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135B1 -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 Google Patents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135B1
KR101618135B1 KR1020157013005A KR20157013005A KR101618135B1 KR 101618135 B1 KR101618135 B1 KR 101618135B1 KR 1020157013005 A KR1020157013005 A KR 1020157013005A KR 20157013005 A KR20157013005 A KR 20157013005A KR 101618135 B1 KR101618135 B1 KR 101618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rotruding
ring
protrus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371A (ko
Inventor
다쿠야 가토
Original Assignee
다쿠야 가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쿠야 가토 filed Critical 다쿠야 가토
Publication of KR20150070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7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for positioning the cap on the container, 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ap, or for preventing accidental loosening of the c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50Tamper-band co-operating with intermediate ring connect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예상치 못한 개전을 방지하는 캡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이 과제의 해결을 위해, 상부에 나사선부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환형 턱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환형 목부가 각각 형성된 입부를 가지는 용기체의 상기 나사선부에 나선장착되는 캡부; 및 상기 캡부의 하부에 끊김 파단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환형 턱부에 되접어 꺽은 상태에 맞물릴 수 있는 탄성편이 설치되고, 상기 환형 턱부와 상기 환형 목부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전 표시 기능을 가지는 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캡부의 예상치 못한 개전회전을 저지하는 잠금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CAP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패트병 등의 합성 수지제 용기나 금속제 용기 등의 입부(mouth part)에 사용되는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캡및 이를 구비한 용기로서, 상부에 나사선부(threaded part)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환형 턱부(annular jaw part)가 형성되고, 하부에 환형 목부(annular neck part)가 각각 형성된 입부를 가지는 용기체(container body)의 나사선부에 나선장착되는 캡부(cap part), 및 캡부의 하부에 끊김 파단부(tear breakage part)를 통해 연결되고, 환형 턱부에 되접어 꺾은 상태로 맞물릴 수 있는 탄성편(elastic piece)을 가지고 마개 개방(이하, 개전(開栓)이라고 함) 표시 기능을 가지는 링부(ring part)로 이루어지는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캡부의 개전회전(開栓回轉)에 의해 캡부로부터 링부가 끊김 파단부에서 분리되고, 링부가 용기체의 입부에 잔류하며, 링부가 탬퍼 증거 밴드(tamper evidence band)로서 개전 표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184096호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1982(소57)-009240호
그러나, 상기 종래 구조의 경우, 초기의 폐전(출하 시의 폐전 상태)에서 개봉한 후의 폐전(재밀봉 시의 폐전 상태) 후에, 잘못하여, 상기 캡부를 개전회전시켜 버릴 우려가 있으며, 이 예상치 못한 개전에 의해, 음료의 탄산 누출에 의한 풍미의 저하가 생기거나, 또는 액제의 휘발이나 액 누출에 의해 유아나 노인에 대한 안전성이 저하되거나 하는 일이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 중에서,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부에 나사선부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환형 턱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환형 목부가 각각 형성된 입부를 포함하는 용기체의 상기 나사선부에 나선장착되는 캡부; 및 상기 캡부의 하부에 끊김 파단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환형 턱부에 되접어 꺽은 상태로 맞물릴 수 있는 탄성편이 설치되고, 상기 환형 턱부와 상기 환형 목부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전 표시 기능을 가지는 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캡부의 예상치 못한 개전회전을 저지하는 잠금 기구(lock mechanism)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 기구로서, 상기 링부의 외주면에 선단부를 쐐기형으로 형성한 돌기부를 설치하고, 상기 캡부에 상기 링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돌기부가 끼움장착되어 캡부의 예상치 못한 개전회전(開栓回轉)을 저지하는 잠금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돌기부가 이탈하여 상기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해제 상태로 하는 돌기 감탈부(突起 嵌脫部)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에 있다.
