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369Y1 -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369Y1
KR200188369Y1 KR2020000003285U KR20000003285U KR200188369Y1 KR 200188369 Y1 KR200188369 Y1 KR 200188369Y1 KR 2020000003285 U KR2020000003285 U KR 2020000003285U KR 20000003285 U KR20000003285 U KR 20000003285U KR 200188369 Y1 KR200188369 Y1 KR 200188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road
fixing portion
locking
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이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이인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00003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3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와이어로프가 도로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주에 분리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식으로 고정 및 설치되어 있어, 구간별 부분파손 및 손상시 전구간에 걸쳐 하자보수 및 교체가 이루어져야만 되므로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시공이 번거롭고 불편하고, 또한 이로인해 막대한 비용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주(110)에 스크류(12) 체결될 수 있게 다수의 체결공(11)을 갖는 판상의 몸체(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에는 측방 및 후방측이 트여진 삽입홈(21)(31)에 직각을 이루도록 걸림홈(22)(32)이 연이어 통하게 형성된 제1고정부(2) 및 제2고정부(3)를 상호 대향되게 형성하며, 와이어로프(120)의 양측단에는 상기 제1고정부(2) 및 제2고정부(3)의 걸림홈(22)(32)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부(40)(40A)를 갖는 연결구(4)(4A)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도로낙석 방지책의 부분파손 및 손상시 구간별 부분보수 및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 및 간편성을 기할 수 있고, 막대한 유지보수비의 절감효과를 가져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Wire rope connecting device of picket fence for preventing road falling rock}
본 고안은 산이나 벼랑에서 떨어지는 돌이 도로를 침범하지 않도록 방호하는 낙석방책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낙석방책을 이루는 지주간에 연이어지게 설치되는 와이어로프를 구간별로 분리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각 구간별 부분보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산이나 벼랑을 두고 형성되는 도로변에는 산이나 벼랑에서 떨어지는 돌이 도로에 침범하지 않도록 방호하기 위해서 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 2는 일반적인 낙석방책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낙석방책은 통상에서와 같이 산이나 벼랑을 따라 형성된 도로(100)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이의 구조는 도로(100)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H'빔 형상의 프레임으로 된 수개의 지주(110)가 세워 설치되고, 상기 지주(110) 사이를 철망(140)으로 막은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주(110) 사이에는 횡방향의 와이어로프(120)가 지주(110)의 직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개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120)는 별도의 와이어고정구(130)에 의해서 지주(110)에 고정되어 있다.
도 3a,도 3b,도 3c는 종래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제1몸체(131) 및 제2몸체(132)로 분리 구성된 와이어고정구(130)로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131) 및 제2몸체(132)의 중간부에는 각각 와이어로프(120) 가 삽입 및 통과되는 와이어삽입홈(131A)(132A)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131) 및 제2몸체(132)에는 스크류(134) 체결에 의해서 상호 결합 및 지주(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수개의 체결공(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는 와이어로프(120)를 제1몸체(131)의 와이어삽입홈(131A)에 삽입한 후, 다시 그 위에 제2몸체(132)의 와이어삽입홈(132A)을 맞춰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몸체(131) 및 제2몸체(132)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133)에 스크류(134)를 체결하여 상호 결합시킴과 동시에 지주(110)에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는 와이어로프(120)가 도로(100)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주(110)에 끊어짐이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식으로 고정 및 설치되어 있어, 구간별 부분파손 및 손상시 전구간에 걸쳐 하자보수 및 교체가 이루어져야만 되므로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시공이 번거롭고 불편하고, 또한 이로인해 막대한 비용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방책의 부분파손 및 손상시 구간별 부분보수 및 교체가 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주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게 다수의 체결공을 갖는 판상의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측방 및 후방측이 트여진 삽입홈에 직각을 이루도록 걸림홈이 연이어 통하게 형성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를 상호 대향되게 형성하며, 와이어로프의 양측단에는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의 걸림홈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부를 갖는 연결구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도 1a,도 1b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설치상태를 보인 도로낙석 방지책의 사시도.
도 1b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도로낙석 방지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a,3b는 종래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설치상태를 보인 도로낙석 방지책의 사시도.
도 3b는 분해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몸체
11:체결공 12:스크류
2:제1고정부 3:제2고정부
21,31:삽입홈 22,32:걸림홈
4,4A:연결구
40,40A:걸림돌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로낙석 방지책의 사시도로서, 이 도로낙석 방지책은 통상에서와 같이 도로(100)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H'빔 형상의 프레임으로 된 수개의 지주(110)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110) 사이에 철망(1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110) 사이에는 횡방향의 와이어로프(120)가 지주(110)의 직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개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도로낙석 방지책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지주(110)의 전면부에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다.
