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385B1 -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385B1
KR101623385B1 KR1020140152740A KR20140152740A KR101623385B1 KR 101623385 B1 KR101623385 B1 KR 101623385B1 KR 1020140152740 A KR1020140152740 A KR 1020140152740A KR 20140152740 A KR20140152740 A KR 20140152740A KR 101623385 B1 KR101623385 B1 KR 101623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emory
disease
cogn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097A (ko
Inventor
김정상
김민선
서지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경북대학교포도마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경북대학교포도마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경북대학교포도마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3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경세포 보호 및 손상 예방 효과를 통하여 기억, 인지 또는 학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지기능장애로 인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memory, cognition, or learning abilities}
본 발명은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MBA),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뇌가 가지는 기능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기억 및 인지일 것이다. 인간에게 인지 능력 및 기억 능력이 없는 경우,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힘들고 생존에도 문제가 된다. 기억 및 인지는 뇌의 거의 모든 기능과 연관을 맺으며 기억 및 인지에 관련된 뇌 구조물은 다양하고 거의 모든 뇌 부분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기억의 단계는 몇가지로 분류되는데 정보를 등록하고 부호화하는 과정, 저장하는 과정, 기억의 장소로 접근하여 인출하는 과정으로 나뉜다.
부호화는 감각기관을 통해 뇌로 들어온 정보가 학습되면서 기억되는 처음 과정을 말하는 것이다. 부호화를 통하여 정보가 일단 저장되지만 저장된 정보가 계속적으로 유지되고 더욱 확고한 기억으로 저장이 되기 위해서는 부호화 후의 과정을 밟아야 하는데 이 과정을 응고화라고 한다. 기억의 응고화가 잘 되지 않으면 기억의 망각이 빠르게 일어나며 기억의 유지가 힘들게 된다. 인출은 장기기억으로 저장된 내용을 의식적으로 불러내는 과정을 말한다. 인출의 방법에는 회상과 재인이 있다. 회상은 기억의 내용을 의식적으로 불러내는 것이고, 재인은 힌트를 부여하면서 불러내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회상이 재인보다 어렵다. 그러나 전두엽 손상 환자나 피질하혈관성치매 같이 회상은 힘들어해도 재인은 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기억의 부호화와 저장은 잘 되지만 인출의 장애가 있음을 의미한다. 기억 저장의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회상과 재인에서 동시에 장애를 보인다.
또한, 단기기억은 작업기억이라고도 하는데, 정보를 단기간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하여 다음 일을 수행할 수 있는 과정을 말한다. 뇌로 들어온 정보가 장기 기억으로 굳어지기 전 일시적으로 머무는 것이다. 작업 기억의 특징은 특정 일을 수행하고 나면 보통 작업기억이 지워져 버린다는 것이다.
장기 기억은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다시 기억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했던 일이나 학습하였던 내용들이 시간이 지난 후 다시 기억으로 되살아나는 것은 대부분 장기기억에 해당한다.
기억과 인지의 장애는 일상생활이 불가능하게 되는 매우 심각한 질환에 해당하며, 노화, 알츠하이머병, 정신분열증, 파킨슨병, 헌팅톤병, 피크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우울증, 두부 외상, 뇌졸중, CNS 저산소증, 뇌 허혈증, 뇌염, 건망증, 외상성 뇌손상, 저혈당증, 베르니케 코르사코프 신드롬, 약물중독, 뇌전증, 간질, 해마경화증, 두통, 뇌 노쇠증, 치매, 전측두엽 변성, 종양, 정상뇌압수두증, HIV, 뇌혈관성질환, 뇌신경질환, 심혈관계 질환, 기억상실, 방사능 노출, 대사성 질환, 갑상선 기능 저하증, 경도인지장애, 인지 결핍 또는 주의력 결핍 등 매우 다양한 원인 및 메커니즘에 의하여 발병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기억 및 인지 장애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은 다양한 노력을 해왔며, 다양한 뇌신경계 질환을 상대로 뛰어난 신경보호 효능과 뇌기능 향상 효과를 갖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45591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신경세포 보호 및 손상 예방 효과를 통하여 기억, 인지 또는 학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억, 인지 또는 학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지기능장애로 인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Muscat Bailey A, MBA),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크랜베리 1~10중량부, 아로니아 0.1~5중량부, 머루포도 15~40중량부, 오미자 0.1~10중량부, 사과 1~20중량부, 복분자 0.1~10중량부, 라즈베리 0.1~10중량부, 블루베리 1~25중량부, 캠벨포도 10~40중량부, 딸기 0.1~15중량부, 소리쟁이 0.001~5중량부, 하수오 0.001~5중량부, 포도씨 0.01~5중량부, 오디 0.1~10중량부, 브로컬리 0.1~10중량부 및 케일 0.1~5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각 천연성분들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는 노화, 알츠하이머병, 정신분열증, 파킨슨병, 헌팅톤병, 피크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우울증, 두부 외상, 뇌졸중, CNS 저산소증, 뇌 허혈증, 뇌염, 건망증, 외상성 뇌손상, 저혈당증, 베르니케 코르사코프 신드롬, 약물중독, 뇌전증, 간질, 해마경화증, 두통, 뇌 노쇠증, 치매, 전측두엽 변성, 종양, 정상뇌압수두증, HIV, 뇌혈관성질환, 뇌신경질환, 심혈관계 질환, 기억상실, 방사능 노출, 대사성 질환, 갑상선 기능 저하증, 경도인지장애, 인지 결핍 또는 주의력 결핍에 의한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 기능의 증진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성분들을 포함하여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인체에 안전하며, 신경세포 보호 및 손상 예방 효과를 통하여 기억, 인지 또는 학습력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인지기능장애로 인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16종의 천연성분 조성물이 실험동물의 기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Y-미로실험에 따라 측정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16종의 천연성분 조성물이 실험동물의 