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789B1 -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789B1
KR101609789B1 KR1020140062293A KR20140062293A KR101609789B1 KR 101609789 B1 KR101609789 B1 KR 101609789B1 KR 1020140062293 A KR1020140062293 A KR 1020140062293A KR 20140062293 A KR20140062293 A KR 20140062293A KR 101609789 B1 KR101609789 B1 KR 101609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emergency
cabin
ladder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893A (ko
Inventor
한경득
Original Assignee
한경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득 filed Critical 한경득
Priority to KR1020140062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78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lluminate vessels' decks or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acou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2Au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이 사고로 인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거나 전복되면, 선체의 복도와 선실에 설치된 비상구 지시램프를 비상구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고, 스피커를 통해 탈출 안내방송을 자동으로 출력하며, 기울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선박의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선실 및 복도 등에 비상구 쪽으로 설치된 비상용 계단을 수평으로 제어하여 선내의 승객과 선원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Apparatus for Escape on Emergency in Ship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충돌이나 좌초 또는 선체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선체 내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 승객과 선원의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대단위의 화물이나 승객을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어업을 위해 사용되는 운송수단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중대형 선박의 경우 장기간 해상에 떠있는 관계로 선체 내부에 기관실 및 선원실 등을 마련하기 위해 다수의 격벽에 의해 격리시킴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선박의 경우 선체가 암초에 부딪히거나 선박들 간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태풍 등의 자연재해에 의한 사고, 또는 선박의 구조적인 결함과 과적에 의한 사고 등으로 선박이 침몰되거나 또는 파손의 우려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중대형 선박의 경우 선체 내부의 기관실, 선원실, 선실 등의 독립공간은 복잡한 통로와 연결되는데, 이로 인해 선박의 침수 또는 좌초로 인해 해수(海水)가 선체 내부로 유입되면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선박의 침몰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선체의 내부에 상주하는 승객과 선원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박 침수감시장치가 제안되었다.
그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7538호에는 선박 침수감시장치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이는 선체의 하측 내부에 마련되어 수분을 감지하기 위한 물 감지센서와, 상기 물 감지센서를 선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있도록 지지해 주는 거치대와, 상기 물 감지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물 감지센서로부터 수위가 높아진 것이 감지될 경우에 음성 또는 발광의 형태로 경보신호가 표시되도록 형성된 알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의 침수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선박 침수 경보장치는 선체의 하측에 물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선체의 내부가 침수된 경우 단순히 음성 또는 발광의 형태로 경보신호를 표시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선박의 침수만을 단순히 경고할 뿐, 선체 내부에 거주하는 승선원이나 승객 등이 비상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출입구의 방향을 안내하지 못해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선박이 서서히 침수되지 않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급격하게 선체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침수 여부를 전혀 감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자식의 물 감지센서와 콘트롤러 등의 고가의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침수 경보장치의 제작 단가가 높은 문제점도 있다.
또한, 2014년 4월 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참사와 같이, 사고로 인해 선체가 갑자기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비상문 또는 출입문이 천장에 위치하거나 물속으로 침수가 되기 때문에 선실 내부에 있는 승객들이 선실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해 수 많은 인명사고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선박이 침수되어 침몰하거나 화재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하게 승객과 선원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하다. 특히, 탑승객이 많은 크루즈선이나 호화유람선의 경우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라도 대책이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1952호(공개일자: 2014.04.03.)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박의 충돌이나 좌초 또는 침수 등으로 인해 선체 내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출구를 안내하는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선박이 사고로 인해 한쪽으로 급격하게 기울어져 침수가 시작되더라도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출구를 안내하는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선박이 사고로 인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거나 전복되면, 선체의 복도와 선실에 설치된 비상구 지시램프를 비상구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고, 스피커를 통해 탈출 안내방송을 자동으로 출력하여 선내의 승객과 선원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선박이 사고로 인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거나 전복되면, 기울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선박의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선실 및 복도 등에 비상구(탈출구) 쪽으로 설치된 비상용 계단을 수평으로 제어하여 선내의 승객과 선원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는, 선박의 선실 및 복도의 천장, 바닥, 벽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음각으로 파여진 벽면 안쪽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항상 수평이 되도록 계단 각도를 자동 제어하는 비상 계단 블록; 상기 선박의 선실 및 복도의 천장, 바닥, 벽면에 설치되고, 비상시 비상구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여 비상구를 안내하며, 복수의 LED가 FPCB상에 병렬로 구비되고, 실리콘 고무재로 표면이 방수 처리된 비상구 지시램프; 상기 선박의 선실 및 복도에 설치되며, 비상시 안내방송을 자동으로 출력하고 수중에서도 작동하는 베이크라이트 혼을 포함하는 스피커; 상기 비상 계단 블록,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 상기 스피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이 차단될 경우 비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계단 블록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회전축이 결합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계단 받침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의 최상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결합된 모터의 회전축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대의 좌측 및 우측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대와, 상기 조절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계단 받침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동작 모터와, 상기 선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와,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선박의 