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211A -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211A
KR20000000211A KR1019990042432A KR19990042432A KR20000000211A KR 20000000211 A KR20000000211 A KR 20000000211A KR 1019990042432 A KR1019990042432 A KR 1019990042432A KR 19990042432 A KR19990042432 A KR 19990042432A KR 20000000211 A KR20000000211 A KR 20000000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t air
fiber fabric
pair
transf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004B1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김원묵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묵,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원묵
Priority to KR101999004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004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211A/ko
Priority to DE10048357A priority patent/DE10048357A1/de
Priority to CN00133361A priority patent/CN130396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와 터어보팬의 배치를 변경하여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공기 이송 덕트내의 주위 공기와의 혼합되는 정도를 높여 온도 편차가 균일하게 나타나도록함과 동시에 공기 이송 덕트내로 열풍이 균일하게 퍼진 상태로 유동되도록 됨과 아울러 공기 분사 노즐의 모든 분사공에서 균일한 동압과 온도의 열풍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섬유원단의 촉감이 우수하도록 하며, 부가적으로 섬유원단에 생기는 줄무늬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등의 우수한 품질의 섬유원단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A HOT WIND SUPPLY SYSTEM OF A MACHINE FOR TENTERING}
본 발명은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와 터어보팬의 배치를 변경하여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공기 이송 덕트내의 주위 공기와의 혼합되는 정도를 높여 온도 편차가 균일하게 나타나도록함과 동시에 공기 이송 덕트내로 열풍이 균일하게 퍼진 상태로 유동되도록 됨과 아울러 공기 분사 노즐의 모든 분사공에서 균일한 동압과 온도의 열풍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섬유원단의 촉감이 우수하도록 하며, 부가적으로 섬유원단에 생기는 줄무늬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등의 우수한 품질의 섬유원단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백도와 선명도를 높이기 위한 전처리공정은 모소-->탈호-->수세-->정련-->수세-->표백-->건조-->silket-->염색,날염-->건조-->폭내기-->광택내기-->검사의 순서를 거쳐서 진행되는데, 상기 순서중에서 특히 폭내기는 수축한 직물을 일정한 폭으로 조정하여 제품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공정으로 그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코팅 작업시 사용되는 섬유원단 또는 부직포의 건조시에도 크게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폭내기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써, 텐터기라는 것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 텐터기는 이송되는 섬유원단에 열풍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본 출원인은 수개의 수직 및 수평 지지대가 상호 연결되어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프레임과; 좌우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어느 한쌍의 일측벽판 하부측에 각각 섬유원단 투입구 및 섬유원단 배출구가 형성되며, 지지프레임의 각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밀폐부재와; 모터축이 밀폐부재의 상판 아래에 위치되도록 밀폐부재의 상판 가장자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고정 설치되는 터어보팬과; 섬유원단 투입구로 투입된 섬유원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섬유원단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공기가 분사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공기 분사공이 각각 형성되며, 지지프레임의 내부 하측에 상하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공기 분사 노즐과; 일측은 터어보팬에 인접 설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공기가 세가지의 경로로 분기되어 배출되도록 상ㆍ중ㆍ하측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ㆍ중측 배출구는 공기 분사 덕트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지지프레임의 내부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공기 이송 덕트와; 밀폐부재의 상판을 매개로 하여 공기 이송 덕트에 고정 설치되는 버너와; 상ㆍ중측 배출구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중측 배출구에서 하측 배출구를 교대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바이패스 댐퍼와; 바이패스 댐퍼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을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99-13721호로 출원한바 있으며, 이에서는 섬유원단에 열풍이 골고루 분배되도록 구성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내부 구성 장치의 설치 위치를 효과적으로 재배열함과 동시에 공기 분사 노즐 사이를 통과하는 섬유원단의 이송이 정지된 경우에 공기 분사 노즐의 입구를 차단하여 섬유원단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반면에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은 버너의 화염에서 발생된 열기를 그 후방에서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한개의 터어보팬으로 공기 이송 덕트내로 강제로 밀어주고, 공기 이송 덕트내에 직선형의 가이드판을 별도로 더 설치하여 바람이 골고루 섞이도록 하는 것은 어느 정도 개선되었다.
