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951B1 - 농약 패키지 - Google Patents

농약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951B1
KR101615951B1 KR1020090073848A KR20090073848A KR101615951B1 KR 101615951 B1 KR101615951 B1 KR 101615951B1 KR 1020090073848 A KR1020090073848 A KR 1020090073848A KR 20090073848 A KR20090073848 A KR 20090073848A KR 101615951 B1 KR101615951 B1 KR 101615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ade name
composition
package
pestic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347A (ko
Inventor
마모루 코바야시
아키요시 오고시
카츠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신규 농약 패키지를 제공한다.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수용성 필름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포장체가 또한 방습성 필름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 패키지이며, 상기 조성물의 25℃이면서 상대습도 40%에서의 평형함수율과 수용성 필름에 내포되기 직전의 상기 조성물의 함수율 차가 -2.0% 내지 2.0%인 농약 패키지를 제공한다. 이 농약포장체는 수용성 필름이 쉽게 경화 또는 연화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시 또는 살포시에 쉽게 파손하지 않고 살포시에 쉽게 손에 묻지 않는다.
농약 포장체, 방습성 필름, 농약 패키지, 평형함수율, 경화, 연화

Description

농약 패키지{Package for Agricultural Chemicals}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수용성 필름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포장체가 또한 방습성필름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수용성 필름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포장체에서, 수용성 필름이 경화 또는 연화하는 경우가 있고, 이 농약포장체가 수송시 또는 살포시에 봉투가 파손되거나 살포시에 손에 묻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수용성 필름의 변질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수용성 필름 중의 수분량을 특정 범위로 조절한 농약포장체를 방습 봉투로 피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수면 부유성 입상 농약을 특정 용해시간을 갖는 수용성 필름 봉투로 포장해서 이루어진 수면 투하형 농약제제에서, 이 입상 농약의 부유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이 입상 농약 중의 수분량을 특정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특개평6-321702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2000-319102호 공보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이 수용성 필름의 수분량을 특정 범위로 조절한 농약포장체를 방습 봉투로 피복해도 보존 중에 수용성 필름이 경화 또는 연화해 이 농약포장체가 수송시 또는 살포시에 봉투가 파손되거나 살포시에 손에 묻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했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검토한 결과,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수용성 필름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포장체가 또한 방습성 필름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 패키지에서, 이 조성물의 25℃이면서 상대습도 40%에서의 평형함수율과 수용성 필름에 내포되기 직전의 이 조성물의 함수율 차를 -2.0% 내지 2.0%로 함으로써 보존 중에 수용성 필름이 쉽게 경화 또는 연화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 [4]에 기재된 농약 패키지 및 하기 [5] 또는 [6]에 기재된 농약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1]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수용성 필름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포장체가 또한 방습성필름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 패키지이며, 이 조성물의 25℃이면서 상대습도 40%에서의 평형함수율과 수용성 필름에 내포되기 직전의 이 조성물의 함수율 차가 -2.0% 내지 2.0%인 농약 패키지.
[2]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고형 조성물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 패키지.
[3]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입상 조성물인 상기 [1]에 기재된 농약 패키지.
[4] 수용성 필름이 폴리비닐알코올제인 상기 [1] 내지 [3]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약 패키지.
[5] 상기 [1] 내지 [4]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약 패키지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포장체.
[6] 수면에 사용되는 것인 상기 [5]에 기재된 농약포장체.
본 발명의 농약 패키지는 보존 중에 내포되는 농약포장체의 수용성 필름이 쉽게 경화 또는 연화하지 않기 때문에, 수송시 또는 살포시에 봉투가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살포시에 쉽게 손에 묻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25℃이면서 상대습도 40%에서의 평형함수율과 수용성 필름에 내포하기 직전의 이 조성물의 함수율 차는 -2.0% 내지 2.0%이다. 이 함수율의 차를 상기 범위에 제한함으로써 농약 패키지가 보존 중에 내포되는 농약포장체의 수용성 필름이 쉽게 경화 또는 연화하지 않게 된다. 수용성 필름이 쉽게 경화 또는 연화하지 않게 되는 이유는 보존 중에 농약포장체의 수용성 필름과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간에 수분이 이동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라고 추론하고 있다. 또한, 함수율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분의 중량 백분율이며 칼 피셔법에 의한 값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제(soluble concentrate), 유제(emulsifiable concentrate), 현탁제(suspension concentrate), 유탁제(concentrated emulsion), 서스포에멀젼(suspoemulsion), 마이크로에멀젼(microemulsion), 수화제(wettable powder), 수용제(water soluble powder), 분제(dustable powder), 과립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 과립수용제(water soluble granule), 입제(granule), 정제(tablet), 유화성 겔제(emulsifiable gel) 등의 여러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바람직한 형태는 수화제, 수용제, 과립수화제, 과립수용제, 분제, 입제 및 정제 등의 고형 조성물이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는 과립수화제, 과립수용제 및 입제 등의 입상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농약 활성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 그 농약 활성 성분의 일반명을 예시한다.
