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908B1 -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908B1
KR101625908B1 KR1020150165141A KR20150165141A KR101625908B1 KR 101625908 B1 KR101625908 B1 KR 101625908B1 KR 1020150165141 A KR1020150165141 A KR 1020150165141A KR 20150165141 A KR20150165141 A KR 20150165141A KR 101625908 B1 KR101625908 B1 KR 101625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teel
steel wire
cable
steel wires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원
Original Assignee
(주)유원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원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유원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6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20Identification of installed cables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킷에 설치된 발톱에 쉽게 걸려서 올라가면서 지중케이블 매설위치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강선(21)(22)을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해 사이가 점점 좁아지도록 설치하되, 행거봉(28)의 중간에서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클립연결부(29); 서로 이웃한 걸림봉(24)과 클립연결부(29)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탄성클립(42)(44); 및 탄성클립(42)(44)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플렉시블밴드(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Underground Cable Protection Device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버킷에 설치된 발톱에 쉽게 걸려서 올라가면서 지중케이블 매설위치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설치되는 케이블은 노면의 폭이 좁고 선로수가 작은 경우에는 케이블 보호관을 이용해서 매설하고, 노면의 폭이 크며 선로수가 많은 경우에는 전력구를 이용해서 설치하게 된다.
이 중에 케이블 보호관을 이용해서 설치되는 지중케이블은 흙으로 덮고 노면을 포장한 다음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거나 굴착작업자가 지중케이블 위치를 확인하지 않고 굴착하는 경우 굴삭기의 버킷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층(18)에 매설된 케이블 보호관(16) 위에 간격을 두고 케이블 방호판(14)을 설치한 다음 다시 그 위에 폭이 일정하게 되어 있는 얇은 시트 형태로 된 케이블 표지시트(12)를 깔고 복토 후 노면에 노면포장층(10)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표지시트(12)를 다층으로 접은 상태로 지층(18)에 매설해서 굴삭기의 버킷에 걸릴 때 케이블 표지시트(12)가 부분적으로 풀리면서 딸려 올라가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표지시트(12)가 인장력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어느 정도 예방하도록 된 것도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케이블 표지시트(12)는 얇은 시트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굴삭기의 버킷에 설치된 발톱에 쉽게 찢어지면서 딸려 올라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케이블 표지시트(12)가 얇고 단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버킷의 발톱에 걸리는 위치(높이)가 한정되어 쉽게 걸리지 못하고 하층부에 위치된 케이블 방호판(14) 또는 케이블 보호관(16)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24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27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굴삭기의 버킷에 설치된 발톱에 보다 더 쉽게 걸려서 딸려 올라가도록 함으로써, 지중케이블 매설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는, 한 쌍의 상부강선; 상기 상부강선의 후단을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는 받침다리; 상기 상부강선의 앞단을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는 걸림봉; 상기 상부강선 사이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표지판 고정봉; 상기 받침다리와 걸림봉 간을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바; 상기 상부강선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행거봉; 상기 표지판 고정봉에 설치되는 케이블 표지시트로 구성된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강선을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해 사이가 점점 좁아지도록 설치하되, 상기 행거봉의 중간에서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클립연결부; 서로 이웃한 상기 걸림봉과 클립연결부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탄성클립; 및 상기 탄성클립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플렉시블밴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굴착시 상부강선, 걸림봉, 받침다리, 행거봉, 클립연결부, 보강바, 표지판 고정봉으로 이루어진 강선프레임의 사이사이로 굴삭기의 버킷에 설치된 발톱이 진입되어 걸리면서 딸려서 올라가 공기 중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굴삭기의 버킷이 케이블방호판에 도달하기 전에 케이블 매설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방호판 및 케이블 보호관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굴삭기의 버킷에 설치된 발톱에 의해 케이블 표지시트가 찢어지는 경우에도 한 쌍의 표지판 고정봉과 한 쌍의 상부강선 중 어느 한 곳에 발톱이 걸리면서 강선프레임이 