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929B1 - 점성 화장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점성 화장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929B1
KR101608929B1 KR1020117007132A KR20117007132A KR101608929B1 KR 101608929 B1 KR101608929 B1 KR 101608929B1 KR 1020117007132 A KR1020117007132 A KR 1020117007132A KR 20117007132 A KR20117007132 A KR 20117007132A KR 101608929 B1 KR101608929 B1 KR 101608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us cosmetic
viscous
cosmetic material
coating materi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481A (ko
Inventor
가오리 사사다
나오미 시마무라
겐 다구치
유키 오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1006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Landscapes

  • Cosme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실리콘수지제의 도포체에 점성화장료가 접촉한 경우여도 상기 도포체의 팽윤을 적게하여 점성화장료용 용기의 품질을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다.
점성화장료(2)를 내부에 수납한 수납부(3)의 일단에 이 수납부(3)에 연통가능한 유통로(6)를 내부에 형성한 실리콘수지제의 도포체(1)를 접속하여 이 도포체(1)의 도포면(5)에 유통로(6)에 연통한 분배구(9)를 형성하고 이 분배구(9)로부터 수납부(3) 내의 점성화장료(2)를 바깥쪽으로 토출가능하도록 한 점성화장료용 용기이다. 그리고 점성화장료(2)의 유통유분으로써 탈취폴리뷰텐, 옥시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매커데이미아 너트유 중 어느 것 하나 또는 그 조합을 모든 유동유분 중 50~100wt% 함유시킨 것에 의해 상기 점성화장료(2)와 접촉에 의해 생기는 도포체(1)의 팽윤율을 0wt%~5.0wt%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성 화장료용 용기{CONTAINER FOR A VISCOUS COSMETIC}
본 발명은 점성 화장료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수납부의 선단에 실리콘수지제의 도포체를 접속한 점성 화장료용 용기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부터 립글로스 등 점성을 가지는 점성 화장료를 통 또는 튜브모양의 수납부에 수납함과 동시에 이 수납부의 선단에 도포체를 접속한 점성 화장료용 용기가 존재한다. 그래서 이 도포체에는 점성 화장료를 토출하기 위한 분배구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 내의 점성 화장료를 소량씩 분배구로부터 바깥쪽으로 토출시키면서 입술 등의 피도포부에 도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점성 화장료용 용기 중, 특허문헌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도포체를 실리콘수지로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제2007-319392호 공보 이러한 도포체를 실리콘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실리콘 수지의 유연한 탄성에 의해 입술 등의 피도포부에 도포체의 촉감을 양호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실리콘수지는 외기와의 접촉에 의한 노화 등의 변질이 잘 생기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유연한 촉감을 상하게 하는 일 없이 품질을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다.
그러나, 실리콘수지가 점성화장료 안에 함유하는 유동 유분과 접촉한 경우 이 유동유분이 실리콘수지에 침투하여 실리콘수지가 팽윤한다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1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실리콘수지제 도포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점성화장료가 실리콘수지제의 도포체에 접촉함에 따라 도포체가 팽윤하게 된다.
그리고, 이 팽윤이 현저한 경우에는 도포체의 치수가 변화하고 도포체에 형성한 점성화장료의 유통로가 얇아져서 점성화장료의 토출상태가 나빠지거나 뚜껑체가 닫히지 않는 등의 불편함이 생김과 동시에 점성화장료에 있어서는 유동유분만이 도포체에 침투하기 때문에 점성화장료 안의 유동유분의 함유량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품질을 양호하게 보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점성화장료용 용기의 선단에 구비한 실리콘수지제의 도포체에 점성화장료가 접촉한 경우에도 상기 도포체의 팽윤을 억제하고 점성화장료용 용기의 품질을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점성화장료를 내부에 수납한 통 또는 튜브모양의 수납부 일단에 이 수납부에 연통가능한 유통로를 내부에 형성한 실리콘수지제의 도포체를 접속하고, 이 도포체의 선단에 형성한 도포면에 상기 유통로에 연통한 분배구를 형성하고 이 분배구에서 수납부내의 점성화장료를 유통로를 통해 바깥쪽으로 토출가능하게 한 점성화장료용 용기이다.
