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895B1 -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895B1
KR101614895B1 KR1020140015240A KR20140015240A KR101614895B1 KR 101614895 B1 KR101614895 B1 KR 101614895B1 KR 1020140015240 A KR1020140015240 A KR 1020140015240A KR 20140015240 A KR20140015240 A KR 20140015240A KR 101614895 B1 KR101614895 B1 KR 10161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fixing member
food
upper portion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216A (ko
Inventor
이영상
Original Assignee
이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상 filed Critical 이영상
Priority to KR1020140015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895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1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 B02C4/1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in the form of a bar
    • B02C4/2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in the form of a bar wherein the roller is corrugated or toot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0Disintegrating by 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음식물(쌀, 콩, 옥수수 등 곡물류)을 1차 파쇄시킨 후 파쇄된 음식물이 하부로 이동되고, 하부로 이동된 음식물은 맷돌 방식에 의해 2차 파쇄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분쇄부와, 상기 제1분쇄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Hybrid mixer for food blender}
본 발명은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음식물(쌀, 콩, 옥수수 등 곡물류)을 1차 파쇄시킨 후 파쇄된 음식물이 하부로 이동되고, 하부로 이동된 음식물은 맷돌 방식에 의해 2차 파쇄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 및 곡물 등을 분쇄시키는 믹서기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분쇄롤러 접촉면에 분쇄하고자 하는 고추 및 곡물류 등을 인입시켜 압착분쇄하는 방법으로 곡물가루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곡물류를 분쇄하는 종래의 믹서기는 한 쌍의 로울러가 상호 접촉회전하게 될 때 고온의 접촉마찰열이 발생하여 고추 및 곡물류 등이 타버리게 되어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믹서기는 한 쌍의 로울러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동력전달장치를 각각 구비하게 되어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제작 및 정비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접촉회전하는 한 쌍의 분쇄로울러 사이에 이물질이 투입되어 로울러의 회전고정부가 파손되어 부속부품의 교체가 빈번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로울러의 제조방법인 일반주조로 제작된 로울러는 경도가 약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로울러가 상호 접촉되는 마찰로 인해 표면이 마모되어 쇳가루가 발생되어 곡물가루에 혼합되어 그대로 소비자에게 유통되는 상황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129065호가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특허공개공보 제10-2012-129065호는 한 쌍의 로울러 중 어느 일측부에 위치한 로울러가 완충스프링에 의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구성되어 투입되는 곡물의 크기에 따라 완충스프링이 설치된 로울러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곡물을 분쇄시키는 것으로, 이는 한 쌍의 로울러 사이의 밀착력이 떨어져 로울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곡물을 제대로 분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곡물류를 작업자가 원하는 입자로 분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여러번의 분쇄과정을 거쳐야만 작업자가 원하는 입자의 곡물 가루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이로 인해 전기 및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투입되는 곡물류 등을 2차에 걸쳐 분쇄함으로써, 단시간에 작업자가 원하는 입자의 가루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투입된 곡물류를 1차로 분쇄하는 고정체의 상부를 회전하는 한 쌍의 분쇄부재가 구비되고, 이 분쇄부재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하여 회전하면서 곡물류 등을 분쇄시킨 후 2차로 분쇄작업을 수행함으로써, 1번의 투입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입자의 가루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1,2차에 거쳐 곡물류 등을 분쇄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입자의 가루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물류의 분쇄작업이 쉽고, 반복적인 분쇄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1차 분쇄된 곡물류를 2차에서 멧돌 방식으로 분쇄작업을 더 수행함으로써, 보다 고운 입자를 갖는 가루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분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분쇄부와, 상기 제1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모터축이 제1분쇄부재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는 감속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분쇄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부에 하부로 돌출되어 제1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결속되는 안내관이 형성된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2동력전달부에 의해 동작하는 다수 개의 제2분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분쇄부와, 상기 제2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음식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제1,2분쇄부의 제1,2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위치되어 하부는 제1분쇄부재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상부는 커버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고정되는 메인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2분쇄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몸체의 내측 하부에 제1분쇄부재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차단부재 및 상기 제1분쇄부재의 외주면에 상부가 고정 설치되고, 하부는 차단부재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몸체의 내주면 양측부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지지돌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외주면에는 지지돌출면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면이 형성되어 제1분쇄부재의 회전시 제1고정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분쇄부재의 상부에는 제1경사면에 밀착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나아가,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부 중앙부가 돌출되게 제3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분쇄부재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동력전달부의 메인축에 결합 고정되는 날개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동력전달부의 구동에 의해 제2고정부재의 상부 제3경사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날개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와 구획판의 사이에는 제1고정부재를 가압하여 제1고정부재와 제1분쇄부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음식물의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투입되는 곡물류 등을 2차에 걸쳐 분쇄함으로써, 단시간에 작업자가 원하는 입자의 가루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다.
