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504B1 -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504B1
KR100994504B1 KR1020090010751A KR20090010751A KR100994504B1 KR 100994504 B1 KR100994504 B1 KR 100994504B1 KR 1020090010751 A KR1020090010751 A KR 1020090010751A KR 20090010751 A KR20090010751 A KR 20090010751A KR 100994504 B1 KR100994504 B1 KR 100994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film
polarizing plate
vacuum suction
horizontal suppor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526A (ko
Inventor
조현우
김용민
강석제
전진철
강재환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5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air blast or suction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8Releas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는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는 이형필름이 도포된 편광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진공 흡착홀; 상기 진공 흡착홀의 인근에 형성되며 상기 진공 흡착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보조 진공 흡착홀; 상기 이형필름을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제거하는 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이 이형필름 제거장치는 편광판을 엘시디 패널에 부착하기 전에 편광판에 부착된 이형필름을 자동으로 안정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엘시디 패널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Removing apparatus for release film of polarizer transfer}
본 발명은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시디 패널에 부착하기 전에 편광판에 부착된 이형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패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액정 패널의 외면에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전체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으로 편광시켜 원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한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외면에 편광판을 부착하기 위하여, 편광판을 낱장 단위로 공급해주는 편광판 이송장치와, 공급된 편광판을 액정 패널의 외면에 부착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가 사용된다.
그런데 엘시디 패널에 편광판을 부착하기 전에 편광판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이형필름이 사전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편광판을 엘시디 패널에 부착하여야 하는데, 이 이형필름을 편광판에서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자동화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판에 부착된 이형필름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는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는 이형필름이 도포된 편광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진공 흡착홀; 상기 진공 흡착홀의 인근에 형성되며 상기 진공 흡착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보조 진공 흡착홀; 상기 이형필름을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제거하는 제거부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 진공 흡착홀은 상기 진공 흡착홀 중 상기 이형필름이 박리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진공 흡착홀의 인근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거부는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 방향 지지대; 상기 가로 방향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이형필름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이형필름의 끝단이 상기 편광판에서 벗겨지도록 하는 마찰롤러; 상기 마찰롤러의 측 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롤러에 의하여 상기 이형필름의 끝단이 벗겨지면 상기 이형필름의 끝단을 클램프하는 클램프; 상기 가로 방향 지지대를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클램프에 클램핑된 상기 이형필름이 상기 편광판에서 벗겨지도록 하는 세로 방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찰롤러를 상기 이형필름 측으로 하강시키는 승강 액츄에이터가 상기 가로 방향 지지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착홀의 진공 펌핑을 제어하는 유압 컨트롤러와 상기 보조 진공 흡착홀의 진공 펌핑을 제어하는 보조 유압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 방향 지지대는 상기 클램프를 가로 방향 액츄에이터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 방향 액츄에이터가 상기 가로 방향 지지대를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가로 방향 지지대는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형 필름이 사선 방향으로 상기 편광판에서 벗겨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진공 흡착홀은 상기 사선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진공 흡착홀들마다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에는 이형필름 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이 이형필름 제거장치는 편광판을 엘시디 패널에 부착하기 전에 편광판에 부착된 이형필름을 자동으로 안정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엘시디 패널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에서 클램프와 마찰롤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의 스테이지에 형성된 진공 흡착홀과 보조 진공 흡착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10)의 이형필름 제거장치는 이형필름(11)이 도포된 편광판(10)을 흡착하여 지지하는 스테이지(100)와 이형필름 제거부가 구비된다.
스테이지(100)에는 편광판(10)의 흡착을 위하여 다수개의 진공 흡착홀(110)이 형성되어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진공 흡착홀(110)들 중에서 후술하는 클램프(110)가 진행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진공 흡착홀(110)들에는 이형필름(11)의 박리가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다수개의 보조 진공 흡착홀(111)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진공 흡착홀(110)들과 보조 진공흡착홀(111)의 진공 흡착력을 제어하는 유압 컨트롤러(170)가 구비된다. 이 유압 컨트롤러(170)는 진공 흡착홀(110)들의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 컨트롤러(170)와 보조 진공흡착홀(111)의 유압을 제어하는 보조 유압 컨트롤러(180)가 별도로 구비되어 진공 흡착홀(110)과 보조 진공 흡착홀(111)의 진공 펌핑력 제어가 개별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지(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이형필름 제거부는 스테이지(100)의 표면에서 이격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 방향 지지대(120)를 구비하고, 가로 방향 지지대(120)의 측면에는 편광판(P)의 이형필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마찰롤러(160)와 클램프(150)를 포함한다. 마찰롤러(160)와 클램프(150)는 가로 방향 지지대(120)의 측면에 설치된 판 형상의 이동대(140)에 결합되어 있다.
