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261B1 - 승객당 정지 횟수를 제한하는 엘리베이터 차체 할당 전략 - Google Patents

승객당 정지 횟수를 제한하는 엘리베이터 차체 할당 전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261B1
KR101619261B1 KR1020147003893A KR20147003893A KR101619261B1 KR 101619261 B1 KR101619261 B1 KR 101619261B1 KR 1020147003893 A KR1020147003893 A KR 1020147003893A KR 20147003893 A KR20147003893 A KR 20147003893A KR 101619261 B1 KR101619261 B1 KR 101619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elevator
stops
eligible
c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894A (ko
Inventor
타리크 파루키
자나 에이. 스탠리
애슐리 채프만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40042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66B1/20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and for varying the manner of operation to suit particular traffic conditions, e.g. "one-way rush-hou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4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taking account of disturbance factors, e.g. variation of load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2Travel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2Travel time
    • B66B2201/213Travel time where the number of stops is limi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6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05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by input of special passenger or passenger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새로운 승객이 출발 층으로부터 목적지 층으로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하한의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이 순번화된다. 새로운 승객이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되었다면, 그 엘리베이터 차체에 각각 할당된 승객에 대한 정지 횟수가 판단된다. 순번화된 어느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적격한 차체인지가 판단되며, 상기 적격한 차체는 새로운 승객을 수용할 수 있고, 그 차체에 할당된 각각의 승객에 대한 정지 횟수를 원하는 최대 정지 횟수로 제한할 수 있다. 새로운 승객은 여하한의 적격한 차체들 중 가장 우선적인 순번을 갖는 적격한 차체에 할당된다.

Description

승객당 정지 횟수를 제한하는 엘리베이터 차체 할당 전략{ELEVATOR CAR ASSIGNMENT STRATEGY THAT LIMITS A NUMBER OF STOPS PER PASSENGE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객의 서비스 요청을 수용하는 다양한 엘리베이터 차체 할당 전략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접근법들은, 승객이 엘리베이터 차체에 승차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차체가 도착하기 전에 승객이 로비에서 보내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에 기초한다. 승객이 엘리베이터 차체에 승차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은 통상적으로 승객 만족도의 중요한 척도로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승객은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차체의 도착을 기다리는 긴 대기 시간을 짜증난다고 여긴다.
다른 엘리베이터 차체 할당 전략들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 작동에 요구되는 에너지의 양, 또는 차체가 이동하는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성능에 중점을 둔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작동 및 엘리베이터 승객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고려사항들은 승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어떻게 할당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과제들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새로운 승객이 출발 층으로부터 목적지 층으로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하한의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이 순번화된다(ranked). 새로운 승객이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되었다면, 그 엘리베이터 차체에 각각 할당된 승객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가 판단된다. 순번화된 어느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적격한 차체(qualified car)인지가 판단되며, 상기 적격한 차체는 새로운 승객을 수용할 수 있고, 그 차체에 할당된 각각의 승객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새로운 승객은 여하한의 적격한 차체들 중 가장 우선적인 순번(most favorable ranking)을 갖는 적격한 차체에 할당된다.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포함한다. 제어기는 승객이 출발 층으로부터 목적지 층으로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요청한 때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복수의 차체들의 여하한의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순번화한다. 새로운 승객이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된 경우, 제어기는 그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된 각각의 승객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기는 순번화된 어느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적격한 차체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격한 차체는 새로운 승객을 수용할 수 있고, 적격한 차체에 할당된 각각의 승객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제어기는 여하한의 적격한 차체들 중 가장 우선적인 순번을 갖는 적격한 차체에 새로운 승객을 할당한다.
당업자라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개시된 예시들의 다양한 특징들 및 장점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세한 설명을 동반한 도면들은 다음과 같이 간략히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차체들에 승객 요청들을 할당하는 예시적인 접근법을 요약한 흐름도; 및
도 2는 시스템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택된 부분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접근법을 요약한 흐름도(2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접근법은, 출발 층으로부터 의도한 목적지 층으로 승객이 수송되는 동안, 각각의 승객이 겪게 되는 정지 횟수를 제한한다.
