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625U -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625U
KR20170002625U KR2020160000199U KR20160000199U KR20170002625U KR 20170002625 U KR20170002625 U KR 20170002625U KR 2020160000199 U KR2020160000199 U KR 2020160000199U KR 20160000199 U KR20160000199 U KR 20160000199U KR 20170002625 U KR20170002625 U KR 201700026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mall
container
contents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상훈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0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625U/ko
Publication of KR201700026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6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with devices for removing frangible parts of the pouring element or of its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 B65D47/128Snap-on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e.g. destructible loc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2101/00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B65D2251/023Ribs or re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캡과 대캡으로 이루어진 캡이 갖추어져 있는 용기 속의 내용물 인출 시 소캡 또는 대캡을 선택적으로 오픈하여 껌 등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구조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껌 등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로서, 인출구의 직경이 작은 소캡과 상대적으로 인출구의 직경이 큰 대캡으로 이루어진 이중 캡 구조를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용기를 구현함으로써, 내용물 인출 시 소캡과 대캡을 적절히 선택해서 내용물을 원하는 양 만큼 꺼낼 수 있는 등 사용 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한편, 이중 오픈 구조의 캡에 적용되는 소캡과 대캡의 성형 시 각각 사출하여 조립하는 형태가 아닌 소캡과 대캡을 한번에 동시 사출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Double open type container}
본 고안은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캡과 대캡으로 이루어진 캡이 갖추어져 있는 용기 속의 내용물 인출 시 소캡 또는 대캡을 선택적으로 오픈하여 껌 등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구조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입구에는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캡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종래에 캡이 구비된 용기를 사용하는 형태를 살펴보면, 내용물을 배출할 때에는 캡을 용기와 완전히 분리하고, 내용물 배출이 완료되면 캡을 용기에 다시 결합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용기 상부의 나사선부, 중간부의 환형 턱부, 하부의 환형 목부가 각각 형성된 입구를 가지는 용기체가 구비되고, 이러한 용기체의 입구 나사선부에는 캡이 체결되는 구조로 장착되며, 이때의 캡의 하부에는 끊김 파단부(Tear breakage part)가 형성되므로서, 사용자가 끊김 파단부를 분리 제거한 후에 캡을 오픈하여 내용물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용방식을 갖는 용기의 경우 캡을 용기로부터 완전 분리하고, 다시 결합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많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캡 본체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홀을 형성하고, 캡 본체에 결합되는 덮개를 이용하여 토출홀을 개폐하는 용기가 제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캡 본체에 결합되는 덮개의 경우에도 사용상 편의를 위해 버튼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버튼식 용기 캡도 제안되어 이용되고 있다.
보통 캡이 캡 본체측 또는 용기측에 결합되어 있는 용기의 경우, 내용물 인출 시 캡을 젖힌 상태에서 용기 입구를 오픈하여 내용물을 인출하게 되는데, 자일리톨 껌 용기 등과 같이 입구가 캡의 크기에 상응하는 정도의 큰 형태로 되어 있는 용기인 경우에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내용물이 쏟아져 나올 수 있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양 만큼의 내용물을 꺼내는데 불편함이 있고, 쏟아져 나온 내용물을 다시 용기 속에 넣어야 하는 등 비위생적인 측면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70371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74541호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껌 등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로서, 인출구의 직경이 작은 소캡과 상대적으로 인출구의 직경이 큰 대캡으로 이루어진 이중 캡 구조를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용기를 구현함으로써, 내용물 인출 시 소캡과 대캡을 적절히 선택해서 내용물을 원하는 양 만큼 꺼낼 수 있는 등 사용 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중 오픈 구조의 캡에 적용되는 소캡과 대캡의 성형 시 각각 사출하여 조립하는 형태가 아닌 소캡과 