제초제로, 피라조설푸론에틸(pyrazosulfuron ethyl), 할로설푸론메틸(halosulfuron methyl), 벤설푸론메틸(bensulfuron methyl), 이마조설푸 론(imazosulfuron), 아짐설푸론(azimsulfuron), 시노설푸론(cinosulfuron), 싸이클로설파무론(cyclosulfamuron), 에톡시설푸론(ethoxysulfuron), 피라클로닐(pyraclonil), 테푸릴트리온(tefuryltrione), 메소트리온(mesotrione), 피리미설판(pyrimisulfan), 페녹스설람(penoxsulam), 아미노피랄리드(aminopyralid), 벤카바존(bencarbazone), 플루세토설푸론(flucetosulfuron), 모노설푸론(monosulfuron), 모노설푸론메틸(monosulfuron-methyl), 피녹사덴(pinoxaden), 프로폭시카바존나트륨염(propoxycarbazone-sodium), 피라설포톨(pyrasulfotole), 피록사설폰(pyroxasulfone), 피록스설람(pyroxsulam), 템보트리온(tembotrione), 티엔카바존메틸(thiencarbazone-methyl), 토프라메존(topramezon), 에스프로카브(esprocarb), 벤티오카브(benthiocarb), 몰리네이트(molinate), 디메피퍼레이트(dimepiperate), 피리부티카브(pyributicarb), 메페나세트(mefenacet), 부타클로르(butachlor), 프레틸라클로르(pretilachlor), 테닐클로르(thenylchlor), 브로모부티드(bromobutide), 에토벤자니드(etobenzanid), 다이무론(dymron), 쿠밀루론(cumyluron), 벤타존(bentazone), 벤타존의 염, 2,4-D, 2,4-D의 염, 2,4-D의 에스테르, MCP, MCP의 염, MCP의 에스테르, MCPB, MCPB의 염, MCPB의 에스테르, 페노티올(MCPA-thioethyl), 클로메프로프(clomeprop), 나프로아닐리드(naproanilide), 옥사디아존(oxadiazon), 피라졸레이트(pyrazolate), 피라족시펜(pyrazoxyfen), 벤조페납(benzofenap), 옥사디알길(oxadiargyl), 디메타메트린(dimethametryn), 시메트린(simetryn), 피페로포스(piperophos), 아닐로포스(anilofos), 부타미포스(butamifos), 벤설라이드(bensulide), 디티오 필(dithiopyr), 피리미노박메틸(pyriminobacmethyl), CNP, 클로르메톡시닐(chlormethoxynil), 실할로폽부틸(cyhalofop butyl), 비페녹스(bifenox), 카펜스트롤(cafenstrole), 펜톡사존(pentoxazone), 인다노판(indanofan), 옥사지클로메폰(oxaziclomefone), 펜트라자미드(fentrazamide), 부테나클로르(butenachlor), ACN, 벤조비시클론(benzobicyclon), 벤푸레세이트(benfuresate), 심메티린(cimmethylin), 시마진(simazine), 디클로베닐(dichlobenil), 디우론(diuron), 클로로IPC(chlorpropham), 아트라진(atrazine), 알라클로르(alachlor), 이소우론(isouron), 클로르프탈림(chlorphtalim), 시아나진(cyanazin), 트리플루랄린(trifluralin), 부타미포스 (butamifos), 프로피자미드(propyzamide), 프로메트린(prometryn),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메톨라클로르(metolachlor), 메트리부진(metribuzin), 리누론(linuron), 레나실(lenacil), 프로파닐(propanil), MCPA, 아이옥시닐(ioxynil octanoate), 아슐람(asulam), 퀴잘로폽-에틸(quizalofop-ethyl), 프로파퀴자폽(propaquizafop), 퀴잘로폽-테푸릴(quizalofop-tefuryl), 세톡시딤(sethoxydim), 티펜설푸론-메틸(thifensulfuron-methyl), 페녹사프롭-에틸(fenoxaprop-ethyl), 펜메디팜(phenmedipham), 플루아지폽-부틸(fluazifop-butyl), 벤타존(bentazone), SAP(bensulide), TCTP(chlorthal-dimethyl,tetorachlorothiophene), 아미프로포스메틸(amiprophosmethyl), 아메트린(ametryn), 이속사벤(isoxaben), 오르벤카브(orbencarb), 카르부티레이트(karbutilate), 디티오필(dithiopyr), 시두론(siduron), 티아자설푸론(thiazafluron), 나프로파미드(napropamide), 프로디아민(prodiamine), 베스로 딘(bethrodine), 메틸다이무론(methyl dymron), 2,4-PA, MCPPA, 플라자설푸론(flazasulfuron), 메트설푸론메틸(metsulfuron-methyl), 이마자퀸(imazaquin), 이마자필(imazapyr), 테트라피온(flupropanate), 테부티우론(tebuthiuron), 브로마실(bromacil), 헥사지논(hexazinone), 글리포세이트-암모늄염(glyphosate-ammonium), 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아민염(glyphosate-iso-propylammonium), 글리포세이트-트리메시움염(glyphosate-trimesium), 글리포세이트-나트륨염(glyphosate-sodium), 글리포세이트-칼륨염(glyphosate-potassium), 비알라포스(bialaphos), 글루포시네이트(glufosinate-ammonium) 및 MCC를 들 수 있고,
살균제로, 아시벤조랄(acibenzolar), 암프로필포스(ampropyfos), 아닐라진(anilazine), 아자코나졸(azaconazole), 아족시스트라빈(azoxystrobin), 베나락실(benalaxyl), 베노다닐(benodanil), 베노밀(benomyl), 벤자마크릴(benzamacril), 비나파크릴(binapacryl), 비페닐(biphenyl), 비테르타놀(bitertanol), 베톡사진(bethoxazine), 보르도액(bordeaux mixture), 블라스티시딘-S(blasticidin-S), 브로모코나졸(bromoconazol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부티오베이트(buthiobate), 칼슘폴리설피드(calciumpolysulfide), 캡타폴(captafol), 캡탄(captan), 코퍼옥시클로라이드(copperoxychloride), 카프로파미드(carpropamid), 카벤다짐(carbendazim), 카르복신(carboxin), 치노메치오네이트(chinomethionat), 클로벤티아존(chlobenthiazone), 클로르페나졸(chlorfenazol), 클로로넵(chloroneb), 클로로타로닐(chlorothalonil), 클로졸리네이트(chlozolinate), 쿠 프라네브(cufraneb), 시목사닐(cymoxanil), 시프로코나졸(cyproconazol), 시프로디닐(cyprodinil), 시프로푸람(cyprofuram), 데바카브(debacarb), 디클로로펜(dichlorophen), 디클로부트라졸(diclobutrazol), 디클로플루아니드 (diclhlofluanid), 디클로메딘(diclomedine), 디클로란(dicloran), 디에토펜카브(diethofencarb), 디클로시메트(diclocymet),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디플루메토림(diflumetorim), 디메티리몰(dimethirimol),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디니코나졸(diniconazole), 디니코나졸-M(diniconazole-M), 디노캅(dinocap), 디페닐아민(diphenylamine), 디피리티온(dipyrithione), 디탈림포스(ditalimfos), 디티아논(dithianon), 도데모르프(dodemorph), 도딘(dodine), 드라족솔론(drazoxolon), 에디펜포스(edifenphos), 에폭시코나졸(epoxiconazole), 에타코나졸(etaconazole), 에티리몰(ethirimol), 에트리디아졸(etridiazole), 파목사돈(famoxadone), 페나리몰(fenarimol), 페부코나졸(febuconazole), 펜푸람(fenfuram), 펜피클로닐(fenpiclonil), 펜프로피딘(fenpropidin), 펜프로피모르프(fenpropimorph), 펜틴(fentin), 페르밤(ferbam), 페림존(ferimzone), 플루아지남(fluazinam),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플루오로이미드(fluoroimide), 