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449B1 -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449B1
KR101614449B1 KR1020090005567A KR20090005567A KR101614449B1 KR 101614449 B1 KR101614449 B1 KR 101614449B1 KR 1020090005567 A KR1020090005567 A KR 1020090005567A KR 20090005567 A KR20090005567 A KR 20090005567A KR 101614449 B1 KR101614449 B1 KR 10161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tion metal
carbon nanotube
nickel
cobalt
nanotub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283A (ko
Inventor
양호정
강효랑
김광범
김진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449B1/ko
Priority to US12/629,209 priority patent/US8192595B2/en
Publication of KR20100086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6Nanostructures, e.g. nanofibres, nanotubes or fuller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46Metal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34Fullerenes, i.e. graphene-based structures, such as nanohorns, nanococoons, nanoscrolls or fullerene-like structures, e.g. WS2 or MoS2 chalcogenide nanotubes, planar C3N4, etc.
    • Y10S977/742Carbon nanotubes, CNTs

Abstract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며,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Transition metal/carbon-nano-tube composit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상기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흡착 탈이온 장치 (Capacitive Deionization, CDI)란 나노 기공 탄소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극성을 걸어 줌으로써 매질 중의 이온 물질을 전극 표면에 흡착 제거하는 기술로서, 재생시에는 전극에 역전압을 걸어 탈착된 이온물질을 물과 함께 배출하는 시스템이다. CDI는 재생시 화학약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온교환수지와 고가의 필터 또는 멤브레인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수성분과 유해이온까지 제거가능하고 단열성능(제거)과 축전용량이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다.
CDI에서는 카본 전극 사이에 이온이 용존된 물이 흐를 때 낮은 전위차의 직류전원을 인가하면 용존 이온 중에서 음이온 성분은 캐소드에 양이온 성분은 애노드쪽에 농축 흡착되며, 직류 전원을 중단하면 농축 이온들이 전극으로부터 탈착되 어 제거된다.
여기서, 카본전극은 전극저항이 낮고 비표면적이 넓어야만 하는 요구조건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활성탄을 PTFE 바인더를 사용하여 바인딩 하거나, 레조시놀포름알데히드 (resorcinol formaldehyde) 수지를 탄화시킨 후 초임계 건조를 거쳐 판상으로 제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기존 카본 활물질은 용량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니켈 코발트 산화물/탄소나노섬유 복합체로 전극을 구성하여 전극의 용량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용량 특성 및 고율 특성 등이 개선된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을 채용한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탄소 나노튜브; 및 상기 탄소 나노튜브 상에 형성된 전이 금속 산화물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 코팅층이 니켈-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니켈-코발트 산화물에서 니켈 : 코발트의 몰 비는 1 : 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니켈-코발트 산화물은 NiCo2O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 코팅층은 니켈 산화 물 및 코발트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니켈 산화물은 NiO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발트 산화물은 Co3O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XRD 분석 (분석 조건: 5~80 도, 0.02 도/step, X-선: 40kV/20mA)을 통해 Co3O4 피크의 제1피크(58 도 내지 62 도 범위에서) 및 제2피크 (63 도 내지 67 도 범위에서)로부터 각각 0.5 내지 1.5 도 오른쪽으로 시프트 (shift) 한 피크를 나타내는 니켈-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라만 스펙트럼 분석 (분석 조건: 레이저 514.532nm(Ar-이온 레이저), 전력 = 0.5mW @ 시료, 시간 = 90초, accumulation = 1 objective x50 (약 0.84㎛)) 결과, 라만 스펙트럼이 680±20cm-1의 라만 시프트 범위에 있는 제2피크 및 531±20cm-1의 라만 시프트 범위에 있는 제1피크를 가지며, 상기 제2피크의 반폭치(FWHM2) 및 상기 제1피크의 반폭치(FWHM1)의 FWHM2/FWFM1 가 0.1이상 0.5이하의 범위에 있는 니켈-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을 채용한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전이 금속 수산화물이 코팅된 탄소 나노튜브 (CNT)를 고온에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이 