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176B1 - 편광판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176B1
KR101318176B1 KR1020110105929A KR20110105929A KR101318176B1 KR 101318176 B1 KR101318176 B1 KR 101318176B1 KR 1020110105929 A KR1020110105929 A KR 1020110105929A KR 20110105929 A KR20110105929 A KR 20110105929A KR 101318176 B1 KR101318176 B1 KR 101318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xis
axis moving
adsorp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582A (ko
Inventor
금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1010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17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7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vacuum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63/0013Removing ol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80Rotatable transfer mean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i.e. turret transfer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판 부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 장치는, 편광판을 수직으로 흡착하여 지지하는 흡착 플레이트; 및 흡착 플레이트의 측면에서 흡착 플레이트를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편광판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동안 흡착 플레이트에 흡착되는 편광판의 일측 영역을 지지하는 박리 보조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판의 손상 없이 편광판을 안정적으로 흡착 지지하며 편광판 보호 필름의 박리 공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편광판 부착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 부착 장치{Polarizer Attach Apparatus}
본 발명은, 편광판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판을 흡착하여 지지하여 편광판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 편광판을 판넬에 부착시키기 위한 편광판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니터, 텔레비전, 모바일 폰 및 캠코더 등의 디스플레이 판넬(Display Panel)은 고화질, 경량화 및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OLED display panel)가 주목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박막을 통하여 자체발광을 구현함으로 별도의 광원이 필요 없어 소비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응답 속도, 시야각 및 대비비(contrast ratio) 등에서도 우수한 품질을 갖는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판넬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판넬의 외면에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전체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으로 편광시켜 원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한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양산 개발과 맞물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판넬의 외면에 편광판을 부착하기 위한 편광판 부착 시스템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판넬의 외면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과정은 편광판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와, 편광판을 판넬의 외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에 있어서는, 편광판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와 편광판을 판넬의 외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이원화시켜서 진행하여 택트 타임이 길어지거나, 편광판을 드럼의 원주 방향에 흡착하여 공급함으로써 편광판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편광판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에서 편광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편광판의 위치 정렬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6339호 (2006.02.23)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편광판의 손상 없이 편광판을 안정적으로 흡착 지지하며 편광판 보호 필름의 박리 공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편광판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편광판을 수직으로 흡착하여 지지하는 흡착 플레이트; 및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상기 흡착 플레이트를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편광판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동안 상기 흡착 플레이트에 흡착되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흡착 플레이트 외부로 노출된 일측 영역을 지지하는 박리 보조 유닛을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흡착 플레이트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부착 장치는,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흡착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흡착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흡착 플레이트를 일정한 순환궤도를 따라 각 공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닛은, 판넬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면에 상기 흡착 플레이트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지지되는 회전 테이블; 및 상기 회전 테이블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 테이블의 중심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DD 모터(Direct-Drive Motor)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 부착 장치는,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후면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흡착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흡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 모듈; 및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후면 타측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테이블이 상기 회전 지지 모듈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테이블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지 모듈은,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마련되어 고정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회전축 지지부; 및 일단부는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후면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결합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 모듈은,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마련되어 고정 지지되는 탄성 지지부; 일단은 상기 탄성 지지부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후면에 연결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연결 링크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 링크의 이동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 부착 장치는,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흡착 플레이트가 상기 회전 테이블의 외부로 이탈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 부착 장치는, 상기 흡착 플레이트가 상기 탄성 지지 모듈과 연결되는 부분의 하단에서 상기 흡착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흡착 플레이트가 회전하도록 가압되는 회전 가압부; 및 상기 회전 가압부와 인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회전 