이동대(140)는 가로 방향 지지대(120)에 설치된 가로 방향 이동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가로 방향 지지대(120)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이 이동대(140)는 가로 방향 지지대(120)에 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 방향 이동 액츄에이터는 가로 방향 지지대(120)와 일체로 구성된 리니어 모터 또는 볼스크류와 정역회전모터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대(140)에 설치된 클램프(150)는 받침부(151)를 구비한다. 또한 일단이 받침부(151)를 관통하고, 타단이 수직 절곡된 구동부(152)를 구비한다. 받침부(151)의 후방에는 구동부(152)의 클램핑 동작을 위한 클램핑 액츄에이터(153)가 설치된다.
또한 클램프(150)의 이형필름(11)이 클램핑되는 내측면에는 이형필름(11)의 클램핑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54)가 설치된다. 감지센서(154)는 포토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실시될 수 있다.
클램프(150)의 측부에 설치된 마찰롤러(160)는 마찰롤러(160)의 양단을 축 지지하는 축지지대(161)에 결합되고, 이 축지지대(161)의 상부에는 마찰롤러(160) 를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축지지대(161)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 액츄에이터(164)가 설치된다.
또한 마찰롤러(16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마찰롤러(160)의 상부에 모터(162)가 구비되고, 모터(162)의 동력을 마찰롤러(160)로 전달하기 위하여 일단이 마찰롤러(160)의 축에 권취되고, 타단이 마찰롤러(160)의 상부에 위치한 모터(162)의 회전축에 권취된 동력전달밸트(163)를 구비한다.
한편 가로 방향 지지대(120)의 양측단에는 세로 방향 액츄에이터(130)가 설치된다. 이 세로 방향 액츄에이터(130)는 이형필름(11)의 제거시에 가로 방향 지지대(120)를 세로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와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와 마찰롤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필름(11)이 부착된 편광판(10)이 스테이지(100)에 안착되면 스테이지(100)는 편광판(10)을 진공 흡착하여 지지한다. 편광판(10)이 진공 흡착으로 스테이지(100)에 지지되면 세로 방향 액츄에이터(130)는 가로 방향 지지대(120)를 편광판(10)의 일단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편광판(10)의 일단으로 이동된 가로 방향 지지대(120)는 이동대(140)를 편광판(10)의 끝단 모서리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이동대(140)가 편광판(10)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면 마찰롤러(160)는 승강 액츄에이터(164)에 의하여 편광 판(10)의 이형필름(11) 표면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마찰롤러(160)의 표면은 이형필름(11)의 표면에 접촉된다.
이후 마찰롤러(160)는 모터(162)의 동력을 전달받아 클램프(150)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마찰롤러(160)의 회전 마찰력에 의하여 편광판(10)의 표면에 부착된 이형필름(11)의 끝단 일부가 편광판(10)에서 박리되면서 마찰롤러(160)의 회전방향으로 말려 올라온다. 이때 보조 진공 흡착홀(111)들은 마찰롤러(160)에 의하여 편광판(P)이 이형필름과 함께 말려 올라가거나 편광판(P)의 끝단이 들려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다수개의 보조 진공 흡착홀(111)이 편광판(P)의 최 끝단 모서리 부분을 강력한 진공 흡착력으로 별도 흡착함에 따라 편광판(10)의 안정적인 흡착 지지상태를 유지시킨다.
이후 이형필름(11)의 끝단이 클램프(150)의 받침부(151)와 구동부(152) 사이에 위치하였다고 감지센서(154)가 감지하게 되면 클램핑 액츄에이터(153)는 구동부(152)를 당겨서 받침부(151)와 구동부(152) 사이에 이형필름(11)의 끝단이 클램핑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형필름(11)의 끝단의 클램핑이 완료되면 이와 동시에 또는 직전에 마찰롤러(160)는 승강 액츄에이터(164)에 의하여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한다.