플루퀸코나졸(fluquinconazole), 플루실라졸(flusilazole), 플루설파미드(flusulfamide), 플루톨라닐(flutolanil), 플루트리아폴(flutriafol), 폴펫(folpet), 포세틸-알루미늄(fosetyl-aluminium), 푸베리다졸(fuberidazole), 푸랄락실(furalaxyl), 페나미돈(fenamidone), 펜헥사미드(fenhexamid), 구아자틴(guazatine), 헥사클로로벤젠(hexachlorobenzene), 헥사코나졸(hexaconazole), 히멕사졸(hymexazol), 이마자 릴(imazalil), 이미벤코나졸(imibenconazole), 이미녹타딘(iminoctadine), 이프코나졸(ipconazole), 이프로벤포스(iprobenfos), 이프로디온(iprodione), 이소프로티올란(isoprothiolane), 이프로발리카브(iprovalicarb), 카스가마이신(kasugamycin),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만코퍼(mancopper), 만코제브(mancozeb), 마네브(maneb), 메파니피림(mepanipyrim), 메프로닐(mepronil), 메탈락실(metalaxyl), 메트코나졸(metconazole), 메티람(metiram), 메토미노스트로빈(metominostrobin), 마이클로부타닐(myclobutanil), 나밤(nabam), 니켈 비스(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nickel bis(dimethyldithiocarbamate)), 니트로탈-이소프로필(nitrothal-isopropyl), 누아리몰(nuarimol), 옥틸리논(octhilinone), 오푸레이스(ofurace), 옥사디실(oxadixyl), 옥시카르복신(oxycarboxin), 옥포코나졸푸말산염(oxpoconazolefumarate), 페프르조에이트(pefurzoate), 펜코나졸(penconazole), 펜시쿠론(pencycuron), 프탈라이드(phthalide), 피페랄린(piperalin), 폴리옥신(polyoxins), 프로베나졸(probenazole),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프로시미돈(procymidone), 프로파모카브염산염(propamocarb hydrochloride), 프로피코나졸(propiconazole), 프로피네브(propineb), 피라조포스(pyrazophos), 피리페녹스(pyrifenox), 피리메타닐(pyrimethanil), 피로퀴론(pyroquilon), 퀴녹시펜(quinoxyfen), 퀸토젠(quintozene), 유황(sulfur), 스피록사민(spiroxamine), 테부코나졸(tebuconazole), 테크나젠(tecnazene), 테트라코나졸(tetraconazole), 티아벤다졸(thiabendazole), 티플루자미드(thifluzamide), 티오파네이트-메틸(thiophanate-methyl), 티람(thiram), 톨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톨릴 플루아니드(tolylfluanid),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트리아디메놀(toriadimenol), 트리아족시드(triazoxide), 트리시클라졸(tricyclazole), 트리데모르프(tridemorph), 트리플루미졸(triflumizole), 트리포린(triforine), 트리티코나졸(triticonazole), 발리다마이신(validamycin), 빈클로졸린(vinclozolin), 지네브(zineb), 지람(ziram), 옥신구리(oxine-copper).
살박테리아제 :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옥시테트라싸이클린(oxyterracycline) 및 옥소리닉에시드(oxolinic acid)를 들 수 있고,
살선충제로, 알독시카브(aldoxycarb), 포스티아제이트(fosthiazate), 포스티에탄(fosthietan), 옥사밀(oxamyl) 및 페나미포스(fenamiphos)를 들 수 있고,
살진드기제로, 시에노피라펜(cyenopyrafen), 시플루메토펜(cyfulmetofen) 등의 아크릴로니트릴계화합물, 스피로메시펜(spiromesifen), 스피로디크로펜(spirodiclofen), 피리다벤(pyridaben), 아미트라즈(amitraz), 브로모프로필레이트(bromopropylate), 치노메티오네이트(chinomethionat), 클로로벤질레이트(chlorobezilate), 클로펜테진(clofentezine), 사이헥사틴(cyhexatine), 디코폴(dicofol), 디에노클로르(dienochlor), 에톡사졸(etoxazole), 페나자퀸(fenazaquin), 펜부타틴옥시드(fenbutatin oxide), 펜프로파트린(fenpropathrin), 펜프록시메이트(fenproximate), 할펜프록스(halfenprox), 헥시티아족스(hexythiazox), 밀베멕틴(milbemectin), 프로파자이트(propargite), 피리 미디펜(pyrimidifen) 및 테부펜피라드(tebufenpyrad)를 들 수 있고,
살충제로, 아바멕틴(abamectin), 아세페이트(acephate), 아세타미피리드(acetamipirid), 아진포스-메틸(azinphos-methyl), 벤디오카브(bendiocarb), 벤푸라카브 (benfuracarb), 벤설탑(bensultap), 비펜트린(bifenthrin), 부프로페진(buprofezin), 부토카르복심(butocarboxim), 카바릴(carbaryl), 카보퓨란(carbofuran), 카보설판(carbosulfan), 카탑(cartap), 클로르페나필(chlorfenapyr),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클로르펜빈포스(chlorfenvinphos), 클로르플루아주론 (chlorfluazuron), 클로티아니딘(clothianidin), 클로마페노지드(chromafenozide), 클로피리포스-메틸(chlorpyrifos-methyl), 시플루트린(cyfluthrin), 베타- 시플루트린(beta-cyfluthrin), 시펠메트린(cypermethrin), 시로미진(cyromazine), 시할로트린(cyhalothrin), 람다-시할로트린(lambda-cyhalothrin), 델타메트린(deltamethrin),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 다이아지논(diazinon), 디아클로덴(diacloden),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디메틸빈포스(dimethylvinphos), 디오페놀란(diofenolan), 디설포톤(disulfoton), 디메토에이트(dimethoate), EPN, 에스펜발레레이트(esfenvalerate), 에티오펜카브(ethiofencarb), 에티프롤(ethiprole),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에트림포스(etrimfos), 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 페노부카브(fenobucarb), 페녹시카브(fenoxycarb), 펜프로파트린(fenpropathrin), 펜발레레이트(fenvalerate), 피프로닐(fipronil), 플루시트리 네이트(flucythrinate), 플루페녹수론(flufenoxuron), 플루펜프록스(flufenprox), 타우-플루발리네이트(tau-fluvalinate), 포노포스(fonophos), 포메타네이트(formetanate), 폴모티온(formothion), 푸라티오캅(furathiocarb), 할로페노지드(halofenozide), 헥사풀루무론(hexaflumuron), 히드라메틸론(hydramethylnon), 이미다클로피리드(imidacloprid), 이소펜포스(isofenphos), 인독사카브(indoxacarb), 이소프로카브(isoprocarb), 이속사티온(isoxathion), 루페누론(lufenuron), 말라티온(malathion), 메타알데하이드(metaldehyde), 메타미도포스(methamidophos), 메티다티온(methidathion), 메타크리포스(methacrifos), 메탈카브(metalcarb), 메소밀(methomyl), 메소프렌(methoprene), 메톡시클로르(methoxychlor), 메톡시페노지드(methoxyfenozide), 모노크로토포스(monocrotophos), 무스칼루어(muscalure), 니텐피람(nitenpyram), 오메토에이트(omethoate), 옥시데메톤-메틸(oxydemeton-methyl), 