기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수동회피실험에 따라 측정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Muscat Bailey A, MBA),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천연성분들"은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을 포함하는 조합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16종의 천연 성분들을 모두 포함하만 본 발명이 목적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력 증진의 효과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 한정하고 있는 함량범위로 상기 16종의 성분들을 포함할 경우 신경세포 보호 및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기억, 인지 또는 학습력을 최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성분들은 각각의 성분들로부터 착즙하거나 추출 또는 농축한 추출물 형태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착즙, 추출, 분리 및 분획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착즙, 추출, 분리 및 분획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천연성분들로부터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며, 예를 들어 각 성분들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용매와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될 수 있으며, 천연성분들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로는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에는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으로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은 착즙,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물, 분획물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각각의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크랜베리 1~10중량부, 아로니아 0.1~5중량부, 머루포도 15~40중량부, 오미자 0.1~10중량부, 사과 1~20중량부, 복분자 0.1~10중량부, 라즈베리 0.1~10중량부, 블루베리 1~25중량부, 캠벨포도 10~40중량부, 딸기 0.1~15중량부, 소리쟁이 0.001~5중량부, 하수오 0.001~5중량부, 포도씨 0.01~5중량부, 오디 0.1~10중량부, 브로컬리 0.1~10중량부 및 케일 0.1~5중량부가 되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6종의 각 성분들이 전술한 범위내로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신경세포 보호 및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기억, 인지 또는 학습력을 최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의 16종의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나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는 노화, 알츠하이머병, 정신분열증, 파킨슨병, 헌팅톤병, 피크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우울증, 두부 외상, 뇌졸중, CNS 저산소증, 뇌 허혈증, 뇌염, 건망증, 외상성 뇌손상, 저혈당증, 베르니케 코르사코프 신드롬, 약물중독, 뇌전증, 간질, 해마경화증, 두통, 뇌 노쇠증, 치매, 전측두엽 변성, 종양, 정상뇌압수두증, HIV, 뇌혈관성질환, 뇌신경질환, 심혈관계 질환, 기억상실, 방사능 노출, 대사성 질환, 갑상선 기능 저하증, 경도인지장애, 인지 결핍 또는 주의력 결핍에 의한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의 16종의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약학 조성물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 즉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인 치료상 유효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10,000㎎/㎏/day, 바람직하게는 1~200㎎/㎏/day 내지 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의 16종의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 기능의 증진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16종의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천연 성분들의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6종의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은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9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16종의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16종의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연성분들의 착즙액 제조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은 경북대 포도마을에서 제공받았으며, 각 천연성분들을 각각 세척하고 탈수시켜 물기를 제거하고 스크류식으로 착즙한 후, 상기 착즙액을 일정시간 유지시켜 침전물 위의 착즙 상등액을 여과하여 각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의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천연성분들의 추출물 제조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을 각각 세척하고 탈수시킨 후 동결건조하고,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상기 분말화한 각 천연성분들의 분말 시료 각각에 물을 1:10의 부피비로 첨가하여 가온하면서 열수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치료용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 천연성분들의 착즙액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크랜베리 6
아로니아 1
머루포도 25
오미자 3
사과 10
복분자 3
라즈베리 3
블루베리 11
캠벨포도 26
딸기 5
소리쟁이 0.15
하수오 0.07
포도씨 1.78
오디 3
브로컬리 2
케일 1
100
실험예. Y-미로 실험 및 수동회피실험
본 발명의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의 천연성분 추출물의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Y-미로 실험과 수동회피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
실험동물로는 체중 20g 전후의 C57BL/6계 웅성 마우스(4주령, 효창사이언스, 대구)를 일주일간 실험환경에 적응시켜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10마리씩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적응기간 및 실험기간 동안 10~100㎎/㎏의 실시예 3의 16종의 천연성분 조성물을 증류수에 희석하여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동물은 경북대학교소 동물연구센터 사육실 내에서 온도는 2~24℃, 습도는 40~60%로 유지하였고 낮 12시간 밤 12시간 주기로 하였다.