대캡을 한번에 동시 사출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는 용기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 대구경 인출구를 마감하는 캡으로서 캡 본체의 일측에 제1힌지부로 연결됨과 더불어 걸림돌부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부에 맞걸려지면서 개폐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대캡과, 상기 대캡의 소구경 인출구를 마감하는 캡으로서 대캡의 상면 일측에 뜯김선에 의해 뜯겨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소캡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는 소캡을 포함하는 대캡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캡으로서, 대캡의 일측에 제2힌지부로 연결되면서 개폐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마감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캡과 캡 본체 간의 경계라인 둘레에는 제품 개봉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절취용 띠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캡에는 소캡을 뜯어낼 때 손가락을 걸어 당길 수 있도록 된 링고리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캡의 외주면 일측에는 오픈 시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된 돌출편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마감캡의 외주면 일측에는 오픈 시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된 오목홈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소캡 사용 시 밀폐막을 뜯어낸 후 하나씩 꺼내먹을 수 있고, 대캡 사용 시 완전 오픈하여 적당량을 꺼내먹을 수 있는 등 쏟을 염려가 없고 다시 집어넣을 필요가 없으며 원하는 양 만큼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어 사용성 향상 및 위생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밀폐력이 강한 뜯어내는 방식을 유지하면서 또 하나의 캡을 추가하여 2개의 힌지 연결부위를 사용함으로써, 금형 구조의 진보를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사출한 후에 조립하는 구조가 아닌 한번에 사출하는 방식이므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넷째, 복잡한 형태가 아닌 심플하고 미니멀한 디자인으로서, 메디컬 제품의 알약처럼 캡슐형태의 새로운 껌 용기 형태를 가짐으로써, 제품의 외관성과 상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 방식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 방식 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 방식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 방식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 선 단면도 및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B 선 단면도 및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 방식 용기에서 소캡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 방식 용기에서 대캡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 방식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 방식 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도 4의 A-A 선 및 B-B 선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는 내용물을 다량 인출할 수 있는 대캡과 내용물을 소량(1개씩) 인출할 수 있는 소캡을 갖춘 용기로서, 사용자가 필요 시마다 적당한 양의 내용물을 간편하게 꺼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는 용기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10)는 상부가 뚫려 있는 원통형의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속에 껌 등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 뚫려 있는 부분은 대구경 인출구(12)에 해당되는 부분으로서, 이곳을 통해 한번에 많은 양의 내용물을 밖으로 꺼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용기 본체(10)의 상단부 아래쪽 외주면 둘레에는 체결홈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체결홈부(26)에는 후술하는 캡 본체(11)에 있는 체결돌부(25)가 강제로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부 윗쪽 외주면 둘레에는 걸림턱부(15a)가 형성되고, 이때의 걸림턱부(15a)에는 캡 본체(11)에 있는 걸림돌부(14a)가 상하 방향으로 걸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는 캡 본체(11)를 포함한다.
상기 캡 본체(11)는 용기 본체(10)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링 형태로서, 내주면 둘레에는 체결돌부(25)가 형성되어 이때의 체결돌부(25)가 용기 본체(10)에 있는 체결홈부(26)에 체결되므로서, 캡 본체(11)는 용기 본체(10)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캡 본체(11)와 후술하는 대캡(16) 간의 서로 접하는 경계라인 둘레에는 절취용 띠(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절취용 띠(22)를 떼어낸 후에 제품을 개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취용 띠(22)는 캡 본체(11)의 전체 원주둘레 구간 중에서 일부 원주둘레 구간, 예를 들면 캡 본체(11)측에서 이어지는 부분인 대캡(16)의 제1힌지부(13)가 속해 있는 구간을 제외하고 전체 원주둘레 구간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는 대캡(16)을 포함한다.
