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702B1 -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 Google Patents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702B1
KR101627702B1 KR1020140134430A KR20140134430A KR101627702B1 KR 101627702 B1 KR101627702 B1 KR 101627702B1 KR 1020140134430 A KR1020140134430 A KR 1020140134430A KR 20140134430 A KR20140134430 A KR 20140134430A KR 101627702 B1 KR101627702 B1 KR 101627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angle
angle adjusting
cylindrical
lever b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0910A (ko
Inventor
권유미
Original Assignee
권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유미 filed Critical 권유미
Priority to KR1020140134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70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상부 레버 바아와 하부 레버 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버 바아의 절곡각도 조절기구로서,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 상기 레버 바아의 전후 방향 절곡각도를 조절하는 전후 절곡각도 조절수단; 상기 레버 바아의 좌우 방향 절곡각도를 조절하는 좌우 절곡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절곡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레버의 조작이 편해지게 된다.

Description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a Lever Bar}
본 발명은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절곡(折曲)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이나 굴삭기 등의 중장비는 붐이나 암 등의 작업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레버(조이스틱)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조작 레버는 리모트 콘트롤 밸브(RCV: Remote Control Valve, 50)의 RCV 몸체(51) 상부의 브라켓(52)에 레버 바아(40)가 전후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힌지핀(52a)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레버 바아(40)의 상단부에 손잡이(60)가 볼트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결합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손잡이(60)를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푸시 플레이트(53)에 의해 푸시로드(54)를 눌러서 파일럿 펌프의 유압을 제어하여 작업장치의 컨트롤 밸브에 파일럿 신호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조작 레버는 손잡이의 위치나 레버 바아의 절곡 각도 조절이 되지 않는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레버의 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세심한 작업장치의 조작이 필요한 경우는 레버의 조작에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바 손잡이의 위치가 사용자의 무게중심에 가까울수록 유리하게 되는데, 종래의 조작 레버는 손잡이의 위치나 레버 바아의 절곡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 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위치 가변형 중장비용 트래블 레버'가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종레버를 갖는 중장비용 콘솔박스'가 제안된 바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3에서는 '건설장비용 조종레버 높이조절장치'가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4에서는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8833호(공개일자 1997년 11월 2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9293호(공고일자 2006년 03월 1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0770호(공고일자 2013년 01월 0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5223호(공고일자 2013년 12월 26일)
특허문헌 1은 필요에 따라 길이와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제작된 중장비용 트래블 레버를 제안하나, 레버 바아의 각도가 전후 방향으로만 조절 가능하고 좌우 방향으로는 조절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는 위치를 운전자의 다양한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종 레버를 갖는 중장비용 콘솔박스를 제안하고, 특허문헌 3은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조종 레버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건설장비용 조종 레버 높이조절장치를 제안하며, 특허문헌 4는 운전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작레버를 가지는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를 제안하나, 조종 레버의 각도는 조절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절곡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레버 바아와 하부 레버 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버 바아의 절곡각도 조절기구로서,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 상기 레버 바아의 전후 방향 절곡각도를 조절하는 전후 절곡각도 조절수단; 상기 레버 바아의 좌우 방향 절곡각도를 조절하는 좌우 절곡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 절곡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하부 레버 바아의 상단부가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측에 체결 고정되는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 및 삽입 수용된 상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의 일단부 및 상기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와 결합 고정되는 제 1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절곡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상부 레버 바아의 하단부가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측에 체결 고정되는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 및 삽입 수용된 상기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의 일단부 및 상기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와 결합 고정되는 제 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는,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가 삽입 수용되는 제 1 조절부재 수용공; 하측 중앙부에 상기 제 1 조절부재 수용공에 삽입 수용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의 중심축보다 낮은 높이의 외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조절부재 수용공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전후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가 삽입 수용되는 제 2 조절부재 수용공; 및 상측 중앙부에 상기 제 2 조절부재 수용공에 삽입 수용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의 중심축보다 높은 높이의 외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조절부재 수용공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좌우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의 일단부에는 외주면에 톱니 모양의 이가 형성된 제 1 세레이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내부에 상기 제 1 고정부재를 관통하는 제 1 고정 세레이션부가 형성된 제 1 보스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의 일단부에는 외주면에 톱니 모양의 이가 형성된 제 2 세레이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내부에 상기 제 2 고정부재를 관통하는 제 2 고정 세레이션부가 형성된 제 2 보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의 타단부에는 제 1 직경감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절부재 수용공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직경감소부가 삽입되는 제 1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의 타단부에는 제 2 직경감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조절부재 수용공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직경감소부가 삽입되는 제 2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의 측면에는 복수의 제 1 체결홈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체결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1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의 측면에는 복수의 제 2 체결홈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제 2 체결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2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레버 바아의 상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제 1 무두볼트(set screw)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에는 상기 제 1 직경감소부가 형성된 타단부 측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제 1 무두볼트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레버 바아의 하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제 2 무두볼트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에는 상기 제 2 직경감소부가 형성된 타단부 측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제 2 무두볼트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절곡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레버의 조작이 편해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리모트 콘트롤 밸브와 손잡이 사이의 레버 바아에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가 조립된 상태의 좌측면도,
