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622A - 방음벽 - Google Patents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622A
KR20110128622A KR1020100048162A KR20100048162A KR20110128622A KR 20110128622 A KR20110128622 A KR 20110128622A KR 1020100048162 A KR1020100048162 A KR 1020100048162A KR 20100048162 A KR20100048162 A KR 20100048162A KR 20110128622 A KR20110128622 A KR 20110128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ng
soundproof
cover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주) 퓨어텍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퓨어텍이엔씨 filed Critical (주) 퓨어텍이엔씨
Priority to KR1020100048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8622A/ko
Publication of KR2011012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Abstract

미관이 향상되고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방음벽은, 기초옹벽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로서의 H빔;
상기 H빔에 끼움 결합되는 방음판; 및
상기 방음판을 H빔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음판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수직부가 끼움 결합되는 각각의 수직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단부와 각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를 결합시키는 각각의 코너 블럭; 및
상기 각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 양측이 고정수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각 수직 프레임의 벌어짐을 방지하면서 상기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벽{SOUNDPROOFED WALL}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지주를 재활용할 수 있고 교체가 용이하며 외관이 미려한 투명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또는 철도 등의 주변에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방음벽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음벽은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인접된 주택이나 학교 등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방음벽은 도로의 양쪽에 구비된 기초의 상부에 H빔이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이 H빔에 방음판이 상부로부터 끼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종래기술에 의한 방음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레임(10)의 내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사방의 가장자리가 끼워진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방음판(20)은 각 프레임(10)에 의해 보호되고, 충분한 풍압을 견디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방음벽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방음판을 만들기 위해서 투명 또는 불투명한 방음판의 양측 수직 가장자리와 상,하부 가장자리를 프레임으로 각각 감싸는 작업을 함으로써 제작성이 저하되었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방음판의 각 가장자리에 금속재의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로 H빔에 설치되므로 가로방향의 프레임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방음벽을 교체할 경우에 방음판의 규격에 맞는 H빔을 새롭게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이 충분한 풍압을 견디도록 강성을 갖으면서도 제작성 및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기존의 지주(H빔)교체하지 않고 기존의 지주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미관이 향상될 수 있는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기초옹벽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로서의 H빔;
상기 H빔에 끼움 결합되는 방음판; 및
상기 방음판을 H빔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음판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수직부가 끼움 결합되는 각각의 수직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단부와 각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를 결합시키는 각각의 코너 블럭; 및
상기 각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 양측이 고정수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각 수직 프레임의 벌어짐을 방지하면서 상기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양 단부에 결합되고 각 수직 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부재; 및
상기 각 수직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볼트부재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각 수직 프레임에 고정하고, 풀고 조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3 - 15mm의 직경을 갖는 여러 가닥으로 꼬인 와이어 또는 금속 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H빔의 중앙 지지부에 체결볼트로 결합되는 고정단; 및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에 접촉되어 가압하기 위한 가압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음판의 수직 프레임 두께보다 상기 H빔의 내부 폭이 클 경우에, 상기 수직 프레임을 H빔의 일측 날개부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후 상기 가압단이 수직 프레임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단을 상기 H빔의 중앙 지지부에 결합시켜 상기 수직 프레임을 H빔에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H빔의 일측 날개부에 밀착되는 지지단; 및
상기 지지단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절곡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 프레임을 상기 H빔의 제1 날개부 또는 제2 날개부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H빔의 제1,2 날개부에는 상기 H빔 및 상기 방음판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H빔의 제1 날개부의 전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제1 전면 가림부와, 상기 H빔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음판의 결합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H빔의 내부를 가리기 위하여 상기 제1 전면 가림부의 양단이 제2 날개부 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내부공간 가림부와, 상기 제1 전면 가림부의 각 내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1 날개부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제1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내부공간 가림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 끼움부로 이루어진 제1 커버;