옥사밀(oxamyl), 파라티온(parathion), 파라티온-메틸(parathion-methyl), 페르메트린(permethrin), 펜토에이트(phenthoate), 폭심(phoxim), 포레이트(phorate), 포사론(phosalone), 포스메트(phosmet), 포스파미돈(phosphamidon), 피리미카브(pirimicarb),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프로페노포스(profenofos), 피메트로진(pymetrozine), 피라클로포스(pyraclofos),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로테논(rotenone), 설프로포스(sulprofos), 실라플루오펜(silafluofen), 스피노사드(spinosad), 설포텝(sulfotep), 테브페노지드(tebfenozide), 테플루벤주론(teflubenzuron), 테플루토린(tefluthorin), 테르브포스(terbufos), 테트라클로르빈포 스(tetrachlorvinphos), 티오디카브(thiodicarb), 티아메톡삼(thiamethoxam), 티오파녹스(thiofanox), 티오메톤(thiometon), 톨펜피라드(tolfenpyrad), 트랄로메트린(tralomethrin), 트리클로로폰(trichlorfon), 트리아주론(triazuron), 트리플루무론(triflumuron) 및 바미도티온(vamidothion)을 들 수 있다.
이들 농약 활성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하는 경우의 비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 중의 농약 활성 성분의 함유량은 적당히 선택할 수 있으나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0.1 ~ 50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계면 활성제로는 이하의 (A), (B), (C), (D) 및 (E)를 들 수 있다.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A-1) 폴리에틸렌글리콜형 계면활성제 :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 ~ 18)에테르, 알킬나프톨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또는 디)알킬(C8 ~ 12)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또는 디)알킬(C8 ~ 12)페닐에테르의 포말린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페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벤질페닐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 디 또는 트리)벤질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스틸릴페닐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 디 또는 트리)스틸릴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스틸 릴페닐에테르의 폴리머, 알킬(C8 ~ 18)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에테르, 알킬(C8 ~ 12)페닐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수지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C8 ~ 18)모노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C8 ~ 18)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C8 ~ 18)에스테르, 글리세롤지방산에스테르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피마자유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경화피마자유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킬(C8 ~ 18)아민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지방산(C8 ~ 18)아미드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A-2) 다가알코올형 계면활성제 : 예를 들면, 글리세롤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솔비톨지방산(C8 ~ 18)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C8 ~ 18)에스테르, 자당(sucrose)지방산에스테르, 다가알코올알킬에테르 및 지방산알카놀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A-3) 아세틸렌계 계면활성제 : 예를 들면, 아세틸렌글리콜, 아세틸렌알코올, 아세틸렌글리콜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아세틸렌알코올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A-4) 그 외 계면활성제 : 예를 들면, 알킬글리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
(B-1) 카르본산형 계면활성제 :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말레인산, 폴리무수말레인산, 말레인산 또는 무수말레인산과 올레핀(예를 들면 이소부틸렌 및 디이소부틸렌 등)과의 공중합물, 아크릴산과 이타콘산의 공중합물, 메타아크릴산과 이타콘산의 공중합물, 말레인산 또는 무수말레인산과 스틸렌의 공중합물, 아크릴산과 메타아크릴산의 공중합물, 아크릴산과 아크릴산메틸에스테르와의 공중합물, 아크릴산과 초산비닐과의 공중합물, 아크릴산과 말레인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의 공중합물, N-메틸-지방산(C8 ~ 18)살코시네이트, 수지산 및 지방산(C8 ~ 18) 등의 카르본산, 및 이들 카르본산의 염을 들 수 있다.
(B-2) 황산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 예를 들면, 알킬(C8 ~ 18)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 ~ 18)에테르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또는 디)알킬(C8 ~ 12)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또는 디)알킬(C8 ~ 12)페닐에테르의 폴리머의 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페닐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벤질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스틸릴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 렌(모노, 디 또는 트리)스틸릴페닐에테르의 폴리머의 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의 황산에스테르, 황산화유, 황산화지방산에스테르, 황산화지방산 및 황산화올레핀 등의 황산에스테르 및 이들 황산에스테르의 염을 들 수 있다.
(B-3) 술폰산형 계면활성제 : 예를 들면, 파라핀(C8 ~ 22)술폰산, 알킬(C8 ~ 12)벤젠술폰산, 알킬(C8 ~ 12)벤젠술폰산의 포말린축합물, 크레졸술폰산의 포말린축합물, α-올레핀(C8 ~ 16)술폰산, 디알킬(C8 ~ 12)술포숙신산,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또는 디)알킬(C8 ~ 12)페닐에테르술폰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 ~ 18)에테르술포숙신산하프에스테르, 나프탈렌술폰산, (모노 또는 디)알킬(C1 ~ 6)나프탈렌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말린축합물, (모노 또는 디)알킬(C1 ~ 6)나프탈렌술폰산의 포말린축합물, 크레오소트유(creosote oil) 술폰산의 포말린축합물, 알킬(C8 ~ 12)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 이게폰T(상품명), 폴리스틸렌술폰산 및 스틸렌술폰산과 메타아크릴산의 공중합물 등의 술폰산 및 이들 술폰산의 염을 들 수 있다.