가압부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틸트각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트각 조절 유닛은, 상기 회전 가압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 가압부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가압 롤러; 상기 가압 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가압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 롤러를 지지하는 이동 판넬; 상기 이동 판넬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판넬이 상기 회전 가압부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이동 판넬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판넬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판넬을 상기 가이드 레일부 상에서 구동시키는 이동판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판넬 구동부는, 상기 이동 판넬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판넬과 연결되는 볼 스크류; 상기 볼 스크류의 단부에서 상기 볼 스크류와 연결되는 종동 풀리; 상기 종동 풀리와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종동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풀리를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리 보조 유닛은,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상기 흡착 플레이트에 흡착되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흡착 플레이트 외부로 노출된 일측 영역을 흡착하여 지지하는 보조 흡착 블록; 상기 보조 흡착 블록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흡착 블록을 지지하며 상기 보조 흡착 블록을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X축 이동 모듈; 상기 X축 이동 모듈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X축 이동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X축 이동 모듈을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측면을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Y축 이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축 이동 모듈은, 상기 보조 흡착 블록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흡착 블록을 지지하는 X축 이동판넬; 상기 X축 이동판넬이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X축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X축 이동판넬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X축 이동판넬을 상기 X축 이동 가이드부 상에서 구동시키는 X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축 구동부는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X축 이동 모듈은, 상기 X축 이동 가이드부 상단에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센서부; 및 상기 X축 이동판넬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부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센서 독(sensor do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Y축 이동 모듈은, 상기 X축 이동 가이드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X축 이동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X축 이동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Y축 이동판넬; 상기 Y축 이동판넬의 하부에서 상기 Y축 이동판넬이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측면을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Y축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Y축 이동판넬의 하단면에 연결되어 상기 Y축 이동판넬을 상기 Y축 이동 가이드부 상에서 구동시키는 Y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Y축 구동부는, 상기 Y축 이동판넬의 하단면에 결합되며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판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Y축 볼 스크류; 및 상기 Y축 볼 스크류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Y축 볼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Y축 서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 부착 장치는, 상기 박리 보조 유닛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흡착 플레이트에 흡착된 상기 편광판의 위치 정보를 촬영하는 얼라인 촬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편광판의 손상 없이 편광판을 안정적으로 흡착 지지하며 편광판 보호 필름의 박리 공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편광판 부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 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박리 보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흡착 플레이트가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틸트각 조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Ⅸ-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Ⅹ-Ⅹ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 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 장치(1)는, 수직형 판넬 이송 장치(3)와 상호 작용하여 수직형 판넬 이송 장치(3)에 흡착되어 이송되는 판넬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고, 도 5는 도 2의 박리 보조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흡착 플레이트가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틸트각 조절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Ⅸ-Ⅸ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Ⅹ-Ⅹ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 장치(1)는, 편광판(10)을 수직으로 흡착하여 지지하는 흡착 플레이트(100)와, 흡착 플레이트(100)의 측면에서 흡착 플레이트(100)를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편광판(10)의 보호 필름(11)을 박리하는 동안 흡착 플레이트(100)에 흡착되는 편광판(10)의 흡착 플레이트(100) 외부로 노출된 일측 영역을 흡착하여 지지하는 박리 보조 유닛(200)과, 복수의 흡착 플레이트(100)의 하부에서 흡착 플레이트(100)와 결합되어 흡착 플레이트(100)를 지지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흡착 플레이트(100)를 일정한 순환궤도를 따라 각 공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 유닛(300)을 포함한다.
흡착 플레이트(100)는 전면에 미세홀(101) 및 흡착 패드(102)가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편광판(10)을 흡착하여 지지한다. 편광판(10)에는 편광판(10)을 판넬에 부착시키기 위한 점착액이 일면에 도포되며,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점착액이 도포된 표면에 보호 필름(11)이 부착되어 마련된다. 따라서, 편광판(10)을 판넬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편광판(10)의 보호 필름(11)을 박리하고 판넬에 편광판(10)을 부착시켜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광판(10)을 흡착 지지하는 흡착 플레이트(100)를 4개 마련하여 각각의 흡착 플레이트(100)에 편광판(10)을 흡착하여 지지하고, 흡착 플레이트(100)를 회전 유닛(300)에 의하여 일정한 순환궤도로 이동시키면서 각 공정 위치에서 편광판(10)의 보호 필름(11) 박리 공정과 판넬에 대한 편광판(10) 부착 공정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박리 보조 유닛(200)이 마련되는 위치의 흡착 플레이트(100)에서는 편광판(10)의 보호 필름(11)을 박리하기 위한 공정이 수행된다. 각 흡착 플레이트(100)는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며 회전 유닛(300)이 90도씩 회전할 때마다 다른 공정 위치로 이동된다. 회전 유닛(3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박리 공정이 수행되는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위치에서는 편광판(10) 부착 공정이 수행되고, 다음 위치에서는 편광판(10)이 새로 공급되며, 그 다음 위치에서는 흡착 플레이트(100)가 버퍼의 역할을 수행하며 장비의 효율적인 운영을 담보한다.
