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903B1 -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903B1
KR101626903B1 KR1020120080955A KR20120080955A KR101626903B1 KR 101626903 B1 KR101626903 B1 KR 101626903B1 KR 1020120080955 A KR1020120080955 A KR 1020120080955A KR 20120080955 A KR20120080955 A KR 20120080955A KR 101626903 B1 KR101626903 B1 KR 101626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solvent
conductor
electrodeposition coating
fine particles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540A (ko
Inventor
카츠노리 호소타니
코우지 야마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20080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90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bles (AREA)

Abstract

[과제] 수지 미립자 사이의 간극에 확실하게 유기용제가 침투하여, 그 간극을 소실시키도록 수지 미립자를 용해시켜, 핀홀이 적은 절연 특성이 우수한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도체(1)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착조(10) 내를 주행시켜, 도체(1)에 무수한 수지 미립자(11)를 부착시켜 성긴 전착 피막을 형성하고, 성긴 전착 피막에 유기용제의 증기(J)와, 분사 노즐(21)로부터 분무된 유기용제의 미스트(M)를 혼합한 혼합 유기용제(K)를 접촉시켜, 성긴 전착 피막의 수지 미립자(11)를 용해시켜 조밀 전착 피막을 형성하고, 다음에 조밀 전착 피막을 도체(1)에 가열 부착하여, 도체(1)에 절연층을 피복 형성한다.

Description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ULATED ELECTRIC CABLE}
본 발명은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마그넷 와이어 등의 절연 전선은 구리 등의 도체에 절연층을 피복 형성한 절연 전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전착조 내를 통과시키는 도체에 무수한 수지 미립자를 부착시켜 전착 피막을 형성하고, 다음에 전착 피막을 가열 부착하여, 도체에 절연층을 피복 형성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전착조를 통과시킨 것만으로는 부착한 무수한 수지 미립자끼리의 사이에, 핀홀의 원인이 되는 간극이 많은 성긴 전착 피막밖에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가열 부착 처리 전에, 유기용제의 액체에 담가 수지 미립자를 용해시켜 간극을 적게 하는 용해 처리를 행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개 2010-140641호 공보 일본 특개 평3-241609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성긴 전착 피막이 형성된 도체를 대량의 유기용제의 액체에 담가도, 표면장력 등에 의해, 수지 미립자끼리의 간극에 액체가 침투하지 않아, 충분히 수지 미립자를 용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기용제의 액체는 주위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사용량의 저감이 요망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미립자 사이의 간극에 확실히 유기용제가 침투하여, 그 간극을 소실시키도록 수지 미립자를 용해시켜, 핀홀의 적은 절연특성이 우수한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기용제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대기 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은 도체를 아래에서 이로 전착조 내를 주행시켜, 이 도체에 무수한 수지 미립자를 부착시켜 성긴 전착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성긴 전착 피막에, 유기용제의 증기와, 분사 노즐로부터 분무된 유기용제의 미스트를 혼합한 혼합 유기용제를 접촉시키고, 상기 성긴 전착 피막의 상기 수지 미립자를 용해시켜 조밀 전착 피막을 형성하고, 다음에 상기 조밀 전착 피막을 상기 도체에 가열 부착하여, 이 도체에 절연층을 피복 형성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제조 장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주행하는 도체에 무수한 수지 미립자를 부착되게 해서 성긴 전착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전착조와, 유기용제의 증기와 분사 노즐로부터 분무된 유기용제의 미스트를 혼합하여 혼합 유기용제를 만드는 혼합조와, 이 혼합조에 연통함과 아울러 상기 혼합 유기용제를 상기 성긴 전착 피막에 접촉시켜 조밀 전착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처리조와, 상기 조밀 전착 피막을 상기 도체에 가열 부착하여 이 도체에 절연층을 피복 형성하기 위한 가열 부착로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조는 상기 분사 노즐과, 유기용제의 액체를 수용한 액저류부와, 이 액저류부 내의 유기용제의 상기 액체를 가열하여 유기용제의 상기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 히터를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조는 분무된 상기 미스트가 직접적으로 상기 성긴 전착 피막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벽부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이 처리조 내의 상기 혼합 유기용제를 흡인하고 회수하기 위한 흡인구부를 설치하고, 또한, 이 흡인구부보다 상방 위치에, 공기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에어 분출기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의하면, 수지 미립자끼리 사이에 유기용제가 확실히 침투하여, 수지 미립자끼리의 경계를 없애도록 용해하여, 수지 미립자 사이의 간극이 거의 없는 조밀 전착 피막을 형성할 수 있어, 핀홀이 적은 고품질의 절연 전선이 얻어진다. 적은 양의 유기용제로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수지 미립자 사이의 간극을 적게 할 수 있다. 분사 노즐을 사용함으로써 유기용제의 양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유기용제의 사용량, 및, 대기로의 배출량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제조 장치의 1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간략 구성도.