그러나,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단일 터어보팬의 회전에 의해 송풍되는 열풍이 한쪽으로 치우쳐진 상태로 가이드판에 부디치기 때문에 열풍이 직진되어 어느 정도 혼합되기는 하였으나, 가이드판에 의한 저항 증가로 인해 열풍이 가이드판을 벗어나 공기 이송 덕트내를 지나면서 전체적으로 고른 혼합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또한, 열풍이 고른 혼합도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일방으로 회전되는 단일 터어보팬에 대응하여 가이드판의 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하여 배치하는 것 및 가이드판의 외관 형상을 알맞게 제작하는 것이 난점으로 대두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결국에는 공기 이송 덕트내를 지나가는 열풍이 전체적으로 온도 편차가 불균일하게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공기 이송 덕트내의 열풍이 제대로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공기 분사 노즐내로 유입되어 섬유원단의 촉감이 저하되며, 부가적으로 섬유원단에 생기는 줄무늬가 생기는 품질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버너와 터어보팬의 배치를 변경하여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공기 이송 덕트내의 주위 공기와의 혼합되는 정도를 높여 온도 편차가 균일하게 나타나도록함과 동시에 공기 이송 덕트내로 열풍이 균일하게 퍼진 상태로 유동되도록 됨과 아울러 공기 분사 노즐의 모든 분사공에서 균일한 동압과 온도의 열풍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섬유원단의 촉감이 우수하도록 하며, 부가적으로 섬유원단에 생기는 줄무늬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등의 우수한 품질의 섬유원단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을 전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 공급시스템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 공급시스템을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열기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텐터기
어셈블리의 연결 배치 상태 및 폐열풍 배출관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폐열풍 배출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열풍 공급
시스템을 전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
도 13a, 13b는 본 발명에 의한 폐열풍 배출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열풍
공급시스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지지프레임 30 : 밀폐부재
50 : 공기 분사 노즐 60 : 공기 이송 덕트
80,80a : 바이패스 댐퍼 100,100a : 구동 모터
101,101a : 터어보팬 102, 102a : 모터축
200 : 버너 어셈블리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은 수직 및 수평 지지대(21,22)가 상호 연결 설치되어 대략 직유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지지프레임(20)의 육면은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된다.
이 지지프레임(20)의 육면에는 각각 상ㆍ하판(32,33), 전ㆍ후ㆍ좌ㆍ우 벽판(31,31a,31b,31c)으로 이루어진 밀폐부재(30)가 고정 설치되어 지지프레임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한다.
즉, 지지프레임(20)은 밀폐부재(30)에 의해 챔버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밀폐부재(30)의 구성중에서 전ㆍ후측벽판(31,31a)의 하부측에는 각각 섬유원단 투입구(31') 및 섬유원단 배출구(31a')가 형성된다.
지지프레임(20)의 내부 하측에는 상하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공기 분사 노즐(50)이 고정 설치되는 바, 이 공기 분사 노즐(50)은 전ㆍ후 벽판(31,31a)에 형성된 섬유원단 투입구(31') 및 배출구(31a')와 수평이 되게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 지지 브라켓(미도시)을 매개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섬유원단(T)은 섬유원단 투입구(31')를 통해 투입된 후에 공기 분사 노즐(50) 사이로 이송된 후에 섬유원단 배출구(31a')를 통해 배출되며, 공기 분사 노즐(50)이 지지프레임(20)의 내부 하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분사 노즐(50) 사이로 통과하는 섬유원단(T)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섬유원단(T)은 소정의 폭내기 또는 폭출장치(미도시)에 의해 일정한 폭으로 정해진 상태로 공기 분사 노즐(50) 사이로 통과하게 되는데, 이 폭출장치는 섬유원단보다 아래의 위치가 되는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된다.
따라서, 폭출장치로부터 누설되는 오일등에 의해 섬유원단이 지저분해지거나 손상을 입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공기 분사 노즐(50)에는 섬유원단(T)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공기가 분사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공기 분사공(미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지지프레임(20)의 내부 상측에는 공기 이송 덕트(60)가 고정 설치된다.
