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449B1 -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 - Google Patents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449B1
KR101608449B1 KR1020150125306A KR20150125306A KR101608449B1 KR 101608449 B1 KR101608449 B1 KR 101608449B1 KR 1020150125306 A KR1020150125306 A KR 1020150125306A KR 20150125306 A KR20150125306 A KR 20150125306A KR 101608449 B1 KR101608449 B1 KR 101608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uard
plate body
shielding pla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석
서미례
Original Assignee
(주) 금동강건
박중석
서미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금동강건, 박중석, 서미례 filed Critical (주) 금동강건
Priority to KR102015012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가드케이블에 차광판을 설치하는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차광판몸체의 상하부에 상하부가 각각 개방되는 상하부절개홈을 각각 형성하여 지주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는 2줄 이상의 와이어로프로 된 가드케이블에 차광판몸체의 상하부절개홈을 끼운 뒤에, 상하부절개홈을 관통한 가드케이블을 케이블홀더로 감싸 고정하며, 이들 케이블홀더를 차광판몸체의 전후면에 설치함으로써, 팽팽하게 설치된 여러 가닥의 가드케이블에 차광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10)에 여러 줄의 가드케이블(13)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드케이블(13)에는 상하방향으로 수개의 차광판(20)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20)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상하부가 각각 개방되는 상하부절개홈(22,23)이 상하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하부절개홈(22,23)의 양측 전후면에는 다수개의 조립홈(24)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차광판몸체(21)와, 상기 상하부절개홈(22, 23)을 관통하는 가드케이블(13)을 차광판몸체(21)의 전후면에서 각각 홀딩한 상태에서 차광판몸체(21)의 전후면에 마주보게 결합 설치되는 수개의 케이블홀더(25)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홀더(25)는 수직부(26)와 수평부(27)가 "L"자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몸체(28)에 가드케이블(13)을 감싸는 반원관부(29)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부(26)의 외면 양측에는 조립홈(24)에 끼워지는 한 쌍의 조립돌기(30)가 형성되며, 수직부(26)의 외면 가운데에는 반대편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또 다른 케이블홀더(25)의 중앙결합부(31)와 고정나사(31a)로 체결되는 중앙결합부(31)가 상하부절개홈(22,23)으로 삽입되게 돌출 형성되고, 반원관부(29) 외측의 수평부(27)는 가드케이블(13)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설치되는 또 다른 케이블홀더(25)의 수평부(27)와 잠금나사(32)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Shading plate for road guard cable}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가드케이블에 차광판을 설치하는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차광판몸체의 상하부에 상하부가 각각 개방되는 상하부절개홈을 각각 형성하여 지주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는 2줄 이상의 와이어로프로 된 가드케이블에 차광판몸체의 상하부절개홈을 끼운 뒤에, 상하부절개홈을 관통한 가드케이블을 케이블홀더로 감싸 고정하며, 이들 케이블홀더를 차광판몸체의 전후면에 설치함으로써, 팽팽하게 설치된 여러 가닥의 가드케이블에 차광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차광판은 등록실용신안 제20-0304298호로 등록되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고안(등록실용신안 제20-0304298호)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분리대(1)의 상측에 휘어졌다가 탄력적으로 원위치로 복원되는 신축기둥(2)을 설치한 뒤에 상기 신축기둥(2)의 사이에는 상하로 로프(3)를 수평 설치하고, 상하로프(3)에는 다수의 연질 차광판(4)을 설치함으로써, 차량이 연질 차광판(4)에 충돌 시 신축기둥(2)과 로프(3), 그리고 연질판으로 이루어지는 차광판(4)이 파손되지 않고 휘어졌다가 원래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본 발명과 목적부터 구성, 작용관계 및 효과 면에서 모두 상이하나, 상하로프에 차광판을 설치하는 점에서는 유사한 부분이 있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차량이 연질 차광판(4)에 충돌 시 신축기둥(2)과 로프(3), 그리고 연질판으로 이루어지는 