흡착 플레이트(100)에 흡착 지지되는 편광판(10)은 일측 영역이 흡착 플레이트(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흡착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편광판(10) 부착 공정에서 흡착 플레이트(100)가 판넬에 대하여 기울임각을 형성하며 노출된 일측 영역이 먼저 판넬에 부착되도록 공정이 진행될 때에 노출된 일측 영역이 유연성을 가지며 판넬에 자연스럽게 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흡착 플레이트(100)에 흡착 지지되는 편광판(10)의 보호 필름(11)을 박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편광판(10)이 흡착 플레이트(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 영역부터 박리 롤러(미도시)가 접촉되어 편광판(10)의 보호 필름(11)을 박리하기 시작한다. 박리 롤러(미도시)에는 외주면에 점착 테이프나 점착액이 도포되어 있어 편광판(10)의 보호 필름(11)을 점착하여 박리한다.
이때, 흡착 플레이트(100)의 측면에 노출되는 편광판(10)의 일측 영역은 박리 롤러가 접촉하여 가압될 때 후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필요하고, 박리 보조 유닛(200)이 접근하여 편광판(10)의 일측 영역 후면을 흡착하며 지지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되, 특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박리 보조 유닛(200)은, 흡착 플레이트(100)의 측면에서 흡착 플레이트(100)에 흡착되는 편광판(10)의 흡착 플레이트(100) 외부로 노출된 일측 영역을 흡착하여 지지하는 보조 흡착 블록(210)과, 보조 흡착 블록(210)의 측면에 연결되어 보조 흡착 블록(210)을 지지하며 보조 흡착 블록(210)을 흡착 플레이트(100)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X축 이동 모듈(220)과, X축 이동 모듈(220)의 하부에 연결되어 X축 이동 모듈(220)을 지지하며 X축 이동 모듈(220)을 흡착 플레이트(100)의 측면을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Y축 이동 모듈(230)을 포함한다.
보조 흡착 블록(210)의 전면에는 흡착 패드(211)가 마련되어, 편광판(10)의 흡착 플레이트(100) 외부로 노출된 일측 영역에 박리 롤러(미도시)가 접촉하여 보호 필름(11)의 박리 공정을 수행할 때에 편광판(10)의 일측 영역을 흡착하며 지지함으로써 보호 필름(11)의 박리 공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X축 이동 모듈(220)은, 흡착 플레이트(100)의 측면에서 흡착 플레이트(100)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인, X축 방향(도 2 참조)으로 보조 흡착 블록(210)을 이동시킴으로써 보조 흡착 블록(210)과 흡착 플레이트(100)가 측면에서 서로의 전면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보조 흡착 블록(210)의 X축 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X축 이동 모듈(220)은, 보조 흡착 블록(210)의 측면에 결합되어 보조 흡착 블록(210)을 지지하는 X축 이동판넬(221)과, X축 이동판넬(221)이 흡착 플레이트(100)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X축 이동 가이드부(222)와, X축 이동판넬(221)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X축 이동판넬(221)을 X축 이동 가이드부(222) 상에서 구동시키는 X축 구동부(223)를 포함한다.
X축 이동판넬(221)은 보조 흡착 블록(210)을 지지하고, X축 이동 가이드부(222)의 일측면에 X축 방향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지지된다. X축 구동부(223)는 X축 이동 가이드부(222)의 한 쌍의 레일 사이에 마련되어 X축 이동판넬(221)과 연결되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마련되어 X축 이동판넬(221)을 X축 이동 가이드부(222)의 레일을 따라서 구동시킨다.
한편, X축 이동 모듈(220)은, X축 이동 가이드부(222) 상단에 흡착 플레이트(100)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센서부(224)와, X축 이동판넬(221)의 상단에 마련되어 센서부(224)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센서 독(225, sensor dog)을 더 포함한다.
센서 독(225)은 X축 이동판넬(221)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되는 동안 센서부(224)를 통과하면 센서부(224)에 의해서 센서 독(225)이 감지되고, 이에 따라 센서부(224)에서 X축 이동판넬(221)의 X축 방향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획득된 X축 이동판넬(221)의 위치 정보에 따라 X축 이동판넬(221)의 위치를 조절하여 흡착 플레이트(100)의 판면과 보조 흡착 블록(210)의 판면이 상호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조절한다.
