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940B1 - 글래스용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글래스용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940B1
KR101625940B1 KR1020150120812A KR20150120812A KR101625940B1 KR 101625940 B1 KR101625940 B1 KR 101625940B1 KR 1020150120812 A KR1020150120812 A KR 1020150120812A KR 20150120812 A KR20150120812 A KR 20150120812A KR 101625940 B1 KR101625940 B1 KR 101625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glass
lower stage
vacuum pressur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디케이
Priority to KR102015012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글래스가 흡착되는 상부스테이지와; 상면에 필름이 흡착되는 하부스테이지와; 상기 하부스테이지 내부에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진공압형성부와; 상기 하부스테이지의 내부에 상하 승강 및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필름을 가압하여 상기 글래스에 부착하는 접착롤러와; 상기 접착롤러에 의해 상기 글래스에 부착되는 필름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진공압형성부가 상기 하부스테이지 내부에 형성하는 진공압력을 점차적으로 증가되게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글래스용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FILM STICIKING APPARATUS FOR GLAS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대면적 글래스에 필름을 들뜨지 않게 부착할 수 있는 글래스용 필름 부착장치와 필름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장치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한층 더 강조되고 있으며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이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시에 액정패널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대형필름이 부착된다. 즉, 액정패널을 형성하는 글래스의 표면에 정전필름, 전극필름, 보호필름 등을 부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글래스(A)에 필름(B)을 부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글래스(A)에 필름(B)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글래스(A)는 상부스테이지(11) 상에 고정되고, 필름(B)은 하부스테이지(13) 상에 흡착되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스테이지(13)의 접착롤러(15)가 상승한 후 수평방향으로 점차 이동하게 되면, 하부스테이지에 흡착된 필름(B)은 분리되어 글래스(A)의 하부표면에 부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필름(B)이 글래스(A)에 부착될 때, 필름(B)이 글래스(A)에 부착된 면적(a)이 부착되지 않은 면적(b)에 비해 넓어지면서 필름(B)이 하부스테이지(13)에 흡착되는 흡착력이 약해져서 들뜨게 되는 부분(M)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렇게 필름(B)이 하부스테이지(13)로 부터 들뜨게 되면, 접착롤러(15)와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필름은 글래스(A)에 들뜨거나 주름이 형성된 상태로 부착되어 부착불량필름이 발생되게 된다.
공개특허 제10-2006-0101249호 "글래스 기판 필름의 부착방법" 등록특허 제10-1123268호 "대면적 글래스에 부착되는 필름 주름제거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름을 글래스에 부착할 때, 필름이 들뜨지 않고 균일하게 글래스에 부착할 수 있는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부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부착장치는,
글래스가 흡착되는 상부스테이지와;
상면에 필름이 흡착되는 하부스테이지와;
상기 하부스테이지 내부에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진공압형성부와;
상기 하부스테이지의 내부에 승강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필름을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글래스에 필름을 부착되게 하는 접착롤러와;
상기 접착롤러에 의해 상기 글래스에 부착되는 필름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진공압형성부가 상기 하부스테이지 내부에 형성하는 진공압력을 점차적으로 증가되게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스테이지의 상면은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메쉬망으로 형성되되,
상기 진공압형성부는 회전하며 공기를 흡입하는 링블로워와, 링블로워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상기 하부스테이지 내부의 진공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름이 상기 글래스에 부착되는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하부스테이지 내부의 진공압력이 증가하도록 상기 인버터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래스에 상기 필름이 부착되는 면적을 전체 면적에 대비하여 복수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각 구간별로 진공압력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글래스용 필름 부착방법은,
상부스테이지에 글래스를 공급하고 흡착하는 단계와;
상부스테이지를 반전시켜 글래스가 하부를 향하도록 반전시키는 단계와;
하부스테이지에 필름을 공급하고 진공압으로 흡착하는 단계와;
하부스테이지를 상부스테이지의 하부로 이동하는 단계와;
