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019B1 -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019B1
KR102151019B1 KR1020190004138A KR20190004138A KR102151019B1 KR 102151019 B1 KR102151019 B1 KR 102151019B1 KR 1020190004138 A KR1020190004138 A KR 1020190004138A KR 20190004138 A KR20190004138 A KR 20190004138A KR 102151019 B1 KR102151019 B1 KR 102151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tress
learning ability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606A (ko
Inventor
장영용
Original Assignee
장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용 filed Critical 장영용
Priority to KR102019000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0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9Polygalaceae (Milk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복신, 원지, 석창포 및 연자육을 포함하는 천연재의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총명탕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며, 항피로 활성 및 두뇌활동, 특히 기억력 증진에 도움이 되어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며,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해소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Compositions for Improving Memory Power and Learning Ability, and Relaxing stress}
본 발명은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뇌활동, 특히 기억력 증진에 우수한 활성을 가져 학습능력을 향상시켜주며,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총명탕(聰明湯)은 백복신(白茯神), 석창포(石菖蒲), 원지(遠志)로 이루어진 처방으로 기억력 감퇴와 건망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총명탕은 중국 명나라 때의 의사인 공정현이 창안했다. 대대로 의원을 하던 집안에서 태어난 공정현은 태의원(太醫院) 의관(醫官)을 지낸 아버지 공신에게서 어려서부터 의술을 전수받아 의학에 대한 이해가 몹시 깊었다고 한다.
그는 『만병회춘(萬病回春)』, 『수세보원(壽世保元)』, 『고금의감(古今醫鑑)』, 『운림신각(雲林神殼)』, 『본초포제약성부정형(本草포製藥性賦定衡)』, 『종행선방(種杏仙方)』, 『노부금방(魯府禁方)』 등과 같은 여러 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총명탕은 1581년에 간행된 『종행선방』에 수록되어 있다. 이 의서에는 대부분 일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두세 가지의 약재로 만들어진 경험방이 주로 실려 있는데, 총명탕 역시 백복신, 석창포, 원지라는 3가지 약물로 구성된 아주 간결한 처방이다. 우리나라의 의서에서는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編)에서 총명탕은 ‘다망(多忘, 건망증)’을 치료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기억력 감퇴와 건망 등의 병증을 치료하는 데에 쓰였다.
한편, 사회적인 환경이 다변화되어 감에 따라 사람들은 더 많은 자극을 접하게 되고 이러한 자극을 수용하기 위한 신속한 두뇌활동이 요구된다. 특히, 최근 경제성장과 더불어 산업화, 공업화에 따른 환경 파괴와 수질오염, 그리고 인스턴트 식품의 범람으로 우리의 건강상태가 위협을 받고 있으며, 소득증대에 따른 육식 중심의 식생활에 의한 영양의 과잉섭취와 기계문명의 발달에 의한 운동량의 절대부족 등이 비만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이들 비만이 원인이 되어 동맥경화, 고혈압, 관상심장질환,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등의 만성 퇴행성 성인병이 만연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청소년, 특히 수험생들은 장기간 학습 활동을 함으로써 두뇌와 심신의 피로를 느끼게 될 뿐 아니라 두뇌의 건전한 발달에도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사회가 복잡해지고 입시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피로해진 두뇌를 맑게 하여 기억력을 증진시키고 피로 회복을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성장기 학생들의 과중한 학습 부담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학습능력 향상과 기억력 향상을 위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특히 종래 개발된 제품들의 경우 뇌신경을 자극하여 학습능력과 기억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합성된 화합물들이 사용되곤 하였으나,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로 최근에는 천연물을 이용한 제품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천연물을 이용하여 개발된 제품관련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24385호에는 용안육, 산조인, 원지 및 백복신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기억력 증진 및 청소년기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30211호에는 결명자, 숙지황, 복령, 우슬, 산약, 육종용, 파극천, 육계, 음양곽, 보골지, 황기, 당귀, 두충, 저실자, 원지, 석창포, 산수유, 생강, 대추 등 19종의 식물 생약을 함유한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84416호에는 구기자 (Lycii fruc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학습 및 기억력 향상 생약조성물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들의 어디에서도 총명탕의 원료인 백복신, 석창포 및 원지에 연자육, 구상나무를 더한 복합추출물을 통해 기억력과 학습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 완화한 예는 없었다.