금속 수산화물이 니켈-코발트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니켈-코발트 수산화물에서 니켈 : 코발트의 몰 비는 1 : 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이 금속 수산화물은 니켈 수산화물 및 코발트 수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전이 금속 수산화물이 코팅된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전구체 용액 내에서 우레아를 가수 분해시킴으로써, 탄소 나노튜브에 전이 금속 수산화물을 코팅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구체 용액은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와 전이 금속염 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이 금속염은 질산 니켈, 아세트산 니켈, 염화 니켈, 탄산 니켈 및 황산 니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황산 코발트, 질산 코발트 및 염화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탄소 나노튜브 및 우레아 용액을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용량 특성 및 고율 특성이 개선되며, 이를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 (CDI)용 전극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성능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탄소 나노튜브; 및 상기 탄소 나노튜브 상에 형성된 전이 금속 산화물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 코팅층은 니켈-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에 사용되는 탄소 나노튜브는 그라파이트 시트가 나노 크기의 직경으로 둥글게 말려 튜브형태를 이루고 있는 카본동소체 (allotrope)로서, 예를 들어, 단일벽 나노튜브 (single wall nanotube) 또는 다중벽 나노튜브 (multi wall nanotube)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전이 금속 산화물이 다공성 탄소 나노튜브의 표면 일부에 응집되지 않고, 넓은 표면적의 탄소 나노튜브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어서, 높은 전기전도도 및 큰 비표면적을 가지며, 리튬 이차전치, 초고용량 커패시터(전기이중층 커패시터 또는 의사커패시터 등) 및/또는 고분자 전지의 전극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에 코팅되는 상기 니켈-코발트 산화물에서 니켈 : 코발트의 몰 비는 1 : 2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니켈-코발트 산화물은 예를 들어, NiCo2O4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 코팅층은 니켈 산화물 및 코발트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니켈 산화물은 NiO일 수 있으며, 상기 코발트 산화물은 Co3O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예를 들어 NiCo2O4 또는; NiCo2O4 및 NiO 또는; NiCo2O4 및 Co3O4을 포함하는 전이 금속 산화물층이 코팅된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니켈-코발트 산화물의 스펙트럼의 특성에 대해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X선 회절 분석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전이 금속 산화물로 코팅되어 있는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XRD (분석 조건: 5~80 도, 0.02 도/step, X-선: 40kV/20mA) 그래프 상에서 Co3O4 피크(약 60도, 약 65도)로부터 1 도 정도 하이 시프트 (high shift) 하는 피크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피크는 니켈-코 발트 산화물로서, NiCo2O4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이 금속 산화물로 코팅되어 있는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라만 스펙트럼 분석 (분석 조건: 레이저 514.532nm(Ar-이온 레이저), 전력 = 0.5mW @ 시료, 시간 = 90초, accumulation = 1 objective x50 (약 0.84㎛)) 결과 라만 스펙트럼이 680±20cm-1의 라만 시프트 범위에 있는 제2피크 및 531±20cm-1의 라만 시프트 범위에 있는 제1피크를 가지며, 상기 제2피크의 반폭치(FWHM2) 및 상기 제1피크의 반폭치(FWHM1)의 FWHM2/FWFM1 의 값이 0.1이상 0.5이하 범위 내인 0.3 정도임을 알 수 있고, 이 피크는 니켈-코발트 산화물로서, NiCo2O4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의 니켈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NiO/CNT)의 피크 패턴 및 비교예 2의 코발트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Co3O4/CNT)의 피크 패턴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피크 패턴과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스펙트럼 결과들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에 포함되는 니켈-코발트 산화물은 NiO 및 Co3O4의 단순 혼합물이 아니며, NiCo2O4의 형태라는 것을 뒷받침한다.
상기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리튬 이차전치, 초고용량 커패시터(전기이중층 커패시터 또는 의사커패시터 등) 및/또는 고분자 전지의 전극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 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 흡착 탈이온화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은 상기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포함하는 활물질층을 포함한다.
