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318B1 - 문서 처리 - Google Patents

문서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318B1
KR101609318B1 KR1020107021638A KR20107021638A KR101609318B1 KR 101609318 B1 KR101609318 B1 KR 101609318B1 KR 1020107021638 A KR1020107021638 A KR 1020107021638A KR 20107021638 A KR20107021638 A KR 20107021638A KR 101609318 B1 KR101609318 B1 KR 101609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documents
plunger
container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372A (ko
Inventor
앤드류 베도에
앤드류 홀메스
앤드류 덴리
Original Assignee
인텔리전트 디포지트 시스템즈 엘티디
볼루마틱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리전트 디포지트 시스템즈 엘티디, 볼루마틱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텔리전트 디포지트 시스템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00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6Members reciprocated in recti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2Pile receivers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25Secure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문서들을 수용하기 위한 유입부(30), 상기 유입부로부터 고정 또는 고정가능 위치로 문서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 및 보관 수단을 포함하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사용 중에 고정가능 위치에 인접한 보관 위치와 유입부 사이에서 문서들을 이송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보관 수단은 플런저(50) 및 이동가능 부재(523b, 523c)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능 부재(523b, 523c)는 플런저(50)가 고정가능 위치로 문서들을 밀어넣음에 따라 플런저(50)를 따라 이동되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문서 처리{DOCUMENT HANDLING}
통상적으로, 본 발명은 화폐, 예를 들어 은행권과 같은 문서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본 발명은 한 위치로부터 그 외의 다른 위치로 화폐를 이송하고 정확하고 확고히 계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매상, 카지노 및 이와 유사한 업종과 같은 사업체들이 이의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돈을 처리하고 계수하는 힘든 업무로 인해 부담이 되어져 왔다. 이러한 업무에 따른 비용은 자금을 조정하고, 운반하며, 처리하고 및 예금하거나 또는 보관하기 위해 필요한 업무로 인해 상당히 많이 소요된다. 이는 통상적이지는 아닐지라도 이러한 사업체들은 직원 또는 그 외의 다른 사람에 의해 처리된 돈을 절도당할 위험성에 직면한다.
예를 들어, 카지노는 블랙잭, 룰렛 및 포커와 같은 테이블 게임의 폭 넓은 선택권을 제공하며, 통상적으로 플레이어가 테이블에서 현금을 지불한다.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 테이블은 테이블 아래에 고정된(fastened) 금속 박스로 구성된 드롭 박스(drop box)를 포함하며, 탈착가능한 내부 캐쉬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현금은 우선적으로 딜러와 같은 카지노 직원에 의해 계수되고, 이러한 현금 액은 고객, 즉 플레이어에 의해 승인되며, 그 뒤 현금은 드롭 박스 내에 들어간다.
통상적으로 영국에서의 카지노는 영업 종료 시 이의 게임 테이블로부터 금고로 모든 캐쉬 드롭 박스를 운반한다. 이러한 자금은 정확한 총액을 산출하기 위해 다수의 직원에 의해 2차례 정확히 계수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작업은 3 내지 6시간이 소요되며, 엄격한 보안 조치(security measure)를 필요로 한다.
유사하게, 고객이 제공한 물적 자금을 처리하기 위하여 모든 사업체들은 상당 정도 노동집약적이며 비용이 소요되는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카지노의 특수성에 따르면, 몇몇 조건에서 카지노 딜러에게 전달된 돈이 보관되고 처리되기 전 플레이어 또는 펀터에 대해 가시가능하고 접근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업무의 처리를 단순화하고 및/또는 용이하게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목적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및/또는 상기 언급된 작업을 단순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화폐와 같은 가치가 있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문서들을 수용하기 위한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고정(secure) 또는 고정가능(securable) 위치로 문서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 및 보관 수단을 포함하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이송 수단은 사용 중에 고정가능 위치에 인접한 보관 위치(deposit position)와 유입부 사이에서 문서들을 이송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보관 수단은 플런저 및 이동가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능 부재는 플런저가 고정가능 위치로 문서들을 밀어넣음에 따라 플런저를 따라 이동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문서들을 수용하기 위한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로부터 고정 또는 고정가능 위치로 문서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이송 수단은 사용 중에 고정가능 위치에 인접한 보관 위치와 유입부 사이에서 문서들을 이송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장치는 사용 중에 상기 보관 위치에 위치된 문서를 고정 또는 고정가능 위치로 밀어넣기 위한 보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 수단은 상기 보관 수단이 문서들을 고정 또는 고정가능 위치로 밀어넣음에 따라 연장된 위치와 인입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열된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연장가능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문서들을 수용하기 위한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로부터 고정가능 용기로 문서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이송 수단은 사용 중에 문서로의 제한된 접근부를 제공하는 중간 또는 에스크로 위치 또는 유입부와 고정가능 용기에 인접한 보관 위치 사이에서 문서들을 이송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송 수단은 문서들을 보유하기 위한 이동가능 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수단은 사용 중에 예를 들어 보관 위치(deposit position) 또는 낙하 위치(drop position)로부터 고정가능 용기의 유입부를 통해 문서들을 고정가능 용기 내에 보관, 즉 밀어넣기 위한 플런저와 같은 보관 수단(depositing means)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는 예를 들어 플런저의 표면 영역, 바람직하게 사용 중에 문서들과 접촉하는 표면 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연장가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사용 중에 문서들을 고정가능 용기로 밀어넣기 위한 플런저가 제공되는데, 상기 플런저는 사용 중에 플런저의 유효 영역(effective area)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연장가능한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연장가능 부분(extendable portion)을 포함한다.
연장가능 부분은 연장된 위치와 인입된 위치 사이에서 플런저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연장가능 부분은 배출부를 통해 이동가능 용기 내에 수용된 문서들을 밀어내고(urge) 및/또는 고정시키기(catch) 위해 사용 중에 이동가능 용기의 일부분과 협력하고 및/또는 와이퍼(wiper)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스캐닝 수단, 즉 사용 중에 유입부에 인접한 위치 또는 유입부에 보관된 문서들을 스캔하는 계수기(counter)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 내에서 적재 위치와 중간 또는 에스크로 위치와 적재 위치 사이에서 문서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동가능 용기가 제공되는데, 상기 용기는 이의 기저부에 폐쇄가능한 배출부를 제공하기 위해 힌지연결된 부분과 같은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이동가능 부분을 포함한다.
이동가능 용기는 사용 중에 스캐닝 수단의 배출부 또는 장치의 유입부와 연통되는(communicate)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가능 용기는 고정가능 용기의 배출부와 사용 중에 연통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의 벽들 중 한 벽은 문서 이송 핑거(document delivery finger)들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세스들 사이의 일부분은 문서 이송 핑거로부터 문서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문서 스톱 수단이 제공된다.
이동가능 용기는 이동가능 용기의 마주보는 측면 벽에 힌지연결될 수 있는 예를 들어 2개의 개별 기저 부분과 같은 2개 또는 이보다 많은 이동가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가능 용기는 예를 들어 이의 유입부에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측면 벽 및 기저부를 제공하기 위한 개방된 상측부를 가지며, 상기 기저부는 측면 벽에 대해 이동되도록 힌지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기저부는 예를 들어 2개의 힌지연결된 부분을 포함하며, 이들 중 하나는 각각의 2개의 마주보는 측면 벽의 하측 변부에 힌지연결된다. 각각의 힌지연결된 부분은 측면 벽에 대해 직각과 같은 각도로 폐쇄된 부분과 인입된 부분으로 편향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연장가능 부분은 가령 씨저 형태의 배열(scissor arrangement)로 플런저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및/또는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와이퍼 블레이드 또는 그 외의 다른 부재와 같은 플레이트, 즉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접촉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가능 부분 및/또는 플레이트 및/또는 블레이드 및/또는 접촉 부재는 편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연장된 위치에서 또는 연장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될 수 있다.