그리고, 투입된 곡물류를 1차로 분쇄하는 고정체의 상부를 회전하는 한 쌍의 분쇄부재가 구비되고, 이 분쇄부재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하여 회전하면서 곡물류 등을 분쇄시킨 후 2차로 분쇄작업을 수행함으로써, 1번의 투입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입자의 가루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1,2차에 거쳐 곡물류 등을 분쇄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입자의 가루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물류의 분쇄작업이 쉽고, 반복적인 분쇄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다.
그리고, 1차 분쇄된 곡물류를 2차에서 맷돌 방식으로 분쇄작업을 더 수행함으로써, 보다 고운 입자를 갖는 가루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히이브리드 믹서기를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분쇄부를 보인 도면.
도 5 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분쇄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히이브리드 믹서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히이브리드 믹서기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분쇄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 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분쇄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100)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분쇄부(210)와, 상기 제1분쇄부(210)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310)와, 상기 제1분쇄부(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분쇄부(410)와, 상기 제2분쇄부(410)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5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는 상, 하부가 개방되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지면에 안착되는 하단부에는 다리부재(미도시) 등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분쇄부(210)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분쇄부(210)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밀폐된 제1몸체(2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몸체(212)의 하단부에는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214)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1몸체(212)의 내측 상단부에는 제1몸체(212)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2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216)는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216a)이 형성되고, 하단 중앙부가 함몰되게 경사진 제1경사면(216b)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몸체(21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제1고정부재(216)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제1분쇄부재(2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분쇄부재(220)는 상부가 제1고정부재(216)의 제1경사면(216b)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면(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재(216)의 관통공(216a)을 통하여 투입되는 음식물은 제1분쇄부재(220)의 회전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게 되고, 분쇄된 음식물은 배출구(2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212)의 내측 바닥면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1분쇄부재(220)가 위치되게 설치되는 차단부재(2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재(230)의 외측에 하단부가 위치되게 제1분쇄부재(220)의 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부재(23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232)는 절곡 형성되어 상부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제1분쇄부재(220)의 측부에 결합 고정되고, 하부는 차단부재(230)의 외측에 위치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분쇄부재(220)의 회전시 분쇄된 음식물 가루는 가이드부재(232)에 의해 차단부재(230)의 외측부로 공급되어 제1몸체(212)의 배출구(214)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310)는 베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되, 제1몸체(212)의 내측으로 모터축이 관통되게 제1몸체(2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1몸체(212)의 내측에 위치한 모터축에는 제1분쇄부재(220)의 하부가 결합 고정되는 감속모터(31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모터(312)의 모터축에 결합 고정된 제1분쇄부재(220)가 회전하면서 제1고정부재(216)의 관통공(216a)을 통하여 공급되는 음식물이 분쇄되어 배출구(214)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분쇄부(4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분쇄부(210)의 제1몸체(212)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2몸체(4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몸체(412)는 제1몸체(212)의 상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는 커버부재(414)에 의해 커버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414)는 제2몸체(412)의 상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음식물을 투입하는 투입구(416)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1몸체(212)와 제2몸체(412)의 사이에는 구획판(420)이 더 구비되되, 이 구획판(420)은 중앙부에 하부로 돌출되어 제1고정부재(216)의 관통공(216a)에 끼워지는 