또한,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돌기부 및 상기 돌기 감탈부는, 각각 대향하여 2개 한 쌍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돌기 감탈부로서,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 수하부(垂下部)를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수직 설치하고, 상기 수하부에 상기 돌기부가 끼움장착되는 감탈 구멍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수하부의 하면을 상기 캡부의 폐전회전(閉栓回轉)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내려가는 경사 하면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기부의 상면을 상기 경사 하면에 대면하여 상기 캡부의 폐전회전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내려가는 경사 상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링부에 규제 돌기부를 설치하고, 상기 캡부에 상기 규제 돌기부와 접촉하여 상기 캡부의 개전회전 시에 상기 돌기 감탈부로의 상기 돌기부의 끼움장착을 방지하는 접촉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캡부의 상기 수하부를 제외한 주위 부분에 수하 주벽부(垂下周璧部)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링부에 상기 돌기 감탈부의 감탈 구멍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괘지부(掛止部)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1항에 기재된 캡을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부에 나사선부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환형 턱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환형 목부가 각각 형성된 입부를 가지는 용기체의 나사선부에 나선장착되는 캡부; 및 캡부의 하부에 끊김 파단부를 통해 연결되고, 환형 턱부에 되접어 꺾은 상태로 맞물릴 수 있는 탄성편이 설치되고, 환형 턱부와 환형 목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전 표시 기능을 가지는 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캡부의 예상치 못한 개전회전을 저지하는 잠금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 기구로서, 상기 링부의 외주면에 선단부를 쐐기형으로 형성한 돌기부를 설치하고, 상기 캡부에 링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돌기부가 끼움장착되어 캡부의 예상치 못한 개전회전을 저지하는 잠금 상태로 하고 또한 돌기부가 이탈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해제 상태로 하는 돌기 감탈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므로, 잠금 기구의 존재에 의해, 폐전 후에, 잘못하여, 상기 캡부를 개전회전시켜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이 예상치 못한 개전에 의해, 음료의 탄산 누출에 의한 풍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개전 후에서의 품질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고, 또는 액제의 휘발이나 액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유아나 노인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잠금 조작 및 해제 조작은, 상기 링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행하는 구조이므로, 잠금 조작 및 해제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 및 각종 용기체에 대한 적용의 융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잠금 기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제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돌기부 및 상기 돌기 감탈부는, 각각, 대향하여 2개 한 쌍 설치되어 있으므로, 캡부의 잠금 상태의 안정화, 잠금 조작 및 해제 조작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돌기 감탈부로서,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 수하부를 캔틸레버 형태로 수직 설치하고, 수하부에 상기 돌기부가 끼움장착되는 감탈 구멍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돌기부와 감탈 구멍부와의 끼움/이탈(감탈)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잠금 조작 및 해제 조작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수하부의 하면을 상기 캡부의 폐전회전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내려가는 경사 하면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기부의 상면을 상기 경사 하면에 대면하여 상기 캡부의 폐전회전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내려가는 경사 상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캡부의 폐전회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그만큼, 