상기 H빔의 제2 날개부의 전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제2 전면 가림부와, 상기 H빔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음판의 결합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H빔의 내부를 양측에서 가리기 위하여 상기 제2 전면 가림부의 양단이 제1 날개부 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내부공간 가림부와, 상기 제2 전면 가림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2 날개부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제2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 내부공간 가림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 끼움부로 이루어진 제2커버; 및
상기 H빔의 상부 측으로 이물질과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2 커버의 상단에 일단이 끼움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 내부공간 가림부의 단부에는 상기 H빔의 내부가 사선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기 위한 제1,2 보조 가림부가 상기 H빔의 중앙지지부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끼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 날개부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기 위한 제1 탄력 지지편이 탄력을 갖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보조 가림부의 단부에는 제2 날개부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기 위한 제2 탄력 지지편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음판의 상부측 프레임이 삭제되고 이를 대신하여 작은 직경의 와이어가 설치되므로 투명한 방음판과 더불어 방음벽의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H빔의 크기에 관계없이 기존에 설치된 H빔에 구조가 개선된 방음벽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작업성 및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된다. 또한, H빔의 날개부 및 그 내부(방음판이 결합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음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a,2b는 도 1에 도시된 방음벽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음벽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4a,4b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5b,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음벽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음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2b는 도 1에 도시된 방음벽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음벽의 설치상태 정면도이고, 도 4a,4b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음벽은 기초옹벽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로서의 H빔(10)과, H빔(10)에 끼움 결합되는 방음판(20)과, 방음판(20)을 H빔(10)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음판(20)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의 유리재 또는 아크릴판재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22)와, 플레이트(22)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24)과, 플레이트(22) 양측의 수직부가 끼움 결합되는 각각의 수직 프레임(26)들과, 하부 프레임(24)의 양단부와 각 수직 프레임(26)의 하단부를 결합시키는 각각의 코너 블럭(28)과, 각 수직 프레임(26)의 상단부에 양측이 고정수단(100)으로 설치되어 각 수직 프레임(26)의 벌어짐을 방지하면서 플레이트(2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각 수직 프레임(26)의 상단부에는 캡이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방음판(20)은 상부를 제외한 하부, 양측부에 하부 프레임(24)과 수직 프레임(26)이 코너 블럭(26)에 의해 각각 결합되어 플레이트(22)의 양측부와 하부를 지지하고, 지지부재(200)가 양측의 수직 프레임(26)의 각 상단부를 지지하여 각 수직 프레임(26)이 벌어지지지 않도록 하면서 플레이트(2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지지부재(200)의 양단은 고정수단(100)에 의해 각 수직 프레임(26)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지지부재(200)는 여러 가닥으로 꼬인 와이어 또는 금속 봉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지지부재(200)의 직경이 크게 되면 각 프레임(24,26)과 같이 미관을 해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재(200)의 직경이 플레이트(22)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고정수단(100)은 지지부재(200)의 양 단부에 결합되고 각 수직 프레임(26)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부재(110)과, 각 수직 프레임(26)의 양측에서 볼트부재(110)에 각각 체결되어 볼트부재(110)를 각 수직 프레임(26)에 고정하고, 풀고 조임에 따라 지지부재(20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너트(120)로 이루어진다. 즉, 볼트부재(110)의 양측에 체결너트(120)가 각각 체결되어 볼트부재(110)를 각 수직 프레임(26)에 고정하는 것이고, 체결너트(120)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으로 볼트부재(110)를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지지부재(20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음판(20)을 H빔(10)의 내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H빔(10)의 중앙 지지부(12)에 체결볼트(32)로 결합되는 고정단(34)과, 고정단(34)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수직 프레임(26)에 접촉되어 가압하기 위한 가압단(36)으로 이루어진다. 즉, 방음판(20)의 수직 프레임(26)의 일면이 제1 날개부(14) 또는 제2 날개부(16)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단(34)이 중앙 지지부(12)에 고정되면 가압단(36)이 수직 프레임(26)을 가압하여 그 밀착된 상태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재(30)는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10)의 일측 날개부에 밀착되는 지지단(38)과, 이 지지단(38)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절곡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단(39)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지지단(38)과 탄성단(39)이 탄성력으로 수직 프레임(26)을 H빔(10)의 제1 날개부(14) 또는 제2 날개부(16)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미 설치된 기존의 방음벽에서 H빔(10)은 그대로 이용하면서 불투명한 방음판 또는 미관을 해치는 디자인 및 구조의 방음판을 제거한 후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음판(2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존의 방음판을 H빔(10)으로부터 제거한다.
이어서, 투명한 플레이트(22)의 하부에 하부 프레임(24)를 결합시키고, 양측부에는 수직 프레임(26)을 각각 결합시킨다.