활물질층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및 바인더를 포함하며, 도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활물질층은 단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지지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활물질의 함량은 전극 총 중량의 70 내지 98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70 중량% 미만이면 전극의 용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98 중량%를 초과하면 활물질 간의 결합력이 떨어져 전기전도도가 감소할뿐만 아니라 전극 안정성도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제는 카본블랙, VGCF(Vapor Growth Carbon Fiber), 흑연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전극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의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는 사형 연수기(Serpentine type water softener)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 따른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10)는 전극(100), 집전체(200) 및 세퍼레이터(300)를 구비한다. 전극(100)은 집전체(2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며, 이러한 전극(100)-집전체(200) 결합체는 세퍼레이터(300)를 사이에 두고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스택을 형성한다.  전극(10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집전체(20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는 홀(200a)이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11)를 통해 상기 스택에 유입된 경수는 전극(100) 사이의 유로 및 홀(200a)을 통해 사형(또는 지그재그형)으로 흐른다. 상기 스택을 통과하면서 경수가 연화되어 연수로 변화되며, 생성된 연수는 유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집전체(200)는 충전시(즉, 경수의 연화시) 전극(100)에 전하를 공급하고 방전시(즉, 전극 재생시) 전극(100)에 축적된 전하를 방출하는 통로로서 전원 공급장치(P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집전체(200)는 예를 들어 카본 판, 카본 페이퍼, 금속판, 금속 메쉬, 금속 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알루미늄, 니켈, 구리, 티탄, 스테인레스, 철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300)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개의 전극들(100) 사이에 유로를 확보하고 아울러 집전체들(200) 간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경수의 연화 과정(이를 충전 과정이라고도 함)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전원공급장치(PS)에 의해 전극(100)에 직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유입 구(11)를 통해 경수가 장치(10)의 스택에 유입된다. 이때, 전원 공급장치(PS)의 (+)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100)은 (+)로 분극되고, 전원 공급장치(PS)의 (-)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100)은 (-)로 분극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세퍼레이터(300)를 사이에 두고 (+)로 분극되는 전극(100)과 (-)로 분극되는 전극(100)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된 경수에 포함된 경수성분(Ca2+, Mg2+) 등의 양이온은 (-)로 분극된 전극(100)에 흡착되고 유해이온(Cl-) 등의 음이온은 (+)로 분극된 전극(100)에 흡착된다. 처리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수에 용존되어 있던 양이온 또는 음이온은 전극(100)에 흡착되어 계속 축적되게 된다. 따라서, 스택을 통과한 경수는 연화되어 연수로 변화되며, 아울러 경수 중에 포함되어 있던 유해이온도 제거된다.
배출된 연수의 이온전도도가 소정치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에는 전극(100)을 재생시켜야 한다. 즉, 장치(10)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장치(10)를 전기적으로 쇼트시켜 방전하게 되면 전극(100)은 극성을 잃게 되어 전극(100)의 활물질에 흡착되어 있던 이온들이 탈착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100)의 활물질은 다시 활성 표면을 회복하게 된다.
도 4는 상기 전극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의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는 관통형 연수기(flow-through type water softener)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 따른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20)는 전 극(100), 집전체(200) 및 세퍼레이터(300)를 구비한다. 전극(100)은 집전체(200)의 양면에 배치되며, 이러한 전극(100)-집전체(200) 결합체는 세퍼레이터(300)를 사이에 두고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스택을 형성한다. 한편, 전극(100)은 집전체(200)의 일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의 장치(20)가 도 3의 장치(10)와 다른 점은 경수의 유로가 사형이 아닌 관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기 다른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두 장치(10, 20)에서 각 구성요소의 배치 구조가 상이함은 당연하다.
장치(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구성, 재질 및 역할과, 장치(20)의 작용 및 효과는 도 3의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극을 채용한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는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높은 전기전도도 및 큰 비표면적으로 인하여 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다음으로, 상기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 재료는 탄소 나노튜브 및 우레아 용액을 혼합하여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와 전이 금속염 용액을 혼합하여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전구체 용액 내에서 우레아를 가수 분해시켜, 탄소 나노튜브에 전이 금 속 수산화물을 코팅시킨 후, 고온 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탄소 나노튜브 및 우레아 용액을 혼합하여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탄소 나노튜브를 우레아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교반 등의 방법을 통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우레아 용액과 혼합되는 탄소 나노튜브는 분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소 나노튜브 및 우레아 용액을 혼합하게 되면, 용액 중의 우레아는 물리적 흡착을 통하여 탄소 나노튜브를 균일하게 코팅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가 형성된다.