이동가능 용기의 협력 부분은 기저부의 이동가능 부분 및/또는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측면 벽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가능 용기의 협력 부분은 예를 들어 이동가능 용기의 내측 표면상에 형성된 요홈 및/또는 리지와 같은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
각각의 연장가능 부분은 사용 중에 가이드 수단과 협력하는 돌출된 부분 또는 접촉 부재와 같은 협력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연장가능 부분은 이동가능 용기와 플런저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각각의 연장가능 부분이 플런저에 대해 예를 들어 회전과 같은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사용 중에 가이드 수단과 협력한다.보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연장가능 부분은, 이동가능 용기에 대한, 예를 들어 배출부를 통한 플런저의 움직임에 따라 각각의 연장가능 부분이 제 1 위치, 즉 연장된 위치로부터 제 2 위치, 즉 인입된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사용 중에 가이드 수단과 협력한다.
이송 수단은 예를 들어 중력에 의해 유입부 내에 수용된 문서들을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정렬 수단은 예를 들어 이동가능 용기로 화폐 또는 문서들을 이송하고 수용하기 위해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이송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휠은 이송 휠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복수의 수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능 용기는 이송 휠로부터 문서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용기의 측면 벽 내에서 리세스와 같은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상호-작동되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능 용기는 예를 들어 이의 기저부가 사용 중에 문서들의 정렬을 돕기 위해 수평에 대해 각을 형성하여 배열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동가능 용기의 측면 벽은 이송 휠로부터 이송된 문서들을 정렬하고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중간 또는 에스크로 위치에 있을 때, 이송 수단 내에 수용된 문서들을 가시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사용 중에 중간 또는 에스크로 위치에서 문서에 대한 제한된 접근과 같은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접근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접근 수단은 래칭 메커니즘(latching mechanism) 및/또는 잠금 또는 잠금가능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근 수단은 이송 수단 내에 수용된 문서들을 가시하기 위한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계수된 문서들의 값을 보여주기 위해 배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사용 중에 정보를 리모트 터미널(remote terminal)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수단은 무선 전송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개봉 확인용 수단을 가진 고정가능 파우치(securable pouch)일 수 있는 고정가능 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라 상기 언급된 장치를 포함하는 테이블이 제공된다.
테이블은 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멍 내에 상기 장치가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장치는 이의 상측 표면이 테이블의 작업 표면과 실질적으로 접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장치의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배열된 리모트 터미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스템은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장치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테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라, 문서들을 수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하우징 내의 유입부를 통해 문서를 통과시키는 단계, 문서에 대한 제한된 접근부를 제공하기 위해 중간 또는 에스크로 위치로 문서들을 이송하는 단계(transferring) 및 하우징 내의 고정 또는 고정가능 위치에 문서들을 보관하는 단계(depositing)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양태에 따라, 문서들을 고정가능 용기로 이송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연장가능 부분을 이용하여 플런저의 유효 영역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플런저의 증가된 유효 영역을 이용하여 고정가능 용기 내부로 문서들을 밀어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연장가능 부분은 바람직하게 사용 중에 배출부를 통해 용기 내에 수용된 문서들을 밀어넣고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하여 용기의 일부분과 협력한다.
이러한 방법은 고정 위치 또는 용기 내에 문서들을 보관하는 단계 동안 또는 이후 문서들의 값(value) 및/또는 액수(quantity) 및/또는 영수증(receipt)과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고정 위치 또는 용기에 대해 정보를 부속시키는 단계(attaching)에 의해 표시되고 및/또는 리모트 터미널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유입부, 문서 평가 수단(document assessment means) 및 보관된 문서를 고정 또는 고정가능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이송 수단은 문서 평가 수단으로부터 문서를 수용하기 위한 기저부 및 측면 벽을 가진 이동가능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 용기는 제 1 문서 보관 위치로부터 이동가능하며, 용기의 기저부는 제 2 문서 보관 위치에 대하여 수평에 대해 각을 형성하고, 용기의 기저부는 수평으로 배열되며, 용기는 문서 보관 위치에 인접한 제 1 경사진 위치와 상기 제 2 문서 보관 위치에 인접하고 상기 제 1 위치 위의 제 2 수평 위치를 가진 가이드 경로를 따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문서들은 예를 들어, 은행권과 같은 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단지 실례로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상면도.
도 2A는 장치의 유입부의 투시도.
도 3A는 제 1 문서 수용 위치에서 이동가능 용기를 도시하는 도 2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B는 제 1 접근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 2, 중간 또는 에스크로 위치에 배열된 이동가능 용기를 도시하는 도 2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C는 제 3, 보관 또는 낙하 위치에서 이동가능 용기를 도시하는 도 2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A는 인입된 위치에서 도 1의 장치의 플런저 메커니즘을 도시한 투시도.
도 4B는 기저부가 인입된 위치에 있을 때 도 1의 장치의 이동가능 용기의 투시도.
도 5A는 플런저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도 4A와 유사한 도면.
도 5B는 이동가능 용기의 기저부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도 4B와 유사한 도면.
도 6A는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플런저 메커니즘의 씨저 부재 및 액추에이터 메커니즘의 전개된 투시도.
도 6B는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메커니즘의 플런저 조립체의 전개된 투시도.
도 7A는 플런저가 인입된 위치에 있을 때 도 1의 장치의 고정가능 용기, 이동가능 용기 및 플런저 메커니즘의 상호작용을 도시하는 투시도.
도 7B는 도 7A의 장치의 상면도.
도 8A는 플런저가 부분적으로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도 7A와 유사한 도면.
도 8B는 도 8A의 장치의 상면도.
도 9A는 플런저가 완전히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도 7A와 유사한 도면.
도 9B는 도 9A의 장치의 상면도.
도 10은 이동가능 용기와 이송 휠 사이에 상호 작용을 도시하는 부분적은 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플런저의 추가 실시예의 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장치의 추기 실시예의 투시도.
도 1 내지 도 3C에 관해 언급하면, 하우징(housing, 2), 계수기(counter, 3), 이동가능 용기(movable container, 4), 플런저 메커니즘(plunger mechanism, 5) 및 고정가능 용기(securable container, 6)를 포함하는 화폐(currency)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1)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가능 용기(6)는, WO 02/19289호 및/또는 WO 2008/114038호에 공개된 것과 유사한, 은행권(bank note)을 보관하고 운반하기 위한 개봉 확인용 봉입부(tamper evident enclosure)를 포함하며, 상기 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일체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하우징(2)은 상측부(21)와 하측부(21'), 전방 벽(23), 후방 벽(23') 및 측면 벽(27, 27')을 가진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 1 접근 도어(first access door, 20)는 상측부(21)에 제공되며, 제 2 접근 도어(22)는 전방 벽(23) 내에 제공되거나 또는 전방 벽(23)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제 3 접근 도어(27a)는 측면 벽(27, 27')들 중 한 측면 벽 내에 제공된다. 상측부(21)는 계수된 화폐(counted currency)를 선택적으로 릴리즈하기(release) 위한 허가 푸시 버튼(acceptance push button, 21a)과 거절 푸시 버튼(rejection push button, 21b)을 포함한다. 제 1 접근 도어(20)는 하우징(2)의 후방 벽(23)을 향하여 평평한 부분(20a)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경사진 부분(ramp portion, 20b) 및 상측부(21)와 실질적으로 정렬된 평평한 부분(20a)을 포함한 상측부(21)의 일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투명하게 형성된다. 경사진 부분(20b)은 최상측 변부(20c), 최하측 변부(20d) 및 상기 최상측 변부(20c)로부터 최하측 변부(20d)까지 연장된 중앙 함몰부(20e)를 포함한다. 제 2 접근 도어(22)는 하우징(2)의 단부 벽(23)을 형성하고, 폐쇄 위치에 제 2 접근 도어(22)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키 잠금 메커니즘(key lock mechanism, 22a)을 포함한다.