도 2는 절연 전선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회수 배관의 1예를 도시하는 간략 구성도.
도 5는 작용 설명도.
도 6은 작용 설명도.
도 7은 작용 설명도.
도 8은 작용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시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제조 장치는, 도 1의 1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화살표(G)의 방향) 주행하는 도체(1)와, 전착액(19)이 저장됨과 아울러 도체(1)에 무수한 수지 미립자(11)를 부착시키는 전착조(10)와 전착한 수지 미립자(11)를 덮는 미전착 바니시를 제거하는 반출 바니시 제거 수단(90)과, 유기용제의 증기(J)와 유기용제의 미스트(M)를 혼합하여 혼합 유기용제(혼합 유체)(K)를 만드는 혼합조(20)와, 혼합조(20)에 연통함과 아울러 도체(1)에 부착된 수지 미립자(11)의 용해를 행하는 처리조(30)와, 수지 미립자(11)를 도체(1)에 가열 부착하는 가열 부착로(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전착조(10)의 하방 위치에 배열 설치되어 도체(1)를 내보내는 풀어내기 롤러와 가열 부착로(40)의 상방 위치에 배열 설치되어 도체(1)를 끌어들이는 감기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전착조(10)는 마이너스 전극(18, 18)이 꽂아 넣어짐과 아울러 용질로서 무수한 수지 미립자(11)를 갖는 전착액(전착 바니시)(19)이 저장되고, 저벽부의 도입구멍을 통하여 플러스극으로 된 도체(1)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체(1)의 외주면(1a)에, 마이너스 전하로 대전한 무수한 수지 미립자(11)를 포위시킨 형상으로 전착시킨다.
반출 바니시 제거 수단(90)은, 전착조(10)를 통과한 후에, 미전착 바니시를 제거하는 한 쌍의 에어 와이퍼(91, 91)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에어 와이퍼(91, 91)는 도체(1)를 사이에 끼고 대향하여 (도체(1)의 양측에) 설치되고,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비스듬히 하방)를 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혼합조(20)는 내부에 도체(1)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속적으로 통과(관통 주행)하는 혼합실(28)을 가지고 있다. 도체(1)를 혼합실(28)에 하방으로부터 인도하는 도입구부(27)와, 처리조(30)에 연통하는 연통구부(29)를 가지고 있다. 혼합조(20)는 도입구부(27)과 연통구부(29) 이외로부터 혼합 유기용제(K)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 밀봉 형상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혼합조(20)는 유기용제의 미스트(M)를 대략 수평방향(도체(1)의 길이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무하는 분사 노즐(21)과, 유기용제의 액체(E)가 수용된 액저류부(22)와, 액저류부(22) 내의 액체(E)를 가열하여 유기용제의 증기(J)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저벽부(28c) 내(액저류부(22)의 하방)에 설치된 가열 히터부(24)를 구비하고 있다. 가열 히터부(24)는 액체(E)의 증기화 및 증기(J)의 온도 조정을 행한다. 또한 혼합조(28)의 측벽부(28b) 내에도 마찬가지로 가열 히터부(24)를 구비하고, 조 내의 온도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측벽부(28b)의 가열 히터부(24)는 조 내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보온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혼합조(20)는, 도체(1)에 부착된 수지 미립자(11)에, 분무된 미스트(M)가 직접적(직선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직 벽면상의 차폐벽부(25)를 가지고 있다.