이와 같이 점성화장료용 용기의 도포체를 실리콘수지에 의해 형성함에 따라 이 실리콘수지의 탄성에 의해 입술 등의 피도포부의 감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촉감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외기와의 접촉에 의한 노화 등이 생기기 어려워서 품질을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점성화장료의 유동유분으로써 탈취폴리뷰텐, 옥시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매커데이미아 너트유,(수첨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테트라(에틸헥산산/안식향산)펜타에리스리틸 중 어느 것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점성화장료 중의 모든 유동유분 중 40~100wt% 함유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점성화장료의 유동유분으로써 탈취폴리뷰텐, 옥시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매커데이미아 너트유,(수첨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테트라(에틸헥산산/안식향산)펜타에리스리틸 중 어느 것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점성화장료 중의 모든 유동유분 중 40~100wt% 함유시킴으로써 점성화장료와의 접촉에 의해 생기는 도포체 팽윤율을 0wt%~5.0wt%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점성화장료의 함유율이 모든 유동유분 중 50wt% 미만인 경우에는 도포체의 팽윤율이 5.0wt%를 웃돌게 된다. 그리고 도포체의 팽윤율이 5.0wt%를 웃돌 경우에는 도포체의 치수가 변화하고, 도포체에 형성한 점성화장료의 유통로가 좁아져서 점성화장료의 토출상태가 나빠지거나 뚜껑체가 닫히지 않는 등의 불편함이 생김과 동시에 점성화장료 중의 유동유분의 일부가 도포체에 침투하기 때문에 유동유분의 종류에 의해서는 유동유분의 함유량이 현저히 변화하게 되고 점성화장료의 처방이 변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품의 품질을 양호하게 보존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래서, 점성화장료에 함유시킨 유동유분 중, 탈취폴리뷰텐, 옥시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매커데이미아 너트유,(수첨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테트라(에틸헥산산/안식향산)펜타에리스리틸의 각 유동유분에 대해서 실리콘수지의 침지실험을 행한 결과, 모든 유동유분에서 실리콘수지의 팽윤율이 5.0wt% 미만이 된 것을 확인했다. 게다가 상기 유동유분을 점성화장료 중의 모든 유동유분 중, 40~100wt% 함유시킴으로써 점성화장료와 접촉했을 때 도포체의 팽윤율을 0wt%~5.0wt%로 하는 것이 가능함에 대해서도 실험으로 확인했다.
상기와 같이 도포체의 팽윤율을 0wt%~5.0wt%로 함으로써 도포체와 점성화장료가 접촉했을 경우에도 도포체의 형상이 변화하거나 점성화장료 중 유동유분의 함유량이 현저히 변화하는 등의 불편함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품질을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점성화장료는 반고형유분으로써 바셀린을 0~20wt% 함유시킨 것이어도 좋다. 종래부터 점성화장료에 사용하는 반고형유분으로써 바셀린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실리콘수지는 바셀린이 접촉했을 때 실리콘수지가 백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점성화장료 중에 바셀린을 20%보다 많이 첨가하여 사용했을 때에는 점성화장료와 도포체가 접촉했을 때 도포체가 백화하는 사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투명도가 높은 실리콘수지로 도포체를 형성했을 경우에는 도포체와 점성화장료가 접촉했을 때 도포체의 백화가 눈에 보임으로써 명확하게 인식된다. 따라서 도포체의 외관이 하얗게 변화함으로써 제품으로서의 품질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점성화장료의 반고형유분으로써 바셀린을 사용함과 동시에 바셀린의 함유량을 0~20wt%로 함으로써 점성화장료와의 접촉에 의해 도포체의 백화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투명도가 높은 실리콘수지를 사용함과 동시에 점성화장료 중에 바셀린을 함유시킨 경우라 하더라도 도포체의 외관에 변화가 생기는 일 없이 도포체를 투명하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도포면은 도포체의 축방향에 대해서 경사한 타원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활모양으로 팽출하여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이처럼 도포면을 경사한 타원형으로 형성함에 의해 도포면을 위쪽을 향하여 점성화장료용 용기를 지지한 경우에 도포면을 입술 등의 피도포부에 용이하게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포면을 팽출형성함에 의해 도포면과 피도포부의 접촉면적이 적어지므로 실리콘수지제인 도포체의 유연한 탄력이 피도포부에 쉽게 전해지며 도포시에 있어서 피도포부의 촉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이며 점성화장료의 유동유분으로써 탈취폴리뷰텐, 옥시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매커데이미아 너트유,(수첨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테트라(에틸헥산산/안식향산)펜타에리스리틸 중 어느 것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점성화장료 중의 모든 유동유분 중 40~100wt%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점성화장료의 접촉에 의해 생기는 도포체의 팽윤율을 0wt%~5.0wt%로 도포체의 팽윤을 억제할 수 있다. 