기울기가 설정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선박의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동작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계단 받침대가 수평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는, 선박의 선실 및 복도의 천장, 바닥, 벽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음각으로 파여진 벽면 안쪽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항상 수평이 되도록 계단 각도를 자동 제어하는 비상 계단 블록과, 상기 선박의 선실 및 복도의 천장, 바닥, 벽면에 설치되며, 비상시 비상구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여 비상구를 안내하는 비상구 지시램프와, 상기 선박의 선실 및 복도에 설치되며, 비상시 안내방송을 자동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계단 블록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사다리 받침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 고정대를 포함하는 사다리와, 상기 사다리의 아래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사다리의 고정대를 밀어올려 상기 사다리를 수직 방향으로 상승 시키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을 상기 연결대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앙에 있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감속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이 사고로 인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거나 전복되면, 선체의 복도와 선실에 설치된 비상구 지시램프를 비상구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고, 스피커를 통해 탈출 안내방송을 자동으로 출력하여 선내의 승객과 선원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선박이 사고로 인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거나 전복되면, 기울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선박의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선실 및 복도 등에 비상구(탈출구) 쪽으로 설치된 비상용 계단을 수평으로 제어하여 선내의 승객과 선원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시에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으므로, 각종 사고로부터 인명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여객용 선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는 선실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3은 선실 복도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4는 선박의 수평자세, 좌현 및 우현 기울기에 따라 계단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선박의 우현 및 좌현으로 기울어졌을 때 계단의 수평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은 선실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8은 선실 복도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9는 선박의 수평자세, 좌현 및 우현 기울기에 따라 사다리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0은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제1실시 예
도 1은 여객용 선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는 선실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3은 선실 복도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4는 선박의 수평자세, 좌현 및 우현 기울기에 따라 계단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선박의 우현 및 좌현으로 기울어졌을 때 계단의 수평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제1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음각으로 파여진 벽면 안쪽에 설치된 비상 계단 블록(100)과,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설치되며, 비상시 비상구(34)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여 비상구(34)를 안내하는 비상구 지시램프(240)와,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에 설치되며 비상시 안내방송을 하는 스피커(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음각으로 파여진 벽면 안쪽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의 가장자리 부분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상기 선박(10)이 사고로 인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거나 넘어지더라도 기울기 감지센서(230)에 의해 항상 수평이 되도록 계단 각도를 자동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사각형의 몸체 내부에 평판 형상의 계단(11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박(10)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계단(110)의 기울기가 수평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대(111), 복수의 계단 받침대(112), 조절대(114)를 포함하는 계단(110)과, 전원부(210), 비상용 배터리(220), 기울기 감지센서(230), 비상구 지시램프(240), 동작모터(250), 타이머(260), 스피커(270),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1)는 상기 계단(110)의 양쪽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계단 받침대(11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1)는 평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계단 받침대(112)는 상기 지지대(111)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계단 받침대(112)는 중앙에 회전축(113)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대(111)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대(114)는 상기 지지대(111) 사이의 최상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결합된 동작 모터(250)의 회전축(115)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대(111)의 좌측 및 우측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동작 모터(250)는 상기 조절대(114)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115)을 회전시켜 상기 조절대(111)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조절대(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계단 받침대(112)의 기울기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230)는 상기 선박(10)의 기울기를 360도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비상구(탈출구) 방향을 안내하도록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선실문(24)을 나온 후 상층부로 통하는 복도 및 기타 탈출로를 따라 좌, 우로 연결된 양쪽 벽면에 비상구(탈출구) 방향을 안내하도록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복수의 LED를 FPCB상에 병렬로 설치될 수 있고, 실리콘 고무재로 표면이 방수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도 3과 같이 비상구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모양의 LED 램프로 구성되거나, 도 8과 같이 복수의 LED를 배열하여 비상구 방향을 가리키도록 순차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LED는 단색 또는 두가지 이상의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비상시 비상구(34)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여 비상구(34)를 안내하며, 상기 선박(10)의 주 전원이 오프(off)되더라도 상기 비상용 배터리(220)의 비상용 전원으로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상기 선박(10)이 침수가 되더라도 정상 동작되도록 방수 처리되어 있다.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선체(11)가 뒤집히거나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어질 경우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23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비상구(탈출구) 방향으로 순차 점멸된다. 그에 따라, 상기 선체(11)의 내부에 있던 승객과 선원이 점등된 LED의 불빛을 따라 출구로 신속하게 대피를 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60)는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에 설치되며, 비상시 안내방송을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270)는 수중에서도 작동이 되는 베이크라이트 혼(bakelite horn)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선체(11)가 침수되더라도 수중에서 작동하는 베이크라이트 혼(bakelite horn) 스피커를 통해 안내방송을 들을 수 있다.