도 1의 예시는 새로운 승객 요청의 출발 및 목적지 층에 관해 판단하는 단계 22에서 시작된다. 몇몇 예시들에서, 이는 승객이 엘리베이터 차체에 탑승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그 승객의 목적지를 판단하는 알려진 기술들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기에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알려진 목적지 입력 시스템(known destination entry systems)이 존재한다. 몇몇 예시들에서는, 목적지 입력 시스템이 모든 승객에 의해 사용되지 않더라도, 승객들이 겪게 되는 정지 횟수를 제한하는 개시된 기술들이 유용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알려진 목적지 입력 시스템들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24에서, 판단된 출발 층으로부터 판단된 목적지 층으로 새로운 승객을 수송하기 위한 유력한 후보(potential candidate)로서 고려될 수 있는 어느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적어도 하나의 기준(criterion)에 기초하여 순번화된다. 일 예시는, 예를 들어 승객이 엘리베이터 차체에 탑승하기 위한 대기 시간, 승객이 차체에 머무르는 시간(in-car time), 차체에 할당된 승객들의 수, 또는 차체의 현재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전선택된 순번 기준에 기초하여 여하한의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를 순번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시는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순번화하기 위해 이러한 기준 중 적어도 2 개의 조합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된 기준에 기초하여 더 우선적인 지위를 갖는 어느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또 다른 후보 차체보다 더 우선적으로 순번화된다.
일 실시예에서,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순번화하는 단계는, 승객이 차체에 탑승하기 위해 가장 짧은 대기 시간을 갖는 차체들이, 대기 시간이 더 긴 다른 차체들보다 더 우선적으로 순번화되는 것을 포함한다. 순번을 정하는 데 있어서 차체 내에서의 시간이 사용되는 예시들에서는, 승객이 엘리베이터 차체 내에 있는 더 짧은 시간이 더 긴 시간보다 더 우선적인 것으로 고려된다. 차체에 할당된 승객들의 수가 고려될 때에는, 덜 붐비는 차체가 더 많이 탄 차체보다 우선적이다. 몇몇 예시들은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순번화하는 알려진 기술들을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차체 할당 알고리즘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가능한 한 많은 승객에 대해 정지 횟수를 최소화하려고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일 실시예에서 차체들을 순번화하기 위한 기준 중 하나로서 감안된다(factored).
단계 26에서, 새로운 승객이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되는 경우, 그 차체에 할당된 각각의 승객에 대한 정지 횟수가 결정된다. 할당된 승객들은 현재 엘리베이터 차체에 탑승하고 있는 여하한의 승객들, 그리고 그 엘리베이터 차체에 타려고 기다리는 여하한의 승객들을 포함한다. 할당된 승객들은 차체에 들어간 승객들, 및 그들의 의도한 목적지를 입력하기 위한 차체 작동 패널을 사용한 승객들을 포함한다. 부연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구현들에서 목적지 입력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은 승객들을 수용할 수 있다. 할당된 승객들을 고려할 때, 개시된 예시는 할당된 승객들 중 어느 승객이 어느 한 시점에 엘리베이터 차체에서 내릴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시점은 엘리베이터 차체에 새로운 승객의 추가가 이러한 승객에 어떤 영향도 주지 않도록 하는 때이다.
각각의 승객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는 가능한 언제든지 사전선택된 최대 횟수 이내로 제한된다. 이전의 엘리베이터 차체 할당 알고리즘들은 특정 엘리베이터 차체에 의해 서비스되는 각각의 승객이 겪게 되는 정지 횟수를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개시된 예시는 엘리베이터 차체에 탑승하고 의도한 목적지에 도착하는 사이에 승객이 겪게 되는 정지 횟수를 제어함으로써 향상된 승객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계 28에서, 새로운 승객의 할당을 수용할 수 있는 어느 적격한 차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 예시에서 적격화된 차체는 상기 차체에 할당된 모든 승객들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가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로 제한된다. 새로운 승객이 적격한 차체에 할당되는 경우, 적격한 차체는 새로운 승객을 포함하는 모든 승객들에 대한 최대 정지 횟수를 만족시킨다.
일 예시에서, 원하는 최대 정지 횟수는 모든 승객들 및 모든 차체들에 대해 동일하다. 또 다른 예시에서, 원하는 최대 정지 횟수는 승객들에 따라 달라진다. 승객들 중 적어도 한 명은 적어도 한 명의 다른 승객에 비해 서로 상이한 원하는 최대 정지 횟수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선택된 승객들의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VIP 또는 다른 특별한 고려사항들을 수용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에서, 승객의 몇몇 신원이 확보되며, 도 1의 예시의 단계 28에서 판단할 때, 대응하는 최대 정지 횟수가 그 승객에 대해 고려된다.