그리고, 각 볼트부재(110)에 체결너트(120)를 각각 하나씩 체결한 후 양측 수직 프레임(26)의 각 상단부에 형성된 볼트공에 볼트부재(110)를 끼운다. 이어서, 각 수직 프레임(26)의 상단부를 관통한 볼트부재(110)에 체결너트(120)를 각각 체결하여 지지부재(200)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때, 어느 한 쪽의 내측 체결너트(120)를 풀고, 외측 체결너트(120)를 조이게 되면 볼트부재(110)가 외측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지지부재(200)의 장력은 높아진다. 따라서, 지지부재(200)는 강한 장력으로 양측의 수직 프레임(26)의 상부를 당겨 각 수직 프레임(26)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이 지지부재(200)가 상부 프레임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조립이 완료된 방음판(20)을 기존의 H빔(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딩시켜 설치한다.
이때, 방음판(20)의 수직 프레임(26) 두께보다 H빔(10)의 내부 폭(제1,2 날개부(14,16) 사이의 간격)이 클 경우에는 수직 프레임(26)을 H빔(10)의 제1 날개부(14) 또는 제2 날개부(16) 중에서 선택된 날개부의 내측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고정부재고정부재(30)의 가압단(36)이 수직 프레임(26)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단(34)을 H빔(10)의 중앙 지지부(12)에 체결볼트(32)로 결합시킨다. 이 과정으로 방음판(20)의 수직 프레임(26)은 H빔(10)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32)를 중앙 지지부(12)로 관통시켜 양측의 고정단(34)을 한꺼번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H빔(10)의 내부 폭이 방음판(20)의 수직 프레임(26) 두께보다 대략 1 - 3cm 정도 더 클 경우에는 전술한 "┗"형상의 고정부재(30)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클립 구조의 고정부재(30)를 사용한다.
즉, H빔(10)의 내부에 방음판(20)이 삽입된 상태에서 방음판(20)의 수직 프레임(26)과 H빔(10)의 내벽(날개부 내측면) 사이에 스프링클립 타입의 고정부재(30)를 압축시킨 상태로 삽입하게 되면, 지지단(38)은 H빔(10)의 일측 날개부에 밀착되고, 탄성단(39)은 수직 프레임(26)에 밀착되면서 탄력 지지하게 된다. 이때, 지지단(38)과 탄성단(39)의 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이와 같이 스프링클립 타입의 고정부재(30)가 강한 탄력으로 수직 프레임(26)을 H빔(10)의 내벽에 밀착시키게 되므로 방음판(20)은 유격없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존의 H빔(10)에 와이어 타입의 지지부재(200)를 구비한 방음판(20)을 설치함으로써 방음벽은 H빔(10)과 방음판(20)의 플레이트(22)만 노출되어 미관이 향상된다. 특히, 방음판(20)의 상부의 프레임이 삭제되고, 플레이트(22)의 두께와 비슷한 직경의 가는 와이어로 된 지지부재(200)가 설치되므로 방음판(20)의 미관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기존의 H빔(10)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방음벽 보수비용 및 교체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으며,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a,5b,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5b,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음벽은 H빔(10)의 제1,2 날개부(14,16)에 제1,2 날개부(14,16) 및 H빔(1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커버부재(300)가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다.
즉, 커버부재(300)는 제1 날개부(14)를 커버하기 위한 제1 커버(310)와, 제2 날개부(16)를 커버하기 위한 제2 커버(320) 및 H빔(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그 내부로의 빗물, 오염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상부커버(330)로 구성된다.
제1 커버(310)는 제1 날개부(14)의 전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제1 전면 가림부(312)와, H빔(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음판(20)의 결합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H빔(10)의 내부를 가리기 위하여 제1 전면 가림부(312)의 양단이 제2 날개부(16) 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내부공간 가림부(314)와, 제1 전면 가림부(312)의 각 내측면과의 사이에 제1 날개부(14)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제1 끼움홈(316)이 형성되도록 제1 내부공간 가림부(314)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 끼움부(318)로 이루어진다.
제2 커버(320)는 제2 날개부(16)의 전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제2 전면 가림부(322)와, H빔(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음판(20)의 결합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H빔(10)의 내부를 양측에서 가리기 위하여 제2 전면 가림부(322)의 양단이 제1 날개부 (14)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내부공간 가림부(324)와, 제2 전면 가림부(322)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제2 날개부(16)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제2 끼움홈(326)이 형성되도록 제2 내부공간 가림부(324)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 끼움부(328)로 이루어진다.