캡부의 개전 및 폐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링부에 규제 돌기부를 설치하고, 상기 캡부에 규제 돌기부와 접촉하여 캡부의 개전회전 시에 상기 돌기 감탈부로의 상기 돌기부의 끼움장착을 방지하는 접촉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므로, 규제 돌기부와 접촉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돌기 감탈부로의 상기 돌기부의 끼움장착을 방지하여, 캡부의 개전회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6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캡부의 상기 수하부를 제외한 주위 부분에 수하 주벽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캡부의 수하부 및 수하 주벽부가 환형으로 연속하여 존재함으로써, 캡부에 수하부가 수직 설치되어 있는 특이한 형태에 비해, 전체 형태로부터 생기는 위화감을 없앨 수 있고, 또한, 제7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링부의 괘지부에 상기 돌기 감탈부의 감탈 구멍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괘지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개전한 캡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어, 캡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캡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캡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링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링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출하 시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 6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개전과정의 측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 8의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개전과정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 10의 평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개전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폐전과정의 측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 13의 평단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폐전과정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폐전과정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폐전과정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폐전과정의 측면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잠금 과정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 19의 평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잠금 시의 측면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 21의 평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 21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잠금 해제 과정의 측면도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 24의 평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캡부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캡부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캡부의 평면도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링부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 내지 도 25는 제1 실시예, 도 26 내지 도 29는 제2 실시예, 도 30, 도 31은 제3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25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크게 나누어, 용기체(1)의 입부(K)에 나선장착되는 캡부(2) 및 링부(3)로 이루어지고, 용기체(1)에는, 입부(K)의 상부에 나사선부(1a)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환형 턱부(1b)가 형성되고, 하부에 환형 목부(1c)가 각각 형성되고, 이 입부(K)를 가지는 용기체(1)의 나사선부(1a)에 캡부(2)가 나선장착되고, 캡부(2)의 내주면에 암나사부(2c)가 형성되고, 캡부(2) 상벽 내면에 내부 플랜지부(inner flange portion)(2d)가 형성되고, 이 캡부(2)의 하부에 끊김 파단부(S)를 통해 링부(3)가 연결되고, 링부(3)에는, 환형 턱부(1b)의 바닥 주위부에 선단부가 되접어 꺾은 상태로 맞물릴 수 있는 탄성편(3a)이 설치되고, 환형 턱부(1b)와 환형 목부(1c)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캡부(2)의 개전회전(L)에 의해 캡부(2)로부터 링부(3)가 끊김 파단부(S)에서 떼어내지고, 링부(3)가 용기체(1)의 입부(K)에 잔류하고, 링부(3)가 탬퍼 증거 밴드(개변(改變)되었을 때의 증거)로서 개전 표시 기능을 가진다.