도 2A는 문서를 수용하기 위한 문서 트레이(document tray, 300)를 가진 문서 유입부 형상을 도시하며, 상기 트레이는 복수의 구멍(301)을 가지며, 상기 구멍을 통해 마찰 휠(302)이 돌출되어 트레이(300) 내에 보유된 문서들과 맞대어져 유입부(30)로 보내진다. 이러한 장치(305)에 피벗회전하게 장착된 만곡된 웨이트 바디(weighted body, 304)를 포함한 피벗회전가능 추(pivotable weight, 303)가 추가로 제공된다. 사용 중에, 추(303)는 들어올려 져서 여러 문서들 중 한 문서가 트레이(30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추는 문서 묶음 중 최상측 문서상으로 내려진다. 추(303)로 인해 문서들은 마찰 휠(302)과 맞대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문서들이 유입부(30)로 적절히 공급될 수 있다. 추(303)의 하측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구겨지거나 또는 주름진 문서들이 휠(302)에 의해 추(303)의 리딩 변부(leading edge)를 통과하여 잡아당겨짐에 따라 이러한 구겨지거나 또는 주름진 문서들이 평평하게 펴질 수 있다.
도 3A, B, C에 관해 언급하면, 하우징(2) 내에는 컨베이어(24)와 가이드 슬롯(25)이 배열된다. 컨베이어(24)는 케이블(24a)을 움직이게 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 및 캐리어(24b)(도 10에 도시됨)가 부착되는 케이블(24a) 또는 그 외의 다른 왕복운동가능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가이드 슬롯(25)은 만곡된 부분(25b)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 1 및 제 2 직선 부분(25a, 25c)을 포함한다. 제 1 직선 부분(25a)은 컨베이어(24) 위에 배열되고 이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며, 제 2 직선 부분(25c)은 하향 연장되고 단부 스톱(25d)에 대해 각을 형성한다.
제 3 접근 도어(27a)는 폐쇄 위치에 제 3 접근 도어(27)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키 잠금 메커니즘(key lock mechanism, 27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계수기(3)는 유입부(30), 배출부(31) 및 하우징(2)의 상측부(21)로부터 상향 돌출된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을 포함하는 현금 계수기(cash counter)이다. 계수기(3)는 계수기(3)의 유입부(30)가 계수기(3) 내부로 문서의 적재(loading)를 돕기 위해 경사진 부분(20b)의 최하측 변부(20d)에 인접하게 배열되도록 하우징(2)에 장착된다. 계수기(3)의 배출부(31)는 하우징(2)의 내측을 향하여, 이송 휠(26) 내부로 공급하며, 상기 이송 휠은 이로부터 연장되고 원위 접선 부분을 제공하기 위해 만곡되는 복수의 핑거 부재(26a)의 쌍을 이루는 어레이를 가진다. 상기 계수기(3)를 통해 공급된 화폐는 배출부(31)를 통하여 이송 휠(26) 상의 인접한 핑거 부재(26a)들 사이의 간격으로 배출된다.
도 4B, 도 5B 및 도 10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능 용기(4)는 단부 벽(40), 상향 분기된 측면 벽(41a, 41b) 및 기저 플랩(base flap, 42a, 42b)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각각의 측면 벽(41a, 41b)은 내측 표면(46a, 46b) 상의 마주보는 리지(ridge, 45a, 45b)에 의해 형성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채널(44a, 44b)과 최하측 변부(43a, 43b)를 포함한다. 측면 벽(41b)들 중 한 측면 벽은 이의 최상측 변부(44d)에 가이드 채널(44b)과 정렬된 한 쌍의 리세스(44c)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저 플랩(42a, 42b)은 각각의 힌지(43c, 43d)에 의해 측면 벽(41a, 41b)들 중 한 측면 벽의 최하측 변부(43a, 43b)에 연결되고, 내측 표면(49a, 49b) 상에서 마주보는 리지(48a, 48b)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만곡된 가이드 채널(47a, 47b)을 포함한다. 기저 플랩 채널(47a, 47b)은 힌지(43c, 43d)에 인접한 측면 벽 채널(44a, 44b)과 정렬되고, 기저 플랩(42a, 42b)의 자유 변부를 향하여 분기된다. 기저 플랩(42a, 42b)은 이들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되고 이동가능 용기(4)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폐쇄 위치로 스프링 메커니즘(spring mechanism, 42c, 42d)에 의해 편향된다.
이동가능 용기(4)는 이의 단부 벽(40)들이 전방 측면 벽(41a)에 인접한 위치에서 커넥터 핀(4a)에 의해 컨베이어 캐리어(24b)에 연결되고 가이드 부재(4b)가 가이드 슬롯(25) 내에 수용되도록 하우징(2) 내에 장착된다. 따라서, 이동가능 용기(4)는 적재 위치(loading position)(도 3A에 도시), 중간 또는 에스크로 위치(escrow position)(도 3B에 도시됨) 및 보관(deposit) 또는 낙하(drop) 위치(도 3C에 도시됨)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적재 위치에서, 가이드 부재(4b)는 가이드 슬롯(25)의 단부 스톱(25d)과 접하며, 이동가능 용기(4)는 컨베이어(24)에 의해 이의 움직임의 최후방 지점으로 운반되고, 이동가능 용기(4)는 경사지게 배열되어 측면 벽(41b)의 최상측 변부(44d)에서 리세스(44c)는 이송 휠의 핑거 부재(26a)와 연통될 수 있다(도 10에 도시됨).
중간 또는 에스크로 위치에서, 가이드 부재(4b)는 가이드 슬롯(25)의 만곡된 부분(25b) 내에 배열되며, 컨베이어(24)는 이동가능 용기(4)를 중간 위치로 운반하고, 이동가능 용기(4)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고 투명한 제 1 접근 도어(20) 아래에 배열된다.
에스크로 위치에서, 이동가능 용기(4)는 도어(20)를 통해 들어올려 지도록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씨저 리프트(scissor lift), 액추에이터 또는 그 외의 다른 전기식, 수압식, 공압식 구동 리프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이러한 메커니즘은 용기(4)의 플랩(42a, 42b)과 맞물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플랩이 이격되도록 이동되고 그 뒤 하우징으로부터 문서들이 들어올려 지며 고객(customer)에 의해 접근가능하다.
낙하 위치에서, 가이드 부재(4b)는 가이드 슬롯(25)의 제 1 직선 부분(25a)의 전방 단부에 배열되고, 컨베이어(24)는 이동가능 용기(4)를 완전한 전방 위치로 운반하고, 이동가능 용기(4)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되며 고정가능 용기(6)와 플런저 메커니즘(5) 사이에 배열된다.
도 4A, 5A, 6A 및 6B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플런저 메커니즘(5)은 장착 부재(mounting member, 50), 제 1 씨저 부재(51a), 제 2 씨저 부재(51b), 중간 씨저 부재(51c), 플런저 조립체(52) 및 액추에이터 메커니즘(53)을 포함한다.