또 다른 예시에서, 상이한 엘리베이터 차체들이 특정 타입의 서비스에 할당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차체들 중 하나의 승객에 대한 최대 정지 횟수는 또 다른 차체의 승객들에 대한 허용가능한 최대 횟수와 상이하다. 이러한 구성은 업 피크(up peak) 또는 다운 피크 이동(down peak travel)을 수용할 수 있고, 이러한 특별화된 서비스에 1 이상의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전담시킬(dedicate) 수 있다. 다른 엘리베이터 차체들은 상이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승객당 상이한 정지 횟수를 수용할 수 있다. 몇몇 예시들은 새로운 승객 요청이 수신된 시각(time of day)에 기초하여 원하는 최대 정지 횟수를 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예시의 단계 28에서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알고리즘은 시간 의존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는 요청이 이루어진(placed) 층, 목적지 층,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원하는 최대 정지 횟수를 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지상(ground level)으로부터 건물의 최상층 부근의 목적지로 이동하는 승객은 동일한 건물 내에서 더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승객보다 더 많은 정지를 겪게 될 수 있다. 이 설명을 감안한다면, 당업자는 특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특정 상황들 및 구성을 수용하기 위해 적절한 최대 정지 횟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단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하한의 적격한 차체들 중에 가장 우선적으로 순번화된 차체에 새로운 승객이 할당된다. 몇몇 경우에는, 가장 우선적으로 순번화된 적격한 차체가 가장 우선적으로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아닐 것이다. 예를 들어, 승객이 엘리베이터 차체에 승차하기 위한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차체가 가장 우선적으로 순번화될 수 있다. 하지만, 그 동일한 엘리베이터 차체는 이미 할당된 승객들을 가질 수 있으며, 새로운 승객이 그 차체에 할당되었다면, 이미 할당된 승객들의 정지 횟수가 원하는 최대치를 초과할 것이다. 한편, 덜 우선적으로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는 그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된 어느 승객에 대해 원하는 최대 정지 횟수를 초과하지 않고 새로운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는, 단계 28에서 적격한 차체가 없다고 판단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들 하에서는, 단계 32에서 할당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한 조정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한 명의 승객에 대한 최대 정지 횟수가 증가될 수 있다. 몇몇 예시들에서, 허용가능한 정지 횟수는 모든 승객들에 대해 증가될 수 있다. 상이한 승객들에 대해 상이한 지위(status) 또는 부류를 수용하는 다른 예시들에서는, 예를 들어 낮은 우선순위의 승객만이 그들의 정지 횟수가 증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는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적어도 한 명의 승객들에 대한 허용가능한 정지 횟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단계 32에서 조정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격한 차체를 찾기 위한 시도를 위해 모든 엘리베이터 차체들 또는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선택된 것들에 대해 허용가능한 정지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적격한 차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차체 할당을 하기 위한 결정 인자(deciding factor)로서 최소 대기 시간과 같은 또 다른 기준이 사용된다. 새로운 승객 요청을 할당하기 위한 후보 차체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차체의 현재 부하, 차체-내 시간, 또는 다른 인자와 같은 다른 기준이 사용된다.
단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된 기준을 이용하여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적격한 차체로서 적격한지를 판단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단계 30에서 할당을 위해 적격한 차체가 배치될 때까지 단계 32에서 또 다른 조정이 행해진다.
일 예시에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적격한 엘리베이터 차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모든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고려된다. 이러한 일 예시에서는,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하나에 새로운 승객 요청을 할당하기 전에, 모든 할당된 승객에 대한 정지 횟수가 고려될 것이다. 또 다른 예시에서, 가장 높은 또는 가장 우선적으로 순번화되는 후보 차체가 먼저 고려된다. 그 차체가 적격한 차체인 경우, 어느 다른 후보 차체를 고려하지 않고, 그 차체에 새로운 승객이 할당된다. 이러한 일 예시에서는, 적격한 차체가 식별되고 이후 새로운 승객이 그 차체에 할당될 때까지, 가장 우선적인 것부터 덜 우선적인 것까지 순서대로 후보 차체들이 고려된다.