스포콜라민으로 유도된 기억력손상 억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3의 16종의 천연성분 조성물의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기억력 손상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스코폴라민은 아세틸콜린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하여 기억력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코폴라민(S0929, Sigma-Aldrich Co., 미국)을 투여하기 30분 전부터 상기 실시예 3의 16종의 천연성분 조성물을 증류수에 희석하여 50㎎/㎏ BW, 100㎎/㎏ BW으로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이후 스코폴라민 1㎎/㎏을 복강으로 투여하여 기억력 손상을 유발하였으며, 하기와 같이 Y-미로실험(Y-maze test) 및 수동회피실험(passive avoidance test)을 실시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타크린(tacrine) 10㎎/㎏ BW을 투여하였다.
1-1. Y-미로실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3의 16종의 천연성분 조성물의 기억력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기재된 Y-미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Yamaguchi Y et el., Effects of a novel cognitive enhancer,spiro[imidazo-[1,2-a]pyridine-3,2-indan]-2(3H)-one(ZSET1446), on learning impairments induced by amyloid-beta 1-40 in the rat. J Pharmacol., 317(3), pp.1079-87, 2006).
Y-미로 실험 장치는 동일한 3개의 가지(arm, 가로 42㎝, 세로 3㎝, 높이 1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서로 120℃의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마우스를 한쪽 가지 끝에 위치시킨 다음에 8분 동안 자유롭게 Y-미로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도록 하였다. 각 가지에 들어간 횟수 및 순서를 측정하여 spontaneous alteration(%)을 평가하였다. 이때, 꼬리가 완전히 들어갔을 경우를 카운트하였으며, 갔던 가지에 다시 들어간 경우에도 기록하였다.
alteration은 3개의 가지에 순차적으로 들어가는 경우, 즉 ABC, BCA, CAB 등일 경우 1점(실제변경, actual alternation)씩 부여하였으며, 변경 행동력(alternation behavior)은 3가지 모두에 차례로 들어가는 것으로 정의되며, 하기 수학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Alteration (%) = {총 alteration 수 / (가지에 들어간 총 횟수-2)} × 100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천연성분을 50㎎/㎏ BW, 100㎎/㎏ BW으로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양성대조군으로 타크린 10㎎/㎏ BW을 투여한 군과 유사한 정도의 인지기억력 향상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 수동회피실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3의 16종의 천연성분 조성물의 기억력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기재된 수동회피실험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Pitsikas N et el., Crocus sativus L. extracts antagonize memory impairments in different behavioural tasks in the rat. Behav Brain Res. 173(1), pp. 112-115, 2006).