장착 부재(50)는 2개의 종방향 측면 벽(50a), 단부 벽(50b), 하측 변부(50d)로부터 연장된 4개의 L-형 브래킷(50c)(단지 3개의 브래킷만이 도시됨)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박스(50)이며, 상기 4개의 브래킷들 중 2개의 브래킷이 단부 벽(50b)에 인접하고 다른 2개의 브래킷은 박스(50)의 그 외의 단부를 향하며, 모두 4개의 브래킷은 측면 벽(50a)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2개는 각각의 측면 벽(50a)과 연결된다. 또한, 박스(50)는 상측 벽(50e)을 가진다. 장착 부재(50)는 시트 재료로 제조되며, 상측 벽(50e)을 관통하는 한 쌍의 홀(50f), 텅(tongue, 50a')이 형성되도록 상측 벽(50e)을 초과하여 연장되고 개방 단부(즉, 단부 벽(50b)에 대해 마주보는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측면 벽(50a)들 중 한 측면 벽을 관통하고 그 외의 다른 측면 벽(50a)에 대칭 구조로 형성된 장착 홀(50g), 단부 벽(50b)을 관통하는 추가 홀(50h) 및 각각의 브래킷(50c)의 풋(foot)을 관통하는 고정 홀(50i)을 포함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메커니즘(53)은 전기 모터(530), 외부 나사산 샤프트(531), 제 1 부시 리테이닝 플레이트(first bush retaining plate, 532), 제 2 부시 리테이닝 플레이트(535), 제 3 부시 리테이닝 플레이트(536), 제 2 부시(537), 정지 블록(538), 제 2 이동가능 블록(539) 및 가이드 샤프트(540)를 포함한다. 외부 나사산 샤프트는 이의 한 단부(531a)에서 전기 모터(530)의 로터(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고, 그 외의 단부(531b)에서는 나사산이 없고 평활하게 형성된다. 각각의 제 1, 제 2 및 제 3 부시 리테이닝 플레이트(532, 535, 536)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중앙 홀(532a, 535a, 536a)과 4개의 각각의 고정 홀(532b, 535b, 536b)을 가진다. 나사산 부시(533)는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이의 주축을 따라 두께를 관통하는 나사산 홀(533a)을 포함한다. 나사산 부시(533)의 외측 직경은 제 1 부시 리테이닝 플레이트(532)에서 중앙 홀(532a)과 제 2 부시 리테이닝 플레이트(635)에서 중앙 홀(535a)보다 크다. 제 1 이동가능 블록(534)은 상대적으로 작은 하측 부분(534a)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이의 두께를 관통하는 중앙 홀(534b), 4개의 고정 홀(534d) 및 상대적으로 작은 하측 부분(534a)을 관통하고 중앙 홀(534b)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홀(534c)을 포함한다. 제 2 부시(537)는 이의 주축을 따라 두께를 관통하는 평활한 홀(smooth hole, 537a)을 포함하는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 2 부시(537)의 외측 직경은 제 3 부시 리테이닝 플레이트(536)에서 중앙 홀(536a)보다 다소 크다.
정지 블록(538)은 매달린 하측 부분(538a), 상기 하측 부분(538a)을 통해 중앙 홀(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홀(538b) 및 상측 부분(538d)에서 한 쌍의 나사산 장착 홀(538c)을 포함하는 T-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측 부분을 통해 카운터보어 중앙 홀(도시되지 않음)이 연장된다. 상기 카운터보어 중앙 홀(도시되지 않음)은 이의 한 측면 상에 나사산 부분(도시되지 않음) 및 나사산 부분(도시되지 않음)보다 큰 직경을 가진 평활한 부분(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 2 이동가능 블록(539)은 상대적으로 작은 하측 부분(539a)을 포함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이의 두께를 관통하는 중앙 홀(539b) 및 하측 부분(539a)을 관통하고 중앙 홀(539b)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횡방향 홀(539c)을 포함한다.
가이드 샤프트(540)는 외부 나사산 단부(540b)와 내부 나사산 단부(540c)를 포함한 평활한 외측 표면(540a)을 포함한다.
전기 모터(530)는 나사산 샤프트(531)가 단부 벽(50b)을 향하여 장착 부재(50)의 개방된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장착 부재(50) 내에 장착된다. 전기 모터(530)는 모터(530)의 케이싱(530') 내의 나사산 홀(54a)과 나사 체결되고, 장착 홀(50g)을 통해 연장된 나사(54)에 의해 장착 부재(50)에 고정된다.
나사산 부시(533)는 제 1 이동가능 블록(534)의 중앙 홀(534b) 내에 수용되며, 그러브 나사(grub screw)(도시되지 않음) 또는 그 외의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도록 고정된다. 제 1 및 제 2 부시 리테이닝 플레이트(532, 535)는 이들이 제 1 이동가능 블록(534)의 중앙 홀(534b) 내에서 나사산 부시(533)를 보유하도록 나사(55)를 이용하여 제 1 이동가능 부재에 고정된다. 나사산 샤프트(531)는 나사산 맞물림을 위해 나사산 부시(533) 내에 수용된다.
제 2 부시(537)는 정지 블록(538)의 카운터보어 중앙 홀(도시되지 않음)의 평활한 부분(도시되지 않음) 내에 수용된다. 제 3 부시 리테이닝 플레이트(536)는 정지 블록(538) 내에 제 2 부시(537)를 수용하기 위하여 정지 블록(538)에 고정된다. 가이드 샤프트(540)의 외부 나사산 단부(540b)는 정지 블록(538)의 카운터보어 중앙 홀(도시되지 않음)의 나사산 부분(도시되지 않음)과 나사체결 방식으로 맞물린다. 가이드 샤프트(540)는 제 2 이동가능 블록(539)의 중앙 홀(539b)을 통해 연장되고, 가이드 샤프트(540)의 내부 나사산 단부(540c)와 나사체결 방식으로 맞물리고, 장착 부재(50)의 단부 벽(50b) 내의 홀(50h)을 통해 그리고 와셔(washer, 54Oe)를 통하여 연장되는 나사(54Od)에 의해 장착 부재(50)의 단부 벽(50b)에 고정된다. 정지 블록(538)은 정지 블록(538) 내에서 홀(538c)과 나사체결 방식으로 맞물리고, 상측 벽(5Oe) 내에서 홀(5Of)을 통해 연장된 나사(538e)에 의해 장착 부재(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기 모터(53a)가 회전함에 따라 나사산 샤프트(53b)가 회전하여 제 1 이동가능 부재(534)는 나사산 샤프트(531)를 따라 병진운동한다. 정지 부재(538)는 장착 부재(50)에 대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며, 제 2 이동가능 부재(539)는 가이드 샤프트(540)를 따라 자유롭게 병진운동한다.
제 1 및 제 2 씨저 부재(51a, 51b)는 시트 금속으로 제조되고, 하측 웹 부분(512a, 512b)과 상측 웹 부분(511a, 511b)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서로 고정된 한 쌍의 마주보는 측면 벽(510a, 510b)을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측면 벽(510a, 510b)은 상측 연결 홀(513a, 513b), 하측 연결 홀(514a, 514b) 및 하측 연결 홀(514a, 514b)로부터 상향 이격된 링키지 홀(linkage hole, 515a, 515b)을 가진다. 제 2 씨저 부재(51b)의 각각의 측면 벽(510b)은 중간 씨저 홀(516b)을 포함한다. 각각의 마주보는 측면 벽(510a, 510b)은 각각의 측면 벽(510a, 510b)의 주축에 대해 동일한 둔각을 제공하도록 이의 길이의 중간에 크랭크가 제공된다.