KR 10-524385 B1 KR 10-484416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피로 활성 및 두뇌활동, 특히 기억력 증진에 우수한 활성을 가져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총명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은, 백복신, 원지, 석창포 및 연자육을 포함하는 천연재의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재는, 상기 백복신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지 50~100중량부, 석창포 50~100중량부 및 연자육 50~100중량부를 포함하고, 녹용 1~50중량부, 지골피 1~50중량부, 선령비 1~50중량부, 백출 1~50중량부, 백지 1~50중량부, 원육 1~50중량부, 백자인 1~50중량부, 합환피 1~50중량부, 자하거 1~50중량부, 복령 1~50중량부, 단삼 1~50중량부, 용골 1~50중량부, 모려 1~50중량부, 구기자 1~50중량부, 결명자 1~50중량부, 감국 1~50중량부, 산조인 1~50중량부, 백작약 1~50중량부, 인삼 1~50중량부, 황기 1~50중량부 및 영신초 1~50중량부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재는, 구상나무 50~10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레카야자 1~10중량부, 무화과나무 1~10중량부 및 토란 1~1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총명탕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며, 항피로 활성 및 두뇌활동, 특히 기억력 증진에 도움이 되어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며,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해소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천연재의 추출물만으로 기억력과 학습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한다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총명탕 조성물이란, 기억력과 학습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 완화하는 탕, 즉 액상의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액상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총명탕 조성물은 음료, 액상차 등의 식품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약학 조성물로서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캡슐제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약재의 추출물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형화를 위해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가 첨가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총명탕 조성물은, 백복신, 원지, 석창포 및 연자육을 포함하는 천연재의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백복신, 원지 및 석창포는 종래 총명탕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건망증에 좋으며,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만, 이러한 백복신, 원지 및 석창포만을 사용할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였는바, 본 발명에서는 연자육을 천연재로서 더 사용함으로써, 기억력 향상 및 심리적 스트레스 완화를 통해 학습능력을 현저히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재로서 녹용, 지골피, 선령비, 백출, 백지, 원육, 백자인, 합환피, 자하거, 복령, 단삼, 용골, 모려, 구기자, 결명자, 감국, 산조인, 백작약, 인삼, 황기 및 영신초 중 1종 이상을 더 사용함으로써, 기억력 향상 및 심리적 스트레스 완화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녹용, 지골피 및 선령비는 도파민의 작용을 도와 집중력과 학습력을 더욱 개선해주고, 백출, 백지, 원육, 백자인 및 합환피는 시험불안, 두통, 과민성대장증후군 등을 예방하며, 영신초는 언어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자하거, 복령, 단삼, 용골 및 모려는 세로토닌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학습태도와 정서안정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구기자, 결명자 및 감국은 학습시 안구건조증, 눈의 피로감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며, 산조인, 백작약, 인삼 및 황기는 학생들의 수면장애와 만성피로를 돕는 역할을 하는바, 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녹용, 지골피 및 선령비 중 1종 이상; 백출, 백지, 원육, 백자인 및 합환피 중 1종 이상; 영신초; 자하거, 복령, 단삼, 용골 및 모려 중 1종 이상; 구기자, 결명자 및 감국 중 1종 이상; 산조인, 백작약, 인삼 및 황기 중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천연재에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재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백복신은 복령(구명장이버섯과 Polyporaceae)의 균핵으로 속에 소나무뿌리가 박힌 것을 의미하는바, 이를 건조한 약재이다. 