도면부호 4는 잠금 기구로서, 상기 링부(3)의 회전 조작(M)에 의해 상기 캡부(2)의 예상치 못한 개전회전(L)을 저지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경우,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링부(3)의 외주면에 선단부(5a)를 쐐기형으로 형성한 돌기부(5)를 설치하고, 상기 캡부(2)에 링부(3)의 회전 조작(M)에 의해 돌기부(5)가 끼움장착되어 캡부(2)의 예상치 못한 개전회전(L)을 저지하는 잠금 상태로 하고 또한 돌기부(5)가 이탈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해제 상태로 하는 돌기 감탈부(6)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돌기부(5) 및 상기 돌기 감탈부(6)는, 각각 대향해 2개 한 쌍 설치되고, 이 경우, 링부(3)의 4곳의 균등 간격의 배치 위치에 돌기부(5) 및 상기 돌기 감탈부(6)를 번갈아 배치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돌기 감탈부(6)로서, 상기 캡부(2)의 외주면에 수하부(2a)를 캔틸레버 형태로 수직 설치하고, 수하부(2a)에 상기 돌기부(5)가 끼움장착되는 감탈 구멍부(6a)를 형성하고, 감탈 구멍부(6a)의 회전 방향 양 측부의 내면에 얇은 홈부(H)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이 경우, 도 15, 도 16과 같이, 캡부(2)의 나사선부(1a)의 리드 각을 고려하여, 상기 수하부(2a)의 하면을 상기 캡부(2)의 폐전회전(R)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내려가는 경사 하면(6b)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기부(5)의 상면을 상기 경사 하면(6b)에 대면하여 상기 캡부(2)의 폐전회전(R)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내려가는 경사 상면(5b)에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이 경사 상면(5b)과 상기 경사 하면(6b)은 서로 밀착될 우려가 있는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지 않고, 개방각 θ로 대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도 1, 도 8과 같이, 상기 링부(3)에 규제 돌기부(7)를 설치하고, 상기 캡부(2)에 규제 돌기부(7)와 접촉하여 캡부(2)의 개전회전(L) 시에 상기 돌기 감탈부(6)로의 상기 돌기부(5)의 끼움장착을 방지하는 접촉부(8)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제1 실시예는 상기 구성이므로, 개전과정에 대해,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초기 상태(상품 구입시)에서, 도 6, 도 7과 같이, 상기 캡부(2) 및 상기 링부(3)는 용기체(1)의 입부(K)에 장착되어 있고, 이 초기 상태에서, 도 8, 도 9과 같이, 캡부(2)를 개전회전(L)(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회전)시키면, 캡부(2)는 나사선부(1a)의 나선장착 회전에 의해 상승하여, 끊김 차단부(S)에 의해 캡부(2)와 링크부(3)가 분리된다. 도 8, 도 9와 같이, 회전 도중에, 돌기 감탈부(6)의 접촉부(8)에 링부(3)의 규제 돌기부(7)가 접촉하고, 개전회전(L)에 의해 링부(3)는 캡부(2)와 동반 회전되어 캡부(2)의 개전회전(L) 시에 상기 돌기 감탈부(6)로의 상기 돌기부(5)의 끼움장착을 방지하게 된다. 거듭되는 개전회전(L)에 의해, 도 10, 도 11과 같이, 접촉부(8)로부터 규제 돌기부(7)가 떠나고, 캡부(2)의 수하부(2a)의 측면에 돌기부(5)의 선단부(5a)가 접촉하고, 캡부(2)의 개전회전(L)에 의해 링부(3)는 동반 회전되어, 도 12와 같이, 링부(3)는 용기체(1)의 입부(K)에 잔류하고, 캡부(2)는 입부(K)로부터 이탈하여 개전과정이 완료하게 된다.
이 개전과정 종료로부터의 폐전과정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3, 도 14와 같이, 캡부(2)를 폐전회전(R)(평면에서 볼 때 시계 회전)시키면, 회전 도중에, 돌기부(5)의 기단부(基端部)에 수하부(2a)의 측면이 접촉하, 링부(3)는 캡부(2)의 폐전회전(R)에 동반 회전되고, 이 때, 나사선부(1a)의 리드 각(lead angle)의 존재에 의해, 도 15 내지 도 16과 같이, 돌기 감탈부(6)와 돌기부(5)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캡부(2)는 폐전회전(R)하면서 하강하거나, 또는 도 17과 같이, 돌기 감탈부(6)와 돌기부(5)가 부딪쳤다고 해도, 도 18와 같이, 링부(3)는 캡부(2)와 동반 회전하게 되어, 도 6, 도 7과 같이, 캡부(2) 상벽 내면과 용기체(1)의 입부(K)의 상단면이 서로 부딪쳐 접촉하고, 캡부(2)와 링부(3)는 끊김 파단부(S)를 경계로 대향해 폐전과정이 종료한다.