상기 대캡(16)은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에 있는 대구경 인출구(12)를 마감하는 캡으로서,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원판 가장자리 일측을 이용하여 캡 본체(11)의 일측과 제1힌지부(13)에 의해 연결되면서 지지되는 구조로 캡 본체측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대캡(16)은 제1힌지부(13)를 연결점으로 하여 열리거나 닫히면서 대구경 인출구(12)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캡은 후술하는 소캡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캡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대구경 인출구 또한 후술하는 소구경 인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경이 큰 인출구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대캡(16)의 하단부 내주면 둘레에는 걸림돌부(14a)가 형성되며, 이때의 걸림돌부(14a)는 대캡(16)을 닫았을 때 용기 본체(10)에 있는 걸림턱부(15a)에 위아래로 걸려지게 되고, 결국 이러한 걸림구조에 의해 대캡(16)의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대캡(16)의 하단 둘레는 절취용 띠(22)를 사이에 두고 캡 본체(11)와 가(假) 연결된 상태로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절취용 띠(22)을 제거해야만 비로소 대캡(16)을 오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대캡(16)의 경우 닫힌 상태에서 용기측 기밀유지를 위하여 내면쪽으로 대략 대구경 인출구(12)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원형의 연장부분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대캡(16)을 닫은 상태에서는 연장된 부분에 대구경 인출구(12)의 안쪽으로 위치되고, 이와 더불어 용기 본체(11)의 상단부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압돌부(27)가 연장된 부분에 압착되므로서, 용기 본체(10) 속의 내용물에 대한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캡(16)의 상면 일측에는 소구형 인출구(17)가 형성되며, 이때의 소구경 인출구(17)는 소캡(19)에 의해 막혀 있는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캡(16)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편(23)이 형성되어 있어서, 대캡 오픈 시 이곳에 손가락을 걸고 위로 젖히면 대캡(16)을 쉽게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는 소캡(19)을 포함한다.
상기 소캡(19)은 대캡(16)의 소구경 인출구(17)를 마감하는 원형의 판 부재로 이루어진 캡으로서, 소구경 인출구(17)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의 직경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소캡(19)은 대캡(16)의 상면 일측, 즉 소구경 인출구(17)에 꼭맞게 위치되면서 소구경 인출구(17)를 막고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소캡(19)의 가장자리 둘레가 원형의 뜯김선(18)에 의해 소캡 본체측에 임시로 붙어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뜯김선(18)이 뜯겨나가면서 소캡(19)이 완전히 떨어져 나가게 되면 자연스럽게 그 자리에 소구경 인출구(17)가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뜯김선은 소캡 본체측 이면에 원형의 노치를 주거나 칼집을 내는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캡(19)의 일측에는 링고리(28)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때의 링고리(28)는 소캡(19)을 뜯어낼 때 손가락을 걸어 당길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소캡(19)의 경우 대캡(16)의 사출성형 시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는 마감캡(21)을 포함한다.
상기 마감캡(21)은 소캡(19)이 속해 있는 대캡(16)의 상부를 덮어주는 캡으로서, 대캡(16)의 일측, 예를 들면 제1힌지부(13)가 있는 위치의 바로 윗쪽에 제2힌지부(20)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감캡(21)은 제2힌지부(20)를 연결점으로 하여 열리거나 닫히면서 대캡 상부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마감캡(21)의 외주면 일측, 예를 들면 대캡(16)에 있는 돌출편(23)이 있는 위치의 바로 윗쪽에 오목홈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감캡 오픈 시 사용자가 오목홈부(24)에 손가락을 넣고 손쉽게 마감캡(21)을 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캡(21)의 하단부 내측 가장자리에는 걸림돌부(14b)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때의 걸림돌부(14b)가 캡 본체(11)의 상단부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부(15b)에 위아래로 맞걸려지게 되므로서, 마감캡(21)의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에 대한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 방식 용기에서 소캡과 대캡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에 들어 있는 껌 등의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먼저 절취용 띠(22)를 떼어내어 제거하면 대캡(16)을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 마감캡(21)을 열고 링고리(28)를 잡아당겨 소캡(19)을 완전히 떼어내어 제거하면 소캡(19)이 있던 자리에 소구경 인출구(17)가 만들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소캡(19)은 사용자가 임의로 떼어낼 수 있으며, 떼어내지 않은 상태에서 대캡(19)만 오픈하여 내용물을 꺼낼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감캡(21)을 연 상태에서 용기를 기울이면 내용물을 1개씩 꺼낼 수 있게 된다(도 7).