이처럼 도포체의 팽윤율을 0wt%~5.0wt%로 하는 것에 의해 도포체의 치수가 변화하고 도포체에 형성한 점성화장료의 유통로가 좁아져서 점성화장료의 토출상태가 나빠지거나 뚜껑체가 닫히지 않는 등의 불편함이 생기기 어려워짐과 동시에 점성화장료 중의 유동유분의 함유량이 현저히 변화하지 않고 점성화장료의 내용처방을 거의 일정하게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품질을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 1~6의 점성화장료용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각 유동유분에 침지했을 때의 시료편 팽윤율을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에 있어서 설명하면 (1)은 실리콘수지제의 도포체이며, 점성화장료(2)를 수납한 수납부(3)의 상단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3)에는 내부에 수납한 점성화장료(2)를 도포체(1)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압출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점성화장료용 용기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포체(1)의 선단에는 타원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도포체(1)의 축방향을 향해 경사한 도포면(5)을 구비하고 있다. 이처럼 도포면(5)을 형성함에 의해 도포면(5)을 위쪽을 향하여 점성화장료용 용기를 지지한 경우에는 도포면(5)을 입술 등의 피도포부에 용이하게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도포면(5)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활모양으로 돌출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이처럼 도포면(5)을 팽출형성함으로써 도포면(5)과 피도포부의 접촉면적이 적어지게 되므로 실리콘수지제인 도포체(1)의 유연한 탄력이 피도포부에 쉽게 전해지고 도포시에 있어서 피도포부의 촉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도포면(5)의 중앙부에는 점성화장료(2)의 분배구(9)를 1개소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구(9)에 연속하여 도포체(1)의 축방향에 점성화장료(2)의 유통로(6)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포체(1)의 하단측에는 상기 유통로(6)에 연속하여 하단계합구멍(7)을 요설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분배구(9) 및 유통로(6)를 도포체(1)에 1개소만 형성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배구(9) 및 유통로(6)를 도포체(1)에 복수개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도포체(1)에 형성한 하단계합구멍(7)에 수납부(3)의 상단에 돌설한 상단계합부(8)를 계합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형성한 도포체(1)를 수납부(3)의 상단에 접속하고 있다. 이 수납부(3)는 원통형태의 통체(10)로 형성한 것이며 중앙부에는 내부에 점성화장료(2)를 수납한 수납부본체(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납부(3)의 도포체(1) 접속측의 반대측에는 수납부본체(11) 내의 점성화장료(2)를 도포체(1)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압출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한 수납부(3)의 상단계합부(8)를 통형태로 형성하고, 이 상단계합부(8)를 상기 도포체(1)의 하단계합구멍(7)에 계합한다. 이것에 의해 수납부본체(11) 내와 도포체(1)의 유통로(6)가 연통하게 되며 수납부본체(11) 내의 점성화장료(2)를 유통로(6)를 통해 도포면(5) 상에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압출기구(4)에 대해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수납부(3)의 하단측 내주에 원통형태의 보지부재(13)를 고정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보지부재(13)의 안쪽에 통형의 보지부(14)를 일체로 고정배치함과 동시에 이 보지부(14)의 내주에는 내주나구(1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보지부(14)의 내주나구(15)에 나합가능한 외주나구(16)를 봉형태로 상단에 피스톤(17)을 접속한 회동축(12)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보지부(14)에 회동축(12)을 나착한다.