이 공기 이송 덕트(60)의 일측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61a)가 형성되며, 그 타측은 공기가 세가지의 경로로 분기되어 배출되도록 상ㆍ중ㆍ하측 배출구(62a,62b,62c)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ㆍ중ㆍ하측 배출구(62a,62b,62c)중에서 상ㆍ중측 배출구(62a,62b)는 공기 분사 덕트(50)에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며, 나머지인 하측 배출구(62c)는 중측 배출구(62b)와 인접하여 직교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ㆍ중측 배출구(62a,62b)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중측 배출구(62b)에서 하측 배출구(62c)를 교대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바이패스 댐퍼(80,80a)와, 이 바이패스 댐퍼(80,80a)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ㆍ중측 배출구(62a,62b)의 내부에는 각각 힌지(81,81a)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바이패스 댐퍼(80,80a)가 설치되며, 공기 이송 덕트(60)의 외측, 바람직하게는 밀폐부재(30)를 구성하는 수직벽판(31)의 외측면에 에어 실린더(9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공기 이송 덕트(60)의 내측에 설치하여도 무방한바, 그 이유는 섬유원단의 종류에 따라 이물질 함유 정도가 많이 차이가 나게 되는데, 이 이물질의 고착으로 인해 구동수단의 작동 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공기 이송 덕트의 사이즈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즉, 공기 이송 덕트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 상기 구동수단을 외측에 설치하게 되고, 그 반대인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을 공기 이송 덕트의 내측에 설치하여 전체적인 텐터기의 외관 사이즈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바이패스 댐퍼(80,80a)의 힌지축(81,81a)에는 소정 길이의 제1 로드(91,91a)가 고정 설치되며, 이 제1 로드(91,91a)의 단부에는 소정 길이의 제2 로드(92,92a)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제2 로드(92,92a)의 단부는 삼각편(93,93')의 세꼭지점(93a,93b,93c)중의 어느 한 꼭지점(93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삼각편(93,93')의 나머지 두 꼭지점(93b,93c)중의 어느 한 꼭지점(93c)은 에어 실린더(90)의 작동 로드(90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삼각편(93,93')의 나머지 한 꼭지점(93b)은 상기 공기 이송 덕트(60)의 외측, 바람직하게는 밀폐부재(30)를 구성하는 수직벽판(3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63은 열풍 분기 부재이다.
상기 공기 이송 덕트(60)의 입구부(61a)측 내부에는 터어보팬(101,101a)이 수평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쌍이 배치되고, 이 터어보팬(101,101a)은 밀폐부재(30)를 구성하는 상판(32)에 고정 설치된 한쌍의 구동 모터(100,100a)의 모터축(102,102a)에 연결 설치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밀폐부재(30)를 구성하는 도면상의 우측 벽판(31c)의 외측에 일례로 직하식 버너 어셈블리(200)가 설치되며, 이 버너 어셈블리(200)에는 그 화염에서 발생된 열기를 터어보팬(101,101a)의 직하방에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열기배출관(210a,210b)이 구비된다.
미설명 부호 200a는 버너 어셈블리(200)에 있어서, 가스등의 연료가 공기와 혼합되어 점화되도록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해주는 버너팬이다.
상기와 같이, 버너 어셈블리(200)의 열기 배출관(201)을 터어보팬(101,101a)의 직하방에 설치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이 하측 배출구(62c)로 바이 패스되어 버너(200)와 터어보팬(101,101a)의 작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고, 전체적으로 열풍 에너지의 손실이 없는 에너지 세이빙 효과가 나타나 챔버 내부의 항상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열풍이 바이패스되지 않는 시스템인 경우에 있어서, 섬유원단의 이송도중 기기의 가동이 중지되면 즉시 구동 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됨과 아울러 섬유원단의 이송이 정지된다.
이때, 구동 모터의 가동 중단으로 터어보팬이 회전되지 않게 되면 곧바로 공기 분사 노즐로 열풍이 분사되는 것이 정지되지 않게 된다.