상기 전원부(210)는 상기 선내 비상 탈출 장치의 전원이 필요한 곳으로 주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부(210)는 상기 선체(11)의 침수시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저전압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모든 설치물은 차폐된 절연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용 배터리(220)는 상기 전원부(210)의 주 전원이 차단될 경우 비상용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상용 배터리(220)는 평상시 상기 전원부(210)의 주 전원으로 충전되는 2차 전지이다. 상기 비상용 배터리(220)는 상기 선박(10)으로부터 주 전원이 차단되어도 선박의 크기 및 부하용량에 따라 수 십일 내지는 수 주간 작동할 수 있는 용량의 배터리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침몰 후 배터리가 방전되어도 외부충전 커넥터를 통하여 충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침몰 선박 내부에 LED 램프가 다시 점등하여 층간표시 및 입구와 출구를 안내하여 인원 구조와 수색에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230)에서 감지한 상기 선박(10)의 기울기가 설정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를 동작하여 비상구(탈출구) 방향으로 순차 점멸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260)를 통해 자동으로 비상상황을 전파하고 신속하게 선체(11) 밖으로 대피하도록 안내방송을 출력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230)에서 감지한 상기 선박(10)의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동작 모터(250)를 제어하여 상기 계단 받침대(112)가 수평이 되도록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선체(11)가 좌현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230)의 감시신호에 의해 상기 동작 모터(250)가 작동하여 상기 계단 받침대(112)를 우측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상기 선체(11)가 우현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계단 받침대(112)를 좌측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선체(11)의 내부에 있던 승객과 선원은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의 점등된 LED의 불빛과 상기 스피커(260)를 통해 자동으로 출력되는 안내방송을 따라 비상구(탈출구)로 신속하게 대피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10)이 사고로 인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거나 넘어지더라도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23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선박(10)의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동작 모터(250)를 제어하여 상기 계단 받침대(112)가 수평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선내의 승객과 선원을 안전하고 재빠르게 탈출시킬 수 있다.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제2실시 예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은 선실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8은 선실 복도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9는 선박의 수평자세, 좌현 및 우현 기울기에 따라 사다리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제2실시 예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음각으로 파여진 벽면 안쪽에 설치된 비상 계단 블록(100)과,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설치되며, 비상시 비상구(34)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여 비상구(34)를 안내하는 비상구 지시램프(240)와,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에 설치되며 비상시 안내방송을 하는 스피커(도 6의 270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음각으로 파여진 벽면 안쪽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의 가장자리 부분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상기 선박(10)이 사고로 인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거나 넘어지더라도 기울기 감지센서(230)에 의해 항상 수평이 되도록 계단 각도를 자동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사각형의 몸체 내부에 봉 형상의 계단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박(10)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계단의 기울기가 수평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도 6 및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 쌍의 지지대(121), 복수의 봉 받침대(122), 조절대(124)를 포함하는 사다리(120)와, 전원부(210), 비상용 배터리(220), 기울기 감지센서(230), 비상구 지시램프(240), 동작모터(250), 타이머(260), 스피커(270),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121)는 상기 봉 받침대(122)의 양쪽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봉 받침대(12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121)는 평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봉 받침대(122)는 상기 지지대(121)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봉 받침대(122)는 중앙에 회전축(123)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대(121)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대(124)는 상기 지지대(121) 사이의 최상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결합된 동작 모터(250)의 회전축(125)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대(121)의 좌측 및 