딸려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지중케이블 매설위치를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부강선의 후방측 단부를 행거봉 위에 올리게 되면, 걸림봉이 행거봉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강선프레임 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 쌍의 상부강선이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향할 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강선프레임을 일직선으로 걸쳐서 연결할 때 상부강선 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강선프레임 간이 플렉시블밴드와 탄성클립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굴삭 깊이가 작은 경우에는 플렉시블밴드가 완전하게 풀리지 않으면서 다른 강선프레임으로 굴삭기의 힘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강선프레임을 들어올리는 견인부하를 줄이는 동시에 다른 강선프레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굴삭 깊이가 큰 경우에는 플렉시블밴드가 완전하게 풀리면서 다른 강선프레임이 플렉시블밴드의 인장력에 의해 딸려 올라가면서 복수의 강선프레임이 공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받침다리와 걸림봉의 하부가 보강바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다리와 걸림봉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 쌍의 상부강선이 표지판 고정봉과 행거봉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두 상부강선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부강선과 보강바가 상하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있고, 표지판 고정봉 및 행거봉이 받침다리 및 걸림봉과 상하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굴삭기의 버킷에 설치된 발톱이 걸릴 수 있는 위치가 크게 2개 층으로 구분되어 걸릴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케이블 표지시트가 투습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경우 지층으로 유입된 빗물이 케이블 표지시트를 통해 상층부에서 하층부로 자연스럽게 흐르면서 케이블 표지시트 위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표지시트가 지중에 매설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케이블 표지시트의 평면도
도 3은 종래 케이블 표지시트가 접힌 것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클립과 플렉시블밴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프레임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프레임을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를 서로 걸친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연결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저면측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를 지중에 매설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상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강선(21)(22); 상기 상부강선(21)(22)의 후단을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는 받침다리(23); 상기 상부강선(21)(22)의 앞단을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는 걸림봉(24); 상기 상부강선(21)(22) 사이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표지판 고정봉(25)(26); 상기 받침다리(23)와 걸림봉(24) 간을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바(27a)(27b)(27c)(27d); 상기 상부강선(21)(22)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행거봉(28); 상기 표지판 고정봉(25)(26)에 설치되는 케이블 표지시트(30)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강선(21)(22)을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해 사이가 점점 좁아지도록 설치하되, 상기 행거봉(28)의 중간에서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클립연결부(29)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강선(21)(22)과 받침다리(23) 및 걸림봉(24)은, 예를 들면 모두 하나의 금속와이어를 절곡해서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와이어의 양단은 예컨대 받침다리(23)의 중간에서 만나도록 한 다음 서로 접합해서 용접부(20w)를 형성할 수 있으나, 두 상부강선(21)(22)이 표지판 고정봉(25)(26)과 행거봉(28)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양단을 용접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표지판 고정봉(25)(26)과 보강바(27a)(27b)(27c)(27d)는, 예를 들면 금속와이어를 일직선으로 직선화한 후 모두 소정길이로 절단해서 각각 형성한 다음, 표지판 고정봉(25)(26)의 양단은 두 상부강선(21)(22)에 용접하고, 보강바(27a)(27b)(27c)(27d)의 양단은 받침다리(23)와 걸림봉(24)의 하부에 용접할 수 있다.
이때 상부강선(21)(22)과 보강바(27a)(27b)(27c)(27d)는 서로 높낮이 차를 갖도록 설치하며, 표지판 고정봉(25)(26) 및 행거봉(28)과 받침다리(23) 및 걸림봉(24)도 서로 높낮이 차를 갖도록 설치해서 굴삭기의 버킷에 설치된 발톱이 걸리는 위치를 크게 2위치(높이)로 해서 걸릴 수 있는 확률을 높이도록 한다.
상기 행거봉(28)에 형성되는 클립연결부(29)는, 예를 들면 하나의 금속와이어로부터 행거봉(28)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행거봉(28)의 양단은 상부강선(21)(22)에 용접해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후좌우 및 상하의 기준은 도 8의 정면도를 기준으로 하며, 도 4 내지 도 12의 도면 중 부호 "20"으로 표기된 강선프레임은, 모두 용접되면서 일체화 된 상부강선(21)(22), 받침다리(23), 걸림봉(24), 표지판 고정봉(25)(26), 행거봉(28), 보강바(27a)(27b)(27c)(27d) 및 클립연결부(29) 전체를 나타낸다.