하부스테이지의 접착롤러가 상승한 후 수평방향으로 점차 이동하게 되면, 하부스테이지에 흡착된 필름은 분리되어 글래스의 하부표면에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이 글래스에 부착되는 초반에는 하부스테이지의 내부를 초기진공압으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이 글래스에 부착되는 후반에는 하부스테이지의 내부를 초기진공압보다 큰 후반진공압으로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이 글래스에 부착이 완료되면, 진공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장치는 글래스에 필름을 부착할 때, 글래스에 부착된 필름의 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하부스테이지에 흡착된 필름에 적용하는 진공압력을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미부착된 필름이 하부스테이지 표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롤러에 의해 메쉬망에서 분리되어 글래스에 부착되는 부분의 필름과 메쉬망에 부착된 부분의 필름 간의 인장력 크기가 일정하게 되며, 필름은 글래스로부터 들뜨지 않고 균일하게 글래스의 하부표면에 부착되어 부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필름 부착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장치의 필름 부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장치의 필름부착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장치(100)는 큰 면적의 글래스(A)에 필름(B)을 부착한다. 이때, 글래스(A)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기판이나 글래스 일 수 있고, 필름(B)은 보호필름, 점착필름, 정전필름, 전극필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부착장치(100)는 하면에 글래스(A)가 지지되는 상부스테이지(110)와, 상면에 필름(B)이 흡착되는 하부스테이지(120)와, 하부스테이지(120)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하며 필름(B)을 글래스(A)에 가압하여 부착하는 접착롤러(130)와, 하부스테이지(120) 내부를 진공압으로 형성하여 필름(B)이 하부스테이지(120) 상면에 흡착되도록 하는 진공압형성부(140)와, 필름(B)이 글래스(A)에 부착되는 면적에 따라 하부스테이지(120) 내부의 진공압을 조절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부스테이지(110)는 하면에 글래스(A)를 지지하여 필름(B)이 글래스(A) 표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상부스테이지(11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면에 흡착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진공압을 형성하여 표면에 글래스(A)를 흡착한다.
상부스테이지(11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부에 글래스(A)가 공급되면, 진공압을 인가하여 글래스(A)를 흡착한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부스테이지(110)의 일측에는 위치정렬용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되어 글래스(A)가 제위치에 위치되었는지 판단하게 된다. 상부스테이지(110)는 이송부(111)를 통해 글래스(A)의 공급위치와 부착위치 간을 이동하게 된다.
한편, 글래스(A)를 공급하는 과정에서는 상부스테이지(110)이 상부로 글래스(A)가 배치된다. 그리고 글래스(A)에 필름(B)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상부스테이지의 하부로 글래스(A)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회전부(113)가 상부스테이지(110)를 반전시키게 된다.
이송부(111)와 회전부(113)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기계적인 수단 또는 유압수단에 의해 상부스테이지(110)를 이송하고, 회전하게 된다.
하부스테이지(120)는 상면에 필름(B)을 흡착하고, 필름(B)이 글래스(A)에 부착되도록 지지한다. 하부스테이지(120)는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형성된 하우징(121)과, 하우징(121)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며 필름(B)이 흡착되는 메쉬망(123)을 포함한다.
하우징(121)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121)의 하부는 진공압형성부(140)의 공기흡입관(미도시)이 결합되어 내부가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하우징(121)은 하부스테이지이송부(미도시)와 결합되어 필름공급위치와 필름부착위치 간을 이동한다.
메쉬망(123)은 상면에 필름(B)이 흡착된다. 메쉬망(123)은 필름(B)이 흡착될 때 진공압이 균일하게 전달되고, 접착롤러(130)의 부착압력이 필름(B)으로 전달되도록 판면에 다수의 메쉬가 형성된 망형태로 형성된다. 메쉬망(123)은 일정 범위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접착롤러(130)는 하부스테이지(120)의 내부를 상하로 이동하고, 필름(B)의 부착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필름(B)을 상부로 가압하여 필름을 글래스(A)에 부착시킨다. 접착롤러(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면서 우측으로 되며 필름(B)이 글래스(A)에 부착되도록 상부로 압력을 인가한다.
필름(B)을 글래스(A)에 부착하기 전에는 접착롤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스테이지(120)의 하부에 대기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B)을 글래스(A)에 부착하기 시작하면 접착롤러(130)는 롤러구동부(131)에 의해 메쉬망(123)의 하면으로 상승한다.
메쉬망(123)은 탄력을 갖는 소재이므로 접착롤러(130)가 상승한 만큼 메쉬망(123)이 늘어나며 접착롤러(130)가 메쉬망의 하면을 상부로 가압하면 메쉬망 상면의 필름(B)은 글래스(A)에 가압되어 부착되게 된다. 즉, 접착롤러(130)가 메쉬망을 상부로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메쉬망 상면의 필름(B)은 글래스(A)에 부착되게 된다.
접착롤러(130)는 메쉬망(123)의 하면에 상승된 상태에서 상부로 가압됨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우측으로 수평되게 이동한다. 이에 따라 필름(B)이 점차적으로 글래스(A)에 부착되게 된다.