도 6은 전후 절곡각도 조절수단 및 좌우 절곡각도 조절수단을 후방 일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1)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리모트 콘트롤 밸브와 손잡이 사이의 레버 바아에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오른쪽 전면 방향을 전방으로, 왼쪽 후면 방향을 후방으로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1)는,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레버 바아(40)의 전후 방향 절곡각도를 조절하는 전후 절곡각도 조절수단(20); 레버 바아(40)의 좌우 방향 절곡각도를 조절하는 좌우 절곡각도 조절수단(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1)는, 리모트 콘트롤 밸브(50) 상부의 브라켓(52)에 힌지결합된 하부 레버 바아(41)와 손잡이(60)의 하부에 고정된 상부 레버 바아(42) 사이에 설치된다.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는 전후 절곡각도 조절수단(20)과 좌우 절곡각도 조절수단(30)이 고정되는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는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 및 전후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120)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 및 좌우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160)가 형성된다.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은 전후 절곡각도 조절수단(20)의 후술하게 될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삽입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전후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120)는,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에 삽입 수용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회전함에 따라,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일측에 체결된 하부 레버 바아(41)가 전후로 회동될 수 있도록 개방된 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전후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120)는,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에 삽입 수용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중심축보다 낮은 높이의 외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하측 중앙부에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은 좌우 절곡각도 조절수단(30)의 후술하게 될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가 삽입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좌우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160)는,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에 삽입 수용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가 회전함에 따라,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일측에 체결된 상부 레버 바아(42)가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개방된 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좌우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160)는,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에 삽입 수용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중심축보다 낮은 높이의 외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상측 중앙부에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이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이 조절기구 본체(10)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과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이 정확히 직교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대략적으로 수직에 가깝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이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하측에 형성되고,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이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상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이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상측에 형성되고,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이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하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후 절곡각도 조절수단(20)은, 레버 바아(40)가 전후 방향으로 절곡되는 각도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되도록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하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 및 제 1 고정부재(250)를 포함한다.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는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수용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일단부에는 외주면에 톱니 모양의 이가 형성된 제 1 세레이션부(2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 1 직경감소부(215)가 형성된다.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전체적인 길이는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에 형성된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 1 세레이션부(211)의 길이가 제 1 직경감소부(215)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는 제 1 직경감소부(215)가 형성된 타단부로부터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에 삽입되어 수용되며,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도 제 1 세레이션부(211)의 일부가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의 일측에는 제 1 단차부(111)가 형성되고, 제 1 직경감소부(215)는 제 1 단차부(111)가 만드는 구멍 내부로 삽입되는바,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중앙부와 제 1 직경감소부(215) 사이의 수직 측면이 제 1 단차부(111)에 걸려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로부터 제 1 직경감소부(215)가 형성된 방향으로 관통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 내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중앙부 일측에는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부 레버 바아(41)의 상단부가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에 삽입 수용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회전함에 따라,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 중앙부의 일측에 체결된 하부 레버 바아(41)가 하측으로 개방된 전후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120)를 따라 전후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제 1 고정부재(250)는,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수용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회전되지 않도록,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일단부 및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와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전체적으로 원형과 반원형의 중간적인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그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고정부재(250)의 일측에는, 내부에 제 1 고정부재(250)를 관통하는 제 1 고정 세레이션부(251a)가 형성된 제 1 보스부(251)가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제 1 고정부재(250)는 제 1 보스부(251)가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에 삽입되도록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수용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 일단부의 제 1 세레이션부(211)가 제 1 보스부(251) 내부의 제 1 고정 세레이션부(251a)에 삽입되고, 제 1 고정부재(250)는 볼트에 의해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제 1 고정부재(250)와 접촉하는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측면에는 복수의 제 1 체결홈(115)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제 1 고정부재(250)에는 복수의 제 1 체결홈(115)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1 볼트구멍(255)이 형성되며, 복수의 제 1 체결홈(115)의 내측면에는 암나사가 태핑된다.