(B-4) 인산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 예를 들면, 알킬(C8 ~ 12)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 ~ 18)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또는 디)알 킬(C8 ~ 12)페닐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알킬(C8 ~ 12)페닐에테르의 폴리머의 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페닐페닐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벤질페닐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스틸릴페닐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디 또는 트리)스틸릴페닐에테르의 폴리머의 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의 인산에스테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이민 및 축합인산(예를 들면 트리폴리인산 등) 등의 인산에스테르 및 이들 인산에스테르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의 (B-1), (B-2), (B-3) 및 (B-4)에서의 염으로는, 알카리금속(리튬, 나트륨 및 칼륨 등), 알카리토류금속(칼슘 및 마그네슘 등), 암모늄 및 각종 아민(예를 들면, 알킬아민, 시클로알킬아민 및 알카놀아민 등) 등을 들 수 있다.
(C)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
예를 들면, 알킬아민, 알킬4급암모늄염, 알킬아민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알킬4급암모늄염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D) 양쪽성 계면활성제 :
예를 들면, 베타인형 계면활성제 및 아미노산형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 다.
(E) 그 외 계면활성제 :
예를 들면,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불소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 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하는 경우의 비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조성물 중의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적당히 선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0.5 ~ 20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 조성물에는 추가로 각종 보조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보조제로는 결합제, 고체담체 및 용제 등이 있으며,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는, 예를 들면 덱스트린(배소덱스트린 및 효소변성덱스트린 등), 산분해전분, 산화전분, 알파화전분, 에테르화전분(카르복시메틸전분, 히드록시알킬전분 및 카디온전분 등), 에스테르화전분(초산전분 및 인산전분 등), 가교전분 및 그래프트화전분 등의 가공전분, 예를 들면, 알긴산나트륨, 아라비아검, 젤라틴, 트라간트고무, 로커스트콩검 및 카세인 등의 천연물질,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염,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및 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유도체 및 예를 들면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부분감화초산비닐과 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초산비닐의 공중합물 및 폴리아 크릴아미드 등의 그 외 고분자를 들 수 있다.
고체담체로는, 예를 들면 석영, 방해석, 해포석, 돌로마이트, 초크, 카올리나이트, 파이로피라이트, 세리사이트, 할로사이트, 메타할로사이트, 목절점토, 와목점토, 도석(陶石), 지크라이트, 알로페인, 시라스, 운모, 활석(탈크), 벤토나이트, 활성백토, 산성백토, 경석, 애타풀자이트, 제올라이트 및 규조토 등의 천연광물질, 예를 들면 소성 클레이, 펄라이트, 시라스발룬, 버미큘라이트, 아타팔가스클레이 및 소성규조토 등의 천연광물질의 소성품, 예를 들면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황산암모늄,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인산수소2암모늄, 인산2수소암모늄 및 염화칼륨 등의 무기염류, 예를 들면 포도당, 과당, 자당 및 유당 등의 당류, 예를 들면 전분, 분말셀룰로스 및 덱스트린 등의 다당류, 예를 들면 요소, 요소유도체,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의 염 등의 유기물, 예를 들면 목분, 옥수수 자루, 호두껍질 및 담배줄기 등의 식물류, 플라이애시, 화이트카본 및 비료 등을 들 수 있다.
벤토나이트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구니켈VA(상품명/구니미네(주)제), 구니켈V2(상품명/구니미네(주)제), 호타카벤토나이트(상품명/호쥰요코(주)제), 묘기벤토나이트(상품명/호쥰요코(주)제), 보나벤토나이트(상품명/호쥰요코(주)제), 벤토나이트슈퍼클레이(상품명/호쥰요코(주)제) 및 입상 벤토나이트(상품명/호쥰요코(주)제) 등의 나트륨벤토나이트 및 구니본드(상품명/구니미네(주)제) 등의 칼슘 벤 토나이트를 들 수 있다.
벤토나이트 이외의 천연광물질의 구체예로는 H미분(상품명/아사다세분(주)제), 네오케리어K(상품명/아사다세분(주)제), 후바사미K클레이(상품명/후바사미클레이(주)제) 및 도쿠유끼F클레이(상품명/쇼와코교(주)제) 등을 들 수 있다.
탄산칼슘의 구체예로는 미크로칼250(상품명/아오쿠라셋까이(주)제),미크로칼100(상품명/아오쿠라코교(주)제), NS#100(상품명/닛토훈카코교(주)제), NS#200(상품명/닛토훈카코교(주)제), NS#3000(상품명/닛토훈카코교(주)제) 및 슈퍼SS(상품명/마루오칼슘(주)제) 등을 들 수 있다.
화이트카본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카프렉스#80D(상품명/시오노기세이야쿠(주)), 카프렉스#67(상품명/시오노기세이야쿠(주)), 카프렉스#1120(상품명/시오노기세이야쿠(주)), 카프렉스#XR(상품명/시오노기세이야쿠(주)), 파인실A(상품명/도쿠야마소다(주)), 파인실E-50(상품명/도쿠야마소다(주)), 파인실X-37(상품명/도쿠야마소다(주)), 파인실K-41(상품명/도쿠야마소다(주)), 파인실P-8(상품명/도쿠야마소다(주)), 도쿠실U(상품명/도쿠야마소다(주)), 도쿠실CU-N(상품명/도쿠야마소다(주)), 도쿠실P(상품명/도쿠야마소다(주)), 도쿠실NR(상품명/도쿠야마소다(주)), 닙실NS(상품명/니혼실리카코교(주)), 닙실NSK(상품명/니혼실리카코교(주)), 닙실NA(상품명/니혼실리카코교(주)), 사이로이드244(상품명/후지데비슨카가쿠), 사이로이드65(상품명/후지데비슨카가쿠), 사이로이드308(상품명/후지데비슨카가쿠), 미즈카실P-705(상품명/미즈사와카가쿠(주)), 미즈카실P-802(상품명/미즈사와카가쿠(주)), 미즈카실P-78(상품명/미즈사와카가쿠(주)) 및 미즈카실P-832(상품명/미즈사와카가쿠(주)) 등의 함수실리카, 예를 들면 카프렉스CS-5(상품명/시오노기세이야쿠(주)), 카프렉스CS-7(상품명/시오노기세이야쿠(주)) 및 카프렉스CS-701(상품명/시오노기세이야쿠(주)) 등의 함수실리카의 소성품, 예를 들면 에어로실130(상품명/닛폰에어로실(주)), 에어로실200(상품명/닛폰에어로실(주)), 에어로실380(상품명/닛폰에어로실(주)) 및 에어로실MOX80(상품명/닛폰에어로실(주)) 등의 무수실리카, 예를 들면 플로라이트R(상품명/도쿠야마소다(주)), 플로라이트RN(상품명/도쿠야마소다(주)), 도요히로TH(상품명/도요덴카코교(주)), 조노라이트(상품명/오노다카가쿠) 및 마이크로셀E(상품명/존즈·만빌) 등의 함수칼슘실리케이트, 예를 들면 SIPERNATD17(상품명/닛폰에어로실(주)), 닙실SS-10(상품명/니혼실리카(주)), 닙실SS-20(상품명/니혼실리카(주)) 및 닙실SS-30P(상품명/니혼실리카(주)) 등의 함수실리카를 원료로 한 표면처리실리카, 예를 들면 에어로실R972(상품명/닛폰에어로실(주)), 에어로실R202(상품명/닛폰에어로실(주)) 및 에어로실R812(상품명/닛폰에어로실(주)) 등의 무수실리카를 원료로 한 표면처리실리카를 들 수 있다.