또한, 중간 씨저 부재(51c)는 시트 금속으로 형성되고, 웹 부분(511c)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서로 고정된 한 쌍의 마주보는 측면 벽(510c)을 포함한다. 중간 씨저 부재(51c)의 각각의 측면 벽(510c)은 이의 각각의 상측 및 하측 단부에 인접한 상측 연결 홀(513c) 및 하측 연결 홀(514c)을 가진다. 중간 씨저 부재(51c)는 중간 씨저 부재(51c) 내에서 하측 연결 홀(514c)을 통해 그리고 제 2 씨저 부재(51b) 내에서 중간 씨저 홀(516b)을 통해 연장된 핀(56a)에 의해 제 2 씨저 부재(51b)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핀(56a)은 스냅 링(snap ring, 57a)에 따라 제 위치에 보유된다.
제 1 씨저 부재(51a)는 제 1 이동가능 블록(534) 내에서 횡방향 홀(534c)을 통해 그리고 제 1 씨저 부재(51a) 내의 상측 연결 홀(513a)을 통해 연장된 핀에 의해 제 1 이동가능 블록(534)에 연결된다. 중간 씨저 부재(51c)는 정지 블록(538) 내의 횡방향 홀(538b)을 통해 그리고 중간 씨저 부재(51c) 내의 상측 연결 홀(513c)을 통해 연장된 핀(56c)에 의해 정지 블록(538)에 연결된다. 제 2 씨저 부재(51b)는 제 2 이동가능 블록(539) 내의 횡방향 홀(539c)을 통해 그리고 제 2 씨저 부재(51b) 내에서 상측 연결 홀(513b)을 통해 연장된 핀(56d)에 의해 제 2 이동가능 블록(539)에 연결된다. 핀(56b, 56c, 56d)은 각각의 스냅 링(57b, 57c, 57d)에 따라 제 위치에 수용된다.
도 5A 및 6B에 관해 언급하면, 플런저 조립체(52)는 상측 플런저 부재(52a), 한 쌍의 연장가능 부재(52b, 52c) 및 하측 플런저 부재(52d)를 포함한다. 상측 플런저 부재(52a)는 시트 금속으로 제조되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기저부(520a) 및 상기 기저부(520a)의 주요 종방향 변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정합되고 직립된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벽(521a)을 포함한다. 기저부(520a)는 이의 종방향 중앙선을 따라 균등하게 이격된 3개의 고정 홀(522a)을 가진다. 각각의 벽(521a)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슬롯(523a)과 이의 바닥에 인접한 중앙 슬롯(523a)의 각각의 측면 상의 수평 슬롯(524a)을 가진다.
씨저 부재(51a, 51b)들은 제 2 부재(51b)가 제 1 씨저 부재(51a) 내에 수용되고, 스냅 링(57e)과 함께 제 위치에 수용되며 각각의 링키지 홀(515a, 515b) 및 중앙 슬롯(523a)을 통해 연장된 핀(56e)에 의해 상측 플런저 부재에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서로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씨저 부재(51a, 51b)는 스냅 링(57f)과 함께 제 위치에 수용되며, 해당 씨저 부재(51a, 51b) 내의 하측 연결 홀(514a, 514b)을 통해 그리고 각각의 수평 슬롯(524a)들 중 한 슬롯을 통해 연장된 각각의 추가 핀(56f)에 의해 상측 플런저 부재에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의 연장가능 부재(52b, 52c)는 중앙 홀(521b, 521c)을 포함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기저부(520b, 520c), 한 쌍의 스프링 캐치(526b, 526c) 및 각각의 반-원통형 접촉 부재(523b, 523c)가 형성된 한 쌍의 직립 풋(522b, 522c)을 가진다. 스프링 캐치(526b, 526c)는 기저부(520b, 520c)의 마주보는 단부에서 마주보는 종방향 변부로부터 연장된다. 풋(522b, 522c)은 기저부(520b, 520c)의 마주보는 단부에서 마주보는 종방향 변부로부터 연장되고,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반-원형 부분(525b, 525c)과 직립 부분(524b, 524c)을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접촉 부재(523b, 523c)는 중앙 나사산 보어(528b, 528c)를 가지며, 접촉 부재(523b, 523c) 내에서 보어(528b, 528c)와 나사산 체결되고 해당 반-원형 부분(525b, 525c) 내에서 중앙 홀(529b, 529c)을 통해 연장된 나사(58a)에 의해 각각의 풋(522b, 522c)에 고정된다.
또한, 하측 플런저 부재(52d)는 시트 금속으로 제조되며, 기저부(52Od)의 종방향 변부로부터 연장된 2개의 직립 벽(521d)과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기저부(52Od)를 포함한다. 기저부(52Od)는 상측 플런저 부재(52a)의 기저부(520a) 내에서 최외측 홀(522a)의 위치에 대응하는 2개의 고정 홀(522d)을 가진다. 각각의 직립 벽은 이의 상측 자유 변부에 중앙 리세스(523d)를 포함하여 한 쌍의 정합된 축성(castellation, 524d)이 제공된다.
상측 플런저 부재(52a), 연장가능 부재(52b, 52c) 및 하측 플런저 부재(52d)는 상측 플런저 부재(52a) 내에서 중간 고정 홀(522a)을 통해 연장된 나사(58b)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연장가능 부재(52b, 52c) 내에서 중앙 홀(521b, 521c)은 너트(58c)와 나사체결된다. 추가 핀(58d)이 상측 및 하측 플런저 부재(52a, 52c)의 각각의 최외측 고정 홀(522a, 522d)을 통해 연장되며 각각의 너트(58e)와 나사 체결되어 축성(524d)이 상측 부재(52a)의 삼각형 벽(521a)의 자유 단부(521a')와 맞물리도록 상측 및 하측 플런저 부재(52a, 52d)가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연장가능 부재(52b, 52c)는 접촉 부재(523c)가 리세스(523d)를 향하여 그리고 이로부터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상측 및 하측 부재(52a, 52d)에 대해 자유롭게 피벗회전 가능하다.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상태로 편향되도록 연장가능 부재(52b, 52c)의 마주보는 스프링 캐치(526a, 526b)에 고정된다.
사용 중에, 카지노 딜러(도시되지 않음)는 펀터(punter) 또는 고객(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화폐를 받고, 이러한 화폐를 현금 계수기(3)의 유입부(30)에 인접한 경사진 부분(20b)에 올려놓는다. 그 뒤, 화폐(도시되지 않음)가 유입부(30)를 통해 공급되고, 계수되며 및 배출부(31)를 통해 이송 휠(26)의 인접한 핑거 부재(26a)들 사이의 간격 또는 공간으로 이송된다. 계수된 화폐(도시되지 않음)의 값이 계수기의 스크린(32) 상에 표시된다.