그리고, 이 폐전과정 종료 후의 캡부(2)의 예상치 못한 개전회전(L)을 저지하는 잠금 과정 및 해제 과정에 대해, 도 19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9, 도 20과 같이, 링부(3)를 회전 조작(M)(평면에서 볼 때 시계 회전)시키면, 링부(3)의 돌기부(5)는 돌기 감탈부(6)의 얇은 홈부(H)를 거쳐 감탈 구멍부(6a)로 진입하고, 이 때 돌기 감탈부(6)의 얇은 홈부(H)는 탄성 확장 변형되고, 또 돌기 감탈부(6)가 구비하는 수하부(2a)의 캔틸레버 상태에 의해 탄성 휨 변형되고, 도 21, 도 22, 도 23과 같이, 돌기부(5)는 돌기 감탈부(6)에 끼움장착되어 잠금 상태가 되고, 이 잠금 상태에서, 캡부(2)를, 도 8에 나타낸 개전회전(L)시키려고 하면, 리드 각의 존재에 의해 캡부(2)는 개전회전(L)하면서 상승하고, 이로써, 캡부(2)에 형성된 돌기 감탈부(6)의 감탈 구멍부(6a)의 아래 내면과 돌기부(5)의 바닥면이 서로 충돌 접촉하여, 캡부(2)의 개전회전(L)이 저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 잠금 상태의 해제 과정에서, 도 24, 도 25와 같이, 링부(3)를 회전 조작(M)(평면에서 볼 때 시계 회전)시키면, 돌기부(5)는 돌기 감탈부(6)의 감탈 구멍부(6a)로부터 얇은 홈부(H)를 거쳐 이탈하고, 이 때, 돌기 감탈부(6)의 얇은 홈부(H)는 탄성 확장 변형되고, 또 돌기 감탈부(6)가 형성된 수하부(2a)의 캔틸레버 상태에 의해 탄성 휨 변형되고, 이 돌기 감탈부(6)로부터의 돌기부(5)의 이탈에 의해, 도 21, 도 22, 도 23에 나타낸 잠금 상태에서 도 6, 도 7에 나타낸 해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부에 나사선부(1a)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환형 턱부(1b)가 형성되고, 하부에 환형 목부(1c)가 각각 형성된 입부(K)를 가지는 용기체(1)의 나사선부(1a)에 나선장착되는 캡부(2), 및 캡부(2)의 하부에 끊김 파단부(S)를 통해 연결되고, 환형 턱부(1b)에 되접어 꺽은 상태로 맞물릴 수 있는 탄성편(3a)이 설치되고, 환형 턱부(1b)와 환형 목부(1c)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전 표시 기능을 가지는 링부(3)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부(3)의 회전 조작(M)에 의해 상기 캡부(2)의 예상치 못한 개전회전(L)을 저지하는 잠금 기구(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 잠금 기구(4)의 존재에 의해, 폐전 후에, 잘못하여, 상기 캡부(2)를 개전회전(L)시켜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이 예상치 못한 개전에 의해, 음료의 탄산 누출에 의한 풍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개전 후의 품질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고, 또는 액제의 휘발이나 액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유아나 노인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잠금 조작 및 해제 조작은, 상기 링부(3)의 회전 조작(M)에 의해 행하는 구조이므로, 잠금 조작 및 해제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 및 각종 용기체(1)에 대한 적용의 융통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잠금 기구(4)로서, 상기 링부(3)의 외주면에 선단부(5a)를 쐐기형으로 형성한 돌기부(5)를 설치하고, 상기 캡부(2)에 링부(3)의 회전 조작(M)에 의해 돌기부(5)가 끼움장착되어 캡부(2)의 예상치 못한 개전회전(L)을 저지하는 잠금 상태로 하고 또한 돌기부(5)가 이탈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해제 상태로 하는 돌기 감탈부(6)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므로, 잠금 기구(4)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제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이 경우, 상기 돌기부(5) 및 상기 돌기 감탈부(6)는, 각각 대향하여 2개 한 쌍 설치되어 있으므로, 캡부(2)의 잠금 상태의 안정화, 잠금 조작 및 해제 조작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돌기 감탈부(6)로서, 상기 캡부(2)의 외주면에 수하부(2a)를 캔틸레버 형태로 수직 설치하고, 수하부(2a)에 상기 돌기부(5)가 끼움장착되는 감탈 구멍부(6a)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돌기부(5)와 감탈 구멍부(6a)와의 끼움/이탈(감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잠금 조작 및 해제 조작의 원활 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이 경우, 상기 수하부(2a)의 하면을 상기 캡부(2)의 폐전회전(R)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내려가는 경사 하면(6b)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기부(5)의 상면을 상기 경사 하면(6b)에 대면하여 상기 캡부(2)의 폐전회전(R)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내려가는 경사 상면(5b)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캡부(2)의 폐전회전(R)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그 만큼, 캡부(2)의 개전 및 폐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이 경우, 상기 링부(3)에 규제 돌기부(7)를 설치하고, 상기 캡부(2)에 규제 돌기부(7)와 접촉하여 캡부(2)의 개전회전(L) 시에 상기 돌기 감탈부(6)로의 상기 돌기부(5)의 끼움장착을 방지하는 접촉부(8)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므로, 규제 돌기부(7)와 접촉부(8)의 접촉에 의해 상기 돌기 감탈부(6)로의 상기 돌기부(5)의 끼움장착을 방지하여, 캡부(2)의 개전회전(L)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9의 제2 실시예는 다른 예의 구조를 나타내며, 이 경우, 상기 제1 실시예의 상기 캡부(2)의 상기 수하부(2a)를 제외한 주위 부분에 수하 주벽부(2b·2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부(2)의 