용제로는, 예를 들면 크실렌, 알킬(C9 또는 C10 등)벤젠, 페닐크실릴에탄 및 알킬(C1 또는 C3 등)나프탈렌 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머신유, 노말파라핀, 이소파 라핀 및 나프텐 등의 지방족탄화수소류, 케로신 등의 방향족탄화수소와 지방족탄화수소의 혼합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시클로헥사놀, 페녹시에탄올 및 벤질알코올 등의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 프로필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페닐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등의 에테르, 아세트페논, 시클로헥사논 및 γ-부티로락톤 등의 케톤, 지방산메틸에스테르, 호박산디알킬에스테르, 글루타민산디알킬에스테르, 아디핀산디알킬에스테르 및 프탈산디알킬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 N-알킬(C1, C8 또는 C12 등)피롤리돈 등의 산아미드, 대두유, 아마씨유, 유채씨유, 야자유, 면실유 및 피마자유 등의 유지, 디메틸설폭시드 및 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포장체로 사용되는 수용성 필름은, 물에 신속하게 용해 또는 분산하는 필름이 적당하며, 필름의 소재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옥시폴리알킬렌글리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알긴산, 젤라틴, 풀루란 및 가용화 전분 등이 예시된다. 또한, 사용되는 수용성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20㎛ ~ 100㎛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농약 패키지로 사용되는 방습성 필름은 실질적으로 수분을 통과시키기 어려운 것이면 되며,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코올공중합수지, 나일론, 알루미늄박 등의 필름 외에 알루미늄이나 실리카를 증착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조성물이 입상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또한 필요에 따라서 그 외 보조제 및 물을 혼합한 후, 조립기를 이용해 조립한 후, 건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조립은 유동층조립기, 분무건조조립기, 교반조립기, 압축조립기, 전동조립기 혹은 압출조립기 등을 이용해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의 함수율은 제조시에 물 첨가량을 조절하거나 건조조건을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원하는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포장체 및 농약 패키지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 등으로 제조한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해 농약포장체를 제조한다. 이어서, 통상적으로 복수개의 농약포장체를 방습성 필름으로 포장해서 농약 패키지를 제조한다. 농약포장체 및 농약 패키지의 제조에 있어서는 종 또는 횡 필로우 포장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포장체는 수전 등의 수면에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약포장체를 물에 희석해서 살포액을 제조해 살포할 수도 있다. 농약포장체를 수 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1봉지당 조성물의 중량이 10g ~ 200g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담수하의 수전(水田)에 휴반이나 수구에서 10a당 2 ~ 20개, 바람직하게는 5 ~ 20개 적접 투입함으로써 사용된다.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1]
피라조설푸론에틸(일반명) 6.59부, 폴리카르본산칼륨(상품명 : 제로폰SC, 로디아제) 5.00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상품명 : 세로겐PR, 다이이찌코교세이야쿠제) 13.0부, 발포요소수지(상품명 : 하이콘포, 닛산카가쿠코교제) 40.0부 및 목분(상품명 : 우드파우더-N-1, 토키와카코제) 33.27부를 혼합했다. 여기에, 올레인산메틸(상품명 : 에키세팔MO-L, 카오제) 14.54부 및 페닐크실릴에탄(상품명 : 하이졸SAS, 신니혼세키유제) 9.00부를 첨가해서 혼합했다. 추가로, 디옥틸술포호박산나트륨(상품명 : 에어롤CT1-L, 토호카가쿠코교제) 6.00부, 폴리옥시에틸렌아릴페닐에테르황산암모늄 25%수용액(상품명 : 소프로폴4D384, 로디아제) 및 물을 첨가해서 혼합했다. 이어서 구경 1.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압출식 조립기를 이용해 조립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유동층건조기로, 송풍온도 60℃, 품온 32℃까지 건조시켜서 함수율7.5%(칼 피셔법)의 입상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이 입상 조성물 30g을 폴리 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상품명 : VF-HP4000, 클라레이제)에 넣어 농약포장체를 얻었다.
[실시예2]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조립물을 유동층건조기로, 송풍온도 60℃, 품온 37℃까지 건조시켜서 함수율 4.9%(칼 피셔법)의 입상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이 입상 조성물 30g을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상품명 : VF-HP4000, 클라레이제)에 넣어 농약포장체를 얻었다.
[실시예3]
피라조설푸론에틸(일반명) 8.29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상품명 : 세로겐7A, 다이이찌코교세이야쿠제)24.97부, 아릴술폰산포말린축합물나트륨염(상품명 : 데몰SNB, 카오제) 2.50부, 발포요소수지(상품명 : 하이콘포, 닛산카가쿠코교제) 27.97부 및 목분(상품명 : 우드파우더N-1, 토키와카코제) 51.10부를 혼합했다. 여기에, 디옥틸술포호박산나트륨(상품명 : 에어롤CT1-L, 토호카가쿠코교제) 6.32부, 폴리옥시에틸렌디노닐페닐에테르황산암모늄염(상품명 : 하이테놀NE-15, 다이이찌코교세이야쿠제) 0.33부 및 물을 첨가해서 혼합했다. 이어서 구경 1.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압출식 조립기를 이용해 조립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유동층건조기로, 송풍온도 60℃, 품온 35℃까지 건조시켜서 함수율6.6%(칼 피셔법)의 입상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이 입상 조성물 30g을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상품명 : VF- HP4000, 클라레이제)에 넣어 농약포장체를 얻었다.