Y축 이동 모듈(230)은 X축 이동 모듈(220)의 하부에서 X축 이동 모듈(220)을 지지하며, 흡착 플레이트(100)의 측면에서 흡착 플레이트(100)의 판면과 나란한 방향인, Y축 방향(도 2 참조)으로 X축 이동 모듈(220)을 구동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X축 이동 모듈(22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보조 흡착 블록(210)을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Y축 이동 모듈(230)은, X축 이동 가이드부(222)의 하단부에서 X축 이동 가이드부(222)와 결합되어 X축 이동 가이드부(222)를 지지하는 Y축 이동판넬(231)과, Y축 이동판넬(231)의 하부에서 Y축 이동판넬(231)이 흡착 플레이트(100)의 측면을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Y축 이동 가이드부(232)와, Y축 이동판넬(231)의 하단면에 연결되어 Y축 이동판넬(231)을 Y축 이동 가이드부(232) 상에서 구동시키는 Y축 구동부(233)를 포함한다.
Y축 이동판넬(231)은 X축 이동 가이드부(222)의 하부에 결합되어 X축 이동 가이드부(222)를 지지하며, 하부에서 Y축 이동 가이드부(232)와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Y축 구동부(233)에 의하여 Y축 방향으로 구동된다.
Y축 구동부(233)는, Y축 이동판넬(231)의 하단면에 결합되며 흡착 플레이트(100)의 판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Y축 볼 스크류(미도시)와, Y축 볼 스크류의 단부에 연결되어 Y축 볼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Y축 서보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서 Y축 서보 모터가 회전하면 Y축 볼 스크류가 회전하고 이와 연결되어 있는 Y축 이동판넬(231)이 Y축 볼 스크류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전 유닛(300)은, 판넬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면에 흡착 플레이트(10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지지되는 회전 테이블(310)과, 회전 테이블(310)의 하부에서 회전 테이블(310)의 중심부와 연결되어 회전 테이블(310)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320)를 포함한다.
회전 구동부(320)는, DD 모터(Direct-Drive Motor)로 마련되어 진동을 최소화하면서 회전 테이블(310)을 회전시키며, 각 공정 위치에서 회전 테이블(310)이 정지될 수 있도록 정밀하게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편광판 부착 장치(1)는, 회전 테이블(310)의 상면에 마련되며, 흡착 플레이트(100)의 후면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고 흡착 플레이트(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흡착 플레이트(100)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 모듈(400)과, 회전 테이블(310)의 상면에 마련되며, 흡착 플레이트(100)의 후면 타측의 하부에 연결되어 회전 테이블(310)이 회전 지지 모듈(4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 테이블(31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모듈(500)을 더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회전 지지 모듈(400)은, 회전 테이블(310)의 상면에 마련되어 고정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회전축 지지부(410)와, 일단부는 흡착 플레이트(100)의 후면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회전축 지지부(410)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결합 브라켓(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 지지 모듈(400)은, 회전축 지지부(410)와 회전결합 브라켓(420)에 의하여 흡착 플레이트(100)가 흡착 플레이트(100)의 후면 일측에 마련되는 회전 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테이블(310) 상에 결합시킨다.
이때, 흡착 플레이트(100)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범위는, 회전 테이블(310)의 상면 단부에 흡착 플레이트(100)가 회전되는 경로상에 마련되어 흡착 플레이트(100)가 회전 테이블(310)의 외부로 이탈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스토퍼(311)에 의하여 제한된다. 즉, 흡착 플레이트(100)는 회전 방지 스토퍼(311)에 의하여 회전 테이블(310)의 외부로 이탈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 회전한다.
한편, 탄성 지지 모듈(500)은 흡착 플레이트(10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테이블(31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흡착 플레이트(100)로부터 탄성 가압되며, 흡착 플레이트(100)에 회전 구동력이 제거되면 흡착 플레이트(100)를 다시 회전 방지 스토퍼(311)와 접촉되도록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 모듈(500)은, 회전 테이블(310)의 상면에 마련되어 고정 지지되는 탄성 지지부(510)와, 일단은 탄성 지지부(510)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흡착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연결되는 연결 링크(520)와, 연결 링크(520)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연결 링크(520)의 이동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탄성 부재(530)를 포함한다.
탄성 지지부(510)는 회전 테이블(310) 상면에 고정되어 마련되고, 탄성 지지부(510)를 관통하여 연결 링크(520)가 결합되며, 연결 링크(520)의 타단부는 흡착 플레이트(100)의 후면 하부에 연결된다. 연결 링크(520)의 외주면에는 탄성 부재(530)인 스프링이 마련되며, 흡착 플레이트(100)가 그 회전축을 따라 회전 테이블(310)의 내측으로 회전되면 연결 링크(520)는 탄성 지지부(510)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외주면에 마련되는 스프링은 탄성 지지부(510)의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여 탄성 가압된다. 이에 의해서, 흡착 플레이트(100)에 가해지는 회전 구동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흡착 플레이트(100)가 원위치 된다.
