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285A -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285A
KR20130029285A KR1020110092639A KR20110092639A KR20130029285A KR 20130029285 A KR20130029285 A KR 20130029285A KR 1020110092639 A KR1020110092639 A KR 1020110092639A KR 20110092639 A KR20110092639 A KR 20110092639A KR 20130029285 A KR20130029285 A KR 20130029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ine
forgetfulness
composition
foo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지경엽
김한영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1009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9285A/ko
Publication of KR20130029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2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및 잣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뇌에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뇌혈관을 깨끗하게 청소하며, 뇌혈관의 피를 깨끗이 조혈하기 위한 순환기능을 강화함으로써, 건망증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Composition of healthy foods for treatment of amnesia}
본 발명은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및 잣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구조가 급변하면서, 사회 생활을 통해 스트레스성 질환 및 노화의 가속화 등으로 다양한 질병 혹은 질환으로 인하여, 많은 의료비용이 발생하고, 이러한 의료비 증가가 사회적 비용 증가로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성 질환 중에서도 특히 건망증은 최근 들어, 여러 질환 중에서도 대표적인 질환으로 손꼽히고 있다. 또한, 학업에 시달리는 청소년, 사회 참여를 하는 취업 연령층, 가정 주부 등 다양한 연령층에서 건망증은 이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건강기능식품, 특히, 은행잎 추출물과 카페인 함유 식품, 그리고, 뇌 활성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가바(GABA, Gamma amino butyric acid)나,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등의 건강식품 소재가 시판되고 있으며, 두뇌의 기능을 조절하는 약물로서, 지각능력을 증진시키고, 두뇌의 노화를 늦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피라세탐(Piracetam)이라는 의약품도 시판되고 있다.
스트레스는 모든 병의 근원으로 인체의 부조화와 순환장애 등을 유발하여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인체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계(Hypothalamus-Pituitary-Adrenal, HPA axis) 및 부신수질 및 교감신경계의 항진으로 에피네프린(epinephrine) 및 노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의 분비를 증강시키며 시상하부에서 코티코트로핀 분비인자(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분비 증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분비증가, 부신수질에서 코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알도스테론(aldosterone) 등의 분비를 증가시켜 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낸다. 스트레스 반응에는 혈압상승, 심박동 수 증가, 행동변화, 위장관으로부터 골격근으로의 혈액 이동, 비장무게의 감소, 백혈구 수 감소로 인한 면역력 감소 등이 있다. 스트레스의 정도가 크고 오랫동안 받게 되거나 우리 인체의 스트레스 반응 시스템에 결함이 있으면 병으로 연결된다. 스트레스 반응을 수행하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계(HPA axia) 및 교감신경의 항진은 심각한 만성질환, 우울증, 신경성 식욕감퇴, 망상-강박장애, 공황장애, 당뇨병, 갑상선기능항진, 중심성 비만, 고혈압, 심장병 같은 질병을 초래한다.
소음, 공해, 불안상태나 억울 등 과도한 스트레스는 면역능력에 영향을 미쳐 생체에 저항능력을 억제하여 감염, 자가면역 및 뇌의 퇴행성 질환 등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스트레스의 발병기전에 심혈관계, 내분비계와 더불어 면역계의 역할에 연구의 초점이 모이고 있다.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킨(cytokine)이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여 스트레스성 질환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시상하부(hypothalamus)와 해마(hippocampus)를 비롯한 중추신경계 내에서 사이토킨의 방출은 국소 염증반응을 일으켜 인체에 매우 해로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장기간의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해마 내 신경세포의 소실이 오며 학습과 기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스트레스에 의한 사이토킨의 방출과 학습, 기억 소실 및 불안 등의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나 아직 그 기전과 역할이 잘 알려져 있진 않고 있다. 유기체가 살아가면서 접하게 되는 환경적인 스트레스를 통제한다는 것이 실제로 불가능하며, 스트레스와 관련된 여러 질환이 급등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스트레스에 대한 면역계의 반응으로 나타나는 행동증상의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스트레스의 중추성 면역학적 기전을 밝혀 새로운 약물 및 치료방법의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인 배경을 제공하는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건망증은 기억장애의 하나로 잘 기억하지 못하거나 잊어버리는 정도가 심한 병적인 상태를 말한다. 순간밖에 지나지 않았는데도 그것을 기억하지 못하고 곧 잊어버리는 것을 전진성 건망증(前進性健忘症)이라고 한다. 대개 열병이나 중독상태에 있는 정신착란 같은 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또 외상을 입었거나 졸도하였거나 머리에 전기충격을 받았을 때에는 역행건망증(逆行健忘症)이라는 것이 일어난다. 이것은 처음에는 일단 기억해내기는 하지만, 얼마 지나서 재생하려고 하면 과거를 더듬어 한참 동안 이것 저것 따져야만 생각해내는 것이다. 이상의 두 가지가 함께 나타나는 일도 적지 않다. 이 밖에도 어떤 일정한 시기에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어떤 사람의 경우는 그것만이 잊혀지는 부분건망증도 있다. 가령 외국어 단어를 여러 번 사전에서 찾았는데도 찾을 때뿐이고, 다음 기회에 필요해서 다시 부딪치게 되면 사전에서 본 기억은 있으나 잘 생각이 나지 않는 경우 등이다. 이런 것을 합해서 국한성 건망증이라고 하는데, 대개 그 원인이 정신적인 면에 있는 것으로 히스테리아적(hysteria 的) 건망증이라고도 한다.