[실시예4]
피라조설푸론에틸(일반명) 8.58부, 화이트카본 (상품명 : 카프렉스#80D, 시오노기세야쿠제) 0.25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상품명 : 세로겐7A, 다이이찌코교세이야쿠제) 7.00부, 아릴술폰산포말린축합물나트륨염(상품명 : 데몰SNB, 카오제) 7.00부, 유리질 중공체(상품명 : 후지발룬S-35, 후지실리시아화학제) 20.0부, 벤토나이트(상품명 : 호타카벤토나이트, 호쥰코교제) 25.0부, 규조토(상품명 : 라디오라이트#200, 쇼와카가쿠코교제) 19.17부 및 목분(상품명 : 우드파우더N-1, 토키와카코제)5.00부를 혼합했다. 여기에, 아세틸렌디올(상품명 : 서피놀SE-F, 에어프로덕츠제)3.0부 및 물을 첨가해서 혼합했다. 추가로, 염화칼륨 5.00부를 첨가해서 혼합했다. 이어서 구경 1.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압출식 조립기를 이용해 조립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유동층건조기로, 송풍온도 65℃, 품온 50℃까지 건조시켜서 함수율 2.7%(칼 피셔법)의 입상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이 입상 조성물 30g을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상품명 : VF-HP4000, 클라레이제)에 넣어 농약포장체를 얻었다.
[실시예5]
피라조설푸론에틸(일반명) 22.84부, 칼슘실리케이트(상품명 : 마이크로셀E, CELITE Co.제) 6.00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상품명 : 세로겐PR, 다이 이찌코교세이야쿠제) 4.00부, 아릴술폰산포말린축합물나트륨염(상품명 : 데몰SNB, 카오제) 9.00부, 유리질 중공체(상품명 : 후지발룬S-35, 후지실리시아화학제) 20.0부, 벤토나이트(상품명 : 호타카벤토나이트, 호쥰코교제) 20.0부, 규조토(상품명 : 라디오라이트#200, 쇼와카가쿠코교제) 4.53부 및 목분(상품명 : 우드파우더N-1, 토키와카코제) 5.00부를 혼합했다. 여기에, 아세틸렌디올(상품명 : 서피놀SE-F, 에어프로덕츠제)3 .0부 및 물을 첨가해서 혼합했다. 추가로 염화칼륨 5.00부를 첨가해서 혼합했다. 이어서 구경 1.5mm의 스크린을 장착한 압출식 조립기를 이용해 조립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유동층건조기로, 송풍온도 65℃, 품온 55℃까지 건조시켜서 함수율 2.2%(칼 피셔법)의 입상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이 입상 조성물 30g을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상품명 : VF-HP4000, 클라레이제)에 넣어 농약포장체를 얻었다.
[실시예6]
피라조설푸론에틸(일반명) 31.48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상품명 : 세로겐7A, 다이이찌코교세이야쿠제)15.36부, 아릴술폰산포말린축합물나트륨염(상품명 : 데몰SNB, 카오제) 5.00부, 발포요소수지(상품명 : 하이콘포, 닛산카가쿠코교제) 60.00부 및 목분(상품명 : 우드파우더N-1, 토키와카코제) 25.91부를 혼합했다. 여기에, 디옥틸술포호박산나트륨(상품명 : 에어롤CT1-L, 토호카가쿠코교제) 6.25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중합체(상품명 : 에판U103, 다이이찌코교세이야쿠제) 1.00부 및 물을 첨가해서 혼합했다. 이어서 구경 1.5mm의 스크린을 장 착한 압출식 조립기를 이용해 조립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유동층건조기로, 송풍온도 60℃, 품온 50℃까지 건조시켜서 함수율4.2%(칼 피셔법)의 입상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이 입상 조성물 30g을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상품명 : VF-HP4000, 클라레이제)에 넣어 농약포장체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조립물을 유동층건조기로, 송풍온도 60℃, 품온 27℃까지 건조시켜서 함수율12.4%(칼 피셔법)의 입상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이 입상 조성물 30g을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상품명 : VF-HP4000, 클라레이제)에 넣어 농약포장체를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조립물을 유동층건조기로, 송풍온도 60℃, 품온 47℃까지 건조시켜서 함수율 2.8%(칼 피셔법)의 입상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이 입상 조성물 30g을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상품명 : VF-HP4000, 클라레이제)에 넣어 농약포장체를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조립물을 유동층건조기로, 송풍온도 60℃, 품온 38℃까지 건조시켜서 함수율5.1%(칼 피셔법)의 입상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이 입상 조성물 30g을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상품명 : VF-HP4000, 클라레이제)에 넣어 농약포장체를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조립물을 유동층건조기로, 송풍온도 60℃, 품온 49℃까지 건조시켜서 함수율 2.0%(칼 피셔법)의 입상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이 입상 조성물 30g을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상품명 : VF-HP4000, 클라레이제)에 넣어 농약포장체를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조립물을 유동층건조기로, 송풍온도 60℃, 품온 30℃까지 건조시켜서 함수율10.8%(칼 피셔법)의 입상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이 입상 조성물 30g을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상품명 : VF-HP4000, 클라레이제)에 넣어 농약포장체를 얻었다.
[조성물의 평형함수율 측정]
[1]비교예 2에서 얻은 함수율 2.8%의 입상 조성물 5g을 25℃이면서 상대습도 40%의 항온 항습조에 3일간 보존한 결과, 입상 조성물의 함수율은 5.5%의 평형상태에 달했다.
[2]비교예 4에서 얻은 함수율 2.0%의 입상 조성물 5g을 25℃이면서 상대습 도 40%의 항온 항습조에 3일간 보존한 결과, 입상 조성물의 함수율은 7.9%의 평형상태에 달했다.
[3]실시예 4에서 얻은 함수율 2.7%의 입상 조성물 5g을 25℃이면서 상대습도 40%의 항온 항습조에 3일간 보존한 결과, 입상 조성물의 함수율은 3.3%의 평형상태에 달했다.
[4]실시예 5에서 얻은 함수율 2.2%의 입상 조성물 5g을 25℃이면서 상대습도 40%의 항온 항습조에 3일간 보존한 결과, 입상 조성물의 함수율은 3.2%의 평형상태에 달했다.
[5]실시예 6에서 얻은 함수율4.2%의 입상 조성물 5g을 25℃이면서 상대습도 40%의 항온 항습조에 3일간 보존한 결과, 입상 조성물의 함수율은 6.2%의 평형상태에 달했다.