이 경우 필름이 글래스에 부착되는 면적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부가되거나, 접착롤러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부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에 전달되어 진공압을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진공압형성부(140)는 하부스테이지(120) 내부를 진공압으로 형성한다. 이에 의해 메쉬망(123)을 통해 흡착압이 형성되어 필름(B)이 메쉬망(123)의 표면에 흡착되게 된다.
진공압형성부(140)는 공기를 흡입하는 링블로워(141)와, 링블로워(141)를 구동하는 인버터(143)를 포함한다. 링블로워(141)는 회전하며 주변공기를 흡입하여 하부스테이지(120) 내부를 진공압으로 형성한다. 이 때, 링블로워(141)와 하부스테이지(120)는 복수개의 공기흡입관(미도시)으로 연결된다. 공기흡입관(미도시)은 하부스테이지(120)의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결합되어 하부스테이지(120) 내부가 균일하게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인버터(143)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며, 링블로워(141)를 회전시킨다. 인버터(143)의 구동에 따라 링블로워(141)의 회전수가 조절되고, 하부스테이지(120) 내부의 진공압이 조절된다.
제어부(150)는 필름(B)이 글래스(A)에 부착될 때, 부착되는 면적에 따라 하부스테이지(120) 내부의 진공압을 조절하여 필름(B)이 들뜨지 않고 글래스(A)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글래스(A)와 필름(B)의 면적에 따라 작업자가 입력한 조건에 따라 진공압이 달라지도록 조절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인버터(143)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링블로워(141)의 회전수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진공압을 조절한다.
필름(B)이 글래스(A)의 하부표면에 부착되기 시작하는 초기에는 진공압력을 작게 형성하여 접착롤러(130)에 의해 필름(B)이 글래스(A)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필름(B)이 글래스(A)에 부착되는 면적이 커질수록 메쉬망(123)에 흡착된 필름의 흡착력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필름(B)이 글래스에 부착되는 면적이 커지는 후반에는 진공압력이 커지도록 제어부(150)는 인버터(143)의 주파수를 조절한다.
일례로, 1300×1100mm 면적의 필름(B)을 동일 면적의 글래스(A)에 부착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필름(B)이 글래스에 부착되는 초기에는 30Hz의 주파수로 인버터(143)가 구동되도록 하고, 필름(B) 전체면적의 30%가 글래스에 부착된 시점부터 글래스에 부착이 완료될 때까지는 60Hz의 주파수로 인버터(143)가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진공압력의 크기를 필름이 글래스에 부착되는 시작시점보다, 필름 전체면적의 30%정도가 글래스에 부착된 시점 이후의 진공압력의 크기가 더 커짐에 따라 필름(B)이 메쉬망(123)에 들뜨지 않고 안정적으로 메쉬망(123)에 흡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접착롤러(130)에 의해 메쉬망(123)에서 분리되어 글래스(A)에 부착되는 부분의 필름(B)과 메쉬망(123)에 부착된 부분의 필름(B) 간의 인장력 크기가 일정하게 되며, 필름이 메쉬망으로부터 들뜨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글래스(A)의 하부표면에 부착된 부분도 들뜨지 않게되어 결국 필름이 글래스에 부착되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필름(B)의 부착이 완료되면 인버터(143)의 전원을 off 한다.
진공압력은 필름(B)의 면적에 따라 두 단계, 세 단계, 경우에 따라 4 단계 이상으로 조절된다. 일례로, 1500×1300mm 면적의 필름(B)을 동일 면적의 글래스(A)에 부착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경우와 달리 세 범위로 나누어 진공압력이 상이하게 조절된다. 필름이 글래스에 부착되기 시작한 후 필름 전체면적의 30%범위까지 부착이 진행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40Hz의 주파수로 인버터(143)를 구동시키고, 이후 필름 전체면적의 70% 범위까지는 50Hz의 주파수로 인버터(143)를 구동시키며, 이후 필름 전체면적의 100% 범위까지는 70Hz의 주파수로 인버터(143)를 구동시킨다.
상술한 두 가지 경우는 일례일 뿐이며, 필름(B)과 글래스(A)의 면적에 따라 제어부(150)는 필름(B)이 들뜨지 않는 가장 적합한 주파수로 인버터(143)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장치(100)의 동작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부스테이지(120)의 상부에 필름(B)이 공급된다(S110). 이 때, 필름(B)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공급하거나 공급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하부스테이지(120)의 메쉬망(123)에 필름(B)이 안착되면, 진공압형성부(140)는 기준 진공압을 형성하여 필름(B)이 메쉬망(123)에 흡착되도록 한다(S120).