상기 백복신은 이뇨, 억균작용, 장관이완작용, 궤양예방효과, 혈당강하작용, 심장수축력 증가, 면역증강작용, 항종양작용 등이 있어 건망증, 가슴두근거림 등에 사용된다. 상기 백복신은 천연재 내 100중량부로 사용된다.(이하, '중량부'는 상기 백복신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원지는 원지의 뿌리를 건조한 약재로, 거담제, 강장제, 강정제로 쓰인다. 상기 원지는 천연재 내 50~100중량부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창포는 석창포의 뿌리줄기를 건조한 약재로, 정신을 맑게 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풍습사(風濕邪)와 담(痰)을 없앤다. 상기 석창포는 천연재 내 50~100중량부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자육은 연꽃(Nelumbo nucifera Gaertner)의 씨로서 종피를 벗겨 말린 약재로, 비위를 돕고 정신과 기운 돋운다. 상기 연자육은 천연재 내 50~100중량부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용은 자라기 시작한 지 2개월 이내의 아직 각질화가 되지 않아 만져보면 약간 물렁할 정도로 조직이 연하고 털이 골고루 덮여 있는 수컷의 뿔을 사용하는바, 강장작용, 보혈작용, 강정작용, 진통작용, 조혈작용, 생장발육촉진작용, 심부전증 치료작용 및 기능항진작용 등의 치료학적 효과뿐만 아니라, 피로회복, 신체활력증강 및 신장의 이뇨기능강화효과 등 많은 효능을 갖고 있다. 상기 녹용은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지골피는 구기자나무의 뿌리껍질을 건조한 약재로, 혈압강하작용, 혈당강하작용 등이 있다. 상기 지골피는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선령비는 삼지구엽초의 지상부를 건조한 약재로, 정액분비촉진, 혈압강하,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혈당강하, 콜레스테롤강하, 면역기능증진, 진해, 거담, 평천, 진정작용, 억균, 소염작등 등의 작용을 한다. 상기 선령비는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백출은 백출의 뿌리줄기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말린 약재로서, 체중 증가와 지구력 증가, 탐식 능력을 증가, 세포 면역 기능 촉진 등의 작용을 한다. 상기 백출은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백지는 산형과의 구릿대(Angelica dahurica Bentham et Hooker) 또는 그 변종의 뿌리를 말려 만든 약재로서, 유행성 감기로 인한 두통, 코막힘, 콧물을 다스리는 진통약이며, 위장장애, 산전 산후두통, 어지럼증, 치통, 안면신경통, 마비 등에 유효하다. 또한 월경 뒤 하혈이나, 대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올 때, 축농증으로 인한 두통, 창양, 종독, 피부궤양 등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백지는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원육은 용안(Dimocarpus longan Lour.:龍眼)의 가종피를 건조한 것으로, 옴균억제, 강장작용, 항산화작용, 면역 기능활성화작용 등이 있다. 상기 원육은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백자인은 측백나무의 여문 씨를 말린 것으로, 심혈부족으로 잘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 쓰인다. 상기 백자인은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합환피는 자귀나무의 껍질을 말린 약재로, 건망증, 불면증, 폐농양, 부스럼, 골절 등에 사용된다. 상기 합환피는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자하거는 태반을 건조한 약재로, 정혈을 돕는다. 상기 자하거는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복령은 복령(Poria cocas Wolf.)의 균핵을 건조한 약재로, 예전부터 강장제로 사용되었으며, 질병을 앓고 난 후 허약한 사람이나 만성 위장병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복령은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단삼은 단삼의 뿌리를 건조한 약재로서, 혈액순환을 돕고, 어혈을 제거하며 사지관절 동통을 완화시킨다. 부인의 생리불순, 생리통, 산후복통, 어혈성심복부통, 타박상 등을 치료한다. 고열로 인한 정신혼몽, 헛소리, 번조, 불면증, 피부발진, 심계항진 등을 치료한다. 상기 단삼은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용골은 큰 포유동물의 뼈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신을 안정시키고 수렴(收斂) 작용을 한다. 상기 용골은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모려는 굴조개류의 조가비를 씻어 말린 것으로, 신경(腎經) ·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상기 모려는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구기자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비특이성 면역증강 작용, 조혈작용, 콜레스테롤강하작용, 항지방간작용, 혈압강하, 혈당강하, 생장촉진, 항암작용 등을 한다. 상기 구기자는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결명자는 결명의 씨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화(肝火)를 내려 눈이 충혈되고 붓고 아프며 눈물이 흐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상기 결명자는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감국은 감국 또는 국화의 말린 꽃을 의미하는 것으로, 눈과 머리를 시원하게 하고 눈물이 나는 것을 멎게 하며 열을 내린다. 