우레아 용액에 첨가되는 탄소 나노튜브에는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친수성 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탄소 나노튜브의 우레아 용액으로의 분산성 및 우레아 코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관능기의 예로는 카복실 관능기(-COOH 또는 -COO-), 히드록실 관능기(-OH) 및/또는 아미노 관능기(-NH2)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친수성 관능기를 도입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소 나노튜브를 산성 용액 내에서 산처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처리에 의해 친수성 관능기를 도입할 경우, 탄소 나노튜브를 분말상으로 제조하여 공정에서 포함될 수 있는 불순물, 예를 들면, 금속 촉매 등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탄소 나노튜브의 산처리는 탄소 나노튜브를 산성 용액에 담지시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사용되는 산성 용액은 강산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황산, 질산 및 염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산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탄소 나노튜브의 표면에 친수성 관능기를 도입할 수 있게 된다. 산처리를 통하여 상기와 같이 친수성 관능기를 도입함으로서, 관능기간의 반발력을 통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우레아의 물리적 흡착을 보다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산처리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탄소 나노튜브 상에 도입하고자 하는 관능기의 양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처리는 pH가 0.5 이하, 바람직하게는 pH가 0에 근접하는 강산성 용액에 탄소 나노튜브를 적절히 첨가하고, 열을 가하여 온도를 60 내지 90℃로 유지한 상태에서 2 내지 6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산처리가 종료된 탄소 나노튜브는 이 분야의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분리된다. 상기 분리 방법의 예로는, 산처리가 종료된 산성 용액을 적절한 여과기에 통과시켜 탄소 나노튜브를 걸러내고, 증류수 등으로 이를 수회 세정한 후, 열을 가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정 후 건조 공정을 거침으로써, 산처리 시에 탄소 나노튜브의 일부가 응집한 경우, 이를 분말화하는 효과도 도출될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 또는 산처리된 탄소 나노튜브를 우레아 용액에 첨가 및 교반 하는 등의 방법에 의하여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소 나노튜브가 첨가된 우레아 용액을 상온에서 4 내지 6 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처리 조건은 본 발명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는 첨가되는 탄소 나노튜브의 양, 우레아 용액의 농도 및/또는 목적하는 복합체 내의 우레아의 함량 등에 따라서 상기 조건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우레아 용액은 물 및 암모니아수와 같은 용매에 우레아를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복합체의 탄소 나노튜브에 흡착되는 우레아층의 두께 및 무게는 사용되는 우레아 용액의 농도에 따라서 선형적으로 결정된다. 탄소 나노튜브 상에 형성될 금속 산화물 코팅의 두께는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에서 탄소 나노튜브에 대한 우레아의 무게 비율에 따라서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우레아 용액의 농도를 제어함으로써 최종 금속 산화물 코팅의 두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내의 우레아의 함량은 20 내지 7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우레아 함량은 목적하는 전이 금속 산화물 코팅 두께에 따라 설정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탄소 나노튜브 상의 전이 금속 산화물 코팅의 두께를 5 내지 6 nm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5 내지 7 M(몰농도)의 우레아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형성된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에서 우레아의 함량은 약 64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이 분야의 공지된 방법을 사 용하여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방법의 예로는 용액 내에 형성된 복합체를 적절한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적절한 조건에서 건조 및/또는 분말화될 수 있다. 이 때 건조 공정은 분리된 복합체에 50 내지 60℃의 열을 46 내지 50 시간 동안 가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와 전이 금속염 용액을 혼합하여 전구체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혼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소 나노튜브를 전구체 용액에 첨가하고, 이를 교반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염 용액은 용매에 질산 니켈, 아세트산 니켈, 염화 니켈, 탄산 니켈, 황산 니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황산 코발트, 질산 코발트 및 염화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전이 금속염이 용해되는 용매의 종류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용매가 바람직하다. 용매로서 물만을 사용하는 경우,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우레아가 후술하는 가수분해 공정을 거치기 전에 외부 용액(벌크 용액)으로 용해되어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이 경우, 가수 분해하는 시점에서 우레아는 용액의 전체에서 가수분해되게 된다. 이와 같이 우레아가 용액 전체에서 가수분해가 되면, 탄소 나노튜브 주변의 국부적인 pH 변화대신 용액 전체의 pH가 변화하게 된다. 