차폐벽부(25)는, 분사 노즐(21)과 도체(1) 사이에서, 혼합실(28)의 천정 벽부(28a)로부터 수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직접적으로 접촉」이란 미스트(M)가 분사 노즐(21)로부터 분출되었을 때의 기세(분사압)를 가진 채 충돌하도록 접촉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 생략하지만, 차폐벽부(25)의 내부에 가열 히터부(24)를 설치하고, 혼합조(20) 내의 온도를, 한층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폐벽부(25)는 미스트(M)의 분사방향과 평행 형상의(혼합실(28)의) 측벽부(28b, 28b)와의 사이, (혼합실(28)의) 저벽부(28c)와의 사이, 액저류부(22)와의 사이가 이간되고(간극을 형성하고), 분무된 미스트(M)가 차폐벽부(25)를 돌아 들어가, 도체(1)의 관통 주행 부위에 충만 부유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폐벽부(25)에 의해, 도체(1)측으로의 우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사 노즐(21)은 유기용제의 액체(E)를 저장된 탱크(T)에, 중계 탱크(T)와 펌프(P)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유기용제의 액체(E)를, 소정의 압력 또한 상온에서, 10㎛ 이상 100㎛ 이하의 입경의 유기용제의 미스트(M)로 하여 분무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 히터부(24)에 의해, 액저류부(22) 내의 유기용제의 액체(E)를 120℃∼150℃로 가열하고, 입경이 0.1μ∼10㎛ 미만의 증기로 하여, 증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액저류부(22)에 있어서, 유기용제(액체(E))를 비점 부근까지 가열함으로써, 증기(기체)(J)를 발생시킨다. 또한 유기용제의 미스트(M)와 유기용제의 증기(J)는 그 성분은 동일하다.
또한 가열 히터부(24)는 천정 벽부(28a)와 분사 노즐(21)이 설치된 분사 측벽부(28d) 이외의 혼합실(28)의 벽부를 가열하여 내부를 보온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즉, 가열 히터부(24)는 측벽부(28b, 28b), 저벽부(280), 분사 대향 벽부(28e)를 가열하여, 실내를 보온한다. 또한 저벽부(28c) 내의 (액저류부(22)의 하방에 배열 설치된)가열 히터부(24)에 의해, 액저류부(21)의 유기용재의 액체(E)를 120℃∼150℃로 가열한다. 발생한 증기(J)는 분사 노즐(21)의 미스트(M)에 효율 좋게 열에너지를 제공하고, 미스트(M)가 즉시 가열되어, 처리조(30)에 흐르는 혼합 유체(혼합 유기용제)(K)가 50℃ 이상 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80℃ 이하로 된다. 이와 같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도시 생략된)온도 센서를 연통구부(29)(처리조(30)의 하부(30b))에 부설하고, 가열 히터부(24)를 ON-0FF 제어(온도 조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조(30)는 내부에 세로로 긴 형상의 처리실(38)을 가지고 있다. 하부(30b)에 혼합조(20)의 연통구부(29)와 접속됨과 아울러 내부에 도체(1)를 인도하는 입구부(37)를 가지고 있다. 또한 처리층(30)의 상부 또한 상부 둘레벽부(측)에, 처리조(30) 내의 혼합 유기용제(K)를 흡인하여 회수하기 위한 흡인구부(36)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흡인구부(36)보다 상방 위치에 공기(D)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에어 분출기(51)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분출기(51)는 흡인구부(36)보다 상방을 포위하는 천정 커버부(50)에 설치하고 있다.
에어 분출기(51)는 천정 커버부(50)로부터 도체(1)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상방 개구부(52)의 근방에 설치되고, 천정 커버부(50) 내(상부(30a))의 공기를 하방으로 밀어 넣는 것과 같이 공기(D)를 분출시킨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처리조(30) 내로의 혼합 유기용제(K)의 가두기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방 개구부(52)로부터의 혼합 유기용제(K)의 유출을 억제하고 있다.