흡착 플레이트(100)를 회전 테이블(310)의 내측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편광판 부착 장치(1)는, 흡착 플레이트(100)가 탄성 지지 모듈(500)와 연결되는 부분의 하단에서 흡착 플레이트(100)에 결합되어 흡착 플레이트(100)가 회전하도록 가압되는 회전 가압부(110)와, 회전 가압부(110)와 인접하도록 마련되어 회전 가압부(110)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틸트각 조절 유닛(600)을 더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 가압부(110)는 흡착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회전 테이블(310)의 하부로 노출됨으로써, 회전 테이블(310)의 하부에서 틸트각 조절 유닛(600)에 의하여 가압되어 이동되고, 이에 의해서 회전 가압부(110)와 연결된 흡착 플레이트(100)가 회전하게 된다. 즉, 흡착 플레이트(100)는 회전 가압부(110)가 틸트각 조절 유닛(600)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을 한다.
틸트각 조절 유닛(600)은, 흡착 플레이트(100)가 판넬에 대하여 편광판(10)을 부착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위치에서 흡착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회전 가압부(110)를 가압함으로써 흡착 플레이트(10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이 상태에서 판넬이 흡착 플레이트(100)의 전방에서 편광판(10)과 일정한 각을 이루며 이동되면서 판넬의 일측면부터 편광판(10)의 흡착 플레이트(100) 외부로 노출된 일측 영역과 접촉하며 연속적으로 편광판(10)이 부착된다.
도 4,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틸트각 조절 유닛(600)은, 회전 가압부(110)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회전 가압부(110)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가압 롤러(610)와, 가압 롤러(610)의 하부에서 가압 롤러(610)와 연결되어 가압 롤러(610)를 지지하는 이동 판넬(620)과, 이동 판넬(620)의 하부에서 이동 판넬(620)이 회전 가압부(110)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부(630)와, 이동 판넬(620)의 하부에서 이동 판넬(620)과 연결되어 이동 판넬(620)을 가이드 레일부(630) 상에서 구동시키는 이동판넬 구동부(640)를 포함한다.
가압 롤러(610)는 회전 가압부(110)의 판면에 대하여 나란하게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회전 가압부(110)를 향하여 가압 롤러(610)가 이동하면서 회전 가압부(110)를 가압할 때 회전 가압부(110)의 이동 경로가 곡선을 이루더라도 가압 롤러(610)는 회전 가압부(110)의 판면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회전 가압부(110)를 가압하여 마찰 발생 없이 회전 가압부(110)를 그 곡선 경로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동 판넬(620)은 가압 롤러(610)의 하부에 연결되어 가압 롤러(610)를 지지하며, 이동 판넬(620)의 하부는 Y축 방향(도 2 참조)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부(630)에 결합되고, 이동 판넬(62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이동판넬 구동부(640)에 의하여 도 9에서와 같이 가이드 레일부(630) 상에서 Y축 방향으로 구동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판넬 구동부(640)는, 이동 판넬(620)의 하부에서 이동 판넬(620)과 연결되는 볼 스크류(641)와, 볼 스크류(641)의 단부에서 볼 스크류(641)와 연결되는 종동 풀리(642)와, 종동 풀리(642)와 이격되어 마련되며 종동 풀리(642)와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 풀리(643)와, 구동 풀리(643)와 연결되어 구동 풀리(643)를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644)를 포함한다.
볼 스크류(641)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630) 사이에 마련되어 이동 판넬(620)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볼 스크류(641)의 단부에는 종동 풀리(642)가 연결되어 종동 폴리가 회전함으로써 볼 스크류(641)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서 볼 스크류(641)와 연결된 이동 판넬(620)이 볼 스크류(64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종동 풀리(642)는 타이밍 벨트에 의하여 구동 풀리(643)와 연결되는데, 구동 풀리(643)는 서보 모터(644)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고, 구동 풀리(643)가 회전됨으로써 타이밍 벨트에 의하여 종동 풀리(642)로 외전 동력이 전달된다. 종동 풀리(642)와 구동 풀리(643)는 타이밍 벨트로 연결됨으로써 정확한 동력 전달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볼 스크류(641)에 의하여 이동되는 이동 판넬(620)의 이동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틸트각 조절 유닛(600)의 풋 프린트(foot print)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동판넬 구동부(640)의 서보 모터(644)를 이동 판넬(620)의 하부에 마련하였으나, 이와 달리 서보 모터(644)를 볼 스크류(641)와 직접 연결하여 볼 스크류(641)를 구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편광판 부착 장치(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의 정면 방향에서 우측면에 위치되는 흡착 플레이트(100)에는 편광판(10) 공급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편광판(10)이 공급된다. 편광판(10)은 흡착 플레이트(100)에 수직 방향으로 흡착되어 지지되는데, 편광판(10) 일측의 일부 영역은 흡착 플레이트(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흡착된다.