이러한 제 1 고정부재(250)는, 레버 바아(40)가 전후 방향으로 절곡되는 각도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되도록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 내에 삽입 수용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제 1 볼트구멍(255)이 복수의 제 1 체결홈(115)과 연통되는 동시에 제 1 세레이션부(211)가 제 1 고정 세레이션부(251a)에 삽입되도록 제 1 보스부(251)가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에 삽입된 후, 제 1 볼트구멍(255)을 관통하여 제 1 체결홈(115)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좌우 절곡각도 조절수단(30)은, 레버 바아(40)가 좌우 방향으로 절곡되는 각도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되도록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 및 제 2 고정부재(350)를 포함한다.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는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수용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일단부에는 외주면에 톱니 모양의 이가 형성된 제 2 세레이션부(3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 2 직경감소부(315)가 형성된다.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전체적인 길이는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에 형성된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 2 세레이션부(311)의 길이가 제 2 직경감소부(315)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는 제 2 직경감소부(315)가 형성된 타단부로부터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에 삽입되어 수용되며,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도 제 2 세레이션부(311)의 일부가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의 일측에는 제 2 단차부(151)가 형성되고, 제 2 직경감소부(315)는 제 2 단차부(151)가 만드는 구멍 내부로 삽입되는바,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중앙부와 제 2 직경감소부(315) 사이의 수직 측면이 제 2 단차부(151)에 걸려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가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로부터 제 2 직경감소부(315)가 형성된 방향으로 관통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가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 내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중앙부 일측에는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부 레버 바아(42)의 하단부가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에 삽입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가 회전함에 따라,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 중앙부의 일측에 체결된 상부 레버 바아(42)가 상측으로 개방된 좌우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160)를 따라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제 2 고정부재(350)는,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수용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가 회전되지 않도록,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일단부 및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와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는 전체적으로 원형과 반원형의 중간적인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그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고정부재(350)의 일측에는, 내부에 제 2 고정부재(350)를 관통하는 제 2 고정 세레이션부(351a)가 형성된 제 2 보스부(351)가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제 2 고정부재(350)는 제 2 보스부(351)가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에 삽입되도록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수용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 일단부의 제 2 세레이션부(311)가 제 2 보스부(351) 내부의 제 2 고정 세레이션부(351a)에 삽입되고, 제 2 고정부재(350)는 볼트에 의해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제 2 고정부재(350)와 접촉하는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측면에는 복수의 제 2 체결홈(155)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제 2 고정부재(350)에는 복수의 제 2 체결홈(155)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2 볼트구멍(355)이 형성되며, 복수의 제 2 체결홈(155)의 내측면에는 암나사가 태핑된다.
이러한 제 2 고정부재(350)는, 레버 바아(40)가 좌우 방향으로 절곡되는 각도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되도록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 내에 삽입 수용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제 2 볼트구멍(355)이 복수의 제 2 체결홈(155)과 연통되는 동시에 제 2 세레이션부(311)가 제 2 고정 세레이션부(351a)에 삽입되도록 제 2 보스부(351)가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에 삽입된 후, 제 2 볼트구멍(355)을 관통하여 제 2 체결홈(155)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1)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가 조립된 상태의 좌측면도이며, 도 6은 전후 절곡각도 조절수단 및 좌우 절곡각도 조절수단을 후방 일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리모트 콘트롤 밸브(50)의 RCV 몸체(51) 상부의 브라켓(52)에 전후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힌지핀(52a)에 의해 힌지결합된 하부 레버 바아(41)의 상부에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를 제 1 직경감소부(215)가 형성된 타단부로부터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하측의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전후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120)를 통하여 하측으로 노출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중앙부 외주면의 일측에 하부 레버 바아(41)의 상단부를 체결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하부 레버 바아(41)의 상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중앙부 일측에는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부 레버 바아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레버 바아 체결공의 내측면에는 암나사가 태핑되어 있다.