이 경우 용액 내에서 균일 핵생성 및 성장이 일어나, 니켈-코발트 수산화물이 탄소 나노튜브의 표면만이 아니라, 용액 전체에서 입자로 석출되게 되는 문제 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우레아의 용해도가 낮고, 물과의 혼합성이 우수한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물과 유기 용매가 균일하게 혼합된 용매의 제조가 가능하며, 니켈염 및 코발트염이 혼합 용매 내에 완전히 용해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용액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혼합 용매의 사용으로 우레아의 가수분해에 필수적인 물을 확보함과 동시에, 우레아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유기용매로 인해 가수분해 전에 우레아가 용액으로 용해되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 용매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를 들 수 있고, 물과의 혼합성의 관점에서 프로판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비율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과 유기 용매의 부피비(물:유기용매)가 4:96 내지 10:90인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부피비가 4:96 내지 7:93인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혼합용매 내에 전이 금속염을 투입하여 용액을 제조할 때, 용액의 농도는 목적하는 전이 금속 산화물 코팅의 두께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이 금속염 용액의 농도가 0.05 내지 1 M(몰농도)가 되도록 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구체 용액 내의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우레아를 가수 분해시켜, 용액 내의 복합체 주변에서만 국부적인 pH 변화를 유발시킨다. 이 때 우레아 의 가수분해를 유발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마이크로웨이브 가열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웨이브 가열법의 경우, 용액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법은 전도열에 의한 가열법에 비하여 반응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어서, 우레아가 용액으로 용해되는 것을 억제하고, 우레아의 가수분해를 보다 원활히 진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수분해 반응은 전구 용액을 밀폐시킨 상태로, 11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40℃의 온도에서 8 내지 12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웨이브 가열 처리를 통하여 우레아의 가수분해 반응이 진행된다. 이 때 가수분해 반응은 우레아가 존재하는 탄소 나노튜브의 표면에서만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전구 용액 내에서 국부적인 pH 변화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가수분해 반응은 전구 용액의 pH와는 무관하게 발생하며, 용액의 pH에 따라서 우레아의 가수분해 반응이 진행되는 경로는 하기 반응식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하기 반응식 1은 용액이 산성(pH < 7)인 경우, 그리고 반응식 2는 용액이 염기성(pH > 7)인 경우에 우레아의 가수분해 반응이 진행되는 경로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04369757-pat00001
Figure 112009004369757-pat00002
상기 반응식 1 및 2에 표시된 경로에 의해 일어난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서, 전구 용액 내에서 NH3가 생성되고, H+를 소모하고 이에 따라 pH 변화(상승)가 발생하게 된다. 용액 내에서 우레아는 탄소 나노튜브의 표면 상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가수 분해 반응이 일어나는 영역은 탄소 나노튜브의 표면에만 국한되게 된다. 그러므로 용액 내의 pH 변화는 탄소 나노튜브 표면에서만 국부적으로 일 어나게 되고, 전구 용액 내에서 불균일 핵생성 및 성장이 진행되게 된다. 이 때 탄소 나노튜브 표면의 국부적인 pH 변화는 pH가 8 내지 10이 되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pH의 범위는 본 발명이 일례에 불과하고,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는 니켈염 및 코발트염의 종류 및 목적 코팅 두께에 따라서 상기 pH 범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 단계를 거침으로써 표면에, 예를 들어, 니켈 수산화물, 니켈-코발트 수산화물 또는 코발트 수산화물이 균일하게 형성된 전이 금속 수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니켈-코발트 수산화물에서 니켈 : 코발트의 몰 비는 1 : 2이며, 상기 전이 금속 수산화물은 니켈 수산화물 및 코발트 수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전이 금속 수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방법의 예로는 용액에 수회의 원심 분리를 행하여 전이 금속 수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분리하고, 이를 증류수 등으로 수회 세척하여 잔존하는 음이온 및 금속 이온을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와 같이 전이 금속 수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분리한 후,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2 내지 26 시간 동안 복합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전이 금속 수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분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전이 금속 수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고온에서 열처리되어 전 이 금속 산화물층이 탄소 나노튜브 상에 형성된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가 된다. 상기 열처리는 대기 분위기, 250 내지 450℃의 온도에서 3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50℃ 미만에서는 수산화물이 산화물로의 상전이가 불가하며, 450℃ 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대기분위기에서 열처리를 하기때문에 탄소 나노 튜브 (CNT)가 연소하여 CO2로 날아가버릴 우려가 있으며, 상기 시간 조건에서 열처리된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가 캐패시턴스 (Capacitance) 특성이 우수하여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탄소 나노튜브 분말의 산처리
농도가 60%인 질산 수용액 250mL에 분말 상의 탄소 나노튜브 3g을 첨가한 후, 8시간 동안 100℃로 가열함으로써, 탄소 나노튜브의 산처리를 수행하였다. 이어서 산성 용액을 여과기에 통과시켜 탄소 나노튜브를 여과하였다. 여과된 탄소 나노튜브를 증류수로 수회 세정하고, 건조 후 분말화함으로써, 산처리된 탄소 나노튜브를 제조하였다.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합성
상기 산처리된 탄소 나노튜브 1g씩을 우레아 용액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약 5시간 정도 교반하여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형성시켰다. 여과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체를 분리하고, 증류수로 수회 세정하였다. 이어서 분리된 복합체를 약 55℃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고, 분말상으로 제조하였다.