도 1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 이송 휠(26)이 회전함에 따라 화폐(도시되지 않음)는 이의 하측 변부가 이동가능 용기(4)의 측면 벽(41b)의 리지(45b)와 접촉될 때까지 이송되며, 여기서 이송 휠(26)이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화폐(도시되지 않음)는 인접한 핑거(26a)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고, 이동가능 용기(4) 내의 정렬된 위치로 떨어진다. 이송 휠(26)의 핑거(26a)는 용기(4) 내의 리세스(44c)를 통해 잡아당겨진다. 이동가능 용기(4)가 기울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즉 기저 플랩(42a, 42b)이 적재 위치(도 3A에 도시됨)에서 수평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 내에 보관된 화폐 또는 그 외의 다른 문서들이 이송 휠(26)의 보관 및 중력의 작용에 의해 최하측 벽(41b)(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대해 자연적으로 적재될 것이다. 이에 따라 후속 사용 중에 화폐는 상당히 깔끔하게 쌓인다. 이송 휠(26)의 속도는 문서(도시되지 않음)의 크기와 형태에 적합해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그 뒤, 계수된 화폐(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는 이동가능 용기(4)는 중간 또는 에스크로 위치(도 3B에 도시됨)로 컨베이어(24)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송되고, 이러한 위치에서 펀터 또는 고객(도시되지 않음)은 용기(4)와 봉해진 문서 더미를 투명한 제 1 접근 도어(20)를 통해 볼 수 있다. 그 뒤, 펀터 또는 고객(도시되지 않음)은 디스플레이 스크린(32) 상에 표시된 계수된 화폐(도시되지 않음)의 값을 허가하거나(accept) 또는 거절한다(reject).
계수가 거절된다면, 제 1 접근 도어(20)는 거절 푸시 버튼(21b)을 누르고 힌지(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도어(20)를 피벗회전시킴으로써 개방되고(도 3B에 도시됨), 이에 따라 화폐(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접근부가 제공된다. 대안으로, 용기(4) 또는 이 내에 수용된 문서들이 기계식 또는 그 외의 다른 수단에 의해 하우징(2)의 상부를 초과하여 들어올려질 수 있다.
계수가 허가된다면, 허가 푸시 버튼(21a)은 계수를 허가하도록 눌러지며, 이에 따라 이동가능 용기(4)는 컨베이어(24)에 의해 낙하 위치로 이동된다.
허가된 화폐(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는 이동가능 용기(4)가 낙하 위치(도 3C)에 있을 때, 사용자는 장치(1)에 더 이상 접근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가능 용기(4)가 낙하 위치에 도달될 대, 플런저 메커니즘(5)은 인입된 위치로부터 연장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화폐는 고정가능 용기(6) 내로 보내진다.
그러나, 장치(1)는 사용자가 플런저 메커니즘(5)을 작동시키기 위해 플런저 작동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누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하우징(2)은 예를 들어 제 1 접근 도어(20)를 통해 이의 내용물로 접근이 방지되도록 이동가능 용기(4)와 협력하는 내부 벽(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7A 내지 9B에 관해 언급하면, 플런저 메커니즘(5)이 완전히 인입된 위치에 있을 때, 씨저 부재(51a, 51b)는 실질적으로 하우징 부재(50) 내에 배열되고, 연장가능 부재(52b, 52c)는 완전히 연장된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액추에이터 조립체(53)의 모터(530)는 나사산 샤프트(531)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제 1 이동가능 부재(534)는 병진운동하고 정지 부재(538)를 향하여 제 1 씨저 부재(51a)의 단부를 가압한다. 씨저 부재(51a, 51b)는 핀(56e)에 의해 피벗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씨저 부재(51a)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씨저 부재(51b)의 상측 단부는 정지 부재(538)를 향하여 움직여져서 씨저 부재(51a, 51b)의 상측 단부가 서로를 향해 보내진다. 차례로, 플런저 조립체(52)는 장착 부재(5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향 이동되어 핀(56f)이 씨저 부재(51a, 51b)의 하측 단부를 보유하도록 슬롯(524a) 내에서 미끄러진다.
플런저 조립체(52)가 하향 가압됨에 따라, 연장가능 부재(52b, 52c)의 접촉 부재(523b, 523c)는 이동가능 용기(4)의 측면 벽(42a, 42b) 내에 가이드 채널(44a, 44b)을 삽입시킨다. 측면 벽(42a, 42b)의 각도에 따라, 연장가능 부재(52b, 52c)는 이의 인입된 위치를 향하여 가압된다. 플런저 조립체(52)가 지속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연장가능 부재(52b, 52c)는 이동가능 용기(4) 내에 보관된 화폐(도시되지 않음)의 가장자리와 접촉하고, 기저 플랩(42a, 42b)을 이의 개방(즉 하향 연장된) 위치를 향하여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접촉 부재(523b, 523c)는 가이드 채널(47a, 47b)을 기저 플랩(42a, 42b) 내부로 유입시키며 연장가능 부재(52b, 52c)는 이의 인입된 위치를 향하여 추가로 가압된다. 가이드 채널(47a, 47b)의 만곡된 형태에 따라 접촉 부재(523b, 523c)는 이 내부에 보유되며, 연장가능 부재(52b, 52c)는 이의 인입된 위치로 추가로 가압된다. 화폐가 리지(45a, 45b, 48a, 48b)의 내부에 보유됨에 따라, 이동가능 용기(4)의 측면 벽(42a, 42b)이 효과적으로 내보내 지거나(sweep) 또는 빼내지며(wipe), 이에 따라 어떠한 화폐(도시되지 않음)도 내부에 보유되지 않는다.
플런저 조립체(52)의 지속적인 연장은 화폐를 고정가능 용기(6) 내부로 보내며, 용기(6)는 WO 2008/11403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파우치(pouch)가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플런저 조립체(52)는 파우치의 플랩을 초과하여 문서들을 밀어 넣을 수 있도록 배열되고, 이에 따라 문서들이 파우치 내에 보유된다. 물론, 그 외의 다른 고정가능 용기 및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화폐(도시되지 않음)가 고정가능 용기(6) 내부로 보내진 후, 플런저 조립체(52)는 인입되어 연장가능 부재(52b, 52c)와 기저 플랩(42a, 42b)이 각각의 스프링 메커니즘(42c, 42d)에 의해 연장된 위치로 복귀된다. 플런저 조립체(52)는 용기(4)와 협력하고, 그 뒤 이동가능 용기(4)는 적재 위치로 복귀되며, 이러한 과정은 필요에 따라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지노가 폐점 후, 장치(1)로부터 고정가능 용기(6)를 분리하기 위하여, 제 3 접근 도어(27a)의 키 잠금 메커니즘(27b)은 풀려지고, 제 3 접근 도어(22)는 개방된다. 하우징(2)의 내부 벽(도시되지 않음)은 자체적으로 잠겨진 고정가능 용기(6)의 내용물에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낙하 위치에 있을 때 이동가능 용기와 협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는 봉입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용기(6)의 마주보는 측면 상에서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미끄러진다. 커버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톱니 형상부(도시되지 않음)를 가진 리딩 단부에서 텅(도시되지 않음)은 용기(6)의 트레일링 단부에 중공 형상부(도시되지 않음)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언급된 고정이 해제된다. 톱니 형상부(도시되지 않음)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형상부(도시되지 않음)와 같이 중공 형상부의 내부와 맞물리고, 이에 따라 고정가능 용기(6)로부터 커버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의 제거가 방지된다. 따라서, 용기(6)는 제거에 앞서 고정되고 이의 분해 없이 접근이 방지된다.
본 명세서에 공개된 실시예에 대한 몇몇의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고찰된다. 예를 들어, 연장가능 부분(52b, 52c)은 이동가능 용기와 접촉하거나 또는 심지어 협력할 필요가 없고 및/또는 이러한 연장가능 부분은 하측 플런저 부재(52d)에 대해 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선형으로 이동가능하다.