또한, 사용자가 마감캡(21)을 닫은 상태에서 대캡(16)을 연 후에 용기를 기울이면 내용물을 적당량씩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소캡과 대캡, 그리고 마감캡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캡을 갖춘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를 구현함으로써, 용기 속의 내용물 인출 시 소캡 또는 대캡을 선택적으로 오픈하여 껌 등의 내용물을 하나씩 또는 적당량 원하는 양 만큼 꺼낼 수 있는 등 사용 상의 편리함이 있다.
10 : 용기 본체
11 : 캡 본체
12 : 대구경 인출구
13 : 제1힌지부
14a,14b : 걸림돌부
15a,15b : 걸림턱부
16 : 대캡
17 : 소구경 인출구
18 : 뜯김선
19 : 소캡
20 : 제2힌지부
21 : 마감캡
22 : 절취용 띠
23 : 돌출편
24 : 오목홈부
25 : 체결돌부
26 : 체결홈부
27 : 가압돌부
28 : 링고리

Claims (6)

  1.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 본체(11);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부 대구경 인출구(12)를 마감하는 캡으로서 캡 본체(11)의 일측에 제1힌지부(13)로 연결되면서 계폐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대캡(16);
    상기 대캡(16)의 소구경 인출구(17)를 마감하는 캡으로서 대캡(16)의 상면 일측에 뜯김선(18)에 의해 뜯겨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소캡(1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캡(19)을 포함하는 대캡(16)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캡으로서, 대캡(16)의 일측에 제2힌지부(20)로 연결되면서 개폐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마감캡(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캡(16)과 캡 본체(11) 간의 경계라인 둘레에는 제품 개봉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절취용 띠(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캡(19)에는 소캡(19)을 뜯어낼 때 손가락을 걸어 당길 수 있도록 된 링고리(28)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캡(16)의 외주면 일측에는 오픈 시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된 돌출편(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21)의 외주면 일측에는 오픈 시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된 오목홈부(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KR2020160000199U 2016-01-13 2016-01-13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KR201700026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99U KR20170002625U (ko) 2016-01-13 2016-01-13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99U KR20170002625U (ko) 2016-01-13 2016-01-13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625U true KR20170002625U (ko) 2017-07-21

Family

ID=5939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99U KR20170002625U (ko) 2016-01-13 2016-01-13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62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163B1 (ko) * 2018-11-21 2019-02-01 이흥관 절취띠의 분리에 의해 개봉되는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371A (ko) 2012-11-21 2015-06-24 다쿠야 가토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20150074541A (ko)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대웅제약 용기 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371A (ko) 2012-11-21 2015-06-24 다쿠야 가토 캡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20150074541A (ko)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대웅제약 용기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163B1 (ko) * 2018-11-21 2019-02-01 이흥관 절취띠의 분리에 의해 개봉되는 용기
WO2020105946A1 (ko) * 2018-11-21 2020-05-28 이흥관 절취띠의 분리에 의해 개봉되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6465B2 (ja) 容器用キャップ
JP6084542B2 (ja) 中栓付きキャップ
JP4467689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6839748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6893424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6138651B2 (ja) 中栓付きキャップ
KR20170002625U (ko) 이중 오픈 방식의 용기
JP5965039B1 (ja) 開封防止機能付き容器及び開封防止部材
WO2006070656A1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9184709A (ja) ヒンジキャップ付容器
US11377271B2 (en) Plastic closure part with severable membrane
US3986646A (en) Plastic closure top for tins
JP4266441B2 (ja) プラスチック製カップ容器
JP2001122314A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2200183B1 (ko) 탈부착형 꼭지캡
JP4525085B2 (ja) 改ざん防止用オーバーキャップ
JP2001104046A (ja) 化粧料容器
JP2013177183A (ja) 合成樹脂製ヒンジキャップ
JP7307458B2 (ja) キャップ、中栓の製造方法、キャップの製造方法
CN209136072U (zh) 翻盖杯盖
JP4535323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200339902Y1 (ko) 유량조절용 이중마개
JP3205966U (ja) 携帯用飲料容器
JP2001104047A (ja) 化粧料容器
JP2001315824A (ja) バージン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