상기와 같이 통체(10)의 내주에 고정배치한 보지부(14)에 회동축(12)을 나착함으로써 회동축(12)이 수납부(3)의 하단측 축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동축(12)의 상단에 계합돌부(18)를 돌설함과 동시에 피스톤(17)의 저면에 상기 계합돌부(18)에 계합가능한 계합요부(20)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회동축(12)이 피스톤(17)과는 독립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이 회동축(12)의 계합돌부(18)를 피스톤(17)의 계합요부(20)에 계합하고 있다. 또한, 이동축(12)은 단면형상을 타원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지부재(13)의 내주에는 보지부(14)의 아래쪽에 내통(21)을 배치한다. 이 내통(21)은 원통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단에 천판(22)을 구비함과 동시에 하단측에는 통체(10)의 하단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 배치한 돌출부(1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천판(22)의 중앙에는 상기 회동축(12)을 삽통하기 위한 삽통구멍(23)을 구비한다.
이 삽통구멍가압 형상을 회동축(12)의 단면형상에 대응시킨 타원형으로 함과 동시에 회동축(12)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형상으로 한다. 이처럼 삽통구멍(23)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회동축(12)을 삽통구멍(23)에 삽통함으로써 회동축(12)이 내통(21)과 일체로 회동가능하며 내통(21)과는 독립하여 상하방향으로 접동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통(21)의 외주에는 환상의 계합요구(24)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계합요구(24)에 계합가능한 환상돌부(25)를 보지부재(13)의 하단 내주에 돌설하고 있다. 그리고 이 보지부재(13)의 환상돌부(25)를 상기 내통(21)의 계합요구(24)에 계합시킴으로써 내통(21)이 보지부재(13)로부터 이탈불능하며 보지부재(13)와는 독립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한다.
또한, 상기 계합요구(24)의 아래쪽에 충돌단부(26)를 설치하고 이 충돌단부(26)에 보지부재(13)의 하단면을 부딪치게 설치한다. 또한, 내통(21)의 돌출부(19)의 외주에는 단면이 コ자형으로 원통형의 회동축(27)을 돌출부(19)에 접속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회동축(27)의 상단면을 통체(10)의 하단면에 인접시킨다.
또한, 상기 통체(10)의 상단에는 도포체(1)를 피복가능하게 하는 원통형의 뚜껑체(28)를 착탈가능하게 접속하고 있고, 비 사용시에는 이 뚜껑체(28)를 수납부(3)의 상단에 접속함으로써 도포체(1)를 피복하여 외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외기와의 접촉에 의한 점성화장료(2)의 변질을 막을 수 있으며 환경중의 쓰레기나 먼지 등이 도포체(1)에 부착함으로써 도포체(1) 및 점성화장료(2)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에 있어서, 점성화장료(2)의 토출기구에 대해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수납부본체(11)의 내부에 점성화장료(2)를 충진한다. 또한, 상기 점성화장료(2)의 처방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통체(10)에 접속한 뚜껑체(28)를 빼고 수납부(3)를 손으로 파지하여 고정한 상태로 이 수납부(3)의 하단에 설치한 회동체(27)를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럼으로써 회동체(27)를 고정한 내통(21)도 회동체(27)의 회동과 일체로 한쪽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내통(21)의 삽통구멍(23)에 삽통한 회동축(12)이 내통(21)과 동시에 회동하고 보지부(14)의 내주나구(15)에 의해 회동하면서 도포체(1) 측으로 내보내어 지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 회동축(12)의 도포체(1) 측에의 이동에 의해 회동축(12)의 상단에 접속한 피스톤(17)이 도포체(1) 측에 가압되므로 이 피스톤(17)이 수납부(3)내를 도포체(1) 측에 접동하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동축(12)을 피스톤(17)과는 독립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므로 피스톤(17)은 회동하지않고 수납부(3) 내를 도포체(1) 방향으로 접동한다. 