액추에이터 메커니즘(53)은 예를 들어 수압 또는 공압 실린더 또는 랙 및 피니언 장치와 같은 단순한 구동 수단으로 교체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부시(533, 537) 및 부시 리테이닝 플레이트(532, 535, 536)는 제 1 이동가능 부재(534) 및 정지 부재(538) 내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평활한 홀(537a) 및 나사산 홀(533a)이 생략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메커니즘(53)의 2개 또는 이보다 많은 부품이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이드 샤프트(540)는 정지 블록(538)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이동가능 용기(4)는 화폐를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수단은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한 쌍의 개별적인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화폐는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며 필요한 위치들 간에 이동가능하다. 플런저 메커니즘(5)은 컨베이어 벨트들 사이에서 화폐를 인출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이송 휠(26)은 핑거 부재(26a)를 포함할 필요가 없고 및/또는 핑거 부재(26a)는 배출부(31)로부터 이동가능 용기(4)로 화폐를 이송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으로 교체될 수 있다. 사실상, 이송 수단은 심지어 이송 휠(26)도 포함할 필요가 없다.
추가 커버 부재는 적재 위치(도 3A에 도시됨)로부터 ESCROW 위치(도 3B에 도시됨)로 이동됨에 따라 용기(4) 또는 이의 내용물과 맞물리도록(engage) 제공된다. 커버 부재는 용기(4) 내에 보관된 문서들을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커버 부재는 용기(4) 내에 위치된 문서들과 맞물리기 위한(예를 들어, 파지) 문서 맞물림 수단(document engagement means)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4)가 ESCROW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커버 부재는 문서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옆을 향해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커버 부재는 고객이 보관된 문서(예를 들어, 돈)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장치의 상측을 향하여 또는 이로부터 들어올려 질 수 있다. 커버 부재는 ESCROW 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 반면 문서들은 용기 내에서 보관 위치(도 3C에 도시됨)로 이동된다. 커버 부재는 이러한 공정이 다음번의 반복 시 용기(4)와 맞물리도록 적재 위치로 재차 움직이거나 또는 뒤따를 수 있다. 커버 부재는 투명인 것이 선호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5')의 추가 실시예가 제공되며, 여기서 대부분의 요소들은 도 4 내지 도 9에서 기술된 바와 동일하며, 반복하여 언급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플런저(5)와의 차이점은, 플런저(5')가 플런저(5')의 리딩 변부(502') 상에 배열된 지폐 가이드 수단(note guide means, 501')과 하향 만곡된 표면(500')을 가지는 데 있다. 가이드 수단(501')은 한 쌍의 돌출부(504')를 가진 만곡된 몸체이다. 하향 만곡된 표면(500')과 가이드 수단(501')은 구겨지거나 접힌 지폐가 용기 내부로 적절히 들어갈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접혀진 지폐는 심지어 계수된 이후에도 이러한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접혀진 지폐로 인해 플런저 또는 그 외의 다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지폐를 보관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도 12는 플런저 메커니즘(5')의 업스트림에 위치된 추가 지폐 가이드(600)를 도시하며, 즉 용기(4)는 우선적으로 지폐 가이드(600)의 하부를 통과하고 그 뒤 용기(4) 내의 문서와 플런저(5, 5')를 맞물리기 위한 보관 위치로 보내진다. 가이드(600)는 뾰족하고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즉 이의 길이의 중간의 선단(604)에서 단부(602a, 602b)로부터 수렴된 상측 변부(603)를 가진 리딩 면(leading face, 601)을 가진다. 면(601)은 용기(4)의 이동 방향으로 상측 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지며, 이에 따라 언더컷 평면(undercut smooth face, 601)이 제공된다.
문서가 용기(4)의 상측 위로 돌출된다면, 이러한 문서는 가이드(600)의 면(601)과 접촉하여 용기(4) 내로 보내진다. 가이드 면의 형태는 용기가 보관 위치로 이동될 때 돌출된 문서가 용기(4) 내에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지폐 가이드 수단(501')도 또한 용기(4)가 보관 위치로 이동될 때 지폐가 용기(4)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돕는다.
플런저 메커니즘(5)은 연장가능 부재(52b, 52c)를 포함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연장가능 부재(52b, 52c)는 임의의 그 외의 다른 적합한 와이핑 수단으로 교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촉 부재(523b, 523c)는 연장된 위치와 인입된 위치 사이에서 선형 이동할 수 있고 스프링 메커니즘과 같은 편향 수단에 의해 연장된 위치로 가압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씨저 부재(51a, 51b, 51c)는 예를 들어 수압 피스톤과 같은 플런저 조립체(52)의 움직임을 유발하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으로 교체될 수 있다. 플런저 메커니즘(5)은 장착 부재(50)가 요구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는 하우징(2)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특정의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는 특정의 고정가능 용기로 이송된 화폐의 값을 보여주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러한 수단은 고정가능 용기로 정보를 자체적으로 프린팅하기 위한 수단 또는 주어진 용기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과 조합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용기 내의 상당한 지폐가 자동으로 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고정가능 용기는 미달 현금 시스템(cash-in-transit system)에 도입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개된 임의의 특징들은 필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생략되고 및/또는 교체될 수 있으며 및/또는 본 명세서에 공개된 임의의 특징들의 조합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고찰된다.

Claims (59)

  1. 문서들을 수용하기 위한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고정 또는 고정가능 위치로 문서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 및 보관 수단을 포함하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사용 중에 고정가능 위치에 인접한 보관 위치와 유입부 사이에서 문서들을 이송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상기 보관 수단은 플런저 및 이송되는 문서들과 접촉시키기 위한 이동가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능 부재는 플런저가 문서들을 고정 또는 고정가능 위치로 밀어넣음에 따라 플런저를 따라 이동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2. 문서들을 수용하기 위한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고정 또는 고정가능 위치로 문서들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 및 보관 수단을 포함하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사용 중에 고정가능 위치에 인접한 보관 위치와 유입부 사이에서 문서들을 이송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상기 보관 수단은 사용 중에 보관 위치에 위치된 문서를 고정 또는 고정가능 위치로 밀어넣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보관 수단은 상기 보관 수단이 문서들을 고정 또는 고정가능 위치로 밀어넣음에 따라 연장된 위치와 인입된 위치 사이에서 플런저를 따라 이동되도록 배열된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연장가능 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가능 부분들은 플런저의 축 주위로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연장가능 부분은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연장가능 부분은 연장된 위치를 향하여 또는 연장된 위치에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문서를 보유하기 위한 이동가능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용기는 연장가능 부분과 협력하기 위한 협력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용기의 협력 부분은 이동가능 용기의 내측 표면상에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가능 부분은 사용 중에 가이드 수단과 협력하는 협력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가능 부분은, 이동가능 용기와 플런저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각각의 연장가능 부분이 플런저에 대해 움직이도록 사용 중에 가이드 수단과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가능 부분은, 이동가능 용기에 대한 플런저의 움직임에 따라 각각의 연장가능 부분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사용 중에 가이드 수단과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이송 수단은 유입부에 수용된 문서들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정렬 수단은 문서 또는 화폐를 수용하고 이동가능 용기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이송 휠은 이송 휠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용기는 이송 휠로부터 문서들을 수용하기 위해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협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이동가능 용기의 측면 벽은 이송 휠로부터 이송된 문서를 수용하고 정렬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처리 장치.