안내관(42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구획판(420)의 상부에 안착되되, 중앙부에 관통공(432)이 형성된 제2고정부재(4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재(430)는 상단 중앙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경사진 제3경사면(4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재(4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2고정부재(430)의 상부를 회동하면서 음식물을 분쇄시키는 다수개의 제2분쇄부재(4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분쇄부재(440)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는 일측으로 돌출되게 날개축(44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분쇄부재(440)는 날개축(442)으로부터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어 제2고정부재(430)의 상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시 날개축(44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제2고정부재(430)의 상부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416)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은 제2고정부재(430)의 상부로 공급되고, 이 상태에서 제2분쇄부재(440)가 회동하면서 음식물을 분쇄시키게 되며, 분쇄된 음식물은 제2고정부재(430)의 관통공(432) 및 안내관(422)을 통하여 제1분쇄부(210)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동력전달부(510)는 제1,2고정부재(216)(430)의 관통공(216a)(432)에 위치되어 하부는 제1분쇄부재(220)의 상부 중앙에 결합 고정되고, 상부는 커버부재(414)에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는 메인축(5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인축(512)에는 제2분쇄부(410)의 제2분쇄부재(440)에 구비된 날개축(442)이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분쇄부재(220)의 회전시 메인축(512)에 의해 제2분쇄부재(440)가 회전하면서 제2고정부재(430)의 상부로 투입되는 음식물을 분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100)는 먼저, 상기 감속모터(312)로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면 감속모터(312)의 작동에 의해 모터축에 결합된 제1분쇄부재(220)가 회전함과 동시에 제1분쇄부재(22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된 메인축(512)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축(512)이 회전함에 따라 이 메인축(512)에 결합 고정된 제2분쇄부재(44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414)의 투입구(416)로 음식물을 투입시키게 되면 음식물은 제2고정부재(430)의 상부에 안착됨과 동시에 제2분쇄부재(440)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2분쇄부재(440)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1차 분쇄된 음식물은 제2고정부재(430)의 관통공(432)을 통하여 하부 제1분쇄부(21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분쇄부(210)로 공급된 음식물은 제1고정부재(216)와 제1분쇄부재(220)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서로 간의 마찰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게 되고, 분쇄된 음식물 가루는 제1몸체(212)의 하부로 떨어져 배출구(2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분쇄부(210)로 공급된 음식물은 제1분쇄부재(220)가 회전하면서 제1고정부재(216)의 서로 간의 마찰, 즉 제1고정부재(216)와 제1분쇄부재(220)는 멧돌 방식에 의해 음식물이 분쇄되어 측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분쇄부재(22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 가루는 제1분쇄부재(220)의 측부에 구비된 가이드부재(232)에 의해 차단부재(230)의 외측으로 떨어지고, 차단부재(230)의 외측으로 떨어진 음식물 가루는 제1몸체(212)의 배출구(2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100)는 제2분쇄부(410)에 의해 1차 분쇄된 상태에서 제1분쇄부(210)에서 2차 분쇄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음식물을 한 번의 투입으로 고운 음식물 가루 등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216)와 구획판(420)의 사이에 위치되되, 구획판(420)의 안내관(422)의 외측에 위치되어 제1고정부재(216)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고정부재(216)를 가압함으로써, 제1고정부재(216)와 제1분쇄부재(220)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음식물의 분쇄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탄성부재(240)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믹서하는 음식물의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212)의 내주면 상단 소정의 위치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돌출 형성된 지지돌출면(21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216)의 외주면에는 지지돌출면(212a)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면(216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1몸체(212)의 내주면에 지지돌출면(212a)를 형성하고, 제1고정부재(216)의 외주면에는 이 지지돌출면(212a)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면(216c)을 형성함으로써, 제1분쇄부재(220)의 회전시 제1고정부재(216)가 회전하지 않게 되어 음식물이 용이하게 믹서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분쇄부재(220)의 회전시 제1고정부재(216)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든수단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110 : 베이스
210 : 제1분쇄부 212 ; 제1몸체
212a : 지지돌출면 214 : 배출구
216 : 제1고정부재 216a ; 관통공
216b : 제1경사면 216c : 지지면
220 : 제1분쇄부재 222 : 제2경사면
230 : 차단부재 232 : 가이드부재
240 : 탄성부재
310 : 제1동력전달부 312 : 감속모터