그리고 이 피스톤(17)의 도포체(1) 측으로의 접동에 의해 수납부본체(11) 내의 점성화장료(2)가 도포체(1)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수납부본체(11) 내의 점성화장료(2)는 상단계합부(8)를 통해 도포체(1)의 유통로(6) 내로 보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피스톤(17)에 의해 가압되며 도포체(1)의 유통로(6)를 통과한 점성화장료(2)는 도포면(5)의 분배구(9)로부터 바깥쪽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회동체(27)를 적의 회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양의 점성화장료(2)를 분배구(9)로부터 토출시켜서 피도포부로 점성화장료(2)를 도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점성화장료(2)가 도포체(1)의 유통로(6) 내를 통과할 경우나 점성화장료(2)를 도포면(5) 상으로 토출하여 도포작업을 할 경우 등에 점성화장료(2)와 도포체(1)가 접촉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점성화장료(2)의 처방에 의해서는 도포체(1)와의 접촉에 의해 도포체(1)가 팽윤한다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즉, 점성화장료(2)와의 접촉에 의한 도포체(1)의 팽윤율이 5.0wt%를 넘은 경우에는 도포체(1)의 치수가 변화하고 도포체(1)에 형성한 점성화장료(2)의 유통로가 좁아져서 점성화장료(2)의 토출상태가 나빠지거나 뚜껑체(28)가 닫히지 않는 등의 불편함이 생긴다.
또한, 점성화장료(2) 중의 유동유분의 일부가 도포체(1)에 침투하므로 유동유분의 종류에 따라서는 유동유분의 함유량이 현저히 변화하여 점성화장료의 처방이 변한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본원발명에서는 도포체(1)의 팽윤율을 0~5.0wt%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도포체(1)의 치수변화나 점성화장료(2)의 토출상태의 악화 등 불편함이 생기기 어려운 점성화장료용 용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도포체(1)의 팽윤은 점성화장료(2) 중의 유동유분이 도포체(1)에 침투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것이며 유동유분의 종류에 따라 도포체(1)의 팽윤율은 달라진다. 그래서 점성화장료(2)에 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동유분을 사용하여 각 유동유분에 도포체(1)를 함침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도포체(1)의 팽윤율을 측정했다.
팽윤율의 측정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하면, 우선 본 실시예의 도포체(1)에 사용한 실리콘수지의 시료편 2×2×0.5cm를 준비하고 이 시료편의 중량을 측정했다. 그리고 이 시료편을 각 유동유분에 침지하고 50℃ 분위기하에서 1주간 정치했다. 그 후 시료편을 꺼내어 각 시료편에 부착한 유동유분을 닦아서 중량을 측정했다. 그리고 침지전의 중량 및 침지후의 중량부터 팽윤율을 계산했다. 각 유동유분에 있어서 팽윤율의 측정결과에 대해서 도 2에 나타낸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취폴리뷰텐, 옥시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매커데이미아 너트유,(수첨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테트라(에틸헥산산/안식향산)펜타에리스리틸에서는 팽윤율이 5.0wt%이하가 된다. 한편 미네랄오일, 링고산디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테트라헥산산펜타에리스리틸에서는 어느 것도 팽윤율이 5.0wt%를 웃돌았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동유분으로써 탈취폴리뷰텐,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옥시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릴, 매커데이미아 너트유,(수첨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및 테트라(에틸헥산산/안식향산)펜타에리스리틸를 사용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점성화장료(2)의 각 성분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표 1 중에서 '특정유동유분'이란 유동유분 중 탈취폴리뷰텐, 옥시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매커데이미아 너트유,(수첨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테트라(에틸헥산산/안식향산)펜타에리스리틸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점성화장료(2)에 함유시킨 모든 유동유분 중의 특정 유동유분을 실시예1~4에서는 100wt%으로 함과 동시에 실시예 5에서는 67wt%, 실시예 6에서는 43wt%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비교예로서 비교예 1~3에서는 모든 유동유분 중의 특정유동유분을 각각 7.6wt%, 9.8wt%, 29.4wt%로 한다. 상기와 같이 처방한 실시예1~5 및 비교예 1~3의 점성화장료(2)에 도포체(1)을 침지했을 때의 팽윤율을 상기와 같이 도포체(1)의 실료편을 각 유동유분에 침지했을 때 팽윤율의 측정과 똑같이 측정했다.