흡착 플레이트(100)는 회전 유닛(300)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하면서 각 공정 위치로 이동된다. 흡착 플레이트(100)가 도 2의 정면 방향에 위치되면, 다시 도 2의 우측면에 위치되는 흡착 플레이트(100)에 편광판(10)이 공급되어 흡착 지지된다. 도 2의 정면 방향 위치에서는 편광판(10)에 공정을 수행하지 않는 버퍼 영역이며, 이로써 공정의 효율적 운영을 담보한다.
버퍼 영역에서 흡착 플레이트(100)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도 2의 좌측면 위치로 이동되면, 흡착 플레이트(100)에 흡착된 편광판(10)의 보호 필름(11)을 박리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편광판(10) 보호 필름(11)의 박리 공정은, 먼저 이 위치의 흡착 플레이트(100)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박리 보조 유닛(200)의 보조 흡착 블록(210)이 흡착 플레이트(100)의 측면에서 흡착 플레이트(100)를 향하여 이동하는 단계, 보조 흡착 블록(210)이 흡착 플레이트(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편광판(10)의 일측 영역을 흡착하여 지지하는 단계, 편광판(10)을 향하여 박리 롤러(미도시)가 접근하여 편광판(10)의 흡착 플레이트(100) 외부로 노출된 일측 영역에서부터 보호 필름(11)을 박리하는 단계, 편광판(10) 보호 필름(11)의 박리가 완료되면 보조 흡착 블록(210)은 Y축 이동 모듈(230)에 의해서 원위치 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이때, 공정의 수행 전에, 박리 보조 유닛(200)의 보조 흡착 블록(210)은 X축 이동 모듈(220)에 의하여 보조 흡착 블록(210)의 전면이 흡착 플레이트(100)의 전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X축 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편광판(10) 보호 필름(11)의 박리가 끝나고 보조 흡착 블록(210)이 원위치 되면, 회전 유닛(300)에 의하여 흡착 플레이트(100)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고, 이 위치에서 편광판(10)을 판넬에 부착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편광판(10) 부착 공정은, 먼저 부착 공정 위치에서의 흡착 플레이트(100)에 하부에 마련되는 틸트각 조절 유닛(600)에 의하여 흡착 플레이트(100)가 상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단계가 실행된다. 이때, 틸트각 조절 유닛(600)의 가압 롤러(610)가 이동판넬 구동부(640)에 의하여 Y축 방향(도 2 참조)으로 구동되면서 흡착 플레이트(100) 하부의 회전 가압부(110)를 가압하여 흡착 플레이트(100)를 회전 이동시킨다.
흡착 플레이트(100)가 소정의 각도(약 12도 정도)로 회전되면 수직형 판넬 이송 장치(3)에 의하여 판넬이 흡착 플레이트(100)의 전방에서 X축 방향(도 2 참조)으로 이동되면서 편광판(10)의 흡착 플레이트(100)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 영역과 접하게 된다. 편광판(10)은 흡착 플레이트(100)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 영역에서부터 판넬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부착되며 판넬의 이동에 따라 나머지 영역도 연속적으로 판넬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에 의하여 판넬의 표면에 편광판(10)이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한편, 편광판(10) 부착 공정에 앞서 박리 보조 유닛(200)의 인접한 부분에는 박리 공정이 끝난 후 편광판(10)의 흡착 위치를 촬영하여 편광판(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얼라인 촬영 유닛(미도시)이 더 마련되며, 얼라인 촬영 유닛(미도시)에 의하여 획득된 편광판(1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수직형 판넬 이송 장치(3)의 판넬의 위치를 제어하여 흡착 플레이트(100)의 편광판(10)의 위치와 일치시킴으로써 판넬의 표면에 정밀하게 부착될 수 있다.
편광판(10)의 부착 공정이 완료되면 틸트각 조절 유닛(600)의 가압 롤러(610)는 이동판넬 구동부(640)에 의하여 원위치 되고, 흡착 플레이트(100)의 회전 가압력이 소멸되어 흡착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연결되는 탄성 지지 모듈(500)에 의하여 흡착 플레이트(100)도 원위치로 회전된다.