상부커버(330)는 H빔(10)의 상부 측으로 이물질과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제1,2 커버(310,320)의 상단과 H빔(10)의 상단부 내측에 일단이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제1,2 내부공간 가림부(314,324)의 단부에는 H빔(10)의 내부가 사선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기 위한 제1,2 보조 가림부(315,325)가 H빔(10)의 중앙지지부(12)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끼움부(318)의 단부에는 제1 날개부(14)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기 위한 제1 탄력 지지편(319)이 탄력을 갖도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제2 보조 가림부(325)의 단부에는 제2 날개부(16)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기 위한 제2 탄력 지지편(329)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부재는 각각의 커버(310,320)를 제1,2 날개부(1,16)에 끼워 설치한다. 즉, 제1,2 커버(310,320)를 제 1,2 날개부(14,16)의 상부 측에서 하부로 이동시켜 각 날개부(14,16)가 끼움홈(316,326)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커버(310,320)는 H빔(10)에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H빔(10)의 날개부(14,16)는 물론, 방음판(20)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미관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특히, 제1,2 내부공간 가림부(314,324)가 구비되므로 H빔(10)의 내부가 사선방향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또한, 제1 끼움부(318)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탄력 지지편(319)과 제2 보조 가림부(325)의 단부에 형성된 제2 탄력 지지편(329)에 의해 제1,2 커버(310,320)의 유격없이 제1,2 날개부(14,16)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2 전면 가림부(312,322)에 경고문이나 안내문, 광고문 등을 인쇄하거나 부착함으로써 커버부재(300)가 다양한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b는 커버부재(300)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1,2 탄력 지지편(319,329)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이다. 이러한 커버부재(300)도 전술한 기능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H빔 20 : 방음판
22 : 플레이트 24 : 하부 프레임
26 : 수직 프레임 28 : 코너 블럭
30 : 고정부재 32 : 고정단
34 : 가압단 100 : 고정수단
110 : 볼트부재 120 : 체결부재
200 : 지지부재 300 : 커버부재
310,320 : 제1,2 커버 330 : 상부커버

Claims (9)

  1. 기초옹벽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로서의 H빔;
    상기 H빔에 끼움 결합되는 방음판; 및
    상기 방음판을 H빔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음판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수직부가 끼움 결합되는 각각의 수직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단부와 각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를 결합시키는 각각의 코너 블럭; 및
    상기 각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 양측이 고정수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각 수직 프레임의 벌어짐을 방지하면서 상기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양 단부에 결합되고 각 수직 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부재; 및
    상기 각 수직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볼트부재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각 수직 프레임에 고정하고, 풀고 조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와이어 또는 금속 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H빔의 중앙 지지부에 체결볼트로 결합되는 고정단; 및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에 접촉되어 가압하기 위한 가압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음판의 수직 프레임 두께보다 상기 H빔의 내부 폭이 클 경우에, 상기 수직 프레임을 H빔의 일측 날개부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후 상기 가압단이 수직 프레임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단을 상기 H빔의 중앙 지지부에 결합시켜 상기 수직 프레임을 H빔에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H빔의 일측 날개부에 밀착되는 지지단; 및
    상기 지지단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절곡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 프레임을 상기 H빔의 제1 날개부 또는 제2 날개부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빔의 제1,2 날개부에는 상기 H빔 및 상기 방음판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H빔의 제1 날개부의 전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제1 전면 가림부와, 상기 H빔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음판의 결합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H빔의 내부를 가리기 위하여 상기 제1 전면 가림부의 양단이 제2 날개부 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내부공간 가림부와, 상기 제1 전면 가림부의 각 내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1 날개부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제1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내부공간 가림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 끼움부로 이루어진 제1 커버;
