측에 설치되는 버너(106)와;
    상기 버너(106)와 연결되어 열풍챔버(108)로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관(107)을 포함하는 텐터기(100)에 있어서;
    상기 열풍관(107)은 버너(106)와 연결할 수 있도록 후방에 플랜지(111)를 가지는 연결관(112)과;
    상기 연결관(112)의 선측에서 열풍챔버(108)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토출관(113)과;
    상기 토출관(113)의 양 단부는 폐쇄시키고 전방부 중앙과 상,하측에 형성하여 열풍을 열풍챔버(108)에 고르게 확산분사하는 토출공(114,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114,115)에는 개,폐정도를 달리하여 열풍챔버(108)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커버(116)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절커버(116)는 토출공(114,115) 주위에 형성하는 단속공(117)과;
    상기 단속공(117)에 고정수단(118)으로 단속되는 차단판(119)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KR1020080117002A 2008-11-24 2008-11-24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KR101075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002A KR101075353B1 (ko) 2008-11-24 2008-11-24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002A KR101075353B1 (ko) 2008-11-24 2008-11-24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254A true KR20100058254A (ko) 2010-06-03
KR101075353B1 KR101075353B1 (ko) 2011-10-19

Family

ID=4235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002A KR101075353B1 (ko) 2008-11-24 2008-11-24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3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1072A (zh) * 2013-01-25 2013-04-24 无锡市信文机械制造有限公司 用于拉幅定型机烘箱的热风风道
CN104805621A (zh) * 2015-05-18 2015-07-29 湖州新创丝织品有限公司 一种采用叶轮式拉幅定型机风嘴的简易安装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167B1 (ko) * 2014-04-29 2015-06-05 주식회사 삼일기계 텐터기의 습윤건조를 위한 챔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209B1 (ko) 1999-04-17 2002-02-19 김원묵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KR200175927Y1 (ko) * 1999-10-01 2000-03-15 일성기계공업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의 버너 열기 배출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1072A (zh) * 2013-01-25 2013-04-24 无锡市信文机械制造有限公司 用于拉幅定型机烘箱的热风风道
CN103061072B (zh) * 2013-01-25 2015-10-14 无锡市信文机械制造有限公司 用于拉幅定型机烘箱的热风风道
CN104805621A (zh) * 2015-05-18 2015-07-29 湖州新创丝织品有限公司 一种采用叶轮式拉幅定型机风嘴的简易安装机构
CN104805621B (zh) * 2015-05-18 2017-11-17 枣阳市东航塑编彩印有限公司 一种采用叶轮式拉幅定型机风嘴的简易安装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353B1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898B1 (ko)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CN205688185U (zh) 轧染设备
CN105887385B (zh) 轧染设备及其轧染方法
KR101075353B1 (ko)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KR20170011309A (ko) 마이크로파 및 열풍을 이용한 복합 건조기
KR102243713B1 (ko) 목재 및 합판의 방염처리장치
US3906596A (en) Combined sieve drum and tentering apparatus
KR10179893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KR101740477B1 (ko) 종횡 이송식 원단 플로팅 건조 시스템
KR20130049866A (ko)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KR20000000211A (ko)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KR101242649B1 (ko) 피혁자동도장장치의 건조기 시스템
KR101631246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 가이드 구조체
KR20120113763A (ko)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시트 재료를 열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N211142511U (zh) 出气机构以及复式定型装置
EP3033453B1 (en) Fluid treatment unit for fabrics or cellulosic material as well as fluid treatment method
KR100773946B1 (ko) 원단 건조방법 및 장치
KR101083463B1 (ko) 원적외선 염착장치
KR100357687B1 (ko)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KR20170046332A (ko) 고속 dtp 설비의 건조기용 열풍 건조노즐
KR101526167B1 (ko) 텐터기의 습윤건조를 위한 챔버기구
KR101742311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노즐구조체
KR101874890B1 (ko) 섬유 건조기의 캔 드라이어
CN108411519A (zh) 一种全自动面料改色设备
CN211142517U (zh) 用于复式定型装置的送风机构以及复式定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