도 4a, 도 4b,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d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필름(11)의 끝단이 클램핑된 상 태가 된다. 이후 편광판(10)로부터 이형필름(11)의 박리를 진행한다. 즉 편광판(10)에서 이형필름(11)의 끝단 일부가 벗겨져 클램프(150)에 클램핑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 액츄에이터(130)는 가로 방향 이동대(140)를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때 가로 방향 이동대(140)에 설치된 지지대는 소정 거리를 동시에 이동한다. 이에 따라 클램핑된 이형필름(11)은 일정 구간동안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선 박리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클램프가 사선 방향 및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위치한 다수개의 진공 흡착홀(110)들의 인근에는 모두 보조 진공흡착홀(111)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박리 방향으로 클램프(150)에 의하여 박리력이 편광판(P)에 전달되더라도 편광판(P)은 안정적인 흡착 지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에서 클램프와 마찰롤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의 스테이지에 형성된 진공 흡착홀과 보조 진공 흡착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 그리고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이형필름을 클램핑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의 박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8)

  1. 이형필름이 도포된 편광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진공 흡착홀;
    상기 진공 흡착홀 의 인근에 형성되며 상기 진공 흡착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보조 진공 흡착홀;
    상기 이형필름을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제거하는 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진공 흡착홀은 상기 진공 흡착홀 중 상기 이형필름이 박리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진공 흡착홀의 인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 방향 지지대;
    상기 가로 방향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이형필름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이형필름의 끝단이 상기 편광판에서 벗겨지도록 하는 마찰롤러;
    상기 마찰롤러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롤러에 의하여 상기 이형필름의 끝단이 벗겨지면 상기 이형필름의 끝단을 클램프하는 클램프;
    상기 가로 방향 지지대를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클램프에 클램핑된 상기 이형필름이 상기 편광판에서 벗겨지도록 하는 세로 방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롤러를 상기 이형필름 측으로 하강시키는 승강 액츄에이터가 상기 가로 방향 지지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착홀의 진공 펌핑을 제어하는 유압 컨트롤러와 상기 보조 진공 흡착홀의 진공 펌핑을 제어하는 보조 유압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 지지대는 상기 클램프를 가로 방향 액츄에이터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 방향 액츄에이터가 상기 가로 방향 지지대를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가로 방향 지지대는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형 필름이 사선 방향으로 상기 편광판에서 벗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진공 흡착홀은 상기 사선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진공 흡착홀들마다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에는 이형필름 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KR1020090010751A 2009-02-10 2009-02-10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KR100994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751A KR100994504B1 (ko) 2009-02-10 2009-02-10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751A KR100994504B1 (ko) 2009-02-10 2009-02-10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526A KR20100091526A (ko) 2010-08-19
KR100994504B1 true KR100994504B1 (ko) 2010-11-15

Family

ID=4275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751A KR100994504B1 (ko) 2009-02-10 2009-02-10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806B1 (ko) * 2015-05-26 2016-04-01 장규남 보호필름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558B1 (ko) * 2013-07-11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필름 필링 장치
KR101417906B1 (ko) * 2013-10-14 2014-07-21 주식회사 아스텍 시트의 진공 흡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필름안테나의 합지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6017B1 (en) 1999-07-16 2002-06-18 Sharp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transportation apparatus
JP2003211749A (ja) 2002-01-25 2003-07-29 Noritsu Koki Co Ltd 記録媒体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6017B1 (en) 1999-07-16 2002-06-18 Sharp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transportation apparatus
JP2003211749A (ja) 2002-01-25 2003-07-29 Noritsu Koki Co Ltd 記録媒体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806B1 (ko) * 2015-05-26 2016-04-01 장규남 보호필름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526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832B1 (ko) 편광판의 이형 필름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612076B1 (ko) 보호필름 박리시스템
US20140209250A1 (en) Detaching apparatus and detaching method
US8919406B2 (en) Bonding apparatus
JP6346968B2 (ja) フィルム貼付装置及び方法
US10310172B2 (en) Apparatus for installing LED light bar and method of installing LED light bar
JP2008262192A (ja) 偏光板除去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625263B1 (ko) 필름 부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KR100994504B1 (ko) 편광판의 이형필름 제거장치
KR101424957B1 (ko) 플렉시블 pi막과 더미글라스를 박리하는 박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방법
JP6336369B2 (ja) カバーガラスの貼合装置
JP4883538B2 (ja) 剥離装置
JP5129681B2 (ja) 基板固定機構およびこれによる基板固定方法
KR101625940B1 (ko) 글래스용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
JPH1034476A (ja) 薄板貼付装置
JPH06255063A (ja) 基板とフィルムとの密着方法および密着装置
KR20110099834A (ko)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101467239B1 (ko) 테이프 부착장치
JP5686962B2 (ja) シート貼付装置
KR20140147206A (ko) 필름 박리 장치
KR101062454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101567552B1 (ko) 라미네이팅 장치
KR101318176B1 (ko) 편광판 부착 장치
KR101430670B1 (ko)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JP6369843B2 (ja) 板材分離装置、その板材分離装置を備えた板材搬送装置、及び板材の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