처리조(30)는 입구부(37)로부터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혼합 유기용제(K)와, 에어 분출기(51)로부터 하방으로 분출되는 공기(D)에 의해, 내부에 혼합 유기용제(K)가 충분히 정류되어, 대기(외기)로 새는 것이 방지된 밀봉 형상이다. 혼합조(20)와 처리조(30)는 기밀성을 가지고 접속되어 일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회수 배관(60)을 구비하고 있다. 처리조(30)의 흡인구부(36)에 접속된 흡인 배관(61)과, 흡인 배관(61)의 하류측에 접속된 밸브(V)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밸브(V)를 통하여 분사 노즐(21)에 접속된 탱크(T)에 액화한 유기용제를 보내기 위한 재이용 배관(63)과, 처리조(30) 및 혼합조(20) 내에서 적하(액화)한 유기용제를 탱크(T)에 회수하는 반송 배관(6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 생략하지만, 배관의 소정의 위치에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인팬을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반송 배관(64)은, 도시생략하지만 처리조(30)의 하부(30b)에 접속한 분기배관부를 부가하는 등도 바람직하다.
밸브(V)는 흡인 배관(61) 내의 액체(Ka)(흡인한 혼합 유기용제(K)의 액체 부분(Ka))는 탱크(T)로 보내 재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흡인 배관(61) 내의 기체(Kb)(빨아 들인 혼합 유기용제(K)의 기체 부분(Kb))은 농도 조정이나 불순물 제거 등의 재생 처리를 행한 후에, 탱크(T)로 되돌려서 재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도체(1)는 횡단면이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평각 형상)이며,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금속 재료이다. 유기용제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이며, 특히,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라고도 불리는 경우도 있음)가 적합하다. 유기용제의 액체(E)는 용질을 유기 용제로 하고, 용매를 물로 한 것이 적합하다. 수지 미립자(11)는 아크릴에폭시 수지나 폴리이미드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제조 장치의 사용 방법(작용) 및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체(1)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착조(10) 내를 주행시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체(1)의 외주면(1a)에 무수한 수지 미립자(11)가 부착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체(1)에 부착된 수지 미립자(11)와 수지 미립자(11) 사이에는, 가열 부착 처리 후에 핀홀의 원인이 되는 극히 작은 간극(12)이 형성된다. 즉, 전착조(10) 내를 통과한 도체(1)에는, 무수한 수지 미립자(11)가 드문드문하게 부착된 성긴 전착 피막(2)이 형성된다.
전착조(10) 내를 통과한 도선(1)은 성긴 전착 피막(2)(전착한 수지 미립자(11))을 덮는 미전착 바니시가 부착되어 있다. 이 미전착 바니시를 에어 와이퍼(91, 91)에 의해 제거한다. 또한 도체(1)를 연직 형상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수평 형상으로 주행시키는 경우에 비해, 여분의 전착액(19)(미전착 바니시)을 자중에 의해 낙하시킴과 아울러, 도체(1)의 외주면(1a)에 성긴 전착 피막(2)의 두께를 균일 형상이 되도록 수지 미립자(11)를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성긴 전착 피막(2)이 형성된 도체(1)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혼합조(20) 내에 주행시킨다.
혼합조(20) 내에는, 도체(1)가 도입되기 전에 (미리)혼합 유기용제(K)가 만들어지는데, 도체(1)가 통과중에도 연속해서 만들어진다.
분사 노즐(21)로부터 소정의 분사압력으로, 유기용제의 미스트(M)를 분무한다. 분무된 미스트(M)는 차폐벽부(25)에 의해, 직접적으로 도체(1)에 뿜어지지 않고, 차폐벽부(25)를 돌아 들어가(우회하여) 도체(1)의 주행 위치에 농밀 상태로 부유한다. 분무되는 미스트(M)는 분사압력, 입경, 분무량이 수지 미립자(11)의 용해 처리에 최적인 상태로 분사 노즐(21)이나 펌프(P)의 조작에 의해 미세 조정된다.