상기 수하부(2a)를 제외한 주위 부분에 수하 주벽부(2b·2b)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캡부(2)의 수하부(2a·2a) 및 수하 주벽부(2b·2b)가 환형으로 연속하여 존재함으로써, 캡부(2)에 수하부(2a)가 수직 설치되어 있는 특이한 형태에 비해, 전체 형태로부터 생기는 위화감을 없앨 수 있고, 또한, 상기 수하부(2a·2a) 및 수하 주벽부(2b·2b)의 직경을 캡부(2)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캡부(2)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1의 제3 실시예는 다른 예의 구조를 나타내며, 이 경우, 상기 제1 실시예의 상기 링부(3)에 상기 돌기 감탈부(6)의 감탈 구멍부(6a)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괘지부(3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도 31과 같이, 상기 링부(3)의 괘지부(3b)에 상기 돌기 감탈부(6)의 감탈 구멍부(6a)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괘지부(3b)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개전한 캡부(2)를 걸어 고정할 수 있어, 캡부(2)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링부(3)의 괘지부(3b)는 링부(3)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링부(3)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체(1), 캡부(2), 링부(3)의 재질이나 형태, 잠금 기구(4)의 구조 등은 적절히 변경하여 설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K: 입부
S: 끊김 파단부
R: 폐전회전
L: 개전회전
M: 회전 조작
1: 용기체
1a: 나사선부
1b: 환형 턱부
1c: 환형 목부
2: 캡부
2a: 수하부
2b: 수하 주벽부
3: 링부
3a: 탄성편
3b: 괘지부
4: 잠금 기구
5: 돌기부
5a:선단부
5b: 경사 상면
6: 돌기 감탈부
6a: 감탈 구멍부
6b: 경사 하면
7: 규제 돌기부
8: 접촉부

Claims (9)

  1. 상부에 나사선부(threaded part)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환형 턱부(annular jaw part)가 형성되고, 하부에 환형 목부(annular neck part)가 각각 형성된 입부(mouth part)를 가지는 용기체(container body)의 상기 나사선부에 나선 장착되는 캡부(cap part); 및 상기 캡부의 하부에 끊김 파단부(tear breakage part)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환형 턱부에 되접어 꺽은 상태로 맞물릴 수 있는 탄성편이 설치되고, 상기 환형 턱부와 상기 환형 목부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전(開栓) 표시 기능을 가지는 링부(r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캡부의 예상치 못한 개전회전을 저지하는 잠금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 기구로서, 상기 링부의 외주면에 선단부를 쐐기형으로 형성한 돌기부를 설치하고, 상기 캡부에 상기 링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돌기부가 끼움장착되어 캡부의 예상치 못한 개전회전(開栓回轉)을 저지하는 잠금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돌기부가 이탈하여 상기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해제 상태로 하는 돌기 감탈부(突起 嵌脫部)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및 상기 돌기 감탈부는 각각 대향해 2개 한 쌍 설치되어 있는,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감탈부로서,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 수하부(垂下部)를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수직 설치하고, 상기 수하부에 상기 돌기부가 끼움장착되는 감탈 구멍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하부의 하면을 상기 캡부의 폐전회전(閉栓回轉)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내려가는 경사 하면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기부의 상면을 상기 경사 하면에 대면하여 상기 캡부의 폐전회전 방향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내려가는 경사 상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에 규제 돌기부를 설치하고, 상기 캡부에 상기 규제 돌기부와 접촉하여 상기 캡부의 개전회전 시에 상기 돌기 감탈부로의 상기 돌기부의 끼움장착을 방지하는 접촉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캡.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상기 수하부를 제외한 주위 부분에 수하 주벽부(垂下周璧部)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캡.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에 상기 돌기 감탈부의 감탈 구멍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괘지부(掛止部)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캡.