상기 강선프레임(20)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상부강선(21)(22)과 보강바(27a)(27b)(27c)(27d)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향할 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평면에서 볼 때 상부강선(21)(22)과 받침다리(23) 및 걸림봉(24)의 전체적인 윤곽이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선프레임(20)의 대략적인 윤곽을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한 이유는, 강선프레임(20)을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때 서로 겹쳐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 표지판 고정봉(25)(26)에 설치되는 케이블 표지시트(30)를 포함하며, 케이블 표지시트(30)를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두 표지판 고정봉(25)(26)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 케이블 표지시트(30)는, 예를 들면 지층(56)의 상층부에서 하층부로 흐르는 빗물이 케이블 표지시트(30)를 투과하여 흐를 수 있도록 섬유를 직조해서 만든 투습성 천을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주의", "특고압 케이블", "위험" 등과 같은 경고문자는 케이블 표지시트(30) 상면에 인쇄해서 형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표지시트(30)를 표지판 고정봉(25)(26)에 설치하기 위해, 표지판 고정봉(25)(26)에 감아 붙이는 컬링접합부(32)(34)를 케이블 표지시트(30)의 양단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컬링접합부(32)(34)는, 케이블 표지시트(30)에 겹친 다음 고주파 용착기 또는 초음파용접기, 열풍용접기 등과 같은 접합도구에 의해 영구적으로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한 상기 걸림봉(24)과 클립연결부(29)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탄성클립(42)(44); 상기 탄성클립(42)(44)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플렉시블밴드(40)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클립(42)(44)은, 예를 들면 원의 일측이 개방된 "C"자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해서 클립연결부(29)와 걸림봉(24)에 각각 끼워서 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클립(42)(44)은, 플렉시블밴드(40)의 단부를 삽입해서 고정하기 위한 클레비스부(45)(46)를 하부에 각각 형성할 수 있으며, 탄성클립(42)(44)의 단부에서 바깥쪽을 향해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입구확장부(47)(48)를 두어 클립연결부(29)와 걸림봉(24)이 탄성클립(42)(44)으로 보다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2의 도면 중 부호 50은 노면포장층을 나타낸 것이며, 52는 케이블방호판을 나타낸 것이고, 54는 케이블 보호관을 나타낸 것이며, 56은 지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관(54) 위에 매설된 케이블방호판(52) 위를 흙으로 덮은 다음 그 위에 강선프레임(20)을 놓고 다른 강선프레임(20)에 형성된 상부강선(21)(22)의 후방측 단부를 이미 바닥에 설치된 강선프레임(20)의 전방측에 형성된 행거봉(28) 위에 걸쳐 놓게 되면, 강선프레임(20)에 형성된 걸림봉(24)이 행거봉(28)에 걸린 채로 설치된다.