액저류부(22) 내의 유기용제의 액체(E)를, 가열 히터부(24)에 의해 가열하고, 유기용제의 증기를 발생시키는데, 대략 밀봉 상태의 혼합조(20) 내에, 이와 같이 가열된 (고온의)증기(J)가 충만해 있어, 이 증기(J)에 분사 노즐(21)로부터 미스트(M)가 분출되어 혼합되면서, (고온의)증기(J)로부터의 열에너지가 부여되어 활성화되고, 또한, 증기(J) 발생에 수반되는 체적 팽창에 의해 혼합조(20) 내의 압력도 상승하여, 열에너지가 부여된 미스트(M)는 (증기(J)와 함께) 연통구부(29)로부터 처리조(30)에, 도 3의 화살표(Ko)와 같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유기용제의 증기(J)는 그것보다도 충분히 다량의 미스트(M)를 화살표(Ko)와 같이 처리조(30)로 보내주는 캐리어의 역할(작용)을 한다.
반복하여 설명하면, 미스트(M)는 증기(J)에 의해 가열(열에너지가 부여)되고, 또한, 혼합됨으로써, 유기용제를 용해하기 위한 활성이 상승하여, 상온의 미스트(M)에 비해 효율 높게 용해 처리를 행한다. 또한 액체(E)에 비해 혼합 유기용제(K)는 표면장력의 영향이 적어, 확실하게 간극(12)에 침투되어, 용해 처리를 행한다.
또한 가열 히터부(24)를 천정 벽부(28a)에 설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혼합 유기용제(K)가 적하하는(천정 벽부(28a)에 유기용제의 액적을 부착시켜 낙하시킴), 이 액적은 유기용제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반송 배관(64)을 통하여 탱크(T)로 되돌려서 재이용한다. 또는 액저류부(22) 내에 적하하여 다시 증기화된다.
처리조(30)는 상하방향 치수(높이)이 크기 때문에, 처리조(30) 내에서, 도체(1)의 성긴 전착 피막(2)은 (혼합조(20) 내 주행중보다도) 긴 시간, 혼합 유기용제(K)에 접촉하고, 확실하게 접촉하여 용해작용을 얻는다. 수지 미립자(11, 11)끼리의 간극(12)(도 6 참조) 사이에 유기용제가 침투하여, 수지 미립자(11)를 용해하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12)이 거의 없는 조밀 전착 피막(3)이 형성된다.
또한 혼합 유기용제(K)의 온도는, 상기의 하한값 미만이면, 수지 미립자(11)의 용해 처리에 시간이 걸리고, 상한값을 초과하면, 수지 미립자(11)의 용해가 지나치게 진행됨과 아울러, 액화에 시간이 걸려 회수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처리조(30)를 통과한 도체(1)는 가열부착로(40) 내를 주행한다. 가열 부착로(40) 내에서, 조밀 전착 피막(3)을 도체(1)에 200℃∼300℃로 가열 부착하여,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체(1)에 핀홀이 작은 도전층(4)을 피복 형성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조(30)의 흡인구부(36)로부터, 혼합 유기용제(K)를 빨아 들여 회수한다. 흡인 배관(61) 내의 혼합 유기용제(K)의 액체 부분(Ka)은 (직접적으로) 탱크(T)로 보내서 재이용한다. 또한 흡인 배관(61) 내의 기체 부분(Kb)은 재생 처리(농도 조정이나 불순물 제거)한 후, 탱크(T)로 보내 재이용한다.
미스트(M)와 증기(J)를 혼합시킴으로써, 효율이 좋게, 유기용제를 많이 회수할 수 있다.