  8. 제1항에 기재된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기.
  9. 삭제
KR1020157013005A 2012-11-21 2013-11-15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101618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54954A JP5957764B2 (ja) 2012-11-21 2012-11-21 キャ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容器
JPJP-P-2012-254954 2012-11-21
PCT/JP2013/080854 WO2014080836A1 (ja) 2012-11-21 2013-11-15 キャ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371A KR20150070371A (ko) 2015-06-24
KR101618135B1 true KR101618135B1 (ko) 2016-05-04

Family

ID=5077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005A KR101618135B1 (ko) 2012-11-21 2013-11-15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15906B2 (ko)
JP (1) JP5957764B2 (ko)
KR (1) KR101618135B1 (ko)
CN (1) CN104797503B (ko)
DE (1) DE112013005572B4 (ko)
WO (1) WO20140808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3860B2 (en) * 2014-07-24 2020-09-15 Al Ibtikar Packaging & Investment Co., Ltd. Method for safe and tight closure using safety strip and cap for closing bottle's neck
WO2016141311A1 (en) * 2015-03-04 2016-09-09 Specialty Lubricants Corp. Packaging closure adapter
FR3035646B1 (fr) * 2015-04-28 2018-11-09 Nemera La Verpilliere Dispositif de fermeture securisee d’un recipient par vissage a languette escamotable.
CA2892351C (en) * 2015-05-15 2018-06-26 Chi-En Chen Tabeletop bottle
GB201511426D0 (en) * 2015-06-30 2015-08-12 Dubois Ltd Container
TWI531354B (zh) * 2015-11-16 2016-05-01 泰博科技股份有限公司 開蓋結構及生理檢測裝置
KR20170002625U (ko) 2016-01-13 2017-07-21 롯데제과주식회사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KR200485257Y1 (ko) 2016-07-29 2017-12-12 황하영 캡 풀림방지용 지그
DK3312493T3 (da) * 2016-10-18 2020-04-14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Smøremiddelbeholder
DE202017104835U1 (de) * 2017-08-10 2018-11-15 Emsa Gmbh Aufbewahrungsdose
CN107444769B (zh) * 2017-09-13 2018-07-06 杨益滔 一种多用途瓶盖和瓶子
WO2019092602A1 (en) * 2017-11-07 2019-05-16 Rivelli Paolo Plastic bottle equipped with a tamperproof device after its opening
WO2019226735A1 (en) * 2018-05-22 2019-11-28 Nordson Corporation Cap and cartridge assembly
PT3837186T (pt) * 2018-08-13 2023-08-18 Novembal Usa Inc Tira para fixar uma tampa a um anel de transporte de uma garrafa
EP3837187B1 (en) * 2018-08-14 2023-06-07 NOVEMBAL USA Inc. Locking bottle transport ring for a stopper
EP3959152A4 (en) * 2019-04-23 2022-12-28 Berry Global, Inc. SELECTIVELY OPENABLE CLOSURE FOR A CONTAINER
WO2021087598A1 (en) * 2019-11-08 2021-05-14 Waste-Not-Basket, Inc. Fluid dispenser with removable pum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7089A (ja) 2007-08-31 2009-03-19 Toppan Printing Co Ltd 不正開封防止機能付き口栓
JP2011184096A (ja) 2010-03-11 2011-09-22 Nihon Yamamura Glass Co Ltd キャップ
JP2012131533A (ja) 2010-12-22 2012-07-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安全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3769A (en) * 1964-03-02 1966-02-08 Peter M Jessop Screw-capped containers and safety devices therefor
US3603472A (en) * 1969-03-05 1971-09-07 Continental Can Co Transferable finish ring and container and closure for use therewith
JPS5318130Y2 (ko) * 1972-12-14 1978-05-15
US4153174A (en) * 1975-11-17 1979-05-08 The Klm Company Tamper-proof closure