410 : 제1분쇄부 412 : 제2몸체
414 : 커버부재 416 : 투입구
420 : 구획판 422 : 안내관
430 : 제2고정부재 432 : 관통공
434 : 제3경사면 440 : 제2분쇄부재
442 : 날개축 510 : 제2동력전달부
512 : 메인축

Claims (14)

  1. 상,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분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분쇄부와,
    상기 제1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모터축이 제1분쇄부재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는 감속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분쇄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부에 하부로 돌출되어 제1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216a)에 결속되는 안내관이 형성된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중앙부에 관통공(432)이 형성된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2동력전달부에 의해 동작하는 다수 개의 제2분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분쇄부와,
    상기 제2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음식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제1,2분쇄부의 제1,2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216a)(432)에 위치되어 하부는 제1분쇄부재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상부는 커버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고정되는 메인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2분쇄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몸체의 내측 하부에 제1분쇄부재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차단부재 및
    상기 제1분쇄부재의 외주면에 상부가 고정 설치되고, 하부는 차단부재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몸체의 내주면 양측부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지지돌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외주면에는 지지돌출면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면이 형성되어 제1분쇄부재의 회전시 제1고정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분쇄부재의 상부에는 제1경사면에 밀착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부 중앙부가 돌출되게 제3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쇄부재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동력전달부의 메인축에 결합 고정되는 날개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동력전달부의 구동에 의해 제2고정부재의 상부 제3경사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날개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와 구획판의 사이에는 제1고정부재를 가압하여 제1고정부재와 제1분쇄부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음식물의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14. 삭제
KR1020140015240A 2014-02-11 2014-02-11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KR10161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40A KR101614895B1 (ko) 2014-02-11 2014-02-11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40A KR101614895B1 (ko) 2014-02-11 2014-02-11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16A KR20150094216A (ko) 2015-08-19
KR101614895B1 true KR101614895B1 (ko) 2016-04-22

Family

ID=5405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240A KR101614895B1 (ko) 2014-02-11 2014-02-11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171A1 (ko) * 2021-12-30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614Y1 (ko) 2004-08-27 2004-11-26 임생규 곡물 분쇄기
KR200374639Y1 (ko) 2004-11-15 2005-02-02 이종천 콩류 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614Y1 (ko) 2004-08-27 2004-11-26 임생규 곡물 분쇄기
KR200374639Y1 (ko) 2004-11-15 2005-02-02 이종천 콩류 분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171A1 (ko) * 2021-12-30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16A (ko)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0761B2 (ja) 円錐形状衝撃式ミル
JP2889340B2 (ja) 高速乾式粉砕機
WO2018079092A1 (ja) 電動粉挽き機
KR101659236B1 (ko) 스크린 선별장치를 가진 링 롤러 밀
KR101614895B1 (ko) 음식물 하이브리드 믹서기
US10376896B2 (en) Disc chipper for crushing lumpy feed material, particularly wood
JP2010089056A (ja) 石臼
KR101166163B1 (ko) 분쇄기의 분쇄 칼날 장치
JP2000070741A (ja) 製粉機
KR101704258B1 (ko) 초미분 분쇄기
KR101587849B1 (ko) 파쇄기
JP2000070743A (ja) 製粉機
KR101530421B1 (ko) 곡물분쇄장치용 임펠러
KR101654234B1 (ko) 마찰 충격 및 열을 감소시킨 곡물분쇄기
CN206763053U (zh) 一种自动化粉碎机
RU26242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ешивания и измельчения
KR20150143111A (ko) 분쇄기
KR200448700Y1 (ko) 곡물 분쇄기
US2017598A (en) Means for reducing and grading ores
JP7076898B2 (ja) 微粉砕機
WO2016098386A1 (ja) 回転式分級機および竪型ミル
KR101647681B1 (ko) 식품분쇄기
KR200390477Y1 (ko) 곡물 분말 제조장치
CN210303898U (zh) 立式粉碎机及其进料量控制装置
JP2016150300A (ja) 竪型粉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