도 2는 엘리베이터 시스템(40)의 예시적인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설명을 위해, 3 개의 엘리베이터 차체, 및 복수의 층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차체, 즉 차체 A는 현재 15 층의 42로 나타낸 위치에 있다. 차체 A는 아래로 이동하거나 할 것이다. 또 다른 엘리베이터 차체, 즉 차체 B는 44로 나타낸 위치에 있다. 차체 B는 아래로 이동하며, 도 2의 1 층에 있다. 제 3 엘리베이터 차체, 즉 차체 C는 46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다. 차체 C는 현재 위쪽으로 이동하며, 10 층을 지나고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기(50)는 엘리베이터 차체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차체들 각각에 관한 현재 상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알려진 기술들을 이용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기(50)는 각각의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된 승객들의 지위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할당된 승객들은 각 차체에 탑승한 승객들, 및 각 차체가 태우도록 할당된 승객들을 포함한다.
승객 인터페이스(52)는 승객이 엘리베이터 서비스 요청을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설명을 위해, 엘리베이터 차체에 아직 할당되지 않은 어느 승객이 새로운 승객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제어기(50)는 도 1에 예시되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할당 전략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하나에 새로운 승객을 할당하도록 고려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승객이 로비 층으로부터 15 층으로 가기 위해 요청을 입력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어느 하나의 어느 승객에 대한 원하는 최대 정지 횟수가 현재 3회로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도 2에 예시된 조건들이 주어진다면, 차체 A는 로비로 가기를 원하는 이미 할당된 승객을 태우기 위해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 14 층에 정지할 것이다. 또한, 차체 A는 아래 로비로 가기를 원하는 이미 할당된 승객을 태우기 위해 11 층에 정지할 것이다. 이는 도 2에서 56으로 나타나 있다. 차체 A가 로비로 가는 도중에 발생할 또 다른 정지는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비로 가기 위해 이미 차체 A에 할당된 또 다른 승객을 태우기 위해 일어난다. 차체 A는 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비에 도착하여, 승객이 의도한 목적지에서 엘리베이터 차체를 나갈 수 있게 할 것이다.
차체 B는 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1 층에 있으며, 로비로부터 11 층으로 가도록 할당된 승객을 태우기 위해 아래로 향하고 있다. 11 층으로 가는 도중에, 차체 B는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 층에서 할당된 승객을 태우기 위해 정지할 것이다. 그 승객은 5 층에 가려고 하므로, 차체 B는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할 것이다. 또한, 차체 B는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6 층에서 11 층으로 가기를 원하는 승객을 태우도록 할당되었다. 70에서, 차체 B는 2 명의 승객들의 할당된 목적지에 도착할 것이며, 여기서 승객들이 차체를 나갈 것이다.
차체 C는 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 층으로부터 로비로 가기를 원하는 그 차체에 할당된 승객을 태우기 위해 현재 10 층에서 위로 올라가고 있다. 그 후, 차체 C는 7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할당된 목적지(즉, 로비)를 향해 아래로 진행할 것이다.
이 예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50)는 로비로부터 15 층으로 새로운 승객을 수송하기 위해 유력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로서 3 개의 차체를 모두 고려한다.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순번화할 때, 차체 B가 로비에 가장 가깝고 새로운 승객에 대해 가장 짧은 대기 시간을 제공할 것이기 때문에, 차체 B가 가장 우선적으로 순번화된다. 예를 들어, 차체 B는 수 초 내에 새로운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차체 B가 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비에서 승객을 태우도록 이미 할당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승객은 3 층 또는 6 층에서 차체 B에 타도록 할당된 승객들의 대기 시간을 증가시키지 않을 것이다. 이 예시에서는, 새로운 승객을 태우기 위해 차체 C가 차체 A보다 빨리 로비에 도착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 C는 차체 B 다음에 두 번째로 순번화될 것이다. 설명을 위해, 차체 C는 차체 A보다 약 30 초 빨리 도착할 수 있다.
할당된 모든 승객들에 대한 정지 횟수가 원하는 최대치인 3 회 정지로 제한되는 어느 적격한 차체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때, 차체 A 및 C만이 적격한 차체들이다. 차체 B는 이미 할당된 승객들의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3 층 및 6 층에서 정지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차체 B는 66 및 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할당된 목적지인 5 층 및 11 층에도 정지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승객이 차체 B에 할당된다면, 그 승객은 15 층에 도착하기 전에 3 회보다 많이 정지할 것이다. 그러므로, 차체 B가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가장 우선적으로 순번화되었더라도, 차체 B는 이러한 상황들 하에서 적격한 차체가 아니다.