가슴속에 열이 있어 답답한 증상, 폐렴, 기관지염, 두통, 어깨결림,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 간기능과 충혈, 생리불순과 여드름 등 피부트러블에 사용한다. 상기 감국은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산조인은 묏대추(Zizyphus jujuba Miller)의 씨로 만든 약재로, 신경과민, 불면증, 건망증, 식은땀 등에 사용한다. 또한, 비위를 튼튼하게 하고 빈혈에 효과가 있다. 상기 산조인은 천연재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백작약은 집함박꽃 Paeonia albiflora Pallas var. trichocarpa Bunge · 산함박꽃 Paeonia obovata Maxim.의 뿌리를 말린 약재로, 간경(肝經)·비경(脾經)·폐경(肺經)에 작용한다. 혈액을 풍부하게 하고 통증과 땀을 멎게 하며 지혈하고 간화(肝火)를 없애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상기 백작약은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인삼은 사포닌 등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체력보강에 유용하다. 상기 인삼은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황기는 황기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강장(强壯) 작용, 면역 기능 조절 작용, 소염 작용 등이 있다. 상기 황기는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영신초는 애기풀의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건조한 것으로, 기침, 천식, 백일해, 기관지염, 편도선염, 소아 간질병, 토혈, 골수염 등에 사용된다. 그밖에 종기와 뱀에 물린 상처의 치료에도 쓰인다. 상기 영신초는 천연재 내 1~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백복신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지 50~100중량부, 석창포 50~100중량부 및 연자육 50~10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녹용 1~50중량부, 지골피 1~50중량부, 선령비 1~50중량부, 백출 1~50중량부, 백지 1~50중량부, 원육 1~50중량부, 백자인 1~50중량부, 합환피 1~50중량부, 자하거 1~50중량부, 복령 1~50중량부, 단삼 1~50중량부, 용골 1~50중량부, 모려 1~50중량부, 구기자 1~50중량부, 결명자 1~50중량부, 감국 1~50중량부, 산조인 1~50중량부, 백작약 1~50중량부, 인삼 1~50중량부, 황기 1~50중량부 및 영신초 1~50중량부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는 각 천연재의 성분, 약리작용 등을 고려한 혼합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수추출물은 종래 게시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천연재에 5~2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이를 50~100℃로 1~24시간 가열하고, 여과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인 물을 제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총명탕 조성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항피로 활성 및 두뇌활동, 특히 기억력 증진에 우수한 활성을 가져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총명탕 조성물은, 상기 천연재로서 구상나무 50~100중량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한 백복신, 석창포, 원지 및 연자육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피로를 회복시키고, 체력을 증진시키며, 두뇌 활성을 증가시키고,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학습능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상나무는 소나무과의 여러해살이 상록 침엽 교목으로, 그 잎, 수피 및 구과 중 하나 이상을 건조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구상나무는 우수한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재는 아레카야자 1~10중량부, 무화과나무 1~10중량부 및 토란 1~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레카야자(Chrysalidorcarpus lutescens)는 가시가 없는 야자의 일종인 공기정화식물로서, 그 잎을 건조한 것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에 도움을 주어 더욱 우수한 학습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화과나무는 무화과나무의 잎을 건조한 것이고, 토란은 토란의 알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상기 무화과나무와 토란은 상기 백복신, 원지 및 석창포와 함께 사용시 인지력 및 학습력을 현저히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총명탕 조성물의 섭취량 또는 복용량(경구 투여)은 당업자의 수준 내의 범위에서 한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체질, 체중, 나이,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리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청소년 45kg 기준으로, 상기 총명탕 조성물 5~400ml를 1일 1 내지 2회 분할하여 복용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백복신 100g, 원지 100g, 석창포 100g 및 건조 연자육 100g을 혼합한 천연재에 10중량배의 물을 가한 후 90℃에서 4시간 환류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40℃로 냉각한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다시 90℃에서 20분간 살균하였다. 