Figure 112011022517519-pct00001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6의 점성화장료(2)를 사용한 경우의 도포체(1)의 팽윤율은 실시예 1 및 2에서 2.4wt%, 실시예 3에서는 1.9wt%, 실시예 4에서는 2.1wt%, 실시예 5에서는 5.0wt%, 실시예 6에서는 2.1wt%였다. 한편 비교예 1에서는 6.8wt%, 비교예 2에서는 6.6wt%, 비교예 3에서는 7.2wt%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모든 유동유분 중 특정유동유분을 43wt%, 67wt% 또는 100wt%로 한 경우에는 점성화장료(2)와 도포체(1)의 접촉에 의한 팽윤율을 5.0wt%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6의 점성화장료(2)를 사용함으로써 도포체(1)의 팽윤에 의한 변형이나 유동유분의 함유량의 변화를 막는 것이 가능하고 품질을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3에서는 도포체(1)의 팽윤율이 5.0wt%보다도 높아지는 것으로부터 도포체(1)의 치수가 변화하고 도포체(1)에 형성한 점성화장료(2)의 유통로가 좁아져서 점성화장료(2)의 토출상태가 나빠지거나 뚜껑체(28)가 닫히지 않는 등의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또한, 점성화장료(2) 중의 유동유분의 일부가 도포체(1)에 침투하므로 유동유분의 종류에 의해서는 유동유분의 함유량이 현저히 변화하게 되고 점성화장료의 처방이 변하게 된다.
또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5에서는 종래부터 반고형유분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셀린을 함유시키고 있다. 그러나 바셀린이 실리콘수지에 접촉한 경우, 바셀린이 실리콘수지에 침투하여 실리콘수지가 백화하는 경우가 있다.
거기에서 도포체(1)를 바셀린에 침지한 경우의 도포체(1) 백화실험을 했다. 이 백화실험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하면 우선 미네랄오일 중에 14wt%, 20wt%, 30wt%, 40wt%, 50wt%, 100wt%의 비율로 바셀린을 첨가한 유분을 준비했다. 그리고 각 유분 중에 도포체(1)를 2×2×0.5cm로 자른 시료편을 침지했다. 그리고 50℃에서 1주간 정치한 후 각 시료편을 꺼내어 유분을 닦아서 각 시료편의 색변화를 눈으로 확인했다. 이 백화시험의 결과에 대해서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22517519-pct00002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바셀린의 배합율이 14wt%, 20wt%의 유분에 시료편을 침지시켰을 경우에는 시료편의 색에 변화가 없어서 백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바셀린의 배합율이 30wt%, 40wt%, 50wt%, 100wt%의 유분에 침지시켰을 경우에는 침지후에 도포체(1)의 외관이 약간 하얗거나 하얗게 변화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실시예 2~4에서는 바셀린을 점성화장료(2) 중에 20wt%이하인 15wt%, 실시예 5에서는 14wt% 함유시켰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 2~5의 점성화장료(2)가 도포체(1)와 접촉한 경우에도 점성화장료(2)와의 접촉에 의한 도포체(1)의 백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포체(1)의 외관을 변화시키는 일 없이 품질을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납부(3)를 통형태로 형성하고 내부에 압출기구(4)를 구비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실시예와 같이 압출기구(4)를 배치하는 일 없이 수납부(3)를 튜브형태로 형성해도 좋다. 이렇듯 수납부(3)를 튜브형태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손가락에 의한 압력에 의해 압출기구(4)를 필요로 하지않고 점성화장료(2)를 용이하게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구성을 간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함과 동시에 저비용제품을 얻을 수 있다.