우측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동작 모터(250)는 상기 조절대(124)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125)을 회전시켜 상기 조절대(121)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조절대(1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봉 받침대(122)의 기울기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비상구(탈출구) 방향을 안내하도록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선실문(24)을 나온 후 상층부로 통하는 복도 및 기타 탈출로를 따라 좌, 우로 연결된 양쪽 벽면에 비상구(탈출구) 방향을 안내하도록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복수의 LED를 FPCB상에 병렬로 설치될 수 있고, 실리콘 고무재로 표면이 방수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복수의 LED를 배열하여 비상구 방향을 가리키도록 순차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LED는 단색 또는 두가지 이상의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비상시 비상구(34)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여 비상구(34)를 안내하며, 상기 선박(10)의 주 전원이 오프(off)되더라도 상기 비상용 배터리(220)의 비상용 전원으로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상기 선박(10)이 침수가 되더라도 정상 동작되도록 방수 처리되어 있다.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240)는 선체(11)가 뒤집히거나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어질 경우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23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비상구(탈출구) 방향으로 순차 점멸된다. 그에 따라, 상기 선체(11)의 내부에 있던 승객과 선원이 점등된 LED의 불빛을 따라 출구로 신속하게 대피를 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시 예의 전원부(210), 비상용 배터리(220), 기울기 감지센서(230), 비상구 지시램프(240), 동작모터(250), 타이머(260), 스피커(270), 제어부(200)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 예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다.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제3실시 예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0은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상기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제3실시 예는 상기 제1 및 제2실시 예와 같이,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음각으로 파여진 벽면 안쪽에 설치된 비상 계단 블록(100)과,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설치되며, 비상시 비상구(34)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여 비상구(34)를 안내하는 비상구 지시램프(240)와,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에 설치되며 비상시 안내방송을 하는 스피커(도 6의 270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음각으로 파여진 벽면 안쪽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의 가장자리 부분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130), 이동대(140), 회전판(150), 감속기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다리(130)는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31)와, 상기 지지대(131) 상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사다리 받침대(132)와, 상기 지지대(131) 사이에 배치된 고정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대(140)는 상기 사다리(130)의 아래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41)가 상기 사다리(130)의 고정대(133)를 밀어올려 상기 사다리(130)를 수직 방향으로 상승 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대(140)의 일측 단부에는 연결대(14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143)는 일측이 상기 이동대(14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판(15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50)은 상기 연결대(143)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감속모터(미도시)의 회전축(151)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51)의 회전 운동을 상기 연결대(143)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감속모터는 상기 회전판(150)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회전축(151)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판(150)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판(1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대(143)가 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갑판 혹은 통로 바닥에 좌, 우현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평상시 사다리(130)가 바닥 내부에 들어가 있으며, 바닥면과 평행을 유지하게 된다(도 11 참조).
이 후,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상기 선박(10)이 사고로 인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거나 전복되었을 경우,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230)의 감지에 의해 갑판 혹은 통로 바닥에 설치된 사다리(130)가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면서 탈출을 용이하게 한다(도 12 참조).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제4실시 예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다.