그 이유는 구동 모터에 공급되었던 잔류 전류로 인해 터어보팬이 소정 시간동안 회전되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지되기 때문에, 이 터어보팬이 완전이 정지되기 까지 열풍이 지속적으로 공기 분사 노즐의 분사공으로 배출되어 섬유원단에 스톱 마크 또는 줄무늬 마크가 생기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현상을 전술한 바와 같이 기기 및 구동 모터의 정지시에도 열풍을 일정 시간동안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섬유원단에 품질 저하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전술한 버너 어셈블리(200)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어보팬(101,101a)의 직하방에 해당되는 공간에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순환 파이프(400)를 설치하고, 이 순환 파이프(400)내로 스팀 또는 열매체를 공급시킴으로써 순환 파이프(400)에서 고온의 열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한 라디에이터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 부호 32a는 구동 모터(100,100a)가 삽입되는 삽입공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밀폐부재(30)를 구성하는 전측 벽판(31)의 섬유원단 투입구(31')를 통해 투입된 섬유원단(T)은 공기 분사 노즐(50) 사이로 이동되는데, 이때, 버너 어셈블리(200)가 작동되어 화염이 발생되면, 순서적으로 구동 모터(100,100a)가 전류를 인가받아 구동된다.
이 구동 모터(100,100a)가 구동됨에 따라 모터축(102,102a)은 터어보팬(101,101a)을 회전시키게 되는 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어보팬(101,101a)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직하방향의 버너 어셈블리(200)로부터 발생된 화염의 열기가 하방으로 분출되면서 하방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면서 강제로 터어보팬(101,101a)에 흡입된다.
이후, 터어보팬(101,101a)으로 흡입된 열풍은, 회전하는 한쌍의 터어보팬에 의해 열기가 다시 한번 혼합된다.
그리고 나서, 서로 마주보며 회전하는 한쌍의 팬에 의해서 공기는 동일한 압력으로 공기 이송 덕트(60)내로 이송된다.
이후, 공기 이송 덕트(60)내로 이송된 열풍은 그 내부에서 다시 한법 혼합된다.
결국, 열풍은 골고루 혼합되어 공기 이송 덕트(60)의 내부를 균일하게 퍼진 상태로 유동하게 된다.
즉, 공기 이송 덕트(60)에서 열기의 온도 편차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공기 이송 덕트(60)내를 따라 유동되는 열기는 두개의 터어보팬(101,101a)의 회전에 의해 공기 분사 노즐(50)까지 충분히 도달된다.
즉, 버너 어셈블리(200)의 열기는 터어보팬(101,101a)의 송풍에 의해 열풍으로 변환되어 공기 분사 노즐(50)의 각 지점에서도 온도 편차가 생기지 않게 되어 섬유원단의 품질을 더욱더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00,100a')와 버너 어셈블리(200')의 위치를 재 변경할 수도 있다.
즉, 구동 모터(100,100a')를 공기 이송 덕트(60)의 중간 지점에 해당되는 밀폐부재를 구성하는 상판(32)에 고정 설치하되, 터어보팬(101',101a')이 모터축(102',102a')에 의해 공기 이송 덕트(60)의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설치하며, 공기 이송 덕트(60)의 입구부(61a)와 우측 벽판(31c) 사이에서 화염의 열기가 배출되도록 버너 어셈블리(200')를 우측 벽판(31c)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달리 미도시하였지만, 한쌍의 터어보팬의 중간에 소정 길이를 갖는 단일의 가이드판을 공기 이송 덕트의 입구부에 수직으로 구획 설치함으로써 열풍을 혼합 정도를 가이드판이 없는 경우에서와 같이 유지하면서 터어보팬에서 나오는 열풍의 불필요한 와류를 어느 정도 제거함으로 공기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하여 풍압의 변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와류가 제거되기 때문에 종전에 용량이 큰 구동 모터를 사용하던 타입에서 용량이 작은 구동 모터를 사용할 수 있어 구동 모터를 저가로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등 원가 절감에 기여하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3a,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터기 어셈블리의 연결 배치 상태 및 폐열풍 