1 : 도포체 2 : 점성화장료
3 : 수납부 5 : 도포면
6 : 유통로 9 ; 분배구

Claims (3)

  1. 점성화장료를 내부에 수납한 통 또는 튜브형태의 수납부의 일단에 이 수납부에 연통가능한 유통로를 내부에 형성한 실리콘수지의 도포체를 접속하고, 이 도포체의 선단에 형성한 도포면에 상기 유통로에 연통한 분배구를 형성하고, 이 분배구로부터 수납부 내의 점성화장료를 유통로를 통해 바깥쪽으로 토출가능하도록 한 점성화장료용 용기에 있어서, 점성화장료의 유동유분으로써 탈취폴리뷰텐, 옥시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매커데이미아 너트유,(수첨로진/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테트라(에틸헥산산/안식향산)펜타에리스리틸 중 어느 것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점성화장료 중의 모든 유동유분 중 40~100wt% 함유시킨 것에 의해, 점성화장료와의 접촉에 의해서 생기는 도포체의 팽윤율을, 0wt%∼5.0wt%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화장료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점성화장료는 반고형유분으로써 바셀린을 0~20wt%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화장료용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도포면은 도포체의 축방향에 대해서 경사한 타원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활모양으로 팽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화장료용 용기.
KR1020117007132A 2008-09-30 2009-05-25 점성 화장료용 용기 KR101608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54155 2008-09-30
JP2008254155A JP5305815B2 (ja) 2008-09-30 2008-09-30 粘性化粧料用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481A KR20110065481A (ko) 2011-06-15
KR101608929B1 true KR101608929B1 (ko) 2016-04-20

Family

ID=4207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132A KR101608929B1 (ko) 2008-09-30 2009-05-25 점성 화장료용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79533B2 (ko)
EP (1) EP2329743B1 (ko)
JP (1) JP5305815B2 (ko)
KR (1) KR101608929B1 (ko)
CN (1) CN102164520B (ko)
ES (1) ES2699705T3 (ko)
HK (1) HK1157590A1 (ko)
WO (1) WO2010038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8934B2 (ja) * 2008-08-08 2013-09-11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JP5001417B2 (ja) * 2010-09-24 2012-08-15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塗布容器
US9044078B2 (en) * 2010-09-24 2015-06-02 Tokiwa Corporation Cosmetic material application container
WO2012135434A1 (en) * 2011-03-31 2012-10-04 Diane Breidenbach Improved product applicator
JP6053346B2 (ja) * 2012-06-22 2016-12-27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US9339452B2 (en) * 2012-06-22 2016-05-17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High internal water phase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and cosmetic liquid applicator
FR3047154B1 (fr) * 2016-01-29 2021-01-22 Chanel Parfums Beaute Article de cosmetique notamment pour les levres comprenant des grilles superposees
KR101643119B1 (ko) * 2016-03-30 2016-07-26 김진우 나선 구조를 갖는 스틱 타입 화장품 용기
JP6325709B2 (ja) * 2017-03-16 2018-05-16 花王株式会社 化粧料容器
CN106889743A (zh) * 2017-04-11 2017-06-27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涂抹装置的头部结构
US11382400B2 (en) 2018-08-10 2022-07-12 Go Products Co. Material applicator
ES1220555Y (es) * 2018-11-02 2019-02-11 Viokox S A Lapiz depilatorio tipo clic
CN113347904B (zh) * 2020-05-25 2022-04-26 韩国科玛株式会社 内容物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128A (ja) 2002-03-28 2003-10-07 Tokiwa Corp 鉛筆型化粧品
WO2006018907A1 (ja) * 2004-08-17 2006-02-23 Shiseido Co., Ltd. 粘性化粧品
JP2007137827A (ja) 2005-11-18 2007-06-07 Shiseido Co Ltd 粘性化粧品