차광판(4)이 파손되지 않고 휘어졌다가 원래위치로 복원된다고 하였으나, 차량이 충돌하는 큰 충돌하중에 의해 로프가 끊어지고 차광판(4)이 당연히 파손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충돌할 때 종래고안은 휘어지는 것임에 따라 충돌하는 차량이 반대차선으로 넘어가서 반대차선을 주행하는 차량과 정면으로 충돌하게 되는 매우 위험한 문제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광판(4)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로프(3)가 관통하는 것이므로, 차량이 충돌하여 차광판(4)이 파손될 경우 이를 교체할 때는 신축기둥(2)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로프(3)를 분리하거나 제거한 뒤에 다시 다수개의 차광판(4) 상하부에 형성된 로프관통홀(5)로 로프(3)를 관통되게 끼우며, 그렇게 다수개의 차광판(4)이 끼워진 로프(3)의 양단부를 신축기둥에 설치해야 하는 작업상의 문제가 있어 현실성이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04298호(고안의 명칭 :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차광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형으로 형성되는 차광판몸체의 상하부에 상하부가 각각 개방되는 상하부절개홈을 각각 형성하여 지주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는 2줄 이상의 와이어로프로 된 가드케이블에 차광판몸체의 상하부절개홈을 끼운 뒤에, 상하부절개홈을 관통한 가드케이블을 케이블홀더로 감싸 고정하며, 이들 케이블홀더를 차광판몸체의 전후면에 설치함으로써, 팽팽하게 설치된 여러 가닥의 가드케이블에 차광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미 설치된 차광판이 파손되어 교체하는 경우에도 낱개의 차광판도 간편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에 여러 줄의 가드케이블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드케이블에는 상하방향으로 수개의 차광판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상하부가 각각 개방되는 상하부절개홈이 상하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하부절개홈의 양측 전후면에는 다수개의 조립홈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차광판몸체와, 상기 상하부절개홈을 관통하는 가드케이블을 차광판몸체의 전후면에서 각각 홀딩한 상태에서 차광판몸체의 전후면에 마주보게 결합 설치되는 수개의 케이블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홀더는 수직부와 수평부가 "L"자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몸체에 가드케이블을 감싸는 반원관부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부의 외면 양측에는 조립홈에 끼워지는 한 쌍의 조립돌기가 형성되며, 수직부의 외면 가운데에는 반대편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또 다른 케이블홀더의 중앙결합부와 고정나사로 체결되는 중앙결합부가 상하부절개홈으로 삽입되게 돌출 형성되고, 반원관부 외측의 수평부는 가드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설치되는 또 다른 케이블홀더의 수평부와 잠금나사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차광판몸체의 상하부에 상하부가 각각 개방되는 상하부절개홈을 각각 형성하여 지주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는 2줄 이상의 와이어로프로 된 가드케이블에 차광판몸체의 상하부절개홈을 끼운 뒤에, 상하부절개홈을 관통한 가드케이블을 케이블홀더로 감싸 고정하며, 이들 케이블홀더를 차광판몸체의 전후면에 설치함으로써, 팽팽하게 설치된 여러 가닥의 가드케이블에 차광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미 설치된 차광판이 파손되어 교체하는 경우에도 낱개의 차광판도 간편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낱개의 차광판도 간편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교체 설치시간이 짧아서 차광판의 교체작업을 위하여 도로를 통제하는 시간이 단축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A"부를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차광판몸체를 가드케이블에 끼우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광판(2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10)에 와이어로프로 된 여러 줄의 가드케이블(13)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그 가드케이블(13)에 간격을 두고 차광판(20)을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광판(20)은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하부에 상하부가 각각 개방되는 상하부절개홈(22,23)이 상하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차광판몸체(21)와, 상기 차광판몸체(21)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절개홈(22,23)을 관통하는 가드케이블(13)을 차광판몸체(21)의 전후면에서 각각 홀딩한 상태에서 차광판몸체(21)의 전후면에 마주보게 결합 설치되는 수개의 케이블홀더(25)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절개홈(22,23) 