배출관의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8, 도 12 및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이송 덕트(60), 공기 분사 노즐(50), 구동수단, 버너 어셈블리(200), 한쌍의 터어보팬(101,101a)을 구동시키기는 한쌍의 구동 모터(100,100a) 및 밀폐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텐터기 어셈블리를 상기 섬유원단 투입구와 상기 섬유원단 배출구가 상호 연결되게 다수개 배치하되 각각의 버너 어셈블리가 지그 재그 형태가 되도록 배치하며, 공기 분사 노즐(50)에서 분사되어 상기 섬유원단의 가공에 소모된 폐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이송 덕트(60)의 양측면에 폐열풍 배출관(300)을 밀폐부재(32)의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9, 도 12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이송 덕트(60), 공기 분사 노즐(50), 구동수단, 버너 어셈블리(200), 한쌍의 터어보팬(101,101a)을 구동시키기는 한쌍의 구동 모터(100,100a) 및 밀폐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텐터기 어셈블리를 상기 섬유원단 투입구와 상기 섬유원단 배출구가 상호 연결되게 다수개 배치하되 각각의 버너 어셈블리가 지그 재그 형태가 되도록 배치하며, 공기 분사 노즐(50)에서 분사되어 상기 섬유원단의 가공에 소모된 폐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이송 덕트(60)의 중앙에 폐열풍 배출관(300)을 밀폐부재(32)의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10, 도 12 및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이송 덕트(60), 공기 분사 노즐(50), 구동수단, 버너 어셈블리(200), 한쌍의 터어보팬(101,101a)을 구동시키기는 한쌍의 구동 모터(100,100a) 및 밀폐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텐터기 어셈블리를 상기 섬유원단 투입구와 상기 섬유원단 배출구가 상호 연결되게 다수개 배치하되 각각의 버너 어셈블리(200)가 상호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도록 배치하며, 공기 분사 노즐(50)에서 분사되어 상기 섬유원단의 가공에 소모된 폐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이송 덕트(60)의 양측면에 폐열풍 배출관(300)을 밀폐부재(32)의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11, 도 12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이송 덕트(60), 공기 분사 노즐(50), 구동수단, 버너 어셈블리(200), 한쌍의 터어보팬(101,101a)을 구동시키기는 한쌍의 구동 모터(100,100a) 및 밀폐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텐터기 어셈블리를 상기 섬유원단 투입구와 상기 섬유원단 배출구가 상호 연결되게 다수개 배치하되 각각의 버너 어셈블리(200)가 상호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도록 배치하며, 공기 분사 노즐(50)에서 분사되어 상기 섬유원단의 가공에 소모된 폐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이송 덕트(60)의 중앙에 폐열풍 배출관(300)을 밀폐부재(32)의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술한 도 8,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된 텐테기 어셈블리의 배치 개수를 4개만 배치한 것으로 나타내 보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4개 이상 배치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 8 내지 도 13a,b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 분사 노즐(50)로부터 분사되어 섬유원단의 가공에 소모되고 남은 폐열풍의 일부분은 열기 분기관(210b)으로 복귀되나 대부분이 밀폐부재(30)의 내부 공간, 즉 공기 이송 덕트(60)와 공기 분사 노즐(50) 사이의 공간에 남아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폐열풍이 남아있게 되면, 일정량의 습기 및 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섬유원단에 손상을 주게 됨과 동시에 밀폐부재(30)의 내부에 폐열풍이 차지함에 따른 압력에 의해 이송되고 있던 섬유원단이 처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폐열풍 배출관(300)을 구비하여 전술한 폐단이 해결된다.