이 예시에서, 차체 A 및 차체 C가 각각 적격한 차체이다. 새로운 승객이 이러한 차체에 할당된 경우, 이 차체들 중 어느 차체의 승객도 원하는 제한치인 3 회를 넘는 정지 횟수를 겪지 않을 것이다. 이 예시에서, 차체 C가 로비에 더 빨리 도착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 C가 차체 A보다 더 우선적으로 순번화된다. 그러므로, 제어기(50)는 차체 C에 새로운 승객을 할당한다.
로비로부터 9 층으로 가기 위한 승객 요청이 수신되는 또 다른 예시를 고려한다. 출발 층이 이전의 예시에서와 같이 로비 층이고, 시스템의 현재 상태가 이전의 예시에서와 같이 동일하기 때문에, 후보 차체들은 이전의 예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순번화된다. 먼저, 가장 우선적으로 순번화되는 후보 차체를 고려하면, 차체 B가 그 차체에 할당된 어떠한 승객들의 대기 시간도 증가시키지 않고 새로운 승객의 할당을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승객이 차체 B에 할당되는 경우, 로비로부터 11 층으로 가기를 원하는 그 차체에 이미 할당된 승객이 3 회보다 많이 정지해야 할 것이므로, 차체 B는 적격한 차체가 아니다. 이 예시적인 상황에서는, 차체 C 및 A가 모두 적격한 차체들이다. 차체 C는 이 2 개의 차체들 중에 더 우선적으로 순번화된다. 제어기(50)는 이 예시에서 차체 C에 새로운 승객 요청을 할당한다.
이전의 설명은 본질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를 위한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개시된 예시들에 대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주어진 법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들을 검토함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 있다.

Claims (20)

  1.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승객이 출발 층으로부터 목적지 층으로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순번화(rank)하는 단계;
    새로운 승객이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된 경우, 상기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에 각각 할당된 승객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적격한 차체(qualified car)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적격한 차체는 새로운 승객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적격한 차체에 할당된 각각의 승객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 이내로 제한할 수 있음 -; 및
    적격한 차체들 중 가장 우선적인 순번(most favorable ranking)을 갖는 적격한 차체에 새로운 승객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어느 것도 현재 엘리베이터 시스템 상태에 적격한 차체가 아니면: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하나에 새로운 승객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승객들 중 적어도 한 명에 대한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를 사전선택된 최대치보다 상향된 최대치로 적어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상향된 최대치에 기초하여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적격한 차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적격한 차체는 새로운 승객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적격한 차체에 할당된 승객들 중 적어도 한 명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상기 상향된 최대치 이내로 제한할 수 있음 -; 및
    상기 상향된 최대치에 기초하여 적격한 차체들 중 가장 우선적인 순번을 갖는 적격한 차체에 새로운 승객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승객들 중 적어도 한 명에 대한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를 적어도 한 명의 다른 승객과 상이하게 증가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할당된 승객에 대한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된 승객과 상이하게 증가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기준은:
    승객이 엘리베이터 차체에 탑승하기 위한 대기 시간,
    승객이 차체에 머무르는 시간(in-car time),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된 승객들의 수, 또는
    엘리베이터 차체의 현재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승객에 대한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제 1 최대 정지 횟수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최대 정지 횟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승객에 대한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제 2 최대 정지 횟수와 상이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된 승객의 출발 층,
    선택된 승객의 목적지 층,
    선택된 승객으로부터 요청이 수신된 시각(time of day);
    선택된 승객의 이동 방향, 또는
    선택된 승객의 지위(status) 또는 신원,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여, 선택된 승객에 대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승객이 엘리베이터 차체에 탑승하기 위한 대기 시간, 승객이 차체에 머무르는 시간, 차체에 할당된 승객들의 수, 또는 차체의 현재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승객들 중 적어도 한 명에 대한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를 사전선택된 최대치보다 상향된 최대치로 적어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상향된 최대치에 기초하여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적격한 차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적격한 차체는 새로운 승객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적격한 차체에 할당된 승객들 중 적어도 한 명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상기 상향된 최대치 이내로 제한할 수 있음 -; 및
    상기 상향된 최대치에 기초하여 적격한 차체들 중 가장 우선적인 순번을 갖는 적격한 차체에 새로운 승객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에 대하여 상기 할당된 승객들의 각각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최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11.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차체;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새로운 승객이 출발 층으로부터 목적지 층으로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을 순번화하며;
    새로운 승객이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된 경우, 상기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에 각각 할당된 승객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판단하고;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적격한 차체인지를 판단하며 - 상기 적격한 차체는 새로운 승객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적격한 차체에 할당된 각각의 승객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 이내로 제한할 수 있음 -;