[수용성 필름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서 얻은 농약포장체를 방습성을 갖는 알루미늄 봉투에 넣어 50℃의 항온조에서 30일간 보존한 후, 실온(25℃)에서 일정 시간 방치한 후에 개봉하여 수용성 필름의 상태를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다만, 표 중의 기호와 용어는 이하의 의미를 나타낸다.
(E) : 조성물의 평형 함수율
(P) : 수용성 필름에 내포되기 직전의 조성물의 함수율
양호 : 항온조에 보존하기 전과 같음.
연화 : 항온조에 보존하기 전보다도 부드러워져서 끈적거림.
경화 : 항온조에 보존하기 전보다고 딱딱해져서 약해져 있다.
(E) (P) (E)-(P) 필름상태
실시예1 5.5% 7.5% -2.0% 양호
실시예2 5.5% 4.9% 0.6% 양호
실시예3 7.9% 6.6% 1.3% 양호
실시예4 3.3% 2.7% 0.6% 양호
실시예5 3.2% 2.2% 1.0% 양호
실시예6 6.2% 4.2% 2.0% 양호
비교예1 5.5% 12.4% -6.9% 연화
비교예2 5.5% 2.8% 2.7% 경화
비교예3 7.9% 5.1% 2.8% 경화
비교예4 7.9% 2.0% 5.9% 경화
비교예5 7.9% 10.8% -2.9% 연화
본 발명의 농약 패키지는, 보존하는 동안에 농약포장체의 수용성 필름이 쉽게 경화 또는 연화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수송시 또는 살포시에 봉투가 쉽게 파손하지 않고 살포시에 쉽게 손에 묻지 않는다. 또한 이 포장체를 수전의 수면 등에 사용함으로써 유해생물을 방제할 수 있다.

Claims (8)

  1.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포장체, 상기 농약포장체가 방습성필름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 패키지이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에 내포되기 직전 상기 조성물은 25℃이면서 상대습도 40%에서의 상기 조성물의 평형함수율 대비 -2.0% 내지 2.0%인 차이의 함수율을 갖는 농약 패키지.
  2. 제 1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고형 조성물인 농약 패키지.
  3. 제 1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입상 조성물인 농약 패키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농약 패키지에 내포되어 있는 농약포장체.
  5. 제 4항에 있어서,
    수면에 사용되는 것인 농약포장체.
  6.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에 내포하여 농약포장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농약포장체를 방습성필름에 내포하여 농약 패키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조성물의 25℃이면서 상대습도 40%에서의 평형함수율과 폴리비닐알코올제 수용성 필름에 내포되기 직전의 상기 조성물의 함수율 차가 -2.0% 내지 2.0%인 농약 패키지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고형 조성물인 농약 패키지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입상 조성물인 농약 패키지의 제조방법.
KR1020090073848A 2008-08-25 2009-08-11 농약 패키지 KR101615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14892A JP5387813B2 (ja) 2008-08-25 2008-08-25 農薬包装袋
JPJP-P-2008-214892 2008-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347A KR20100024347A (ko) 2010-03-05
KR101615951B1 true KR101615951B1 (ko) 2016-04-27

Family

ID=4206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848A KR101615951B1 (ko) 2008-08-25 2009-08-11 농약 패키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387813B2 (ko)
KR (1) KR101615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490A1 (en) * 2010-11-29 2012-06-07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Control of bacterial growth
JP6146944B2 (ja) * 2011-08-05 2017-06-14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農業用水面施用粒状組成物
JP5954522B2 (ja) * 2011-11-11 2016-07-20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水中への溶出が促進される固形農薬組成物
JP2016135793A (ja) * 2016-03-22 2016-07-28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水中への溶出が促進される固形農薬組成物
JP2020501997A (ja) * 2016-12-19 2020-01-23 ユーピーエル リミテッドUpl Limited 水分バリア包装体
JP2018012709A (ja) * 2017-08-17 2018-01-25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水中への溶出が促進される固形農薬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508A (ja) * 1999-05-25 2000-11-28 Nippon Kayaku Co Ltd 農薬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3081704A (ja) 2001-09-10 2003-03-19 Kumiai Chem Ind Co Ltd 固体農薬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3483B2 (ja) * 1993-05-11 1999-01-06 株式会社トモノアグリカ 農薬包装体の製造方法
JPH08244835A (ja) * 1995-03-13 1996-09-2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液体薬剤の水溶性包装パツ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508A (ja) * 1999-05-25 2000-11-28 Nippon Kayaku Co Ltd 農薬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3081704A (ja) 2001-09-10 2003-03-19 Kumiai Chem Ind Co Ltd 固体農薬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47545A (ja) 2010-03-04
JP5387813B2 (ja) 2014-01-15
KR20100024347A (ko) 201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83869A (ja) 水田水口施用農薬包装袋
KR101615951B1 (ko) 농약 패키지
JP2010013389A (ja) 水中溶出性が促進される農薬組成物
JP5339055B2 (ja) 水性懸濁状農薬組成物
JP2011063585A (ja) 水性懸濁状農薬組成物
JP6677159B2 (ja) 固形農薬組成物
JP2008074836A (ja) 農業用水面施用粒状組成物
KR20120022599A (ko)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수성 현탁상 농약 조성물
JP2012158566A (ja) 安定化される農薬固型製剤
KR101837420B1 (ko) 수면 확산성 및 수중 분산성이 향상되는 수성 현탁형 농약 조성물
JP2015010045A (ja) 農薬粒状組成物
WO2013088942A1 (ja) 農薬粒状組成物
JP2012153643A (ja) 農薬固型製剤
JP6146944B2 (ja) 農業用水面施用粒状組成物
JP4102978B2 (ja) 農業用粒状水和剤
JP5935976B2 (ja) 安定化される農薬固型製剤
JP5954522B2 (ja) 水中への溶出が促進される固形農薬組成物
JP6103218B2 (ja) 農業用粒状組成物
JP2011016741A (ja) 保存安定性の改善される水性懸濁状農薬組成物
JP2018012709A (ja) 水中への溶出が促進される固形農薬組成物
JP5360349B2 (ja) 安定化される水性懸濁状農薬組成物
JP2011144149A (ja) 水性懸濁状農薬組成物
JP2017137277A (ja) 農薬固型製剤
KR101869451B1 (ko) 수면부상형 입제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4104153A1 (ja) 農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