실험은 동일한 구조의 밝은 구획과 어두운 구획(52.6㎝×17.3㎝×21.3㎝)이 길로틴 문(guillotine door, 8.9㎝×8.9㎝)으로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서 수행하였다. 밝은 구획은 전구가 설치되어 실험동물이 싫어하는 밝은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어두운 구획은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실험동물이 상대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였으며, 전기자극을 줄 수 있도록 바닥에 2㎜ 두께의 스테인레스 봉이 1㎝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 3의 16종의 천연성분 조성물 50㎎/㎏ BW, 100㎎/㎏ BW과, 타크린 10㎎/㎏ BW을 실험시작 1시간 전에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을 밝은 구획에 넣고 10초의 적응시간 후 전구에 불이 들어오고 길로틴 문이 20초 동안 열려있게 된다. 실험동물이 어두운 구획으로 이동하면 문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며 전기충격(0.5mA, 3초)을 가하였다. 24시간 후에 실험동물을 다시 밝은 구획에 넣고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실험동물이 밝은 구획에에서 어두운 구획으로 가는데 걸리는 시간(latency time, 머무름 시간)을 최대 300초까지 측정하였다. 어두운 구획으로 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수록 수동회피의 학습과 기억이 좋음을 나타낸다.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에 비해 스포콜라민을 주사한 군에서 머무름 시간이 단축되었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3의 16종의 천연성분 조성물을 50㎎/㎏ BW, 100㎎/㎏ BW으로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실험동물의 머무름 시간이 연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천연성분 조성물을 100㎎/㎏ BW으로 투여한 실험군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타크린과 유사한 머무름 시간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용예 1: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파킨슨병은 흑질에 존재하는 도파민 신경 세포의 괴사가 동반되어 진전, 근육경직, 운동 완성, 비정상적 자세, 운동 불능 등의 다양한 증상들을 나타내는 퇴행성 신경계 질환이다. 이러한 이상 운동증상 이외에 흔히 발생하는 파킨슨병의 임상적 증상으로는 자율신경계증상, 신경정신과적 증상, 인지기능장애, 후각장애 등이 있다. 신경 세포괴사의 주요 원인으로 산화적 독성이 제시되고 있는데 주로 지질 과산화, DNA 산화, 단백질 카보닐(protein carbonyl) 및 나이트로타이로신(nitrotyrosine)의 증가가 흑질에서 발견된다(Bowling, A.C. and Beal, M.F., Life Sci., 1995, 56(14), 1151-1171). 따라서, 본 발명의 16종의 천연성분 추출물은 파킨슨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적용예 2: 헌팅톤 병 (Huntington's disease)
염색체 4p16.3에 위치하는 헌팅톤(Huntington) 유전자에는 CAG 세 개의 염기가 반복되어 나타나는 특이한 서열이 존재한다. 헌팅톤 병은 이 CAG 반복서열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나타나는 질병으로 무도증, 정신증상 및 치매가 3대 증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16종의 천연성분 추출물은 헌팅톤 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적용예 3: 허혈성 뇌졸중(Hypoxic-ischemic injury)
뇌졸중은 뇌의 혈액 순환 장애(혈전증, 색전증, 협착증)에 의해 일정한 양으로 공급되는 포도당 및 산소가 부족함으로 인해 일어나는 질환으로서, 손상을 받은 뇌에 의한 신체기능 조절의 손실로 인해 마비증세, 언어 및 인지 기능의 장애가 발생한다. 뇌졸중이 일어나고 난 뒤 세포막의 탈극성(membrane depolarization)으로 인해 세포내로 칼슘이 유입되면 이것이 다시 미토콘드리아로 유입되어 호흡체계(repiratory chain)가 손상되고 활성 산소의 생성이 증가하여 세포내에 활성 산소가 과량 쌓이게 된다. 생성된 활성 산소는 세포막 지질의 파괴, 유전자의 손상, 단백질 변성 등을 유도해 신경세포의 괴사가 일어나며, 이에 대해 항산화제는 허혈성 신경세포의 괴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Holtzman et al., 1996, Ann. Neurol., 39(1), 114-122; Ferrer et al., 2001, Acta neuropathol.(Berl.), 101(3), 229-38; Hall et al., 1990, Stroke, 21, 11183-11187). 따라서, 본 발명의 16종의 천연성분 추출물은 허혈성 뇌졸증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제예 1. 약학 제제의 제조
산제 제조
16종의 천연성분 추출물 20㎎, 유당 100㎎ 및 탈트 10㎎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정제 제조
16종의 천연성분 추출물 1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캡슐제 제조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16종의 천연성분 추출물 10㎎, 결정성 셀룰로오스 3㎎, 락토오스 14.8㎎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주사제 제조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앰플당(2㎖) 16종의 천연성분 추출물 10㎎, 만니톨 180㎎,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및 Na2HPO4· 2H2O 26㎎으로 제조하였다.