이때 강선프레임(20)을 구성하고 있는 상부강선(21)(22)의 전방측이 후방측 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강선(21)(22)의 전방측 단부를 행거봉(28)에 올리는데 상부강선(21)(22) 끼리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강선프레임(20)을 바닥에 설치할 때 표지판 고정봉(25)(26)에 설치된 케이블 표지시트(30)는 상부에 위치되도록 해서 굴착시 케이블 표지시트(30)에 인쇄된 경고문자가 보이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강선프레임(20)을 후방측에서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서로 걸치는 형태로 일직선으로 이어서 설치한 다음 플렉시블밴드(40)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탄성클립(42)(44)을 클립연결부(29)와 걸림봉(24)에 각각 끼우고, 플렉시블밴드(40)를 접혀진 상태로 지면에 놓은 후 흙을 덮고 노면포장층(50)을 형성하게 되면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가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지층(56)으로 빗물이 유입되면, 케이블 표지시트(30)의 투습작용에 의해 빗물이 케이블 표지시트(30)를 통과하여 지층(56)의 상층부에서 하층부로 흐르기 때문에, 케이블 표지시트(30)의 상부에 빗물이 고이면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반침하 등을 막아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 위치를 미처 파악하지 못하고 노면포장층(50)을 걷어낸 다음 굴삭기의 버킷(도시생략)을 이용해서 강선프레임(20)이 설치된 곳을 굴착하게 되면, 버킷 끝에 설치된 발톱(도시생략)이 땅을 파고들면서 강선프레임(20)을 구성하고 있는 상부강선(21)(22), 행거봉(28), 클립연결부(29), 보강바(27a)(27b)(27c)(27d), 받침다리(23) 및 걸림봉(24) 사이로 진입하여 어느 한 곳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버킷의 발톱에 강선프레임(20)에 걸린 상태에서 흙을 퍼 올리게 되면, 발톱에 의해 강선프레임(20)과 케이블 표지시트(30)가 함께 공기 중으로 당겨지면서 노출되는데, 이때 굴삭기 운전자 또는 주변의 작업자가 강선프레임(20)과 함께 공기 중으로 노출된 케이블 표지시트(30)를 보고 지중에 케이블이 매설된 것을 확인하고 굴착작업을 중단하거나 지중 케이블이 파손되지 않도록 다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 강선프레임(20)이 당겨질 때 강선프레임(20) 간을 연결하고 있는 플렉시블밴드(40)가 풀리면서 버킷의 발톱에 걸리지 않은 다른 강선프레임(20)으로 힘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서 굴착부하를 줄이는 동시에 다른 강선프레임(2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한번에 퍼 올릴 수 있는 용량이 큰 버킷으로 인해 굴착 깊이가 큰 경우에는 플렉시블밴드(40)가 완전하게 풀릴 때까지 강선프레임(20)이 미처 공기 중으로 노출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다른 강선프레임(20)이 완전하게 풀린 플렉시블밴드(40)에 의해 상측으로 딸려 올라가면서 이미 노출된 강선프레임(20)과 함께 복수로 공기 중에 노출되면서 노출효과를 향상시키는 작용도 하게 된다.
이때 플렉시블밴드(40) 끝에 설치된 한 쌍의 탄성클립(42)(44) 중에 걸림봉(24)에 결합된 탄성클립(42)은 버킷의 발톱에 걸려서 올라가는 강선프레임(20)을 따라 먼저 올라가게 되고, 클립연결부(29)에 결합되어 있는 다른쪽 탄성클립(44)은 플렉시블밴드(40)가 완전하게 풀리기 전까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플렉시블밴드(40)가 완전하게 풀려서 상측으로 당겨질 때 클립연결부(29)를 중심으로 지중에서 회전되면서 클립연결부(29)와 함께 딸려서 올라가게 된다.
또, 굴삭기의 버킷에 설치된 발톱이 케이블 표지시트(30)를 파고드는 경우에는 두 표지판 고정봉(25)(26) 또는 두 상부강선(21)(22) 중에 어느 하나에 걸리면서 강선프레임(20)을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버킷에 설치된 발톱에 걸려서 올라가는 강선프레임(20)이 심하게 휘어진 경우에는 파손된 강선프레임(20)으로부터 탄성클립(42)(44)을 분리하고 다른 정상적인 강선프레임(20)에 설치된 걸림봉(24)과 클립연결부(29)에 탄성클립(42)(44)을 끼우게 되면, 부분 교체도 가능하게 된다.