이 때, 기준 진공압은 필름(B)이 메쉬망(123)에 흡착될 수 있는 압력으로, 필름(B)이 후술할 글래스(A)에 부착할 때의 압력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스테이지(120)에 필름(B)이 공급되는 것과 동시에 상부스테이지(110)에 글래스(A)가 공급된다. 상부스테이지(110)도 진공압을 형성하여 글래스(A)를 표면에 흡착한다. 그리고, 상부스테이지(110)는 글래스(A)가 하부를 향하도록 반전된다.
제어부(150)는 하부스테이지(120)를 상부스테이지(110)의 하부로 이송한다(S130). 그리고, 접착롤러(130)를 메쉬망(123) 방향로 상승시키고, 접착롤러(130)가 메쉬망(123)을 상방향으로 가압시킨 상태에서 우측으로 수평되게 점차 이동하면서 필름(B)을 글래스(A)의 하부표면에 부착하기 시작한다(S140).
제어부(150)는 필름이 글래스에 부착됨과 동시에 하부스테이지(120) 내부가 초기 진공압을 형성하도록 인버터(143)의 주파수를 제어한다. 인버터(143)의 주파수를 조절함과 동시에 링블로워(141)의 흡입압력이 변화되며 하부스테이지(120) 내부의 진공압이 조절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롤러(130)가 우측으로 수평되게 이동하면서 필름(B)이 메쉬망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글래스(A)의 하부표면에 부착되게 된다. 이 경우, 글래스(A)의 전체길이(L1)에 대해 부착된 필름(B)의 길이(L1)가 초기 범위인 경우, 작업자가 설정한 초기 진공압(P1)이 인가되도록 제어부(150)는 인버터를 제어한다(S150).
그리고 필름의 부착이 진행되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된 필름(B)의 길이(L2)가 필름의 전체길이(L1)에 대해 후반 범위인 경우, 작업자가 설정한 후반 진공압(P2)이 하부스테이지(120) 내부에 인가되도록 제어부(150)는 인버터를 제어한다(S160).
이 경우 후반 진공압(P2)은 초기 진공압(P1) 보다 큰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필름(B)이 글래스(A)에 부착된 면적에 따라 필름(B)을 메쉬망(123)으로 흡착시키는 진공압을 크게 조절하여, 미부착된 필름(B)이 메쉬망(123)으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필름(B)의 전 영역이 들뜨지 않고 균일하게 글래스(A)의 하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접착롤러(130)에 의해 메쉬망(123)에서 분리되어 글래스(A)에 부착되는 부분의 필름(B)과 메쉬망(123)에 부착된 부분의 필름(B) 간의 인장력 크기가 일정하게 되며, 전체 면적의 필름이 들뜨지 않고 균일하게 글래스(A)의 하부표면에 부착되어 부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름(B)의 부착이 완료되면, 인버터(143)의 전원을 off하여 하부스테이지(120) 내부의 진공압을 제거한다. 그리고, 하부스테이지(120)를 필름 공급위치로 복귀시킨다(S18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장치는 글래스에 필름을 부착할 때, 글래스에 부착된 필름의 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하부스테이지에 흡착된 필름에 적용하는 진공압력을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미부착된 필름이 하부스테이지 표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롤러에 의해 메쉬망에서 분리되어 글래스에 부착되는 부분의 필름과 메쉬망에 부착된 부분의 필름 간의 인장력 크기가 일정하게 되며, 전체 면적의 필름이 들뜨지 않고 균일하게 글래스의 하부표면에 부착되어 부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필름 부착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필름 부착장치 110 : 상부스테이지
111 : 이송부 113 : 회전부
120 : 하부스테이지 121 : 하우징
123 : 메쉬망 130 : 접착롤러
131 : 롤러구동부 140 : 진공압형성부
141 : 링블로워 150 : 제어부

Claims (5)

  1. 글래스가 흡착되는 상부스테이지와;
    공기 유출입이 가능한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상면에 필름이 흡착되는 하부스테이지와;
    회전하며 공기를 흡입하는 링블로워와, 링블로워를 구동하는 인버터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스테이지 내부에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진공압형성부와;
    상기 하부스테이지의 내부에 승강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필름을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글래스에 필름을 부착되게 하는 접착롤러와;
    상기 접착롤러에 의해 상기 글래스에 부착되는 필름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인버터의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진공압형성부가 상기 하부스테이지 내부에 형성하는 진공압력을 점차적으로 증가되게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름이 상기 글래스에 부착되는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하부스테이지 내부의 진공압력이 증가하도록 상기 인버터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래스에 상기 필름이 부착되는 면적을 전체 면적에 대비하여 복수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각 구간별로 진공압력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장치.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부착장치를 이용하는 글래스용 필름 부착방법으로서,
    상부스테이지에 글래스를 공급하고 흡착하는 단계와;
    상부스테이지를 반전시켜 글래스가 하부를 향하도록 반전시키는 단계와;
    하부스테이지에 필름을 공급하고 진공압으로 흡착하는 단계와;
    하부스테이지를 상부스테이지의 하부로 이동하는 단계와;
    하부스테이지의 접착롤러가 상승한 후 수평방향으로 점차 이동하게 되면, 하부스테이지에 흡착된 필름은 글래스의 하부표면에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이 글래스에 부착되는 초반에는 하부스테이지의 내부를 초기진공압으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이 글래스에 부착되는 후반에는 하부스테이지의 내부를 초기진공압보다 큰 후반진공압으로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이 글래스에 부착이 완료되면, 진공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용 필름 부착방법.