수산화니켈-코발트/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증류수 및 프로판올을 부피비(증류수:프로판올)가 5:95가 되도록 혼합한 후, 이를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용매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용매에 농도가 0.1M이 되도록 질산 니켈을 첨가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질산 니켈 용액을 제조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질산 코발트 용액도 제조하였다. 상기 질산 니켈 용액과 질산 코발트 용액을 1:2의 비율로 넣어 50mL를 만들고, 상기에서 제조된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0.1g씩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용액을 밀폐시킨후, 마이크로웨이브 가열법에 의해 130℃에서 약 10분간 반응시켜 수산화니켈-수산화코발트/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체를 여과를 통하여 분리한 후, 증류수로 수회 세척하여 잔존하는 음이온 및 니켈 이온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100℃에서 약 24시간 동안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수산화니켈-코발트/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수득하였다.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수산화니켈-코발트/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대기 분위기, 300℃에서 1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니켈-코발트 산화물이 탄소 나노튜브에 코팅된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질산 니켈 용액과 질산 코발트 용액을 2:1의 비율로 넣었으며, 그외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실시하여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만들었다.
실시예 3
질산 니켈 용액과 질산 코발트 용액을 1:4의 비율로 넣었으며, 그외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실시하여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만들었다.
비교예 1
질산 니켈 용액만을 50mL 넣었으며, 그외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실시하여 니켈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만들었다.
비교예 2
질산 코발트 용액만을 50mL 넣었으며, 그외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실시하여 코발트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만들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복합체에 대하여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Ni : Co의 비 캐패시턴스(Capacitance)(F/g)
실시예 1 1 : 2 402
실시예 2 2 : 1 355
실시예 3 1 : 4 321
비교예 1 3 : 0 319
비교예 2 0 : 3 29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의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가 비교예의 니켈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또는 코발트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보다 우수한 캐패시턴스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복합체에 대하여, X선 회절 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NiCo2O4/CNT)는 비교예와 달리 Co3O4 피크들(약 60도 및 약 65도)로부터 약 1도 정도 하이 시프트 (high shift) 한 피크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1의 분석 결과에서는 비교예 1의 NiO/CNT의 특징적인 피크들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비교예의 복합체 및 탄소 나노 튜브에 대하여, 라만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시예 1의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NiCo2O4/CNT)의 라만 피크 패턴은 비교예 1의 니켈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NiO/CNT) 및 비교예 2의 코발트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Co3O4/CNT)의 라만 피크 패턴과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NiO/CNT 및 Co3O4/CNT의 단순 혼합물이 아니라 새로운 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체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라만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전극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전극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형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  20: 관통형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
100: 전극                       200: 집전체                     
300: 세퍼레이터

Claims (17)

  1. 탄소 나노튜브; 및
    상기 탄소 나노튜브 상에 형성된 전이 금속 산화물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 코팅층이 니켈-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로서,
    상기 니켈-코발트 산화물이 NiCo2O4인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 코팅층이 니켈 산화물 및 코발트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산화물이 NiO인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 산화물이 Co3O4인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XRD 분석 (분석 조건: 5 ~ 80 도, 0.02 도/step, X-선: 40kV/20mA)을 통해 Co3O4 피크의 제1피크(57 도 내지 61 도 범위에서) 및 제2피크 (63 도 내지 67 도 범위에서)로부터 각각 0.5 내지 1.5 도 오른쪽으로 시프트 (shift) 한 피크를 나타내는 니켈-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라만 스펙트럼 분석 (분석 조건: 레이저 514.532nm(Ar-이온 레이저), 전력 = 0.5mW @ 시료, 시간 = 90초, accumulation = 1 objective x50 (약 0.84㎛)) 결과 라만 스펙트럼이 680±20cm-1의 라만 시프트 범위에 있는 제2피크 및 531±20cm-1의 라만 시프트 범위에 있는 제1피크를 가지며, 상기 제2피크의 반폭치(FWHM2) 및 상기 제1피크의 반폭치(FWHM1)의 FWHM2/FWFM1 가 0.1이상 0.5이하인 니켈-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9.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
  10. 제 9 항에 따른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을 채용한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
  11. 전이 금속 수산화물이 코팅된 탄소 나노튜브 (CNT)를 고온에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이 금속 수산화물이 니켈-코발트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전이 금속 수산화물이 코팅된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전구체 용액 내에서 우레아를 가수 분해시킴으로써, 탄소 나노튜브에 전이 금속 수산화물이 코팅되며,
    상기 전구체 용액은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와 전이 금속염 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우레아/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는 탄소 나노튜브 및 우레아 용액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코발트 수산화물에서 니켈 : 코발트의 몰 비가 1 : 2인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금속 수산화물이 니켈 수산화물 및 코발트 수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금속염은 질산 니켈, 아세트산 니켈, 염화 니켈, 탄산 니켈 및 황산 니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황산 코발트, 질산 코발트 및 염화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전이 금속 산화물/탄소 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방법.