최근 들어, 기존의 의학을 대체한 천연물 및 기타 요법을 이용한 대체의학이 강조되면서, 천연물을 이용한 천연물 의약품 혹은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천연물 신약과 천연물 개별인정형 건강식품의 제품 개발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의학으로 쉽게 접근하지 못했던 분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회구조가 급변하면서, 사회 생활을 통해 스트레스성 질환 등으로 뇌와 관련된 다양한 질병 혹은 질환을 효율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효과는 더욱 뛰어날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 의약품 혹은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며, 또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방법의 과학적인 검증과 임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발명자 등은 우리나라의 전통 한방과 한의학 서적을 참고로 하여 관련 질환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는 천연물을 스크리닝하여, 천연물의 효과를 직접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이 중에서 건망증 개선용 원료를 찾아내고, 건망증 개선 효과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임상적 효능과 전통 한의학이 근거가 되는 효과적인 천연물을 찾아내고, 과학적 근거를 찾아내어,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을 개발하여, 다양한 연령층이 포함된 뇌 관련 시장에서의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천연물을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혈액순환을 개선하면서, 뇌에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뇌혈관을 깨끗하게 청소하며, 뇌혈관의 피를 깨끗이 조혈하기 위한 순환기능을 강화함으로써,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및 잣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고, 혼합물의 조성이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알팔파 1 ~ 40 중량%, 브로콜리 1 ~ 40 중량%, 소나무 잔뿌리 1 ~ 40 중량% 또는 잣 1 ~ 4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또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이 정제, 과립제, 연질캅셀제, 경질캅셀제, 시럽, 음료수, 환(丸), 연조엑스제, 건조엑스제, 중탕액 및 추출중탕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물이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고, 유기용매가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성 용매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뇌에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뇌혈관을 깨끗하게 청소하며, 뇌혈관의 피를 깨끗이 조혈하기 위한 순환기능을 강화함으로써, 건망증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고, 또한, 섭취가 용이하다. 또한,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음용시 위험성이 없고, 인체에 안전하며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또는 잣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알팔파(Medicago sativa)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알팔파는 서남아시아 원산이며, 원줄기는 곧게 30~90cm까지 자라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이 3장씩 나온 잎이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고 끝이 뭉툭하거나 움푹하게 들어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총상 꽃차례에 달린다. 타화수정을 하고, 꼬투리는 2~3회 나선 모양으로 말리며 털이 있고, 종자는 신장 모양이다. 잎이 풀 전체의 반 정도이므로 벤 다음에 잎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사람에게는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이 있어 특히 육류와 함께 먹으면 좋으며, 식이섬유가 많아 변비에 효과가 있다. 또한, 단백질과 무기물 비타민 A, E, D, K가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 italica)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한해살이풀이며, 지중해 지방 또는 소아시아 원산이다. 이름은 라틴어 Brachium에+서 유래하였는데 가지(Branch) 또는 팔(arm)의 의미가 있다. 양배추가 개량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식용되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Broccolo라고 불렀고 미국에서는 Italian gree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줄기의 끝에 매달리는 작은 꽃 뭉치를 식용하는데 높이 50~80cm로 자란 가지 끝에 달린다. 가지가 뻗고 곧추 자라며 중앙 축과 가지 끝에 녹색 꽃눈이 빽빽하게 난다. 줄기가 보다 길게 자라고 꽃봉오리는 지름 12~15cm이다.