가령, 유기용제의 증기(J)만을 처리조(30)의 상부(30a)로부터 유입시키고, 하부(30b)에 흡인구부(36)를 설치하여 강제 배기하면, 처리조(30) 내의 유기용제의 양의 미세 조정이 곤란함과 아울러, 성기 성긴 전착 피막(2)에 접촉하는 유기용제가 적기 때문에, 대량 공급, 대량 배기하지 않으면 안 되어 유기용제의 낭비가 많아짐과 아울러, 증기(J)의 회수가 곤란하게 되어(회수 효율이 나빠), 대기중에 유해한 유기용제의 배기를 방출시켜 버린다. 상기의 증기(J)만의 방법(장치)에 비해, 본 발명 의 방법(장치)은 유기용제의 사용량을 약 80% 삭감할 수 있어, 대기 방출(배출)량도 약 80%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처리조(30) 내에, 미스트(M)만을 충만시켜도 미스트화할 때의 기화열로 저온 내지 상온으로 되어, 활성이 작아 충분한 용해작용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성긴 전착 피막(2)에 접촉 얻기 위한 긴 시간을 부유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 변경 가능하며, 예를 들면, 처리조(30)와 가열 부착로(40) 사이에, 건조로나 유기용제의 액체를 제거하는 롤러 등의 유기용제 제거 수단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체(1)의 횡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 이외에 정방형, 육각형상 등 자유이다. 또한 혼합조(20) 및 처리조(30)를 단열재로 포위, 또는, 둘레벽부를 단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체(1)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착조(10) 내를 주행시키고, 도체(1)에 무수한 수지 미립자(1)를 시켜 성긴 전착 피막(2)을 형성하고, 성긴 전착 피막(2)에, 유기용제의 증기(J)와, 분사 노즐(21)로부터 분무된 유기용제의 미스트(M)를 혼합한 혼합 유기용제(K)를 접촉시켜, 성긴 전착 피막(2)의 수지 미립자(11)를 용해시켜 조밀 전착 피막(3)을 형성하고, 다음에 조밀 전착 피막(3)을 도체(1)에 가열 부착하여, 도체(1)에 절연층(4)을 피복 형성하므로, 수지 미립자끼리의 사이에 유기용제가 확실히 침투하여, 수지 미립자(11, 11)끼리의 경계를 없애도록 용해하여, 간극(12)이 거의 없는 조밀 전착 피막(3)을 형성할 수 있어, 핀홀이 적은(핀홀이 없는) 고품질의 절연 전선이 얻어진다. 또한 유기용제로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수지 미립자(11, 11) 사이의 간극(12)을 적게 할 수 있다. 성긴 전착 피막(2)에 작용하는 유기용제는 주로 미스트(M)이므로, 분사 노즐(21)의 설정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용해 처리 전체에 사용하는 유기용제(액체(E))의 사용량, 및, 대기로의 배출량을 대폭 삭감할 수 있어, 제조 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측에서 상측으로 주행하는 도체(1)에 무수한 수지 미립자(11)를 부착시켜 성긴 전착 피막(2)을 형성하기 위한 전착조(10)와, 유기용제의 증기(J)와 분사 노즐(21)로부터 분무된 유기용제의 미스트(M)를 혼합하여 혼합 유기용제(K)를 만드는 혼합조(20)와, 혼합조(20)에 연통함과 아울러 혼합 유기용제(K)를 성긴 전착 피막(2)에 접촉시켜 조밀 전착 피막(3)을 형성하기 위한 처리조(30)와, 조밀 전착 피막(3)을 도체(1)에 가열 부착하여 도체(1)에 절연층(4)을 피복 형성하기 위한 가열 부착로(4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수지 미립자(11, 11)끼리 사이에 유기용제가 확실하게 침투하여, 수지 미립자(11, 11)끼리의 경계를 없애도록 용해하여, 간극(12)이 거의 없는 조밀 전착 피막(3)을 형성할 수 있고, 핀홀의 적은(핀홀이 없는) 고품질의 절연 전선이 얻어진다. 또한 유기용제에서 효율 좋게 확실하게 수지 미립자(11, 11) 사이의 간극(12)을 적게 할 수 있다. 성긴 전착 피막(2)에 작용하는 유기용제는 주로 미스트(M)이므로, 분사 노즐(21)의 설정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사용하는 유기용제의(액체(E))의 사용량, 및, 대기로의 배출량을 대폭 삭감할 수 있어, 제조 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혼합조(20)는 분사 노즐(21)과, 유기용제의 액체(E)를 수용한 액저류부(22)와, 액저류부(22) 내의 유기용제의 액체(E)를 가열하여 유기용제의 증기(J)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 히터부(24)를 구비했으므로, 혼합조(20) 내의 온도와 압력을 조정 제어하기 쉬워, 미스트(M)에 적절한 열에너지를 주어 미스트(M)의 활성(용해 처리 작용)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상방의 처리조(30)에 적절한 