양측의 차광판몸체(21) 전후면에 다수개의 조립홈(24)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도 3 및 도 4에는 차광판몸체(21)의 전후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형성되어 전후방측 조립홈(24)이 통하지 않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후방측 조립홈(24)이 통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홀더(25)는 수직부(26)와 수평부(27)가 "L"자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몸체(28)에 가드케이블(13)을 감싸는 반원관부(29)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부(26)의 외면 양측에는 조립홈(24)에 끼워지는 한 쌍의 조립돌기(30)가 형성되며, 수직부(26)의 외면 가운데에는 반대편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또 다른 케이블홀더(25)의 중앙결합부(31)와 고정나사(31a)로 체결되는 중앙결합부(31)가 상하부절개홈(22,23)으로 삽입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원관부(29) 외측의 수평부(27)는 가드케이블(13)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설치되는 또 다른 케이블홀더(25)의 수평부(27)와 잠금나사(32)로 결합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가드케이블(13)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3줄을 주로 설치하므로 상부절개홈(22)에는 1줄의 가드케이블(13)만 끼워지고, 하부절개홈(23)에는 2줄의 가드케이블(13)이 각각 끼워지도록 상부절개홈(22)의 길이보다 하부절개홈(23)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부(27)와 반원관부(29)의 저면에는 점성시트(33)가 부착되고, 상기 차광판몸체(21)의 소정위치에는 반사시트(34)가 부착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이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11”은 지주(1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골판형 가드레일이고,“12”는 가드케이블(13)을 지주(10)에 고정하는 케이블고정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10)에 와이어로프로 된 여러 줄(가닥)의 가드케이블(13)이 간격을 두고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들 가드케이블(13)에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차광판(20)을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지주(10) 사이에 3줄의 가드케이블(13)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3줄의 가드케이블(13)이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3줄의 가드케이블(13)이 팽팽하게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 가드케이블(13)에 차광판(20)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H"자 형태로 상하부에 상하부가 개방된 상하부절개홈(22,23)이 각각 형성된 차광판몸체(21)를 끼우는데, 이때는 먼저 도 6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광판몸체(21)를 첫 번째 가드케이블(13)과 두 번째 가드케이블(13)의 사이로 눕혀서 삽입시킨다.
그 다음에는 도 6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광판몸체(21)의 하측이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이면서 하부절개홈(23)을 두 번째 가드케이블(13)에 끼우면서 차광판몸체(21)를 수직하게 세우게 되면, 하부절개홈(23)에 세 번째 가드케이블(13)이 끼워짐과 동시에 상측의 상부절개홈(22)으로는 첫 번째 가드케이블(13)이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차광판몸체(2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절개홈(22)에 첫 번째 가드케이블(13)만 끼워지고, 하부절개홈(23)에는 두, 세 번째 가드케이블(13)이 각각 끼워지므로 상부절개홈(22)의 길이보다 하부절개홈(23)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절개홈(22,23)은 상하 일직선방향으로 형성되어서 도 6의 (가)(나)와 같이 차광판몸체(21)를 끼울 때, 첫 번째 가드케이블(13)과 두 번째 가드케이블(13)의 사이로 차광판몸체(21)를 눕혀서 삽입시킨 상태에서 하부절개홈(23)을 두 번째 가드케이블(13)에 끼우면서 화살표와 같이 차광판몸체(21)를 세우면, 상부절개홈(22)에 첫 번째 가드케이블(13)이 끼워지고 두, 세 번째 가드케이블(13)에는 하부절개홈(23)이 저절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3줄의 가드케이블(13)에 차광판몸체(21)가 끼워졌을 때는 팽팽한 3줄의 가드케이블(13)에 차광판몸체(21)의 상하부절개홈(22,23)이 끼워져서 차광판몸체(21)가 넘어지거나 이탈하지 않고 제자리에 있게 된다.
그 다음에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부절개홈(22,23)을 관통한 가드케이블(13)에 케이블홀더(25)를 설치하는데, 도 2에서 "C"로 표시한 부분을 차광판몸체(21)의 정면이라고 하면서 설명한다.