    적격한 차체들 중 가장 우선적인 순번을 갖는 적격한 차체에 새로운 승객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어느 것도 현재 엘리베이터 시스템 상태에 적격한 차체가 아니면,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하나에 새로운 승객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승객들 중 적어도 한 명에 대한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를 사전선택된 최대치보다 상향된 최대치로 적어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상향된 최대치에 기초하여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적격한 차체인지를 판단하며 - 상기 적격한 차체는 새로운 승객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적격한 차체에 할당된 승객들 중 적어도 한 명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상기 상향된 최대치 이내로 제한할 수 있음 -;
    상기 상향된 최대치에 기초하여 적격한 차체들 중 가장 우선적인 순번을 갖는 적격한 차체에 새로운 승객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승객들 중 적어도 한 명에 대한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를 적어도 한 명의 다른 승객과 상이하게 증가시키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차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할당된 승객에 대한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된 승객과 상이하게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기준은:
    승객이 엘리베이터 차체에 탑승하기 위한 대기 시간,
    승객이 차체에 머무르는 시간,
    엘리베이터 차체에 할당된 승객들의 수, 또는
    엘리베이터 차체의 현재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적어도 한 명의 승객에 대한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제 1 최대 정지 횟수를 이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최대 정지 횟수는 적어도 한 명의 다른 승객에 대한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제 2 최대 정지 횟수와 상이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선택된 승객의 출발 층,
    선택된 승객의 목적지 층,
    선택된 승객으로부터 요청이 수신된 시각;
    선택된 승객의 이동 방향, 또는
    선택된 승객의 지위,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여, 선택된 승객에 대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승객이 엘리베이터 차체에 탑승하기 위한 대기 시간, 승객이 차체에 머무르는 시간, 차체에 할당된 승객들의 수, 또는 차체의 현재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승객들 중 적어도 한 명에 대한 사전선택된 엘리베이터의 최대 정지 횟수를 사전선택된 최대치보다 상향된 최대치로 적어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상향된 최대치에 기초하여 순번화된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가 적격한 차체인지를 판단하며 - 상기 적격한 차체는 새로운 승객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적격한 차체에 할당된 승객들 중 적어도 한 명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상기 상향된 최대치 이내로 제한할 수 있음 -; 및
    상기 상향된 최대치에 기초하여 적격한 차체들 중 가장 우선적인 순번을 갖는 적격한 차체에 새로운 승객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후보 엘리베이터 차체들에 대하여 상기 할당된 승객들의 각각이 겪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횟수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147003893A 2011-07-15 2011-07-15 승객당 정지 횟수를 제한하는 엘리베이터 차체 할당 전략 KR101619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1/044188 WO2013012410A1 (en) 2011-07-15 2011-07-15 Elevator car assignment strategy that limits a number of stops per passe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894A KR20140042894A (ko) 2014-04-07
KR101619261B1 true KR101619261B1 (ko) 2016-05-10

Family

ID=4755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893A KR101619261B1 (ko) 2011-07-15 2011-07-15 승객당 정지 횟수를 제한하는 엘리베이터 차체 할당 전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05584B2 (ko)
JP (1) JP5710073B2 (ko)
KR (1) KR101619261B1 (ko)
CN (1) CN103648948B (ko)
GB (1) GB2507216A (ko)
WO (1) WO2013012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8295B1 (en) 2014-11-13 2023-05-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ntrol system overlay system
US10027578B2 (en) 2016-04-11 2018-07-1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routable prefix queries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CN111422710B (zh) * 2020-03-30 2022-08-09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运行控制方法、装置及电梯
CN112508216A (zh) * 2020-12-16 2021-03-16 李皎 一种基于云计算的客户预约系统及其服务资源分配方法
CN114634071B (zh) * 2022-01-30 2022-12-13 别克派利尔电梯(扬州)有限公司 基于电梯调度神经网络训练的人工智能优化操作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880B1 (ko) 1999-01-29 2001-07-12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00282544A1 (en) 2007-12-20 2010-11-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US20100314202A1 (en) 2008-03-17 2010-12-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ing control for sway mitigation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7688A (en) * 1974-09-04 1977-07-2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US4046227A (en) * 1974-09-04 1977-09-0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US4058187A (en) 1975-09-04 1977-11-1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Limited stop elevator dispatching system
CH648001A5 (de) 1979-12-21 1985-02-28 Inventio Ag Gruppensteuerung fuer aufzuege.