  16. 문서들을 고정가능 용기로 이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문서들과 접촉시키기 위하여 연장가능 부분을 이용하여 플런저의 유효 영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연장가능 부분이 제 1 단부 위치와 제 2 단부 위치 사이에서 플런저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플런저의 증가된 유효 영역을 이용하여 고정가능 용기 내부로 문서들을 밀어넣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이송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연장가능 부분은 사용 중에 배출부를 통해 용기 내에 수용된 문서들을 밀어넣거나 또는 문서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용기의 일부분과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이송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KR1020107021638A 2008-02-28 2009-03-02 문서 처리 KR101609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803671.7 2008-02-28
GBGB0803671.7A GB0803671D0 (en) 2008-02-28 2008-02-28 Document hand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72A KR20110004372A (ko) 2011-01-13
KR101609318B1 true KR101609318B1 (ko) 2016-04-05

Family

ID=3931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638A KR101609318B1 (ko) 2008-02-28 2009-03-02 문서 처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641039B2 (ko)
EP (1) EP2248113A1 (ko)
KR (1) KR101609318B1 (ko)
CN (1) CN101965596B (ko)
AU (1) AU2009219934B2 (ko)
CA (1) CA2716378C (ko)
GB (1) GB0803671D0 (ko)
WO (1) WO2009106856A1 (ko)
ZA (1) ZA2010053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3671D0 (en) * 2008-02-28 2008-04-09 Intelligent Deposit Systems Lt Document handling
JP5414436B2 (ja) * 2009-09-16 2014-02-12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矢羽根状フィンを有する回転式引抜防止ユニット
GB2480231B (en) * 2010-05-04 2016-05-04 Cash Dynamics Ltd Enclosure for sheet documents
GB201215936D0 (en) * 2012-09-06 2012-10-24 Intelligent Deposit Systems Ltd Apparatus for document handling
EP2778105B1 (de) * 2013-03-11 2016-10-26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Transportbehälters mit Wertscheinen
CN103268666B (zh) * 2013-05-23 2015-07-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设备及其纸币暂存装置
JP2021092865A (ja) * 2019-12-06 2021-06-1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562A (en) * 1974-04-22 1977-09-27 Mars, Inc. Banknote escrow and stacker apparatus and method
AT355845B (de) 1976-02-10 1980-03-25 Gao Ges Automation Org Ausgabeautomat fuer banknotenpaeckchen
NL7702243A (nl) 1976-03-11 1977-09-13 Mars Inc Bankbiljettenverwerkende inrichting.
SE463283B (sv) * 1989-07-20 1990-10-29 Inter Innovation Ab Anordning foer inmatning av vaerdepapper, saasom sedlar, checker etc
US7248731B2 (en) * 1992-05-19 2007-07-24 Cummins-Allis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urrency discrimination
EP0674296A4 (en) * 1992-05-19 1996-06-05 Ace Denken Kk PAPER COIN HANDLING SYSTEM FOR GAMES ROOMS.
US5735516A (en) * 1992-05-27 1998-04-07 Mars Incorporated Apparatus for handling sheets
IT1256495B (it) * 1992-12-30 1995-12-07 Giuseppe Ezio Fumanelli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ricezione e l'erogazione automatizzata di banconote e valori
ATE171293T1 (de) * 1995-02-24 1998-10-15 Ascom Autelca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sicherten ablage und ausgabe von banknoten
IT1277765B1 (it) 1995-06-26 1997-11-12 Mec L A R Di Lonati Lorenzo & Dispositivo accatastatore ed incassatore di banconote con possibilita' di restituzione delle stesse
GB2338704B (en) 1998-06-23 2002-12-31 Mars Inc Banknote stacking apparatus
JP3779076B2 (ja) * 1998-10-06 2006-05-24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IT1310164B1 (it) 1999-01-21 2002-02-11 Cima Spa Di Razzaboni E C Cassaforte selezionatrice ed erogatrice automatica di banconote
US6398000B1 (en) * 2000-02-11 2002-06-04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handling system having multiple output receptacles
EP1257976A1 (en) 2000-02-11 2002-11-20 Cummins-Allison Corporation Currency handling system having multiple output receptacles
AU2001264277A1 (en) * 2000-06-15 2001-12-24 Omron Corporatio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GB2364591A (en) 2000-07-07 2002-01-30 Ncr Int Inc Self service terminal with an escrow unit
DE60140612D1 (de) * 2000-08-29 2010-01-07 Volumatic Ltd Vorrichtung zum speichern und befördern von banknoten
TW540014B (en) * 2001-04-27 2003-07-01 Asahi Seiko Co Ltd An automatic bill storage device
EP1323655A1 (en) 2001-12-28 2003-07-02 Mars Incorporated Sheet stacking apparatus comprising a pusher with extendible lateral portions
EP1323656B1 (en) 2001-12-28 2007-04-11 MEI, Inc. Sheet stacking apparatus comprising a pusher with at least one lateral extendible portion
US20040033832A1 (en) * 2002-08-13 2004-02-19 Gregg Solomon Casino money handling system
JP4362607B2 (ja) 2003-03-12 2009-11-11 旭精工株式会社 紙幣収納装置における紙幣移動装置
JP4246537B2 (ja) * 2003-04-23 2009-04-02 アルゼ株式会社 紙葉取扱装置
EP1735761A1 (en) 2004-03-29 2006-12-27 Streamline Innovations GmbH Note validating and storage assembly and method
GB0501196D0 (en) 2005-01-20 2005-03-02 Rue De Int Ltd Deposit unit and system
US7357269B2 (en) * 2005-11-01 2008-04-15 Rehrig Pacific Company Container
US7395965B2 (en) * 2005-12-06 2008-07-08 Giesecke & Devrient America, Inc. Mobile bulk depositor
GB0803671D0 (en) * 2008-02-28 2008-04-09 Intelligent Deposit Systems Lt Document hand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90048B2 (en) 2017-10-17
AU2009219934B2 (en) 2014-09-25
AU2009219934A1 (en) 2009-09-03
US8641039B2 (en) 2014-02-04
KR20110004372A (ko) 2011-01-13
US20140183810A1 (en) 2014-07-03
CA2716378C (en) 2018-03-27
US20110007358A1 (en) 2011-01-13
WO2009106856A1 (en) 2009-09-03
ZA201005392B (en) 2011-10-26
GB0803671D0 (en) 2008-04-09
CA2716378A1 (en) 2009-09-03
CN101965596B (zh) 2015-11-25
CN101965596A (zh) 2011-02-02
EP2248113A1 (en)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318B1 (ko) 문서 처리
US8430396B2 (en) Voucher cassette
JPH01267791A (ja) カセット内に保管されるべき物体及びシート状物品を差し入れ、保管しかつ差し出すための装置
JPS6145278B2 (ko)
CN111127740A (zh) 薄片类介质分发装置和现金循环处理设备
US11521453B2 (en) Value note box
CN210836298U (zh) 薄片类介质集积装置和薄片类介质处理装置
JPH0737165Y2 (ja) 紙弊収納・繰出装置の紙弊収納部
JPS61263545A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89819Y2 (ja) 紙幣処理装置
US20090026695A1 (en) Stacking Cassette
JP2865696B2 (ja) 紙葉類取扱い装置
JPH11165939A (ja) 紙幣集積装置
JP3113940B2 (ja) 両替装置
JPS6227967Y2 (ko)
JPS61117687A (ja) 貨幣処理装置
JP2977669B2 (ja) 紙幣処理機の払い出しホッパ部構造
JPH0231432B2 (ko)
JPS59102750A (ja) 紙葉類の表裏反転装置
JPS61263546A (ja) 紙葉類処理装置
JPS61127533A (ja) 紙葉類自動取扱い装置
JPH0539158A (ja) 紙葉類の集積装置
JPH04116032A (ja) 紙葉類保留部からの払出機構
JPH11165901A (ja) ローラ支持装置、紙葉類搬送装置及び紙幣搬送装置
US20130154185A1 (en) Document pin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