날것으로 먹거나 요리해서 먹으며, 짙은 녹색으로 영양가가 높고 맛이 좋다. 온화한 기후에서 서늘한 기후까지 잘 자라며 종자로 번식한다. 중앙의 꽃봉오리뿐만 아니라 잎겨드랑이에서 작은 꽃봉오리가 생기는 것도 있다. 이와 비슷한 종으로 콜리플라워(cauliflower)가 있는데 원줄기의 끝에 젖빛이 도는 흰색의 꽃봉오리가 달리며 이를 식용한다. 브로콜리에 함유된 설포라판(Sulforaphane)과 인돌(Indole)화합물이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돌은 에스트로젠(Estorgen)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유방암 세포의 성장 및 전이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비타민C가 풍부하고 칼슘의 흡수를 촉진하여 뼈의 건강을 돕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브로콜리는 항암제 성분 설포라판이 함유되어 있고, 10 대 건강식품에 들어간다.
브로콜리에는 특히 비타민 C의 함유량이 레몬의 약 2배로 채소 중에서 제일 많으며, 비타민 A를 비롯하여 B1, B2, 칼슘, 인, 칼륨 등의 미네랄 성분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브로콜리는 많은 성인병의 예방에 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진데다 미국 국립암연구소에서 선정한 최고의 암예방 식품 중 하나로 꼽히면서 소비자로부터 더욱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최근의 역학조사에 의하면 배추과 야채를 꾸준히 섭취하면 다양한 암의 발생률 저하 효과가 있음이 알려졌으며 식생활의 변화로 요즘 증가하고 있는 전립선암 및 대장암의 예방과 상관성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발암물질에 의한 암의 발생과 진행의 단계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이 규명된 바 있다.
소나무 잔뿌리(Pinus densiflora )는 줄기는 높이 35m, 지름 1.8m 정도이며 수피는 붉은빛을 띤 갈색이나 밑부분은 검은 갈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 8~9cm, 너비 1.5mm이다. 2년이 지나면 밑부분의 바늘잎이 떨어진다.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새 가지의 밑부분에 달리며 노란색으로 길이 1cm의 타원형이다. 암꽃은 새 가지의 끝 부분에 달리며 자주색이고 길이 6mm의 달걀 모양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길이 4.5cm, 지름 3cm이며 열매조각은 70~100개이고 다음해 9~10월에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소나무 잔뿌리는 노화를 늦추는 작용, 살균작용, 항염증작용, 기침을 멈추는 작용, 영양작용, 경련성 항염증작용, 지혈작용, 담즙분비촉진작용, 장수작용, 항암작용, 혈압낮춤작용, 니코틴배출작용, 혈중콜레스테롤배출, 혈액순환촉진, 고혈압, 감기의 예방, 유행성 뇌막염의 예방, 만성기관지염, 위 및 십이지장궤양, 피로회복, 만성 변비, 이질이 몇 달이 지나도 깨끗이 낫지 않는 증상, 괴혈병, 어린이 영양실조, 노화방지 및 예방, 소아 습진, 소아 기저귀로 인한 피부염, 외상 출혈, 음낭의 습양, 풍치, 중풍에 의한 구안와사, 잇몸 동통, 혀가 뻣뻣한 증세, 두풍, 두통, 대풍나창, 역절풍, 옴, 타박상, 염좌, 피부 가려움증, 옻오른 데, 심근경색증, 심장이 약하거나 심장병, 뇌빈혈, 동맥경화, 뇌경색, 변비, 치질, 질염, 알레르기성 비염, 급성 위염, 만성 알코올 중독, 안저 출혈, 구취, 중풍, 스트레스로 오는 모든 증상, 류머티스, 폐결핵, 결막염, 궤양, 구강염, 신경통, 요통, 어깨 결린데, 잇몸 질환, 치조골 질환, 편도선이 부었을 때, 치통, 불면증, 피로 권태, 불로장생, 콜레스테롤 억제, 습진, 타박상, 부종, 높은 곳에서 떨어져 악혈이 심장을 치고 흉격이 답답하고 괴로운 증상, 치풍, 피부병, 거풍, 진정, 지통, 피부미용, 소염, 유정, 치루, 기생충 구제, 귀가 어두운 증상, 충치통, 새살이 돋아나게 함, 심폐를 촉촉하게 함, 소갈증, 귀와 눈을 밝게 함, 신경성 피부염, 소아 대머리, 간허로 눈물이 나는 증상, 소아가 입을 꼭 다물고 벌리지 못할 때, 귀가 멀고 그 증상이 오래된 증상, 부인 백대하, 모발과 눈썹의 탈락, 현기증, 술독, 신경쇠약, 비타민 C 결핍증, 유행성 뇌막염, 유행성 감기의 예방 및 치료, 영양성 수종, 화상, 동상, 풍습창, 모발촉진, 오장 안정, 풍습골통, 장풍하혈, 만성이질, 차멀미, 오랫동안 아물지 않은 옹저, 금창, 풍습성 관절염, 칼 따위에 베일 상처, 소아 두창 침습, 팔다리 동통, 기의 순환 촉진, 근육통, 경락을 통하게 함, 근육 이완, 타박으로 인한 어혈, 오장 육부를 회춘시키는 등의 수많은 효능이 있다.