위와 같이 상하부절개홈(22,23)을 관통한 가드케이블(13)에 케이블홀더(25)를 설치할 때, 이 케이블홀더(25)는 가드케이블(13)을 감싸게 설치한 상태에서 차광판몸체(21)의 정면과 후면에 함께 설치하며 전후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케이블홀더(25)를 고정나사(31a)로 결합한다.
이렇게 케이블홀더(25)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L"자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케이블홀더(25)를 상하부절개홈(22,23)을 관통한 가드케이블(13)의 상하면에 감싸게 설치하는데, 이 케이블홀더(25)에는 반원관부(29)가 형성되어서 가드케이블(13)의 상하부에 감쌀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드케이블(13)의 상하부를 한 쌍의 케이블홀더(25)으로 감싼 뒤에는 상하측의 케이블홀더(25)에 형성된 수평부(27)를 잠금나사(32)로 체결함에 따라 가드케이블(13)의 상하부를 상하 한 쌍의 케이블홀더(25)로서 감싸게 되는데, 이렇게 상하측 케이블홀더(25)가 상하로 결합된 것을 케이블홀더 결합체라고 칭한다.
위와 같이 케이블홀더 결합체를 설치하는 것은 가드케이블(13)이 3줄인 경우에 1개의 차광판(20) 마다 정면에 3개, 후면에 3개의 케이블홀더 결합체를 설치해야 하고, 상기 상하측 케이블홀더(25)를 잠금나사(32)로 체결할 때 느슨하게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각각의 가드케이블(13)에 각각의 케이블홀더 결합체가 설치된 뒤에는 차광판몸체(21)를 사이에 두고 가드케이블(13)에 감싼 상태로 마주 대하고 있는 전후면측 케이블홀더 결합체를 차광판몸체(21)의 전후면측에 서로 밀착시키는데, 이는 상기 잠금나사(32)를 느슨하게 체결하여 케이블홀더 결합체가 가드케이블(13)의 외측에서 수평이동이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전후면측 케이블홀더 결합체를 차광판몸체(21)의 전후면측으로 밀착시킬 때, 케이블홀더(25)의 수직부(26)에 돌출 형성된 조립돌기(30)를 차광판몸체(21)에 형성된 조립홈(24)에 끼우면, 수직부(26)의 가운데에 돌출되게 형성된 중앙결합부(31)는 상하부절개홈(22,23)의 내부로 저절로 삽입되면서 반대측의 케이블홀더(25)와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의 중앙결합부(31)가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일측 케이블홀더(25)의 중앙결합부(31)로 고정나사(31a)를 체결하면, 차광판몸체(21)를 사이에 두고 전후면측 케이블홀더 결합체가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케이블홀더(25)에 형성된 조립돌기(30)들이 차광판몸체(21)의 조립홈(24)에 끼워져 가드케이블(13)을 감싸서 홀딩한 케이블홀더 결합체를 차광판몸체(21)에 간편하게 결합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느슨하게 체결하였던 잠금나사(32)를 든든하게 조이면 상하측 케이블홀더(25)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며, 케이블홀더(25)의 수평부(27)와 반원관부(29)의 저면에는 점성을 지닌 점성시트(33)가 설치되어서 든든하게 체결한 상하측 케이블홀더(25)가 서로 마주 결합되는 부분에서 점성시트(33)가 가드케이블(13)의 상하면을 점착하는 형태로 조여 주면서 차광판(20)의 설치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다수개의 차광판(20)을 도 1과 같이 가드케이블(13)에 간격을 두고 설치함에 따라 반대편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불빛을 막아주어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야간에는 차광판(20)에 부착된 반사시트(34)에 의해 차선의 위치를 운전자에 알려주어 더욱더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0 : 지주 11 : 가드레일 12 : 케이블고정구
13 : 가드케이블 20 : 차광판 21 : 차광판몸체
22 : 상부절개홈 23 : 하부절개홈 24 : 조립홈
25 : 케이블홀더 26 : 수직부 27 : 수평부
28 : 홀더몸체 29 : 반원관부 30 : 조립돌기
31 : 중앙결합부 32 : 잠금나사 33 : 점성시트
34 : 반사시트

Claims (3)

  1. 도로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10)에 여러 줄의 가드케이블(13)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드케이블(13)에는 상하방향으로 수개의 차광판(20)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20)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상하부가 각각 개방되는 상하부절개홈(22,23)이 상하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하부절개홈(22,23)의 양측 전후면에는 다수개의 조립홈(24)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차광판몸체(21)와,