20 : 강선프레임 20w : 용접부
21,22 : 상부강선 23 : 받침다리
24 : 걸림봉 25,26 : 표지판 고정봉
28 : 행거봉 27a,27b,27c,27d : 보강바
29 : 클립연결부 30 : 케이블 표지시트
32,34 : 컬링접합부 40 : 플렉시블밴드
42,44 : 탄성클립 45,46 : 클레비스부
47,48 : 입구확장부 50 : 노면포장층
52 : 케이블방호판 54 : 케이블 보호관
56 : 지층

Claims (1)

  1. 한 쌍의 상부강선(21)(22);
    상기 상부강선(21)(22)의 후단을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는 받침다리(23);
    상기 상부강선(21)(22)의 앞단을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는 걸림봉(24);
    상기 상부강선(21)(22) 사이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표지판 고정봉(25)(26);
    상기 받침다리(23)와 걸림봉(24) 간을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바(27a)(27b)(27c)(27d);
    상기 상부강선(21)(22)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행거봉(28);
    상기 표지판 고정봉(25)(26)에 설치되는 케이블 표지시트(30);
    로 구성된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강선(21)(22)을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해 사이가 점점 좁아지도록 설치하되,
    상기 행거봉(28)의 중간에서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클립연결부(29);
    서로 이웃한 상기 걸림봉(24)과 클립연결부(29)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탄성클립(42)(44); 및
    상기 탄성클립(42)(44)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플렉시블밴드(40);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
KR1020150165141A 2015-11-25 2015-11-25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 KR101625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141A KR101625908B1 (ko) 2015-11-25 2015-11-25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141A KR101625908B1 (ko) 2015-11-25 2015-11-25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908B1 true KR101625908B1 (ko) 2016-05-31

Family

ID=5609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141A KR101625908B1 (ko) 2015-11-25 2015-11-25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9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3419A (zh) * 2019-11-22 2020-03-31 河北瑞池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电缆沟
CN112713555A (zh) * 2020-12-25 2021-04-2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气设备外接电线的保护装置
CN113224721A (zh) * 2021-05-17 2021-08-06 柳玉军 一种耐火防潮的地铁用电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386A (ja) 2002-03-08 2003-09-25 Pallet Maintenance Kogyo:Kk 移送容器取付け用表示プレート
KR100766381B1 (ko) 2006-04-07 2007-10-17 김근수 건축용 전선 유도관 보호 및 고정장치
JP5283721B2 (ja) 2011-02-22 2013-09-04 中国電力株式会社 防護板姿勢保持具及び地中埋設物保護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386A (ja) 2002-03-08 2003-09-25 Pallet Maintenance Kogyo:Kk 移送容器取付け用表示プレート
KR100766381B1 (ko) 2006-04-07 2007-10-17 김근수 건축용 전선 유도관 보호 및 고정장치
JP5283721B2 (ja) 2011-02-22 2013-09-04 中国電力株式会社 防護板姿勢保持具及び地中埋設物保護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3419A (zh) * 2019-11-22 2020-03-31 河北瑞池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电缆沟
CN112713555A (zh) * 2020-12-25 2021-04-2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气设备外接电线的保护装置
CN112713555B (zh) * 2020-12-25 2023-02-1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气设备外接电线的保护装置
CN113224721A (zh) * 2021-05-17 2021-08-06 柳玉军 一种耐火防潮的地铁用电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908B1 (ko)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방호장치
KR100660356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및 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보강재
KR101565933B1 (ko) 건축단지 지하 매설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지중관로 보호구
US87273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fiber optic cable
JP7017242B2 (ja) 布団篭の吊り上げ構造
MXPA00009236A (es) Resguardo protector para instalaciones subterraneas alargadas.
KR20060038266A (ko) 일체형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USRE30185E (en) Trench shoring assembly
KR101030350B1 (ko) 매설된 배전 지중 케이블에 의한 감전방지를 위한 보안장치
US4019329A (en) Trench shoring assembly
JP5235933B2 (ja) 埋設物標示テープ
JP2009060710A (ja) 地中ケーブルの移設工法
KR100891105B1 (ko) 전력선 보호구
KR101054876B1 (ko) 천공장비 부토비산 방지망
JP6715131B2 (ja) 土留支保工、支保工撤去方法、及び支保工部品
JP2024007833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敷設方法
JP6009866B2 (ja) 保護管を用いた油圧ホースの保護作業方法
JP6408456B2 (ja) クロージャ取付け装置、共同溝ボックスへのクロージャ支持部材取付け方法
JP4024279B1 (ja) 繊維製アンカーベルトを備える土留めブロック
KR101185741B1 (ko) 회수가 용이한 오탁방지막 시공용 닻가지형 앵커의 닻줄설치구조와 그 닻가지형 앵커의 설치 및 회수방법
JP2020016070A (ja) 捕捉体の設置方法および捕捉体
JP4355594B2 (ja) ケーブル敷設構造
CN208965561U (zh) 一种市政管沟铺设移动式支护槽架
JP5324413B2 (ja) 仮設配管の設置工法
KR102139816B1 (ko) 지하시설물 파손예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