이 중에서 소나무 잔뿌리의 뿌리에는 α-피넨 75%, 캄펜, 디펜텐, α-테르피네올, 캠퍼, p-멘탄올이 있고, 맛은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오로(五勞)를 보양하고, 타박어혈동통, 근골통, 상손(傷損) 토혈, 충치통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골통은 송눈근(송嫩근)을 물로 달여 백주(白酒)와 함께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구혈, 타박상으로 인한 토혈에는 마미송근(馬尾松根)의 거친 껍질을 긁어 버리고 약한 불에 쬐어 말려서 검게 볶아서 곱게 가루를 낸 다음 1회 1돈, 하루 2회, 따뜻한 첨주(甛酒)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험방(江西民間草藥驗方)] 풍치통, 충치통은 마미송묘(馬尾松苗)의 뿌리인 유송근(幼松根) 1냥을 조각으로 썰어서 돼지 정육 4냥과 함께 고아서 취침 직전에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험방(江西民間草藥驗方)](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잣(Pinus koraiensis Zieb et Eucc)은 소나무 잔뿌리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한국 송 또는 한국잣나무의 열매를 말한다. 잎은 솔잎과 비슷하나 좀 더 푸르고 굵다. 보통 소나무 잔뿌리는 두 잎의 소나무 잔뿌리를 뜻하지만, 잣나무는 솔잎 모양의 잎은 한 군데서 다섯 잎 씩 나오기 때문에 잣나무라고도 한단. 약용으로 정평있는 잣은 해송자(海松子)라 부르고 일명 잣나무(五葉松), 송자(松子), 백자(柏子)라 부르기도 한다.
잣은 잣나무 이외의 다른 소나무 잔뿌리와 마찬가지로 솔방울 속에서 형성되는데 지름 6~10cm, 길이 9~15cm 정도의 솔방울 속에 평균 100알 정도 결실된다. 잣은 칼로리가 높을 뿐 아니라 비타민 B군이 풍부하며 호도나 땅콩보다 철분이 많이 들어 있어 빈혈에도 효과적이다. 잣에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고 또한 아미노산의 조성도 우수하다.