공급량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측벽부(28b) 내에도 가열 히터부(24)를 설치한 경우에는, 혼합조(20)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혼합조(20)는 분무된 미스트(M)가 직접적으로 성긴 전착 피막(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벽부(25)를 가지므로, 분무시킨 미스트(M)가 혼합조(20) 내에서 충분히 서로 섞여 혼합 유기용제(K)가 되어, 도체(1)의 외주면(1a)에 균일하게 접촉해서 용해 처리를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차폐벽부(25) 내에도 가열 히터부(24)를 설치한 경우에는, 보다 혼합조(20)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처리조(30)의 상부(30a)에, 처리조(30) 내의 혼합 유기용제(K)를 흡인하여 회수하기 위한 흡인구부(36)를 설치하고, 또한, 흡인구부(36)로부터 상방 위치에, 공기(D)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에어 분출기(51)를 구비했으므로, 처리조(30) 내에 혼합 유기용제(K)를 충분히 충만시킬 수 있어, 흡인구부(36)에 의해, 혼합 유기용제(K)를 대기(외기)로 불필요하게 배출시키지 않아, 효율 높게,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흡인구부(36)로부터 흡인한 혼합 유기용제(K) 중, 흡인 배관(61) 내에서 액체(Ka)의 것은 밸브(V)를 통하여 탱크(T)에 (직접적으로) 재이용할 수 있고, 흡인 배관(61) 내에서 기체(Kb)의 것은 재생 처리(공정)로 불순물 제거나 농도 조정을 행한 후에 재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유기용제의 (액체(E)) 소비량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1 도체 2 성긴 전착 피막
3 조밀 전착 피막 4 절연층
10 전착조 11 수지 미립자
20 혼합조 21 분사 노즐
22 액저류부 24 가열 히터부
25 차폐벽부 30 처리조
30a 상부 36 흡인구부
40 가열 부착로 51 에어 분출기
D 공기 E 액체
J 증기 K 혼합 유기용제
M 미스트

Claims (5)

  1. 도체(1)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착조(10) 내를 주행시키고, 이 도체(1)에 무수한 수지 미립자(11)를 부착시켜 성긴 전착 피막(2)을 형성하고,
    상기 성긴 전착 피막(2)에, 유기용제의 증기(J)와, 분사 노즐(21)로부터 분무된 유기용제의 미스트(M)를 혼합한 혼합 유기용제(K)를 접촉시켜, 상기 성긴 전착 피막(2)의 상기 수지 미립자(11)를 용해시켜서 조밀 전착 피막(3)을 형성하고, 다음에 상기 조밀 전착 피막(3)을 상기 도체(1)에 가열 부착하여, 이 도체(1)에 절연층(4)을 피복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2. 하측에서 상측으로 주행하는 도체(1)에 무수한 수지 미립자(11)를 부착시켜 성긴 전착 피막(2)을 형성하기 위한 전착조(10)와,
    유기용제의 증기(J)와 분사 노즐(21)로부터 분무된 유기용제의 미스트(M)를 혼합하여 혼합 유기용제(K)를 만드는 혼합조(20)와,
    이 혼합조(20)에 연통함과 아울러 상기 혼합 유기용제(K)를 상기 성긴 전착 피막(2)에 접촉시켜 조밀 전착 피막(3)을 형성하기 위한 처리조(30)와,
    상기 조밀 전착 피막(3)을 상기 도체(1)에 가열 부착하여 이 도체(1)에 절연층(4)을 피복 형성하기 위한 가열 부착로(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전선의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조(20)는 상기 분사 노즐(21)과, 유기용제의 액체(E)를 수용한 액저류부(22)와, 이 액저류부(22) 내의 유기용제의 상기 액체(E)를 가열하여 유기용제의 상기 증기(J)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 히터부(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전선의 제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조(20)는 분무된 상기 미스트(M)가 직접적으로 상기 성긴 전착 피막(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벽부(2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전선의 제조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30)의 상부(30a)에, 이 처리조(30) 내의 상기 혼합 유기용제(K)를 흡인하여 회수하기 위한 흡인구부(36)를 설치하고, 또한, 이 흡인구부(36)보다 상방 위치에, 공기(D)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에어 분출기(5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전선의 제조 장치.