  17. 삭제
KR1020090005567A 2009-01-22 2009-01-22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1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67A KR101614449B1 (ko) 2009-01-22 2009-01-22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12/629,209 US8192595B2 (en) 2009-01-22 2009-12-02 Transition metal/carbon nanotube composit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67A KR101614449B1 (ko) 2009-01-22 2009-01-22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83A KR20100086283A (ko) 2010-07-30
KR101614449B1 true KR101614449B1 (ko) 2016-04-21

Family

ID=4233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567A KR101614449B1 (ko) 2009-01-22 2009-01-22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92595B2 (ko)
KR (1) KR101614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297B1 (ko) * 2007-08-06 2012-02-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를 포함하는 커패시터
US20110038100A1 (en) * 2009-08-11 2011-02-17 Chun Lu Porous Carbon Oxide Nanocomposite Electrodes for High Energy Density Supercapacitors
KR20110019573A (ko) * 2009-08-20 2011-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
KR20110080893A (ko) * 2010-01-07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이온 장치
CN102108552B (zh) * 2010-11-15 2013-05-01 复旦大学 一种NiCo2O4纳米晶体薄膜的制备方法及其在制备半导体光电器件的应用
US20120186980A1 (en) * 2011-01-26 2012-07-26 Sundara Ramaprabhu Methods and systems for separating ions from fluids
US9224537B2 (en) 2011-05-31 2015-12-29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 Electrode and/or capacitor formation
GB2501871B8 (en) * 2012-05-03 2022-08-17 Dyson Technology Ltd Hybrid Capacitor
CN103633297B (zh) * 2012-08-22 2017-05-17 清华大学 锂离子电池负极的制备方法
CN102891016B (zh) * 2012-10-19 2016-08-10 常州大学 一种钴酸镍石墨烯复合材料及其用途和制备方法
US20140174916A1 (en) * 2012-12-26 2014-06-26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Catalytic composition for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WO2014153503A2 (en) * 2013-03-21 2014-09-25 Cornell University Carbon material supported hollow metal oxide nanoparticles, methods and applications
KR102212322B1 (ko) 2013-12-24 2021-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흡착 탈이온 전극,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전기흡착 탈이온 장치
KR102206375B1 (ko) 2014-02-10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용 전극
CN104505508A (zh) * 2014-12-17 2015-04-08 江苏合志锂硫电池技术有限公司 镍钴氧化物电极材料的制备方法
CN104658766B (zh) * 2015-02-12 2017-04-05 南京工业大学 一种硅纳米片掺杂钴酸镍及其制备方法
CN104916451A (zh) * 2015-05-08 2015-09-16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一种微碳管上生长氧化镍纳米片的超级电容器电极材料的制备方法
EP3185335B1 (fr) * 2015-12-21 2020-02-05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Batterie
CN106158394B (zh) * 2016-06-29 2018-04-13 西北师范大学 一种泡沫镍基超级电容器电极材料的制备方法
CN106011926B (zh) * 2016-07-07 2019-04-02 江苏大学 一种钴基多级纳米复合结构电解水制氧电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06531457B (zh) * 2016-08-23 2018-10-23 宁波中车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超级电容器用NiCo2O4/碳纳米管复合电极材料
CN109148163B (zh) * 2017-06-16 2020-10-30 南京理工大学 碳布/钴酸镍/氧化镍柔性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680831B (zh) * 2017-08-23 2019-06-28 江苏大学 一种空心玉米状Co3O4@NiCo2O4/氮掺杂石墨烯柔性电极材料的制备方法
CN108364795B (zh) * 2018-02-09 2019-11-15 青岛科技大学 一种性能优异的双层纳米线分级结构NiCo2O4-ZnCo2O4复合电极材料
CN108468060B (zh) * 2018-03-16 2019-10-01 浙江大学 一种高效、新颖多孔氮氧化物纳米片催化剂电极的制备及其应用
US11820668B2 (en) * 2018-07-23 2023-11-21 The University Of Hong Kong Methods for manufacturing spinel-type ternary metal oxides as hole transport materials
CN110858640B (zh) * 2018-08-22 2022-02-18 天津大学 碳纳米管/钴酸镍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904005A (zh) * 2019-02-08 2019-06-18 桂林理工大学 一种超级电容器用钴镍氧化物/碳球纳米复合材料的惰性气氛合成方法
CN109979760A (zh) * 2019-04-18 2019-07-05 桂林理工大学 一种钴镍氧化物/碳球纳米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0013855B (zh) * 2019-05-10 2021-12-24 安徽师范大学 高效氧化钴镍/氢氧化镍复合物电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075886A (zh) * 2019-05-31 2019-08-02 中南林业科技大学 镍基-碳复合电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10336047B (zh) * 2019-07-16 2022-06-14 运城学院 镍钴硫化物/石墨烯复合材料锌空电池双功能催化剂的制备方法
CN110451615B (zh) * 2019-07-31 2020-10-30 河海大学 一种金属-有机框架碳纳米管杂化脱盐电极的制备方法