상기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의 제4실시 예는 상기 제1 및 제2실시 예와 같이,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음각으로 파여진 벽면 안쪽에 설치된 비상 계단 블록(100)과,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설치되며, 비상시 비상구(34)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여 비상구(34)를 안내하는 비상구 지시램프(240)와,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에 설치되며 비상시 안내방송을 하는 스피커(도 6의 270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에 음각으로 파여진 벽면 안쪽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상기 선박(10)의 선실(20) 및 복도(30)의 천장(21,31), 바닥(22,32), 벽면(23,33)의 가장자리 부분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130), 이동대(160), 회전판(도 11 및 12의 150 참조), 감속기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다리(130)는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31)와, 상기 지지대(131) 상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사다리 받침대(132)와, 상기 지지대(131) 사이에 배치된 고정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대(133)는 일측에 경사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대(160)는 상기 사다리(130)의 아래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61)가 상기 사다리(130)의 고정대(133)를 밀어올려 상기 사다리(130)를 수직 방향으로 상승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61)는 일측에 경사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대(160)의 일측 단부에는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연결대(14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143)는 일측이 상기 이동대(16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판(15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50)은 상기 연결대(143)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감속모터(미도시)의 회전축(151)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51)의 회전 운동을 상기 연결대(143)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감속모터는 상기 회전판(150)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회전축(151)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판(150)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판(1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대(143)가 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갑판 혹은 통로 바닥에 좌, 우현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평상시 사다리(130)가 바닥 내부에 들어가 있으며, 바닥면과 평행을 유지하게 된다(도 11 참조).
이 후, 상기 비상 계단 블록(100)은 평상시에는 바닥면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도 18의 A), 상기 선박(10)이 사고로 인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거나 전복되었을 경우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230)의 감지에 의해 갑판 혹은 통로 바닥에 설치된 사다리(130)가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면서 탈출을 용이하게 한다(도 12, 도 18 참조).
한편, 갑판상단 선실 출입구 앞/뒷쪽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탈출용 사다리는 기울기 감지센서에 의해서 바닥면으로부터 튀어 나와 탈출을 용이하게 하며, 추후 인양시에도 작업인원들의 손잡이 혹은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도 18 및 도 19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는 선박이 사고로 인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급격하게 기울거나 전복되면, 선체의 복도와 선실에 설치된 비상구 지시램프를 비상구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고, 스피커를 통해 탈출 안내방송을 자동으로 출력하며, 기울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선박의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선실 및 복도 등에 비상구 쪽으로 설치된 비상용 계단을 수평으로 제어하여 선내의 승객과 선원을 신속하게 대피시킴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선박 11 : 선체
20 : 선실 21 : 천장(선실의 상부)
22 : 바닥 23 : 벽면
24 : 선실문 25 : 창
30 : 선실 복도 31 : 천장(복도의 상부)
32 : 바닥 33 : 벽면
34 : 출입문(비상구) 35 : 창
40 : 벽면
100 : 비상 계단 블록
110 : 계단 111 : 지지대
112 : 계단 받침대 113 : 회전축
114 : 조절대 115 : 회전축
120 : 사다리 121 : 지지대
122 : 봉 받침대 123 : 회전축
124 : 조절대 125 : 회전축
130 : 사다리 131 : 지지대
132 : 사다리 받침대 133 : 고정대
134 : 경사부 140 : 이동대
141 : 돌출부 142 : 경사부
143 : 연결대 144 : 바퀴
150 : 회전판 151 : 회전축
160 : 이동대 161 : 돌출부
162 : 경사부
200 : 제어부 210 : 전원부
220 : 비상용 배터리 230 : 기울기감지센서
240 : 비상구 지시램프 250 : 동작 모터
260 : 스피커

Claims (3)

  1. 삭제
  2. 선박의 선실 및 복도의 천장, 바닥, 벽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음각으로 파여진 벽면 안쪽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항상 수평이 되도록 계단 각도를 자동 제어하는 비상 계단 블록;
    상기 선박의 선실 및 복도의 천장, 바닥, 벽면에 설치되고, 비상시 비상구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여 비상구를 안내하며, 복수의 LED가 FPCB상에 병렬로 구비되고, 실리콘 고무재로 표면이 방수 처리된 비상구 지시램프;
    상기 선박의 선실 및 복도에 설치되며, 비상시 안내방송을 자동으로 출력하고 수중에서도 작동하는 베이크라이트 혼을 포함하는 스피커;
    상기 비상 계단 블록, 상기 비상구 지시램프, 상기 스피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이 차단될 경우 비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 계단 블록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회전축이 결합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계단 받침대;