이러한 순환 공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편광판(10)을 공급하고, 보호 필름(11)을 박리하고, 편광판(10)을 부착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어 수행되어 편광판(10)을 판넬에 효율적으로 부착하고 편광판(10) 부착 공정의 택트 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 부착 장치(1)에 의하면, 편광판(10)의 손상 없이 편광판(10)을 안정적으로 흡착 지지하며 편광판(10) 보호 필름(11)의 박리 공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며, 흡착 플레이트(100)의 회전에 의하여 편광판(10)을 판넬에 대하여 기울임으로써 편광판(10)의 부착이 용이해지며 균일하게 부착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하면서 이동되는 흡착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각 공정 위치에서 박리 보조 유닛(200)과, 틸트각 조절 유닛(600)을 배치하여 편광판(10)의 보호 필름(11)을 박리하고 편광판(10)을 판넬의 표면에 부착하였으나, 이와 달리 인라인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흡착 플레이트(100)에 대하여도 박리 보조 유닛(200)과, 틸트각 조절 유닛(600)을 배치하여 편광판(10) 부착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편광판 부착 장치
10 : 편광판 11 : 보호 필름
100 : 흡착 플레이트 101 : 미세홀
102 : 흡착 패드 110 : 회전 가압부
200 : 박리 보조 유닛 210 : 보조 흡착 블록
220 : X축 이동 모듈 221 : X축 이동판넬
222 : X축 이동 가이드부 223 : X축 구동부
224 : 센서부 225 : 센서 독
230 : Y축 이동 모듈 231 : Y축 이동판넬
232 : Y축 이동 가이드부 233 : Y축 구동부
300 : 회전 유닛 310 : 회전 테이블
311 : 회전 방지 스토퍼 320 : 회전 구동부
400 : 회전 지지 모듈 410 : 회전축 지지부
420 : 회전결합 브라켓 500 : 탄성 지지 모듈
510 : 탄성 지지부 520 : 연결 링크
530 : 탄성 부재 600 : 틸트각 조절 유닛
610 : 가압 롤러 620 : 이동 판넬
630 : 가이드 레일부 640 : 이동판넬 구동부
641 : 볼 스크류 642 : 종동 풀리
643 : 구동 풀리 644 : 서보 모터

Claims (18)

  1. 편광판을 수직으로 흡착하여 지지하는 흡착 플레이트;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상기 흡착 플레이트를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편광판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동안 상기 흡착 플레이트에 흡착되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흡착 플레이트 외부로 노출된 일측 영역을 지지하는 박리 보조 유닛; 및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흡착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흡착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흡착 플레이트를 일정한 순환궤도를 따라 각 공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 유닛을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은,
    판넬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면에 상기 흡착 플레이트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지지되는 회전 테이블; 및
    상기 회전 테이블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 테이블의 중심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DD 모터(Direct-Drive Motor)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후면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흡착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흡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 모듈; 및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후면 타측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테이블이 상기 회전 지지 모듈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테이블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 모듈은,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마련되어 고정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회전축 지지부; 및
    일단부는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후면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결합 브라켓을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모듈은,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마련되어 고정 지지되는 탄성 지지부;
    일단은 상기 탄성 지지부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후면에 연결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연결 링크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 링크의 이동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흡착 플레이트가 상기 회전 테이블의 외부로 이탈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플레이트가 상기 탄성 지지 모듈와 연결되는 부분의 하단에서 상기 흡착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흡착 플레이트가 회전하도록 가압되는 회전 가압부; 및
    상기 회전 가압부와 인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회전 가압부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틸트각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각 조절 유닛은,
    상기 회전 가압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 가압부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가압 롤러;
    상기 가압 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가압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 롤러를 지지하는 이동 판넬;
    상기 이동 판넬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판넬이 상기 회전 가압부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이동 판넬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판넬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판넬을 상기 가이드 레일부 상에서 구동시키는 이동판넬 구동부를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넬 구동부는,
    상기 이동 판넬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판넬과 연결되는 볼 스크류;
    상기 볼 스크류의 단부에서 상기 볼 스크류와 연결되는 종동 풀리;
    상기 종동 풀리와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종동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풀리를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보조 유닛은,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상기 흡착 플레이트에 흡착되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흡착 플레이트 외부로 노출된 일측 영역을 흡착하여 지지하는 보조 흡착 블록;