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및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를 회전시켜 하부 레버 바아(41)의 상단부와 체결시키는 경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간단하게는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하부 레버 바아(41)의 상단부에 로크 너트를 회전시켜 결합시킨 상태에서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및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를 회전시켜 체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부 레버 바아(41)의 상단부와 체결시킨 후에,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중앙부 외주면의 일측으로 압착력이 가해지도록 로크 너트를 회전시키면,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및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방향이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크 너트 사용시에는 정확한 각도 설정이 어렵고, 유지보수 등을 위한 분리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으므로, 아래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 레버 바아(41)의 상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제 1 무두볼트(set screw) 관통공이 형성되고,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에는, 제 1 직경감소부(215)가 형성된 타단부 측면으로부터, 제 1 무두볼트 체결공(216)이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무두볼트 체결공(216)의 내측면에는 암나사가 태핑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무두볼트 체결공(216)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직경감소부(215)가 형성된 타단부 측면에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단부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 내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제 1 직경감소부(215)는 제 1 단차부(111)가 만드는 구멍 내부로 삽입되는바,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타단부 측면에 형성된 제 1 무두볼트 체결공(216)이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중앙부 일측의 하부 레버 바아 체결공에 하부 레버 바아(41)의 상단부를 체결시켜, 하부 레버 바아(41) 상단부의 제 1 무두볼트 관통공과 제 1 무두볼트 체결공(216)을 서로 연통시킨 후, 제 1 무두볼트 체결공(216)을 통하여 무두볼트를 체결시키면,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및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방향이 바뀌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후,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를 제 2 직경감소부(315)가 형성된 타단부로부터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상측의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가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좌우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160)를 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중앙부 외주면의 일측에, 손잡이(60)의 하부에 체결 고정된 상부 레버 바아(42)의 하단부를 체결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부 레버 바아(42)의 하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중앙부 일측에는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부 레버 바아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레버 바아 체결공의 내측면에는 암나사가 태핑되어 있다.
손잡이(60) 및 상부 레버 바아(42)를 회전시켜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및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와 체결시키는 경우, 상부 레버 바아(42)가 상부 레버 바아 체결공 내에서 풀리면서 손잡이(60)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간단하게는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상부 레버 바아(42)의 하단부에 로크 너트를 회전시켜 결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60) 및 상부 레버 바아(42)를 회전시켜 체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레버 바아(42)의 하단부를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상부 레버 바아 체결공에 체결시킨 후에,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중앙부 외주면의 일측으로 압착력이 가해지도록 로크 너트를 회전시키면, 손잡이(60)의 방향이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크 너트 사용시에는 정확한 각도 설정이 어렵고, 유지보수 등을 위한 분리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으므로, 아래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레버 바아(42)의 하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제 2 무두볼트 관통공이 형성되고,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에는, 제 2 직경감소부(315)가 형성된 타단부 측면으로부터, 제 2 무두볼트 체결공(316)이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무두볼트 체결공(316)의 내측면에는 암나사가 태핑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무두볼트 체결공(316)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직경감소부(315)가 형성된 타단부 측면에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단부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가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 내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제 2 직경감소부(315)는 제 2 단차부(151)가 만드는 구멍 내부로 삽입되는바,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타단부 측면에 형성된 제 2 무두볼트 체결공(316)이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부 레버 바아(42)의 하단부의 제 2 무두볼트 관통공이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중앙부 일측의 상부 레버 바아 체결공에 상부 레버 바아(42)의 하단부를 체결시켜, 상부 레버 바아(42) 하단부의 제 1 무두볼트 관통공과 제 2 무두볼트 체결공(316)을 서로 연통시킨 후, 제 2 무두볼트 체결공(316)을 통하여 무두볼트를 체결시키면, 상부 레버 바아(42)의 상단부에 체결된 손잡이(60)의 방향이 바뀌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손잡이(60)의 하부에 체결 고정된 상부 레버 바아(42)의 하단부를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상부 레버 바아 체결공에 체결 고정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부 레버 바아(42)만 먼저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상부 레버 바아 체결공에 체결 고정시킨 후 상부 레버 바아(42)의 상단부에 손잡이(60)를 체결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제, 레버 바아(40)의 절곡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손잡이(60) 및 상부 레버 바아(42)를 전후로 기울여서, 레버 바아(40)가 전후 방향으로 절곡되는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맞춘다.
이 상태에서, 복수의 제 1 볼트구멍(255)이 복수의 제 1 체결홈(115)과 연통되는 동시에 제 1 세레이션부(211)가 제 1 고정 세레이션부(251a)에 삽입되도록 제 1 고정부재(250)의 제 1 보스부(251)를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에 삽입시킨 후, 제 1 볼트구멍(255)을 관통하는 볼트를 제 1 체결홈(115)에 체결하여 제 1 고정부재(250)를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 1 고정부재(250)는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에 고정되고,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는 제 1 고정부재(250)의 제 1 고정 세레이션부(251a)에 삽입된 제 1 세레이션부(211)에 의해 제 1 고정부재(250)에 고정되는바,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 내에서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므로, 레버 바아(40)가 전후 방향으로 절곡되는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그 후, 손잡이(60) 및 상부 레버 바아(42)를 좌우로 기울여서, 레버 바아(40)가 좌우 방향으로 절곡되는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맞춘다.