ATE37015T1 (de) 1985-04-22 1988-09-15 Inventio Ag Einrichtung zur lastabhaengigen steuerung eines aufzuges.
JPH0694341B2 (ja) * 1986-02-25 1994-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待時間予測装置
JP2601500B2 (ja) * 1988-03-11 1997-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US5243155A (en) 1991-04-29 1993-09-07 Otis Elevator Company Estimating number of people waiting for an elevator car based on crop and fuzzy values
US5219042A (en) 1991-12-17 1993-06-15 Otis Elevator Company Using fuzzy logic to determine the number of passengers entering and exiting an elevator car
JP3073650B2 (ja) * 1994-05-18 2000-08-07 株式会社東芝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US5780789A (en) * 1995-07-21 1998-07-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Group managing system for elevator cars
US5767462A (en) 1995-11-30 1998-06-16 Otis Elevator Company Open loop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US5750946A (en) 1995-11-30 1998-05-12 Otis Elevator Company Estimation of lobby traffic and traffic rate using fuzzy logic to control elevator dispatching for single source traffic
FI111929B (fi) 1997-01-23 2003-10-15 Kone Corp Hissiryhmän ohjaus
JP2003081541A (ja) * 2001-09-14 2003-03-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群管理システム
SG126743A1 (en) 2003-03-10 2006-11-29 Inventio Ag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 lift installation
JP5146448B2 (ja) * 2007-03-26 2013-02-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1573281B (zh) * 2007-03-29 2012-04-0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
WO2009024853A1 (en) * 2007-08-21 2009-02-26 De Groot Pieter J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 control system
JP4469897B2 (ja) * 2008-01-22 2010-06-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WO2009123014A1 (ja) * 2008-04-03 2009-10-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DE112009002239T5 (de) 2008-09-19 2011-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Fahrstuhl-Verwaltungssystem
JP5081875B2 (ja) * 2009-08-03 2012-1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り場行先階予約式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CN102596776B (zh) * 2009-11-09 2015-02-25 三菱电机株式会社 双层电梯组群管理装置
CN103249661B (zh) * 2010-09-30 2015-03-18 通力股份公司 电梯系统
US8950555B2 (en) * 2011-04-21 2015-02-10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for scheduling cars in elevator systems to minimize round-trip tim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880B1 (ko) 1999-01-29 2001-07-12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00282544A1 (en) 2007-12-20 2010-11-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US20100314202A1 (en) 2008-03-17 2010-12-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ing control for sway miti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10073B2 (ja) 2015-04-30
CN103648948A (zh) 2014-03-19
GB201401081D0 (en) 2014-03-12
KR20140042894A (ko) 2014-04-07
US9505584B2 (en) 2016-11-29
JP2014522793A (ja) 2014-09-08
WO2013012410A1 (en) 2013-01-24
CN103648948B (zh) 2016-08-17
GB2507216A (en) 2014-04-23
US20140166409A1 (en)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757B2 (en) Elevator car assignment control strategy with passenger group separation and future serviceability features
KR101619261B1 (ko) 승객당 정지 횟수를 제한하는 엘리베이터 차체 할당 전략
KR101631787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US9126807B2 (en) Elevator dispatch control to avoid passenger confusion
KR10126221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현대화 동안의 동적 엘리베이터 차체 디스패칭
US9481547B2 (en) Elevator system with dynamic traffic profile solutions
WO2007049342A1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5705704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0538948A (ja) かご離間制御を含む多かご昇降路
EA023522B1 (ru) Лифтовая система
US7392883B2 (e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US9126806B2 (en) Elevator system with distributed dispatching
US20070045052A1 (en) Elevator car dispatching including passenger destination information and a fuzzy logic algorithm
WO2005092762A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4732343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EP1851155A1 (en) Calls assigned to one of two cars in a hoistway to minimze delay imposed on either car
WO2013030442A1 (en) A method for allocating elevators and an elevator system
JP2020019611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及び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EP2221266B1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system
JP7001720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024799B1 (ko) 승강기 통행 제어
JP2013184786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WO2014188591A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