KR1020150120812A 2015-08-27 2015-08-27 글래스용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 KR101625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12A KR101625940B1 (ko) 2015-08-27 2015-08-27 글래스용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12A KR101625940B1 (ko) 2015-08-27 2015-08-27 글래스용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940B1 true KR101625940B1 (ko) 2016-06-01

Family

ID=5613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812A KR101625940B1 (ko) 2015-08-27 2015-08-27 글래스용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9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000A (ko) * 2016-08-31 2018-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8466719A (zh) * 2018-06-20 2018-08-31 广东华中科技大学工业技术研究院 一种曲面玻璃贴膜机
KR102353024B1 (ko) * 2020-07-21 2022-01-20 주식회사 한송네오텍 Oled 패널용 스크린 타입 라미네이터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249A (ko) 2005-03-16 2006-09-22 도레 엔지니아린구 가부시키가이샤 글래스 기판용 필름의 부착방법
KR101123268B1 (ko) 2012-01-06 2012-03-21 주식회사 아이.엠.텍 대면적 글래스에 부착되는 필름 주름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249A (ko) 2005-03-16 2006-09-22 도레 엔지니아린구 가부시키가이샤 글래스 기판용 필름의 부착방법
KR101123268B1 (ko) 2012-01-06 2012-03-21 주식회사 아이.엠.텍 대면적 글래스에 부착되는 필름 주름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000A (ko) * 2016-08-31 2018-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43709B1 (ko) * 2016-08-31 2019-0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8466719A (zh) * 2018-06-20 2018-08-31 广东华中科技大学工业技术研究院 一种曲面玻璃贴膜机
KR102353024B1 (ko) * 2020-07-21 2022-01-20 주식회사 한송네오텍 Oled 패널용 스크린 타입 라미네이터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940B1 (ko) 글래스용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
KR101612076B1 (ko) 보호필름 박리시스템
TWI335246B (en) 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KR101625263B1 (ko) 필름 부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TWI554407B (zh) Sticking device
TW201125076A (en) Adhesive tape joining apparatus and adhesive tape joining method
TW201634978A (zh) 貼附裝置
CN106392595A (zh) 显示模组的拆解机构及拆解装置
CN103681229A (zh) 粘合带粘贴方法和粘合带粘贴装置
KR101605806B1 (ko) 보호필름 제거장치
KR101069832B1 (ko) 편광판의 이형 필름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TW201317116A (zh) 貼合裝置及貼合方法
CN107283986A (zh) 撕膜贴膜装置及撕膜贴膜方法
JP2003121832A (ja) フィルム貼付方法及び装置
KR101814505B1 (ko) 기포 제거기능을 갖는 필름 부착장치
JP5433542B2 (ja) 両面粘着テープ剥離方法および両面粘着テープ剥離装置
JP2007254072A (ja) ガラス板ハンドリング装置
KR100994504B1 (ko)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CN108089353A (zh) 贴附设备及贴附方法
JPH06255063A (ja) 基板とフィルムとの密着方法および密着装置
JP2015231869A (ja) 貼付装置およびフィルム供給装置
JP2003019755A (ja) 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
KR102218641B1 (ko) 곡면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용 라미네이터
JP2007246244A (ja) ガラス板引き上げ装置
KR20150102219A (ko) 유리패널용 전사프린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