잣은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피부탄력, 혈압저하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게 하며, 스태미나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니아신, 나트륨, 단백질, 당질, 레티놀, 베타카로틴, 비타민 A, B, C, E군, 식이섬유, 아연, 엽산, 인, 지질, 철분, 칼륨, 칼슘 등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술한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잣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종 이상의 한방재료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이 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뇌 활성 및 뇌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 되는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건강식품 등으로 제조시 맛과 향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및 잣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 혼합물의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데, 상기 추출물이 0.0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건망증 개선용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건강식품 등으로 제조시 맛과 향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추출용매로서 메탄올, 에탄올 등의 친수성 유기 용매, 또는 친수성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여 일정 시간 침적시키면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교반한 후 얻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회수하는 통상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추출용매로는 탄소수 1 내지 4인 알코올성 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물 재료에 가해지는 추출용매의 양은 천연물 재료 전체 부피 대비 1 내지 50배 정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천연물 추출용매로 무수 메탄올, 함수 메탄올, 무수 에탄올, 함수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 예에서는 상술한 메탄올계 용매 1종 및 상술한 에탄올계 용매 1종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시, 상기 추출용매의 첨가량은 천연물 재료의 건조 중량 1g당 5~20㎖로 함이 바람직하다. 천연물 재료의 추출 조건은 실온에서 1~7일간 침적 추출하거나 50~95℃의 가온 조건에서 1~5시간 정도 추출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매추출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및 잣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정제, 과립제, 연질캅셀제, 경질캅셀제, 시럽, 음료수, 환(丸), 연조엑스제, 중탕액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정제, 과립제, 연질캅셀제, 경질캅셀제, 시럽, 음료수, 환(丸), 연조엑스제, 건조엑스제, 추출중탕액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식품의 제조에 배합되는 제형을 위한 부형제, 물, 에탄올, 감미제, 향료, 색소, 방부제 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건망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함유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솔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인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6 g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혼합 추출물의 제조
알팔파 30 중량 %, 브로콜리 30 중량 %, 소나무 잔뿌리 20 중량 % 및 잣 20 중량 %를 균일하게 혼합한 혼합물에 80% 에탄올을 혼합물 양의 2배 정도의 부피만큼 가하여 3일간 냉침 시킨 뒤에 용액을 모두 모아 여과지로 여과한 후, 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 뒤에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48시간 이상 건조시켜 분말 상태로 만들었다.
실시예 1.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을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단위는 중량% 이다.
실시예 2.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을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단위는 중량% 이다.
비교예 1.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을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단위는 중량% 이다.
성분명 함량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잣 혼합추출물 1.0 10.0 -
액상과당 10.0 10.0 10.0
아라비아검 1.5 1.5 1.5
설탕 0.5 0.5 0.5
구연산 2.5 2.5 2.5
대두 레시틴 1.5 1.5 1.5
올리고당 3.0 3.0 3.0
구연산 나트륨 0.1 0.1 0.1
폴리덱스트로스 1.0 1.0 1.0
산화방지제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동물 실험
실험예 1-1. 시험액의 제조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잣 추출물 200mg을 1.0%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오일(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 Cremophor RH 40®,BASF)을 함유하는 생리 식염수 200mg에 가열 용해시켜 화합물 A를 0.1%의 농도로 함유하는 주사 제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은 일반적인 건망증 모델을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고, 상기 주사 제제를 동물 시험을 통해 기억장해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2. 실험 동물 준비
C57BL/6 수컷 마우스(생후 5~6주)를 준비하였다.
실험예 1-3. 실험 장치 준비
명실(15×10×10cm)과 암실(20×15×12cm)로 이루어진 단계-통과형(step-through type)의 수동적 회피 시험판(자체 제작). 명실의 윗부분에서 20-W형광 램프로 명실을 조명하였다. 두 개의 실을 출입구가 위아래로 열고 닫을 수 있는 형태의 출입구로 분리하였다. 이때 암실의 격자를 전기 자극 장치와 연결하여 마우스의 다리에 전기적 쇼크를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예 1-4. 충격 시험
마우스를 명실에 넣고, 약 10초 후, 출입구를 열어 마우스가 암실로 들어가도록 하였다. 마우스가 암실로 들어간 직후에 출입구를 닫고, 약 5초 후, AC 45~50V의 전기적 쇼크를 1초간 마우스에 준 후 마우스를 즉시 암실에서 꺼냈다.
실험예 1-5. 재현 시험
충격 시험 24시간 후, 마우스를 다시 명실에 넣고, 전기적 쇼크를 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출입구를 스스로 열고, 마우스가 암실로 들어가기 전까지의 소요 시간(유지기)은 최고 300초로 측정되었다.
실험예 1-6. 시클로헥시미드에 의한 건망증 유발
충격 시험 30분 전에, 시클로헥시미드를 120mg/㎏의 용량으로 피하 주사한다.
실험예 1-7. 시험 화합물의 투여
시험 약물은 5개의 군으로 나누어, 음성 대조군과 양성대조군{이데베논(2-(10-hydroxydecyl)-5,6-dimethoxy-3-methyl-2,5-cyclohexadien-1,4-dione)} 및 본 발명에 따른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및 잣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 혼합물의 추출물을 준비하여, 5% 아라비아검을 함유하는 생리 식염수에 현탁시켰다. 준비된 약물을 전기 경련 쇼크에 의한 건망증 유발 시험에서, 재현 시험 30 분전에 화합물을 복강 내 투여하였다.