    상기 지지대 사이의 최상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결합된 모터의 회전축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대의 좌측 및 우측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대;
    상기 조절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계단 받침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동작 모터;
    상기 선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 및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선박의 기울기가 설정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선박의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동작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계단 받침대가 수평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
  3. 선박의 선실 및 복도의 천장, 바닥, 벽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음각으로 파여진 벽면 안쪽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항상 수평이 되도록 계단 각도를 자동 제어하는 비상 계단 블록;
    상기 선박의 선실 및 복도의 천장, 바닥, 벽면에 설치되며, 비상시 비상구 방향으로 순차 점멸하여 비상구를 안내하는 비상구 지시램프; 및
    상기 선박의 선실 및 복도에 설치되며, 비상시 안내방송을 자동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 계단 블록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사다리 받침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 고정대를 포함하는 사다리;
    상기 사다리의 아래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사다리의 고정대를 밀어올려 상기 사다리를 수직 방향으로 상승 시키는 이동대;
    상기 이동대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을 상기 연결대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중앙에 있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감속모터;
    를 포함하는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
KR1020140062293A 2014-05-23 2014-05-23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 KR10160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293A KR101609789B1 (ko) 2014-05-23 2014-05-23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293A KR101609789B1 (ko) 2014-05-23 2014-05-23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893A KR20150134893A (ko) 2015-12-02
KR101609789B1 true KR101609789B1 (ko) 2016-04-06

Family

ID=5488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293A KR101609789B1 (ko) 2014-05-23 2014-05-23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7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13B1 (ko) * 2019-12-16 2020-04-07 국방기술품질원 선박용 현측 사다리
KR20210147216A (ko) * 2020-05-28 2021-12-07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비상 탈출이 용이한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78B1 (ko) * 2019-06-21 2021-01-29 최진호 인명구호 시스템을 갖는 선박
KR102122162B1 (ko) * 2019-12-18 2020-06-12 주식회사 제이텍 선박용 비상 탈출 장치
KR102247939B1 (ko) * 2020-02-07 2021-05-04 차혜령 선박 구난 시스템
KR102543514B1 (ko) * 2021-06-23 2023-06-16 세진기술산업 주식회사 선박용 비상 탈출 장치
CN113581386B (zh) * 2021-08-11 2023-05-1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超大型液化气船货舱斜底通道用异型直梯及船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1806A (ja) * 2008-12-12 2012-05-24 ジェリー ティー アンダーソン、 非常口経路の照明システ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1806A (ja) * 2008-12-12 2012-05-24 ジェリー ティー アンダーソン、 非常口経路の照明システム及び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13B1 (ko) * 2019-12-16 2020-04-07 국방기술품질원 선박용 현측 사다리
KR20210147216A (ko) * 2020-05-28 2021-12-07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비상 탈출이 용이한 선박
KR102348807B1 (ko) * 2020-05-28 2022-01-10 대한민국 비상 탈출이 용이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893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789B1 (ko)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
KR101894665B1 (ko) 비상사다리를 구비한 선박의 비상 탈출 시스템
KR20140083953A (ko) 선박의 비상탈출 시스템
KR101497275B1 (ko) 선박용 사다리
US4166517A (en) Pilot's power elevator
JP4835133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KR101350017B1 (ko) 수중 관람 및 체험용 유인 잠수정
KR20150058789A (ko) 해양구조물의 구명보트 서비스 플랫폼 장치
US5065839A (en) Escape system
CN104030129A (zh) 一种升降式水下观光装置
KR101639474B1 (ko) 안전한 비상탈출구조를 갖는 선박
KR101632400B1 (ko) 선박용 비상 탈출장치
KR101618081B1 (ko) 선박이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자동으로 경고음이 울리는 선박경고장치
KR20130007735A (ko) 엘리베이터 기울기 감지장치
KR101890493B1 (ko) 조난 선박용 응급조치장치
KR101763076B1 (ko) 선박의 비상 탈출용 줄사다리 전개 시스템
KR101763075B1 (ko) 선박의 비상 탈출용 줄사다리 자동 전개 시스템
KR20150139242A (ko) 선박용 침몰 구조 시스템
KR100999282B1 (ko) 선박의 출구 비상 유도 장치
KR101541386B1 (ko) 선박 위난 사고 발생 시 선박 객실 탈출용 피난 로프가 설치된 선박 객실
KR20150051272A (ko) 구조용 선박
US20170029078A1 (en) Remotely Piloted Crustacean Fishing Vessel
US9193424B2 (en) Manned submarine for underwater viewing and experience
RU2288759C2 (ru) Спаса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CN203946250U (zh) 一种新型船用观光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