이 상태에서, 복수의 제 2 볼트구멍(355)이 복수의 제 2 체결홈(155)과 연통되는 동시에 제 2 세레이션부(311)가 제 2 고정 세레이션부(351a)에 삽입되도록 제 2 고정부재(350)의 제 2 보스부(351)를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에 삽입시킨 후, 제 2 볼트구멍(355)을 관통하는 볼트를 제 2 체결홈(155)에 체결하여 제 2 고정부재(350)를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 2 고정부재(350)는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에 고정되고,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는 제 2 고정부재(350)의 제 2 고정 세레이션부(351a)에 삽입된 제 2 세레이션부(311)에 의해 제 2 고정부재(350)에 고정되는바,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가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 내에서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므로, 레버 바아(40)가 좌우 방향으로 절곡되는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 내에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레버 바아(40)의 전후 절곡각도가 조절되고,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 내에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가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레버 바아(40)의 좌우 절곡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하부 레버 바아(41)의 상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방향에 따라,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 및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 각각의 회전 정도에 따른 절곡 방향도 변화되게 된다.
한편, 추가적으로 조작 레버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하고 싶은 경우는 하부 레버 바아(41) 또는 상부 레버 바아(42) 등에 길이조절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60)의 내부에 암나사부를 충분한 깊이로 형성하고, 로크 너트를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상부 레버 바아(42)의 상단부에 회전시켜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부 레버 바아(42)에 대하여 손잡이(60)를 회전시키면, 조작 레버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작 레버가 원하는 길이가 된 후, 손잡이(60)의 하단면으로 압착력이 가해지도록 로크 너트를 회전시키면, 조작 레버의 전체적인 길이가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예 외에도, 적용 가능한 공지된 다양한 길이조절수단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절곡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레버의 조작이 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절곡각도 조절기구
10: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
110: 제 1 조절부재 수용공
111: 제 1 단차부 115: 제 1 체결홈
120: 전후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
150: 제 2 조절부재 수용공
151: 제 2 단차부 155: 제 2 체결홈
160: 좌우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
20: 전후 절곡각도 조절수단
210: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
211: 제 1 세레이션부 215: 제 1 직경감소부
250: 제 1 고정부재 251: 제 1 보스부
251a: 제 1 고정 세레이션부 255: 제 1 볼트구멍
30: 좌우 절곡각도 조절수단
310: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
311: 제 2 세레이션부 315: 제 2 직경감소부
350: 제 2 고정부재 351: 제 2 보스부
351a: 제 2 고정 세레이션부 355: 제 2 볼트구멍
40: 레버 바아
41: 하부 레버 바아 42: 상부 레버 바아
50: 리모트 콘트롤 밸브 51: RCV 몸체
52: 푸시로드 53: 푸시 플레이트
60: 손잡이

Claims (7)

  1. 상부 레버 바아(42)와 하부 레버 바아(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버 바아(40)의 절곡각도 조절기구(1)로서,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
    상기 레버 바아(40)의 전후 방향 절곡각도를 조절하는 전후 절곡각도 조절수단(20);
    상기 레버 바아(40)의 좌우 방향 절곡각도를 조절하는 좌우 절곡각도 조절수단(30);을 포함하되,
    상기 전후 절곡각도 조절수단(20)은, 상기 하부 레버 바아(41)의 상단부가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측에 체결 고정되는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 및 삽입 수용된 상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일단부 및 상기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와 결합 고정되는 제 1 고정부재(250);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절곡각도 조절수단(30)은, 상기 상부 레버 바아(42)의 하단부가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측에 체결 고정되는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 및 삽입 수용된 상기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일단부 및 상기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와 결합 고정되는 제 2 고정부재(350);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는,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가 삽입 수용되는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
    하측 중앙부에 상기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에 삽입 수용된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중심축보다 낮은 높이의 외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전후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120);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가 삽입 수용되는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 및