실험예 1-8. 결과
전기 경련 쇼크에 의해 유발된 건망증에 대한 영향에 대한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활성성분의 투여량(㎍/㎏) 사용된 동물 수 유지기(sec)
평균±S.E
개선율(%)
무처리 - 10 300.0±0 -
전기경련쇼크처리 - 10 83.0±8.1
음성대조군
(Blank)
- 10 85.9±7.2 1.3
양성대조군
(이데베논)
80 10 110.1±12.5 12.5
혼합추출물 10 10 125.3±10.3 19.5
혼합추출물 50 10 136.7±13.1 24.8
* : 전기 경련쇼크 처리군에 대한 유의차(P<0.05).
(수학식 1)
Figure pat00001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뇌대사 기능 활성제(이데베논) 및 비교예에 비하여 실험적으로 유발된 건망증에 대해 현저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건망증 개선 임상시험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및 잣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기억력 향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임상 시험을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20-40세의 사회 생활 및 가정 생활을 하는 주부 및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일 2회 정도 마시도록 하였다. 30명의 대상자를 10명씩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10명씩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의 제품을 마시도록 하였다. 실험 제품을 마시는 동안에는 어떠한 뇌 활성 및 뇌 대사 관련 치료법(치료요법 혹은 의약품 복용 등)을 금지하도록 조치하였다. 음용 후 그 증상을 평가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율 (%)
실시예 1 사용 그룹 건망증이 완전히 개선됨 0
건망증이 매우 개선됨 20
건망증이 약간 개선됨 40
차이가 없음 40
실시예 2 사용 그룹 건망증이 완전히 개선됨 10
건망증이 매우 개선됨 20
건망증이 약간 개선됨 50
차이가 없음 20
비교예 사용 그룹 건망증이 완전히 개선됨 0
건망증이 매우 개선됨 0
건망증이 약간 개선됨 20
차이가 없음 80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및 잣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은 건망증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예시적인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요소들을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알팔파, 브로콜리, 소나무 잔뿌리 및 잣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조성이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알팔파 1 ~ 40 중량%, 브로콜리 1 ~ 40 중량%, 소나무 잔뿌리 1 ~ 40 중량% 또는 잣 1 ~ 4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이 정제, 과립제, 연질캅셀제, 경질캅셀제, 시럽, 음료수, 환(丸), 연조엑스제, 건조엑스제, 중탕액 및 추출중탕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성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110092639A 2011-09-14 2011-09-14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20130029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639A KR20130029285A (ko) 2011-09-14 2011-09-14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639A KR20130029285A (ko) 2011-09-14 2011-09-14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285A true KR20130029285A (ko) 2013-03-22

Family

ID=4817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639A KR20130029285A (ko) 2011-09-14 2011-09-14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92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097A (ko) * 2014-11-05 2016-05-16 농업회사법인 경북대학교포도마을주식회사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097A (ko) * 2014-11-05 2016-05-16 농업회사법인 경북대학교포도마을주식회사 기억, 인지 또는 학습장애 예방, 증진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952B1 (ko) 수면에 영향을 주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
US10111451B2 (en) Food, beverag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astern prickly pea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40125264A (ko)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431064A (zh) 一种降糖茶及其制备方法
Yampolsky et al. Sea buckthorn (lat. Hippophaë)
CN113768004A (zh) 一种含陈皮的白茶调味茶及其制备方法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75087B1 (ko) 멀베로푸란 g, 상게논 g 및 상게놀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1019B1 (ko)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CN111567797A (zh) 复方茉莉花茶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9285A (ko) 건망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1221623B1 (ko)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CN108813500B (zh) 具有补中益气、养血安神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13018398A (zh) 一种抗疲劳保健品及其制备方法
CN115737777B (zh) 一种复方解酒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319379B1 (ko) 바나나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우울 및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130029286A (ko) 뇌혈류 장애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0835555B1 (ko) 기능성 초콜릿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KR20100035961A (ko) 산양산삼 분말을 함유하는 공진단 조성물
KR101568044B1 (ko) 불안 및 스트레스 해소용 조성물
CN104606526A (zh) 一种治疗沙眼的内服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