KR1020120080955A 2012-07-25 2012-07-25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626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955A KR101626903B1 (ko) 2012-07-25 2012-07-25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955A KR101626903B1 (ko) 2012-07-25 2012-07-25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540A KR20140013540A (ko) 2014-02-05
KR101626903B1 true KR101626903B1 (ko) 2016-06-02

Family

ID=5026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955A KR101626903B1 (ko) 2012-07-25 2012-07-25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7645A4 (en) * 2018-03-14 2021-12-08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 MATERIAL FOR INSULATED CONDUCTO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0641A (ja) * 2008-12-09 2010-06-24 Mitsubishi Cable Ind Ltd 絶縁電線の製造方法
JP2011048956A (ja) * 2009-08-25 2011-03-10 Sumitomo Electric Ind Ltd 絶縁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加熱装置
JP2012179522A (ja) 2011-02-28 2012-09-20 Hitachi Cable Ltd 線条材の洗浄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491B2 (ja) 1990-02-20 1995-12-20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平角状超薄膜絶縁電線
US8207447B2 (en) * 2006-09-22 2012-06-26 Kurabe Industrial Co., Ltd. PTFE porous body, PTFE mixture, method for producing PTFE porous body, and electric wire/cable using PTFE porous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0641A (ja) * 2008-12-09 2010-06-24 Mitsubishi Cable Ind Ltd 絶縁電線の製造方法
JP2011048956A (ja) * 2009-08-25 2011-03-10 Sumitomo Electric Ind Ltd 絶縁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加熱装置
JP2012179522A (ja) 2011-02-28 2012-09-20 Hitachi Cable Ltd 線条材の洗浄乾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7645A4 (en) * 2018-03-14 2021-12-08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 MATERIAL FOR INSULATED CONDU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540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8589A (ko) 실리콘 기판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417058A (zh) 利用静电力的喷雾及构图装置
JP2007110063A (ja) フォトレジスト溶液を効率的に用いた噴射式フォトレジスト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方法
JP5377535B2 (ja) 絶縁電線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6415323B2 (ja) 基体上にレジストの薄層を堆積させる装置およびプロセス
KR101626903B1 (ko)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507772B1 (ko) 수증기 필터를 포함하는 쿨링 타워
KR101971917B1 (ko) 정전분무 집진장치
KR101263602B1 (ko) 콘젯 모드 정전기 스프레이 장치
CN108555308B (zh) 一种真空雾化装置及制备3d打印粉末的方法
WO2015186337A1 (ja) 焼入れ装置及び金属材の製造方法
KR101881354B1 (ko) 분무건조 방식을 이용한 에어로졸 입자 생성장치
US20220370948A1 (en) Scrubber device
US11692280B2 (en) Electrodeposition coating method and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CN108580914B (zh) 一种真空雾化装置及制备3d打印粉末的方法
JP2017029977A (ja) フィラメント引き延ばし式霧化装置
JP5375596B2 (ja) 噴流式めっき方法および装置
KR101263591B1 (ko) 콘젯 모드 정전기 스프레이 장치
JP2006000769A (ja) 燃料電池電極製造用のスプレー塗布装置
CN210607299U (zh) 一种降温装置及降温系统
US20200051826A1 (en) Modified etch-and-deposit bosch process in silicon
JP5018847B2 (ja) 金属部材の表面処理方法および表面処理装置
KR102267279B1 (ko) 분무건조법을 이용한 에어로졸 입자 생성장치
KR20200029121A (ko) U턴형 및 수접촉 증가 충진재를 포함하는 반도체 공정중 발생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거장치
KR20150136740A (ko) 박막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