    상측 중앙부에 상기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에 삽입 수용된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중심축보다 높은 높이의 외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좌우 절곡각도 조절 개구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일단부에는 외주면에 톱니 모양의 이가 형성된 제 1 세레이션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재(250)의 일측에는 내부에 상기 제 1 고정부재(250)를 관통하는 제 1 고정 세레이션부(251a)가 형성된 제 1 보스부(251)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일단부에는 외주면에 톱니 모양의 이가 형성된 제 2 세레이션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부재(350)의 일측에는 내부에 상기 제 2 고정부재(350)를 관통하는 제 2 고정 세레이션부(351a)가 형성된 제 2 보스부(3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의 타단부에는 제 1 직경감소부(215)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절부재 수용공(11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직경감소부(215)가 삽입되는 제 1 단차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의 타단부에는 제 2 직경감소부(315)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조절부재 수용공(150)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직경감소부(315)가 삽입되는 제 2 단차부(1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재(250)와 접촉하는 상기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측면에는 복수의 제 1 체결홈(115)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재(250)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체결홈(115)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1 볼트구멍(255)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부재(350)와 접촉하는 상기 절곡각도 조절기구 본체(10)의 측면에는 복수의 제 2 체결홈(155)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부재(350)에는 상기 복수의 제 2 체결홈(155)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2 볼트구멍(35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레버 바아(41)의 상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제 1 무두볼트(set screw)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전후 절곡각도 조절부재(210)에는 상기 제 1 직경감소부(215)가 형성된 타단부 측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제 1 무두볼트 체결공(216)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레버 바아(42)의 하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제 2 무두볼트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좌우 절곡각도 조절부재(310)에는 상기 제 2 직경감소부(315)가 형성된 타단부 측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제 2 무두볼트 체결공(3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KR1020140134430A 2014-10-06 2014-10-06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KR101627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430A KR101627702B1 (ko) 2014-10-06 2014-10-06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430A KR101627702B1 (ko) 2014-10-06 2014-10-06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910A KR20160040910A (ko) 2016-04-15
KR101627702B1 true KR101627702B1 (ko) 2016-06-07

Family

ID=5580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430A KR101627702B1 (ko) 2014-10-06 2014-10-06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7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183Y1 (ko) 1996-10-16 2000-04-01 이관기 자동차용 시프트 레버의 각도 조절장치
JP2002287835A (ja) * 2001-03-26 2002-10-04 Komatsu Ltd 操作ノブの位置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192B1 (ko) 1995-07-10 1998-12-01 김광호 정밀 고전류 구동용 충전 펌프
JP3655429B2 (ja) * 1997-04-10 2005-06-0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KR100432026B1 (ko) * 2001-09-29 2004-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각도 조절형 변속레버
KR100559293B1 (ko) 2003-07-25 2006-03-15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종레버를 갖는 중장비용 콘솔박스
KR101220770B1 (ko) 2008-05-22 2013-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건설장비용 조종레버 높이조절장치
KR101345223B1 (ko) 2011-11-08 2013-12-26 임국건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183Y1 (ko) 1996-10-16 2000-04-01 이관기 자동차용 시프트 레버의 각도 조절장치
JP2002287835A (ja) * 2001-03-26 2002-10-04 Komatsu Ltd 操作ノブの位置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910A (ko) 201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9328B1 (en) Vehicle command armrest assembly
US9003917B2 (en) Adjustable shifter mechanism
US8079151B2 (en) Pruning shears having angle adjustable function
DE102017007568A1 (de) Fahrradbedienvorrichtung
US8333097B1 (en) Hydraulic bender for a skid-steer loader
KR101627702B1 (ko)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US11383753B2 (en) Traveling vehicle
US20210284019A1 (en) Adjustable width control pod bracket assembly
JP6162619B2 (ja) アームレスト
JP6162620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JP5047066B2 (ja) オフセット作業機
JP6917272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液圧マスタシリンダ装置
KR20210037608A (ko) 쇼벨
SE1951470A1 (en) A position adjustment device
JP4749967B2 (ja) 作業車両の走行操作装置
JPH08268369A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液圧マスタシリンダの操作レバー
JP2007267615A (ja) 農用繰出し装置
KR102494652B1 (ko) 보행형 관리기
SE1200457A1 (sv) Flexibel dragnyckel
JP2008189152A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操作レバーの握り代調整機構
JP6910280B2 (ja) 歩行型作業機
US11441672B2 (en) Adjustable shift lever mount
JP4638809B2 (ja) 苗植付装置
JP4838159B2 (ja) 歩行型作業機
JP6910279B2 (ja) 歩行型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