    상기 상하부절개홈(22, 23)을 관통하는 가드케이블(13)을 차광판몸체(21)의 전후면에서 각각 홀딩한 상태에서 차광판몸체(21)의 전후면에 마주보게 결합 설치되는 수개의 케이블홀더(25)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홀더(25)는 수직부(26)와 수평부(27)가 "L"자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몸체(28)에 가드케이블(13)을 감싸는 반원관부(29)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부(26)의 외면 양측에는 조립홈(24)에 끼워지는 한 쌍의 조립돌기(30)가 형성되며, 수직부(26)의 외면 가운데에는 반대편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또 다른 케이블홀더(25)의 중앙결합부(31)와 고정나사(31a)로 체결되는 중앙결합부(31)가 상하부절개홈(22,23)으로 삽입되게 돌출 형성되고, 반원관부(29) 외측의 수평부(27)는 가드케이블(13)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설치되는 또 다른 케이블홀더(25)의 수평부(27)와 잠금나사(32)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몸체(21)는 하부절개홈(23)의 길이가 상부절개홈(2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전후면의 소정위치에는 반사시트(34)가 부착되며,
    상기 케이블홀더(25)의 반원관부(29) 저면에는 점성시트(33)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
KR1020150125306A 2015-09-04 2015-09-04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 KR101608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306A KR101608449B1 (ko) 2015-09-04 2015-09-04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306A KR101608449B1 (ko) 2015-09-04 2015-09-04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449B1 true KR101608449B1 (ko) 2016-04-01

Family

ID=5579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306A KR101608449B1 (ko) 2015-09-04 2015-09-04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4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051Y1 (ko) * 2005-01-05 2005-04-11 주식회사 주신기업 철책용 와이어로우프 고정구
KR100828457B1 (ko) 2007-05-09 2008-05-13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가드레일용 차광판 설치 브라켓트
JP5690010B1 (ja) * 2014-06-23 2015-03-25 独立行政法人土木研究所 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用視線誘導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051Y1 (ko) * 2005-01-05 2005-04-11 주식회사 주신기업 철책용 와이어로우프 고정구
KR100828457B1 (ko) 2007-05-09 2008-05-13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가드레일용 차광판 설치 브라켓트
JP5690010B1 (ja) * 2014-06-23 2015-03-25 独立行政法人土木研究所 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用視線誘導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35596A (ja) ワイヤロープ安全柵用可曲性ポール
KR101608449B1 (ko)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
JP6204760B2 (ja) 透光性遮音壁
US20160380581A1 (en) Solar panel support frame and solar power device
EP1197604A1 (de) Markierungselement für Fahrbahnen
KR20110128622A (ko) 방음벽
KR101307290B1 (ko)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의 설치 방법
KR200452421Y1 (ko) 가드레일용 지주커버의 구조
KR101110121B1 (ko) 조립식 차폐물
KR102259672B1 (ko) 철망 고정프레임
KR101222516B1 (ko) 중앙 분리대의 차광망 지지장치
JP3606660B2 (ja) 遮音板
KR101703944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설치구조
KR200381051Y1 (ko) 철책용 와이어로우프 고정구
GB2512118A (en) Barrier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1893418B1 (ko) 가로보와 지주의 결합구조
KR20120124657A (ko) 와이어 타입 안전 펜스
KR101203953B1 (ko) 조립형 휀스
KR200373087Y1 (ko) 가드레일 차광망연결구
KR101926064B1 (ko) 방풍 및 소음 감소 구조체
KR100830398B1 (ko) 경관지구용 방호울타리
KR200430425Y1 (ko) 끼움식 설치구조를 가지는 지주 구조물
KR101474720B1 (ko) 데크용 가드레일포스트
KR200188369Y1 (ko)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KR200466660Y1 (ko) 도로용 차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