부언하면, 폐열풍 배출관(300)이 구비됨으로써, 공기 이송 덕트(60)와 공기 분사 노즐(50) 사이의 공간에 남아있는 잔량의 폐열풍은 폐열풍 배출관(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로 인해 밀폐부재 내부의 압력이 조절되어 섬유원단이 처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텐터기 어셈블리의 배치 형태를 전술한 바와 같이, 버너 어셈블리(200)가 지그 재그 형태 또는 상하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변경하는 이유는 공기 분사 노즐(50)로 분사되는 열풍의 온도 편차를 보상해주어 좀더 우수한 품질의 섬유원단을 가공하기 위함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너와 터어보팬의 배치를 변경하여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공기 이송 덕트내의 주위 공기와의 혼합되는 정도를 높여 온도 편차가 균일하게 나타나도록함과 동시에 공기 이송 덕트내로 열풍이 균일하게 퍼진 상태로 유동되도록 됨과 아울러 공기 분사 노즐의 모든 분사공에서 균일한 동압과 온도의 열풍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섬유원단의 촉감이 우수하도록 하며, 부가적으로 섬유원단에 생기는 줄무늬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등의 우수한 품질의 섬유원단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서처럼 가이드판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열풍이 골고루 혼합되도록 할 수 있어, 단일의 터어보팬에 대응하여 가이드판의 탈부착 작업에 소요되었던 유지 보수 작업등을 더 이상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종래에서는 단일 터어보팬을 이용하기 때문에 열풍의 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용량이 더 큰 모터와 터어보팬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소용량의 모터와 터어보팬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결국에는 공기 이송 덕트내의 공간을 축소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열 또는 에너지 손실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수개의 수직 및 수평 지지대가 상호 연결되어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프레임과; 좌우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어느 한쌍의 일측벽판 하부측에 각각 섬유원단 투입구 및 섬유원단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섬유원단 투입구로 투입된 섬유원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섬유원단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공기가 분사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공기 분사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 하측에 상하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공기 분사 노즐과; 일측은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공기가 세가지의 경로로 분기되어 배출되도록 상ㆍ중ㆍ하측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ㆍ중측 배출구는 상기 공기 분사 노즐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공기 이송 덕트와; 상기 상ㆍ중측 배출구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중측 배출구에서 하측 배출구를 교대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바이패스 댐퍼와; 상기 댐퍼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터어보팬으로 버너 어셈블리로부터 발생된 화염에 의해 데워진 열기를 상기 공기 이송 덕트 및 상기 공기 분사 노즐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어보팬은 상기 공기 이송 덕트의 입구부측 내부에 수평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쌍이 위치되고, 상기 터어보팬은 상기 밀폐부재의 상판에 고정 설치된 한쌍의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 설치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버너는 화염에서 발생된 열기를 상기 터어보팬의 직하방에서 분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밀폐부재의 우측 벽판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를 상기 공기 이송 덕트의 중간 지점에 해당되는 상기 밀폐부재를 구성하는 상판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터어보팬이 모터축에 의해 상기 공기 이송 덕트의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공기 이송 덕트의 입구부와 상기 밀폐부재의 우측 벽판 사이에서 화염의 열기가 배출되도록 버너 어셈블리를 우측 벽판에 고정 설치 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어보팬 직하방의 공간에 스팀이나 열매체를 발생하는 라디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송 덕트, 공기 분사 노즐, 구동수단, 버너 어셈블리, 한쌍의 터어보팬을 구동시키기는 한쌍의 구동 모터 및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텐터기 어셈블리를 상기 섬유원단 투입구와 상기 섬유원단 배출구가 상호 연결되게 배치하되 상기 각각의 버너 어셈블리가 지그 재그 형태가 되도록 배치하며,
    상기 공기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어 상기 섬유원단의 가공에 소모된 폐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 이송 덕트의 양측면 또는 중앙에 선택적으로 폐열풍 배출관을 상기 밀폐부재의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송 덕트, 공기 분사 노즐, 구동수단, 버너 어셈블리, 한쌍의 터어보팬을 구동시키기는 한쌍의 구동 모터 및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텐터기 어셈블리를 상기 섬유원단 투입구와 상기 섬유원단 배출구가 상호 연결되게 배치하되 상기 각각의 버너 어셈블리가 상호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도록 배치하며,
    상기 공기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어 상기 섬유원단의 가공에 소모된 폐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 이송 덕트의 양측면 또는 중앙에 선택적으로 폐열풍 배출관을 상기 밀폐부재의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KR1019990042432A 1999-10-01 1999-10-01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KR10032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432A KR100320004B1 (ko) 1999-10-01 1999-10-01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DE10048357A DE10048357A1 (de) 1999-10-01 2000-09-29 Heisslufttocknungssystem