이때, 상기 천연재는 100mesh 정도로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녹용 5g, 백출 5g, 단삼 5g, 결명자 5g, 인삼 5g, 영신초 5g 및 구상나무 건잎 50g을 천연재로서 더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무화과나무의 건잎 10g, 토란의 알뿌리 건조물 10g을 천연재로서 더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백복신 100g, 원지 100g, 석창포 100g를 혼합한 천연재에 10중량배의 물을 가한 후 90℃에서 4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40℃로 냉각한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다시 90℃에서 20분간 살균하였다. 이때, 상기 천연재는 100mesh 정도로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기억력 증진효과 실험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시험물질을 20~40대의 사람들에게 4주간 경구 투여한 후, 기억력 개선 효과 및 기억력 감퇴의 보호 효과가 있는지 ADAS-cog 검사법(Mohs et al ., Psychopharmacol. Bull. , 19(3):448-450, 1983)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상기 검사법은 단어회상, 단어 지연회상, 단어재인, 검사지침 기억하기, 낱말 찾기 어려움, 알아듣기 총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영역의 점수를 합산하여 평가하였다.(점수가 낮을수록 수행이 좋다는 것(인식능력 및 기억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명의 피험자를 대조군(20명)과 처치1군(20명), 처치2군(20명), 처치3군(20)명, 처치4군(20명)에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처치1군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험물질을 1일 2회(150ml) 12주간 복용하게 하였으며, 처치2군에는 상기 실시예 2, 처치3군에는 상기 실시예 3, 처치4군에는 상기 비교예 1의 시험물질을 동일한 용량으로 동일기간 동안 복용하게 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증류수를 복용하게 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한 평가는 투여 전과 투여 4주 후에 각각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시험예 2 결과
구분 대조군 처치1군
(실시예 1)
처치2군
(실시예 2)
처치3군
(실시예 3)
처치4군
(비교예 1)
투여 전 투여 후 투여
투여
투여
투여
투여
투여
투여
투여
단어 회상 5.30 5.28 5.32 4.22 5.29 4.01 5.30 3.89 5.29 5.01
단어지연회상 6.37 6.30 6.35 4.45 6.43 4.13 6.42 4.01 6.43 4.82
단어 재인 4.50 4.48 4.51 3.73 4.35 3.31 4.35 3.20 4.36 4.01
검사지침 기억하기 0.38 0.40 0.39 0.17 0.31 0.14 0.32 0.12 0.33 0.21
낱말찾기 어려움 0.21 0.15 0.25 0.00 0.25 0.00 0.26 0.00 0.25 0.12
알아듣기 0.15 0.13 0.17 0.02 0.15 0.00 0.16 0.00 0.17 0.09
총점 16.91 16.74 16.99 12.59 16.79 11.59 16.81 11.22 16.83 14.26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처치군에서는 모두 ADAS-cog 지수가 현저히 감소한 반면, 대조군에서는 지수의 변동이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처치1군 내지 처치3군이 처치4군에 비하여 지수가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총명탕 조성물은 인식능력이나 기억력을 증진시킬 수 있어 학습능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항스트레스 활성 시험
실험동물은 생후 6주령된 Wister계 Rat 수컷(Shizuoka Laboratory Animal Center, JP)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 시작 전 1주일 동안 순화시킨 후 건강한 동물만을 이용하여 실험을 시작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2±1℃, 습도:50±10%, 조명:12hr/day로 조절하였다.
시험물질(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은 식이에 혼합하여 100mg/kg씩 1일 1회씩 4주간 경구투여 하였으며, 식이는 자유급여하였다.
스트레스는 구속 스트레스를 가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주간의 시료 투여 후, 5시간 동안 구속 케이지에서 이루어졌다.
실험군은 비스트레스 유발군(정상군, n=6), 스트레스 유발1군(실시예 1 투여군, n=6), 스트레스 유발2군(실시예 2 투여군, n=6), 스트레스 유발3군(실시예 3 투여군, n=6), 스트레스 유발4군(비교예 1 투여군, n=6), 스트레스 유발5군(시험물질 비투여군, n=6))으로 구성되었다.