CN110379648B (zh) * 2019-08-14 2020-12-29 河北工业大学 一种活性纳米多孔镍/氧化镍负载超薄钴酸镍纳米片柔性电极材料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97828A1 (en) 2000-10-11 2002-04-17 Trustcopy Pte Ltd Remote printing of secure and/or authenticated documents
CN102129642B (zh) 2002-06-10 2015-09-09 电子湾有限公司 在基于网络的交易机构处安排交易列表项的方法和系统
JP2005009083A (ja) 2003-06-16 2005-01-13 Yuji Watanabe ドアガード
JP4087344B2 (ja) 2004-02-27 2008-05-21 新日鐵化学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21401B1 (ko) 2004-03-31 2006-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는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KR100645064B1 (ko) * 2005-05-23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산화물 저항 기억소자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 Yang et al. Korean Chem. Eng. Res. 2004, Vol. 42, pp. 748-753*
Z. Fan et al. Electrochimica Acta. 2007, Vol. 52, pp. 2959-296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1200A1 (en) 2010-07-22
KR20100086283A (ko) 2010-07-30
US8192595B2 (en)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449B1 (ko) 전이 금속/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Li et al. Nitrogen-doped hollow mesoporous carbon spheres for efficient water desalination by capacitive deionization
Zhao et al. Cation–π interactions in graphene‐containing systems for water treatment and beyond
Liu et al. Core–shell MOF@ COF motif hybridization: selectively functionalized precursors for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embedded nitrogen-rich carbon architectures with superior capacitive deionization performance
CN109354137B (zh) 碳纳米管/mof衍生多孔碳复合电极材料的制备及应用
Zhao et al. Creating 3D hierarchical carbon architectures with micro-, meso-, and macropores via a simple self-blowing strategy for a flow-through deionization capacitor
Liu et al. Electrodeposited manganese dioxide/activated carbon composite as a high-performance electrode material for capacitive deionization
Wan et al. ZIF-8 derived nitrogen-doped porous carbon/carbon nanotube composite for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
Adorna Jr et al. Coconut shell derived activated biochar–manganese dioxide nanocomposites for high performance capacitive deionization
Atchudan et al. Green synthesis of nitrogen-doped graphitic carbon sheets with use of Prunus persica for supercapacitor applications
Zhang et al. One-step synthesis of the reduced graphene oxide@ NiO composites for supercapacitor electrodes by electrode-assisted plasma electrolysis
Wang et al. Nitrogen-doped porous carbon derived from a bimetallic metal–organic framework as highly efficient electrodes for flow-through deionization capacitors
Ding et al. Bimetallic metal–organic framework derived porous carbon nanostructures for high performance membrane capacitive desalination
Li et al. Functional gels based on chemically modified graphenes
Jeon et al. In situ one-step synthesis of hierarchical nitrogen-doped porous carbon for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s
Geng et al. Facile synthesis of B/N co-doped 2D porous carbon nanosheets derived from ammonium humate for supercapacitor electrodes
Li et al. Pseudocapacitive coating for effective capacitive deionization
KR101817260B1 (ko) 그래핀-나노소재 복합체, 이를 채용한 전극 및 전기소자, 및 상기 그래핀-나노소재 복합체의 제조방법
Wang et al. Creating nitrogen-doped hollow multiyolk@ shell carbon as high performance electrodes for flow-through deionization capacitors
Li et al. Nitrogen-rich microporous carbon materials for high-performance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Li et al. Facile fabrication of NiCoAl-layered metal oxide/graphene nanosheets for efficient capacitive deionization defluorination
Noked et al. The electrochemistry of activated carbonaceous materials: past, present, and future
Zai et al. 3D hierarchical Co–Al layered double hydroxides with long-term stabilities and high rate performances in supercapacitors
Tia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quaternised polyvinyl alcohol membrane/activated carbon composite electrode for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Shen et al. Facile synthesis of NiCo2O4-reduced graphene oxide nanocomposites with improv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