액제 제조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16종의 천연성분 추출물 20㎎, 이성화당 10g 및 만니톨 5g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를 더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식품 제제의 제조
건강식품 제조
16종의 천연성분 추출물 100㎎,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g,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g, 비타민 C 10㎎, 비오틴 10g,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g,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및 염화마그네슘 24.8㎎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건강음료 제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16종의 천연성분 추출물 100㎎, 비타민 C 15g, 비타민 E(분말) 100g, 젖산철 19.75g, 산화아연 3.5g, 니코틴산아미드 3.5g, 비타민 A 0.2g, 비타민 B1 0.25g, 비타민 B2 0.3g 및 정량의 물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6)

  1.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Muscat Bailey A, MBA),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크랜베리 1~10중량부, 아로니아 0.1~5중량부, 머루포도 15~40중량부, 오미자 0.1~10중량부, 사과 1~20중량부, 복분자 0.1~10중량부, 라즈베리 0.1~10중량부, 블루베리 1~25중량부, 캠벨포도 10~40중량부, 딸기 0.1~15중량부, 소리쟁이 0.001~5중량부, 하수오 0.001~5중량부, 포도씨 0.01~5중량부, 오디 0.1~10중량부, 브로컬리 0.1~10중량부 및 케일 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각 천연성분들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는 노화, 알츠하이머병, 정신분열증, 파킨슨병, 헌팅톤병, 피크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우울증, 두부 외상, 뇌졸중, CNS 저산소증, 뇌 허혈증, 뇌염, 건망증, 외상성 뇌손상, 저혈당증, 베르니케 코르사코프 신드롬, 약물중독, 뇌전증, 간질, 해마경화증, 두통, 뇌 노쇠증, 치매, 전측두엽 변성, 종양, 정상뇌압수두증, HIV, 뇌혈관성질환, 뇌신경질환, 심혈관계 질환, 기억상실, 방사능 노출, 대사성 질환, 갑상선 기능 저하증, 경도인지장애, 인지 결핍 또는 주의력 결핍에 의한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크랜베리, 아로니아, 머루포도(Muscat Bailey A, MBA), 오미자, 사과, 복분자, 라즈베리, 블루베리, 캠벨포도, 딸기, 소리쟁이, 하수오, 포도씨, 오디, 브로컬리 및 케일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 기능의 증진을 위한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크랜베리 1~10중량부, 아로니아 0.1~5중량부, 머루포도 15~40중량부, 오미자 0.1~10중량부, 사과 1~20중량부, 복분자 0.1~10중량부, 라즈베리 0.1~10중량부, 블루베리 1~25중량부, 캠벨포도 10~40중량부, 딸기 0.1~15중량부, 소리쟁이 0.001~5중량부, 하수오 0.001~5중량부, 포도씨 0.01~5중량부, 오디 0.1~10중량부, 브로컬리 0.1~10중량부 및 케일 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인지 또는 학습 기능의 증진을 위한 식품 조성물.
KR1020140152740A 2014-11-05 2014-11-05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3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740A KR101623385B1 (ko) 2014-11-05 2014-11-05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740A KR101623385B1 (ko) 2014-11-05 2014-11-05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097A KR20160054097A (ko) 2016-05-16
KR101623385B1 true KR101623385B1 (ko) 2016-06-01

Family

ID=5610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740A KR101623385B1 (ko) 2014-11-05 2014-11-05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310B1 (ko) * 2020-07-10 2023-03-09 (주)뷰티언스 머루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639090B1 (ko) * 2021-08-24 2024-02-28 김좌진 뇌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793B1 (ko) 2004-12-30 2007-01-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참소리쟁이 추출물, 소리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056B1 (ko) * 2003-11-07 2006-01-20 (주)네추럴에프앤피 신경세포 보호 활성이 있는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45591A (ko) 2010-10-29 2012-05-09 일성신약주식회사 대황을 포함한 생약조합 추출물을 함유한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9285A (ko) * 2011-09-14 2013-03-22 애경산업(주)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443288B1 (ko) * 2012-07-03 2014-09-19 주식회사 힐링바이오 안토시아닌효소식품 제조방법 및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793B1 (ko) 2004-12-30 2007-01-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참소리쟁이 추출물, 소리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097A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9752B2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rbs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20220160798A1 (en) Method for producing spirulina extract, and spirulina extract-contai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US10946053B2 (en)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mulberry and Poria cocos bark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202101286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peel extract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101026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51514B1 (ko)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20160067029A (ko)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곰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KR101623385B1 (ko)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1033B1 (ko) 성분 함량이 변화된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99277B1 (ko) 파시플로라 에듈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10799551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which has modified amounts of ingredients
KR101519852B1 (ko) 백하수오, 건지황, 원지 및 석창포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또는 인지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632418A1 (en) Brain-dysfunction preventing and/or improving composition containing lutein or salt thereof and processed product of plant belonging to genust
KR102301757B1 (ko)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력 감퇴 억제 및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천연 혼합 조성물
KR101748301B1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5063507A (ja) 老化に起因する網膜障害の抑制剤
KR102138251B1 (ko) 바우히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9708B1 (ko)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11731A (ko) 지누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5503B1 (ko) 인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14886A (ko) 자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9061B1 (ko) 목서초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6284A (ko) 비파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575832C2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растений,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нейро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нарушений
KR20230000748A (ko) 감태 추출물 및 머위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