US4105132A (en) * 1976-08-19 1978-08-08 Keeler Frederick D Tamper-proof closure
JPS579240Y2 (ko) * 1977-02-07 1982-02-22
US4144983A (en) * 1977-12-16 1979-03-20 Lewis, Pauls And Associates, Ltd. Child-resistant closure
JPS579240A (en) * 1980-06-19 1982-01-18 Fanuc Ltd Stator and rotor cooling mechanism for motor
US4567991A (en) * 1984-10-12 1986-02-04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Tamper indicating child resistant closure
US4570810A (en) * 1985-03-15 1986-02-18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Cap with tamper indicating band
JPH0437187Y2 (ko) * 1986-10-13 1992-09-01
JPH01168450U (ko) * 1988-05-11 1989-11-28
US5328046A (en) * 1992-08-20 1994-07-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Self-locking, tamper-evident package
US5487481A (en) * 1994-10-31 1996-01-30 Sander; Dieter Tamper evident plastic closure
ATE175642T1 (de) 1995-01-10 1999-01-15 Jagu Bernard Representant La S Behälter mit einem behälterhals und mit einem kappenartigen,teilweise abschraubbaren ausgabeverschluss
US5992657A (en) * 1998-05-28 1999-11-30 Rexam Plastics Inc. Safety closure having tamper-indicating means
JP4588149B2 (ja) * 2000-02-01 2010-11-24 大成化工株式会社 キャップ型結合封止具と容器との組合せ体
GB0307123D0 (en) * 2003-03-27 2003-04-30 Castrol Ltd Apparatus
JP4955988B2 (ja) * 2005-05-10 2012-06-20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容器
WO2009002057A2 (en) 2007-06-22 2008-12-31 Si Joong Kwon Container with anti-loss and anti-idle-rotation c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7089A (ja) 2007-08-31 2009-03-19 Toppan Printing Co Ltd 不正開封防止機能付き口栓
JP2011184096A (ja) 2010-03-11 2011-09-22 Nihon Yamamura Glass Co Ltd キャップ
JP2012131533A (ja) 2010-12-22 2012-07-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安全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3005572T5 (de) 2015-08-27
KR20150070371A (ko) 2015-06-24
WO2014080836A1 (ja) 2014-05-30
US20150225134A1 (en) 2015-08-13
CN104797503A (zh) 2015-07-22
JP5957764B2 (ja) 2016-07-27
US9415906B2 (en) 2016-08-16
CN104797503B (zh) 2016-08-24
DE112013005572B4 (de) 2016-04-14
JP2014101137A (ja)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135B1 (ko)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JP6980778B2 (ja) 完全性保証要素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閉鎖体
BR112016007181B1 (pt) Métodos de fabricação de um fecho identificador de violação
JP2014101137A5 (ko)
US20150014269A1 (en) Senior friendly child resistant closure
JP5449960B2 (ja) 不正開封防止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JP6018776B2 (ja) 容器蓋
JP4794880B2 (ja) 液だれ防止中栓付きキャップ
JP2008114864A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04155488A (ja) ヒンジキャップ
JP6598655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4401083B2 (ja) 注出口体
JPH0644841Y2 (ja) ヒンジ付キャップ
JP2013129430A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JP2012224365A (ja) 蓋体付き注出容器
JP2010285162A (ja) 合成樹脂製蓋と容器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
JP2004352360A (ja) ボトルのノズル構造
JP5829920B2 (ja) 容器の安全キャップ装置
JP2015231848A (ja) 容器の蓋体
JP4184117B2 (ja) 封緘式キャップ
JP2013154626A (ja) 封緘付きネジキャップと、該ネジキャップを成形する成形金型
JP2006103715A (ja) セーフティーキャップ装置
JP2008137689A (ja) 異種材組立容器
JP4449487B2 (ja) 不正開封防止機能付き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07297097A (ja) 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