도 1b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지주(110)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판상의 몸체(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의 상.하부측에는 다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체결공(11)은 몸체(1)의 일측 대각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에는 와이어로프(120)의 일측단 및 타측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1고정부(2) 및 제2고정부(3)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고정부(2)는 후방 및 우측방으로 트여지게 삽입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1)에 직각을 이루도록 상부측으로 트여진 걸림홈(22)을 삽입홈(21)과 연이어 통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3)는 후방 및 좌측방으로 트여지게 삽입홈(3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31)에 직각을 이루도록 하부측으로 트여진 걸림홈(32)을 삽입홈(31)과 연이어 통하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함께 와이어로프(120)는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길이로 획일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120)의 양단부에는 제1고정부(2) 및 제2고정부(3)의 삽입홈(21)(31)에 삽입되는 연결구(4)(4A)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구(4)(4A)에는 상기 제1고정부(2) 및 제2고정부(3)의 걸림홈(22)(32)에 끼워져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40)(40A)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제1고정부(2)의 걸림홈(22)에 끼움 고정되는 걸림돌부(40)는 그 걸림홈(22)과 같이 연결구(4)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고정부(3)의 걸림홈(32)에 끼움 고정되는 걸림돌부(40A)는 그 걸림홈(32)과 같이 연결구(4A)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3은, 몸체(1)의 체결공(11)에 상응하는 위치의 지주(110)에 형성된 고정공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몸체(1)에 형성된 제1고정부(2)의 삽입홈(21) 및 걸림홈(22)에 와이어로프(120)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22)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일측 연결구(4)를 후방측에 끼워 조립한다.
그런 다음, 나머지 와이어로프(120)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2고정부(3)의 걸림홈(32)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타측 연결구(4A)를 상기 제2고정부(3)의 걸림홈(32) 및 삽입홈(31)에 끼워 조립한 후, 이 조립된 몸체(1)의 체결공(11)을 지주(110)에 형성된 고정공(13)에 맞춰 스크류(12) 체결함으로써 일련의 와이어로프(120) 설치 및 연결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도로낙석 방지책의 부분파손 및 손상시 구간별 부분보수 및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막대한 유지보수비의 절감효과를 가져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지주(110)에 스크류(12) 체결될 수 있게 다수의 체결공(11)을 갖는 판상의 몸체(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에는 측방 및 후방측이 트여진 삽입홈(21)(31)에 직각을 이루도록 걸림홈(22)(32)이 연이어 통하게 형성된 제1고정부(2) 및 제2고정부(3)를 상호 대향되게 형성하며, 와이어로프(120)의 양측단에는 상기 제1고정부(2) 및 제2고정부(3)의 걸림홈(22)(32)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부(40)(40A)를 갖는 연결구(4)(4A)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KR2020000003285U 2000-02-08 2000-02-08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KR200188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285U KR200188369Y1 (ko) 2000-02-08 2000-02-08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285U KR200188369Y1 (ko) 2000-02-08 2000-02-08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369Y1 true KR200188369Y1 (ko) 2000-07-15

Family

ID=1964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285U KR200188369Y1 (ko) 2000-02-08 2000-02-08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3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675A (ko) * 2018-02-19 2019-08-28 이갑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KR20190099674A (ko) * 2018-02-19 2019-08-28 이갑기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675A (ko) * 2018-02-19 2019-08-28 이갑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KR20190099674A (ko) * 2018-02-19 2019-08-28 이갑기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KR102069728B1 (ko) 2018-02-19 2020-01-23 이갑기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KR102144272B1 (ko) 2018-02-19 2020-08-13 이갑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2887B1 (ko) 소음차단벽 및 그 설치방법
KR102239510B1 (ko) 배수기능을 구비하는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92227A (ko) 합성목재 난간 결합구조
KR200188369Y1 (ko)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KR102312501B1 (ko)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0665318B1 (ko) 도로용 표지판
KR20110128622A (ko) 방음벽
KR200175455Y1 (ko) 도로낙석 방지책의 와이어로프 분리고정장치
JP2005120577A (ja) 歩道および中央分離帯の防護用のプレートまたは網付防護柵
KR101451201B1 (ko)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KR100313345B1 (ko) 철책 지주용 클램프
KR200281572Y1 (ko) 스테인레스 스틸 그레이팅
KR101893418B1 (ko) 가로보와 지주의 결합구조
CN105587163A (zh) 一种一体成型六角栅栏
KR100657213B1 (ko) 방파제의 테트라포드 설치구조
KR200191486Y1 (ko) 낙석보호망용 와이어로프고정구
KR101608449B1 (ko) 도로 가드케이블용 차광판
KR200331419Y1 (ko) 가설펜스 구조물 모듈
KR100377465B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차광장치
KR200275971Y1 (ko) 개폐식 낙석붕괴 방지장치
KR100796704B1 (ko) 방음 유닛 장착 구조
KR200413035Y1 (ko) 조립식 금속재 도로용 차광판
KR100582020B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차광장치
KR200318256Y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고정구
KR102609879B1 (ko) 하중전이방지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형 투명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