CN00133361A CN1303969A (zh) 1999-10-01 2000-09-30 热风干燥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432A KR100320004B1 (ko) 1999-10-01 1999-10-01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420U Division KR200224666Y1 (ko) 2000-10-31 2000-10-31 열풍 건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11A true KR20000000211A (ko) 2000-01-15
KR100320004B1 KR100320004B1 (ko) 2002-01-10

Family

ID=1961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432A KR100320004B1 (ko) 1999-10-01 1999-10-01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20004B1 (ko)
CN (1) CN1303969A (ko)
DE (1) DE100483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98B1 (ko) *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KR101538735B1 (ko) * 2014-06-18 2015-07-23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3754B4 (de) * 2002-07-25 2005-11-24 A. Monforts Textilmaschinen Gmbh & Co.Kg Textilmaschine mit Umluftheizung durch gasbeheizte Wärmetauscher
CN1316221C (zh) * 2002-12-25 2007-05-1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烘干机的空气供应通道
CN100343608C (zh) * 2002-12-25 2007-10-1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干燥器的空气供应管道
CN100539903C (zh) * 2005-11-15 2009-09-16 林惠明 轻质物料展示装置
CN103660500B (zh) * 2013-11-21 2015-09-23 蔡惠萍 一种纸张复合机的烘干系统
CN104132526A (zh) * 2014-07-29 2014-11-05 南通四通林业机械制造安装有限公司 燃气直燃式卧式浸渍涂布干燥机
KR101652886B1 (ko) * 2015-05-12 2016-08-3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더블 댐퍼 각도 조절기를 구비한 텐터기
KR102252867B1 (ko) 2020-11-06 2021-05-18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KR102326736B1 (ko) 2021-04-19 2021-11-17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열풍챔버의 상하 분배용 댐퍼 조절장치
KR102307301B1 (ko) 2021-06-15 2021-10-0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 분배용 댐퍼장치
KR102505257B1 (ko) 2022-04-19 2023-03-03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용 상,하부 열풍 분배댐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016B1 (ko) * 1990-01-31 1992-02-0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내부필터 착탈방법 및 장치
KR100242915B1 (ko) * 1998-02-25 2000-03-02 강희수 워터젯트 직기로 제직한 직물지의 건조 검단장치
KR20000038140A (ko) * 1998-12-04 2000-07-05 송인택 섬유원단 건조기의 열풍순환장치
KR100323209B1 (ko) * 1999-04-17 2002-02-19 김원묵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98B1 (ko) * 2005-02-28 2006-08-2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KR101538735B1 (ko) * 2014-06-18 2015-07-23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3969A (zh) 2001-07-18
DE10048357A1 (de) 2001-05-10
KR100320004B1 (ko)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004B1 (ko)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FI100013B (fi) Kuivatusmenetelmä ja kuivatusmoduli sekä niitä soveltavat kuivatusosat etenkin nopeakäyntiseen paperikoneeseen
KR100613898B1 (ko)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JPH06184978A (ja) ウェブ材料の対流式乾燥システム
TW201410935A (zh) 拉幅機的熱風噴嘴和使用該熱風噴嘴的拉幅機的熱風噴射裝置
JPH09505387A (ja) ウェブの乾燥に関連する改良装置
US4905381A (en) Open top compact dryer oven for a web
KR100475663B1 (ko) 텐터기 열풍 시스템
US4227317A (en)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textiles
KR20050026686A (ko) 직물의 연속처리용 기계장치 및 방법
KR10179893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KR200224666Y1 (ko) 열풍 건조시스템
KR100584514B1 (ko) 건조 및 고정장치
US6282811B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thermal treatment of a continuous product web by blowing of steam
KR200175927Y1 (ko)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의 버너 열기 배출구조
KR100323209B1 (ko)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KR102111724B1 (ko) 필름 시트용 텐터기
US9260815B2 (en) Garment tunnel finisher with atomized spray and hot air mix
CN110725090A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KR100357687B1 (ko)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KR102307301B1 (ko) 텐터기의 열풍 분배용 댐퍼장치
KR101548652B1 (ko)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KR102017543B1 (ko) 직물, 셀룰로오스 및 다른 섬유 재료를 위한 유체 처리 유닛 그리고 또한 유체 처리 방법
CN114438691B (zh) 拉幅机用下部喷嘴升降结构体
CN211142510U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