JP2007319392A (ja) * 2006-05-31 2007-12-13 Shiseido Co Ltd 粘性化粧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5021A (en) * 1973-05-07 1974-07-23 Applicator Brush Co Inc Cosmetic applicator
FR2727608B1 (fr) * 1994-12-06 1997-01-10 Oreal Distributeur pour un produit de consistance liquide a pateuse
FR2826841B1 (fr) * 2001-07-03 2003-09-26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un produit, notamment un rouge a levres liquide
JP2005306856A (ja) * 2004-03-26 2005-11-04 Kose Corp 油性化粧料
US7201527B2 (en) * 2004-07-30 2007-04-10 Hct Limited Twist up pen type dispenser with brush applicator
CN101083923B (zh) * 2004-09-27 2012-03-21 因斯蒂尔医学技术有限公司 用于存储和分配计量物质的具有单向阀的侧向制动分配器
JP3796258B2 (ja) * 2004-11-10 2006-07-12 株式会社トキワ 液状充填物押出容器
JP3991059B2 (ja) * 2006-02-14 2007-10-17 株式会社トキワ 塗布用充填物押出容器
JP4387365B2 (ja) * 2006-03-07 2009-12-16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US8226318B1 (en) * 2006-06-01 2012-07-24 Douglas Williams Tube with integral elastomeric applica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JP5118363B2 (ja) * 2007-02-28 2013-01-16 紀伊産業株式会社 塗布機能付化粧料容器
JP4499811B2 (ja) * 2008-05-28 2010-07-07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押出容器
US8206050B2 (en) * 2008-05-30 2012-06-26 L'oreal Usa Products, Inc. Dispenser having an anti-rotation pist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128A (ja) 2002-03-28 2003-10-07 Tokiwa Corp 鉛筆型化粧品
WO2006018907A1 (ja) * 2004-08-17 2006-02-23 Shiseido Co., Ltd. 粘性化粧品
JP2007137827A (ja) 2005-11-18 2007-06-07 Shiseido Co Ltd 粘性化粧品
JP2007319392A (ja) * 2006-05-31 2007-12-13 Shiseido Co Ltd 粘性化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57590A1 (en) 2012-07-06
JP2010082155A (ja) 2010-04-15
EP2329743B1 (en) 2018-10-24
EP2329743A1 (en) 2011-06-08
CN102164520B (zh) 2015-04-08
US8579533B2 (en) 2013-11-12
WO2010038335A1 (ja) 2010-04-08
ES2699705T3 (es) 2019-02-12
EP2329743A4 (en) 2014-05-07
JP5305815B2 (ja) 2013-10-02
CN102164520A (zh) 2011-08-24
US20110176853A1 (en) 2011-07-21
KR20110065481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929B1 (ko) 점성 화장료용 용기
KR101391882B1 (ko) 점성 화장품
US20170265624A1 (en) Airless cosmetics dispenser
US8282303B2 (en) Liquid applicator
US10858170B2 (en) Dual dispensing cosmetic container
WO2007005883A3 (en) Dosing dispenser for cream-based medicines
JP6053346B2 (ja) 液体塗布具
ATE392160T1 (de) Tubus zur lippenkosmetik
US20140126948A1 (en) Double-headed deodorant dispenser
US9247801B2 (en) Receptacle
CN110996714B (zh) 化妆制品或护理制品的分配和施涂装置
JP5858640B2 (ja) 塗布具
MX2013008763A (es) Empaque para el cuidado del consumidor.
WO2005030076A3 (en) Dispenser for low viscosity dental materials
EP0855155A1 (en) Dispenser for cosmetic products
DE10111570A1 (de) Kosmetikstift
US8545121B2 (en) Dispensing mechanism assembly
JP5274975B2 (ja) 粘性化粧料用容器
JP4744917B2 (ja) 流動体塗布具
US20080124165A1 (en) Portable spreadable food dispenser system
EP3539410A1 (en) Cosmetic packaging
US20200337440A1 (en) Dual lip product applicator having a cosmetic bullet insert in a handle component
MX2023000039A (es) Dosificador de desodorante.
US20160193018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dental sub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