항스트레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스트레스 유발군을 제외하고 구속 스트레스를 가한 직후, 코티졸(cortisol), 글루코오스(glucouse) 및 젖산(lactic acid)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결과
구분 코티졸의 혈중 농도(㎍/㎗) 글루코오스의 혈중 농도(㎍/㎗) 젖산의 혈중 농도(㎍/㎗)
비스트레스 유발군 6.86±3.43 105.29±5.82 8.26±2.48
스트레스 유발5군
(시험물질 -비투여군)
38.43±4.27 143.70±4.59 34.82±2.63
스트레스 유발1군
(실시예 1 투여군)
24.15±3.24 127.12±5.01 23.51±3.25
스트레스 유발2군
(실시예 2 투여군)
20.02±4.12 115.25±3.98 20.12±3.01
스트레스 유발3군
(실시예 3 투여군)
15.28±3.97 112.81±4.25 15.28±2.95
스트레스 유발4군
(비교예 1 투여군)
35.40±4.85 137.34±4.67 30.25±2.68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트레스 유발시 스트레스 유발5군(시험물질 비투여군)에 비해 스트레스 관련 혈중 표지 인자의 농도가 뚜렷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스트레스 유발4군(비교예 1 투여군)은 스트레스의 감소 효과가 미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백복신, 원지, 석창포, 연자육, 녹용, 백출, 단삼, 결명자, 인삼, 영신초 및 구상나무 건잎을 포함하는 천연재의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되,
    상기 천연재는,
    상기 백복신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지 100중량부, 석창포 100중량부, 연자육 100중량부, 녹용 5중량부, 백출 5중량부, 단삼 5중량부, 결명자 5중량부, 인삼 5중량부, 영신초 5중량부 및 구상나무 건잎 5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학습력 향상 또는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재는,
    무화과나무의 건잎 10중량부 및 토란의 알뿌리 건조물 1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학습력 향상 또는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KR1020190004138A 2019-01-11 2019-01-11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KR102151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138A KR102151019B1 (ko) 2019-01-11 2019-01-11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138A KR102151019B1 (ko) 2019-01-11 2019-01-11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606A KR20200087606A (ko) 2020-07-21
KR102151019B1 true KR102151019B1 (ko) 2020-09-02

Family

ID=7183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138A KR102151019B1 (ko) 2019-01-11 2019-01-11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194B1 (ko) * 2021-01-22 2023-04-27 신지환 인지기능 개선용, 기억력 개선용, 스트레스 완화용 및 항불안용 조성물
KR102527193B1 (ko) * 2021-01-22 2023-04-27 신지환 항우울용, 스트레스 완화용 및 항불안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418B1 (ko) * 2000-08-22 2004-11-09 김상근 글리신 결합 저해활성을 증진시키는 식품소재, 이를 이용한 치매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소재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20050021026A (ko) * 2001-06-15 2005-03-07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계의 이상으로부터발생하는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804480B1 (ko) * 2006-04-27 2008-02-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억력 증진 조성물
KR20140132469A (ko) * 2013-05-08 2014-11-18 주식회사 풀무원 기억력 및 집중력 증진에 효과적인 허브 조성물
KR101696422B1 (ko) * 2015-01-20 2017-01-1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총명떡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606A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0751B1 (en) Essential oil composition
AU749922B2 (en) A medicament for treating recurrent ulcer of mouth and Behcet's syndrome
KR102151019B1 (ko)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CN105614719A (zh) 一种美白祛斑的阿胶糕及其制备方法
KR10182673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255637B (zh) 一种养生酒及其酿制方法
CN106376820A (zh) 一种用于驱胃寒、保护胃黏膜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126160B (zh) 中药组合物与中药养生茶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10652552A (zh) 一种伤口愈合配方及制备方法
CN103417886B (zh) 一种治疗支气管哮喘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823293A (zh) 治疗口腔溃疡的瑶医外用散剂及其制备方法
CN103845628B (zh) 一种用于治疗猫破伤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6720723A (zh) 一种灵芝罗汉果茶及其制备方法
CN103798472B (zh) 一种保健茶及保健养生制剂
CN112402569A (zh) 一种抗疲劳保健品及其制备方法
CN109200191A (zh) 收敛生肌、淡斑美白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435798A (zh) 改善神经衰弱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9106842B (zh) 一种用于戒烟的药物及其制备方法
RU2792449C2 (ru) Состав фиточая, содержащего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е добавки
Malviya et al. The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Sarpagandha: Rauwolfia Serpentina
Chang et al.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hinese herbs, plants, and spices
ANTON et al. THE MEDICINAL RELEVANCE OF USING “OFFICINALE “AND “OFFICINALIS “AS PLANT SPECIES NAMES IN ROMANIAN FLORA
KR101759697B1 (ko) 안구 세정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06553B (zh) 一种降血脂的食品、保健品或药物组合物
CN104161960A (zh) 一种治疗肺心病的醋饮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