    상기 보조 흡착 블록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흡착 블록을 지지하며 상기 보조 흡착 블록을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X축 이동 모듈;
    상기 X축 이동 모듈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X축 이동 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X축 이동 모듈을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측면을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Y축 이동 모듈을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이동 모듈은,
    상기 보조 흡착 블록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흡착 블록을 지지하는 X축 이동판넬;
    상기 X축 이동판넬이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X축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X축 이동판넬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X축 이동판넬을 상기 X축 이동 가이드부 상에서 구동시키는 X축 구동부를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X축 구동부는 실린더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이동 모듈은,
    상기 X축 이동 가이드부 상단에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센서부; 및
    상기 X축 이동판넬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부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센서 독(sensor dog)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Y축 이동 모듈은,
    상기 X축 이동 가이드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X축 이동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X축 이동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Y축 이동판넬;
    상기 Y축 이동판넬의 하부에서 상기 Y축 이동판넬이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측면을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Y축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Y축 이동판넬의 하단면에 연결되어 상기 Y축 이동판넬을 상기 Y축 이동 가이드부 상에서 구동시키는 Y축 구동부를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Y축 구동부는,
    상기 Y축 이동판넬의 하단면에 결합되며 상기 흡착 플레이트의 판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Y축 볼 스크류; 및
    상기 Y축 볼 스크류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Y축 볼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Y축 서보 모터를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보조 유닛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흡착 플레이트에 흡착된 상기 편광판의 위치 정보를 촬영하는 얼라인 촬영 유닛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 장치.
KR1020110105929A 2011-10-17 2011-10-17 편광판 부착 장치 KR101318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29A KR101318176B1 (ko) 2011-10-17 2011-10-17 편광판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29A KR101318176B1 (ko) 2011-10-17 2011-10-17 편광판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582A KR20130041582A (ko) 2013-04-25
KR101318176B1 true KR101318176B1 (ko) 2013-10-16

Family

ID=4844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929A KR101318176B1 (ko) 2011-10-17 2011-10-17 편광판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043B1 (ko) 2014-05-19 2014-10-08 제너셈(주) 패키지 얼라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172B1 (ko) * 2014-04-29 2014-10-30 주식회사 코엠에스 반도체용 기판 보호필름의 직립식 박리 방법 및 직립식 박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672A (ko) * 2006-03-24 2006-04-12 (주)와이티에스 편광판 보호필름 제거장치
KR20070101750A (ko) * 2006-04-12 2007-10-17 한동희 편광필름 부착장치
KR20110033520A (ko) * 2009-09-25 2011-03-31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편광필름 자동 부착 장치
KR101031105B1 (ko) 2009-10-20 2011-04-25 (주)와이티에스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672A (ko) * 2006-03-24 2006-04-12 (주)와이티에스 편광판 보호필름 제거장치
KR20070101750A (ko) * 2006-04-12 2007-10-17 한동희 편광필름 부착장치
KR20110033520A (ko) * 2009-09-25 2011-03-31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편광필름 자동 부착 장치
KR101031105B1 (ko) 2009-10-20 2011-04-25 (주)와이티에스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043B1 (ko) 2014-05-19 2014-10-08 제너셈(주) 패키지 얼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582A (ko)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378B1 (ko) 편광판 부착 시스템
CN107481958B (zh) 对位贴合设备和对位贴合方法
KR100836588B1 (ko) 글라스패널에의 편광필름 부착장치
JP4340788B2 (ja) 基板への偏光板貼付装置
KR101796930B1 (ko) 디스플레이패널용 피씨비 본딩장치
JP2008126400A (ja) 接着フィルムカッティング装置、それを有する接着フィルム付着設備、並びにそれ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カッティング及び付着方法
KR101318176B1 (ko) 편광판 부착 장치
JP5795109B2 (ja) パネル取り付け装置
KR102593615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666801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필름 부착장치
KR101365073B1 (ko) 판넬 박리 장치
KR100797572B1 (ko) 수직형 기판 이송장치
KR102067981B1 (ko) 기판 절단 장치
KR20190115702A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467239B1 (ko) 테이프 부착장치
JP2008282986A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2004087660A5 (ko)
JP5666244B2 (ja) 支持板剥離装置
KR20060118075A (ko) 편광판 부착장치
KR20160142450A (ko) 보호 필름 제거 장치
KR20190018079A (ko) 스크라이빙 장치
JP2005136306A (ja) 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
CN111785859B (zh) 一种面板贴合装置
KR102114031B1 (ko) 기판 절단 장치
CN212936318U (zh) 一种面板贴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