    상기 H빔의 제2 날개부의 전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제2 전면 가림부와, 상기 H빔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음판의 결합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H빔의 내부를 양측에서 가리기 위하여 상기 제2 전면 가림부의 양단이 제1 날개부 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내부공간 가림부와, 상기 제2 전면 가림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2 날개부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제2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 내부공간 가림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 끼움부로 이루어진 제2커버; 및
    상기 H빔의 상부 측으로 이물질과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2 커버의 상단에 일단이 끼움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내부공간 가림부의 단부에는 상기 H빔의 내부가 사선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기 위한 제1,2 보조 가림부가 상기 H빔의 중앙지지부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 날개부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기 위한 제1 탄력 지지편이 탄력을 갖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가림부의 단부에는 제2 날개부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기 위한 제2 탄력 지지편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KR1020100048162A 2010-05-24 2010-05-24 방음벽 KR20110128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162A KR20110128622A (ko) 2010-05-24 2010-05-24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162A KR20110128622A (ko) 2010-05-24 2010-05-24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622A true KR20110128622A (ko) 2011-11-30

Family

ID=4539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162A KR20110128622A (ko) 2010-05-24 2010-05-24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862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63U (ko) 2015-12-02 2016-01-15 주식회사 태건 방음벽
WO2020150827A1 (en) * 2019-01-23 2020-07-30 Ail International Inc. Sound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2247958B1 (ko) * 2020-09-11 2021-05-11 (주)지온컨텍 방음판 지압 기능과 지주 좌굴방지 기능을 갖는 방음시설용 지주 및 볼트 풀림방지 앵커시스템을 갖는 방음벽의 시공 방법
CN112900297A (zh) * 2021-01-18 2021-06-04 湖州师范学院 一种用于高速铁路穿插于闹市区的隔音屏障
US11377804B2 (en) * 2019-10-31 2022-07-05 Phoenix Foam Manufacturing, LLC Highway sound barrier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63U (ko) 2015-12-02 2016-01-15 주식회사 태건 방음벽
WO2020150827A1 (en) * 2019-01-23 2020-07-30 Ail International Inc. Sound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11479931B2 (en) 2019-01-23 2022-10-25 Ail International Inc. Elongate panel for a sound wall and a stiffener member for the same
US11598057B2 (en) 2019-01-23 2023-03-07 Ail International Inc. Sound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20230160161A1 (en) * 2019-01-23 2023-05-25 Ail International Inc. Sound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11377804B2 (en) * 2019-10-31 2022-07-05 Phoenix Foam Manufacturing, LLC Highway sound barrier system
KR102247958B1 (ko) * 2020-09-11 2021-05-11 (주)지온컨텍 방음판 지압 기능과 지주 좌굴방지 기능을 갖는 방음시설용 지주 및 볼트 풀림방지 앵커시스템을 갖는 방음벽의 시공 방법
CN112900297A (zh) * 2021-01-18 2021-06-04 湖州师范学院 一种用于高速铁路穿插于闹市区的隔音屏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337B1 (ko) 방음터널용 철골지주와 방음판의 연결장치
JP2739553B2 (ja) 遮音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10128622A (ko) 방음벽
KR102044345B1 (ko) 하중분산형 방음벽 및 이의 방음패널 교체방법
KR101406099B1 (ko) 방음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569480B1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100724761B1 (ko) 안전 복합 프레임
KR100866971B1 (ko) 선택적 방향으로의 단면강성이 우수한 투명 방음판의프레임 구조
KR10103987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KR101220882B1 (ko) 비해체 방음벽에서의 외관 개선용 방음패널 설치 구조물
KR102235865B1 (ko) 방음성능 향상 및 미관이 미려한 방음패널 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49029Y1 (ko) 유지보수형 방음판
KR20110070573A (ko) 폴형 광고물
KR20040022601A (ko) 방음벽용 방음판 결합구조
JP4105136B2 (ja) 前背面分離式遮音壁
KR20070011766A (ko) 방음벽
KR101926064B1 (ko) 방풍 및 소음 감소 구조체
KR200470324Y1 (ko) 레일식 와이드뷰 투명방음벽
KR200461255Y1 (ko) 조립식 알루미늄 방음벽
KR101098939B1 (ko) 교량의 방호벽 조인트에서 수평 변위 적응을 위한 슬라이드 기능을 갖는 방음벽용 지주 고정 구조물
JP4723404B2 (ja) 簡易構築物の天井形成方法
KR102507989B1 (ko) 슬라이드 슬랫 방식의 유지보수형 방음패널
KR20110128620A (ko) 방음벽 지주용 커버장치
KR101376547B1 (ko) 목재 슬릿 결합형 투명 방음판
KR102207776B1 (ko) 방음판 일체형 경량 원형지주가 구비된 방음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