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814B1 -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 - Google Patents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814B1
KR101607814B1 KR1020150124688A KR20150124688A KR101607814B1 KR 101607814 B1 KR101607814 B1 KR 101607814B1 KR 1020150124688 A KR1020150124688 A KR 1020150124688A KR 20150124688 A KR20150124688 A KR 20150124688A KR 101607814 B1 KR101607814 B1 KR 10160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input
bill
amount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준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4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12Savings bo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6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in combination with coin-cou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축액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 환경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저축에 재미와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전투입구와 지폐투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저금통 바디; 상기 투입되는 금액을 센싱하기 위한 투입금액 센싱유닛; 상기 저금통 바디에 구비되어 기능선택 입력 콘텐츠와 기능 콘덴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창; 상기 저금통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콘덴츠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상기 동전투입구 하부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동전을 구분하기 위한 동전 구분 수단; 상기 동전 구분 수단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동전을 구분 수납하는 동전구분 수납공간;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수납 공간; 및 상기 투입금액 센싱유닛, 디스플레이 창 및 제어부에 필요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구분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동전 투입구 하부에 위치되고 타측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탈락방지벽이 형성되는 경사 스트립, 및 상기 경사 스트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되, 관통되는 크기가 경사 방향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며, 상기 동전구분 수납공간 각각의 상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장방형의 동전구분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ELECTRONIC TYPE FUNCTIONAL SAVING BOX}
본 발명은 저금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전 및 지폐 투입 시 수동 입력하거나 센싱을 통해 카운트하여 저축금액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 환경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저축에 재미와 흥미를 부여할 수 있고, 다양한 캐릭터를 통한 장식 기능과 야간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저금통은 돼지 저금통과 같이 밀폐된 합성수지 혹은 금속 소재로 제조하여 일부 개방된 투입구로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여 금액을 누적하는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저금통은 생활에서의 저축의 습관을 배양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으로써, 특히 어린이 및 청소년의 경제적 지식을 가르치는데 바람직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저금통은 꾸준히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흥미를 느끼지 못할 경우 오랜 기간 동안 방치되기 쉬우며, 다 채우지 못한 상태에서 저축액을 확인하고자 쉽게 분리해서 저금통을 훼손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저금통에 시계 알람과 같은 단순한 기능을 결합하거나 독특한 디자인 및 오락적인 기능을 더해서 사용자의 저축 욕구를 향상시키는 다양한 저금통이 등장하였다. 예컨대, 동전을 투입하면 음악을 출력하는 기능의 저금통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저금통 또한 단순한 기능으로 인해 저축에 대한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2947호(2001.02.26) (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9-0010081호(1989.07.0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동전 및 지폐 투입 시 수동 입력하거나 센싱을 통해 카운트하여 저축금액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 환경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저축에 재미와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출 모드 시 선택 금액을 인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캐릭터를 통한 장식 기능과 야간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전투입구와 지폐투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저금통 바디; 상기 투입되는 금액을 센싱하기 위한 투입금액 센싱유닛; 상기 저금통 바디에 구비되어 기능선택 입력 콘텐츠와 기능 콘덴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창; 상기 저금통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콘덴츠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상기 동전투입구 하부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동전을 구분하기 위한 동전 구분 수단; 상기 동전 구분 수단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동전을 구분 수납하는 동전구분 수납공간;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수납 공간; 및 상기 투입금액 센싱유닛, 디스플레이 창 및 제어부에 필요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구분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동전 투입구 하부에 위치되고 타측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탈락방지벽이 형성되는 경사 스트립, 및 상기 경사 스트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되, 관통되는 크기가 경사 방향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며, 상기 동전구분 수납공간 각각의 상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장방형의 동전구분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구분하고 수납하기 위한 지폐 구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폐 구분 수단은 상기 지폐투입구에 구비되는 투입 감지 센서와, 상기 지폐투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한 쌍의 공급 롤러와, 상기 지폐투입구 일측에 구비되는 권종 구별 센서와, 상기 권종 구별 센서의 권종 구별 신호에 따라 투입되는 지폐를 구별 진행시키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동 제어되는 권종구별 회동체와, 상기 권종구별 회동체의 회동 위치의 연장 선상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지폐를 가이드하기 위한 권종별 가이드 부재와, 상기 권종별 가이드 부재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지폐를 이송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이송 롤러, 및 상기 권종별 가이드 부재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권종별 지폐를 각각 수납하기 위한 권종별 수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모드 중 인출 모드 선택 시 상기 동전 및 지폐를 인출하기 위한 금액 인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금액 인출 수단은 상기 동전구분 수납공간 각각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동전 배출 롤러와, 상기 권종별 수납 공간 각각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지폐 배출 롤러와, 상기 동전구분 수납공간과 권종별 수납 공간의 하면에서 상기 배출 롤러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동전 배출구와 지폐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출 금액에 따른 각 배출롤러 각각의 회전값을 산출하여 회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출 모드 선택 시 인출 금액의 인출을 명령하기 전, 미리 설정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콘덴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금통 바디는 캐릭터의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금액 센싱유닛은 투입되는 금액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광학 센서로 이루어지져 각 투입구 또는 수납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은 아날로그 입력버튼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창으로 이루어지거나, 터치로 기능을 선택하는 터치식 디스플레이 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날짜, 시간, 요일, 현재 누적금액, 목표 저축금액, 목표 저축금액과 현재 누적금액의 차액, 인출금액, 누적금액 표시 이미지, 기능 선택을 포함하는 콘덴츠가 선택에 따라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금통 바디에 구비되는 LED 조명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입금액 센싱유닛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투입 금액을 산출하는 카운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드 선택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모드 중 인출모드 선택 시 해당 롤러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인출 제어부, 및 상기 LED 조명 부재의 조명 기능을 포함하는 추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타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은 동전 및 지폐 투입 시 수동 입력하거나 센싱을 통해 카운트하여 저축금액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 환경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저축에 재미와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출 모드 시 선택 금액을 인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캐릭터를 통한 장식 기능과 야간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의 일 형태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을 구성하는 동전 구분 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을 구성하는 동전 구분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을 구성하는 제어회로기판의 제어부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을 구성하는 제어회로기판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의 일 형태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을 구성하는 동전 구분 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을 구성하는 동전 구분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을 구성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을 구성하는 제어회로기판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동전투입구(1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지폐투입구(120)가 형성되는 저금통 바디(100); 상기 동전투입구(110)와 지폐투입구(120)를 통해 투입되는 금액을 센싱하는 투입금액 센싱유닛(150); 상기 저금통 바디(100)에 구비되며 기능선택 입력 콘텐츠와 기능 콘덴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창(200); 상기 저금통 바디(100)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창(200)에 표시되는 콘덴츠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상기 저금통 바디(100)의 동전투입구(110) 하부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동전을 구분하기 위한 동전 구분 수단(400); 상기 동전 구분 수단(400)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동전을 구분 수납하는 동전구분 수납공간(401); 상기 지폐투입구(120)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수납 공간; 및 상기 투입금액 센싱유닛(150), 디스플레이 창(200) 및 제어부(300)에 필요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저금통 바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동물 모양과 같은 캐릭터의 외형을 가질 수 있고,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금통 바디(100)는 동전구분 수납공간(401)과 지폐투입구(120)로 투입되는 지폐 수납공간이 구분되어 이루어지는 내부 구조를 갖고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금액 센싱유닛(150)은 투입되는 금액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30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금액을 누적 산출하게 된다.
상기 투입금액 센싱유닛(150)에서 동전투입구(110) 측에 마련되는 대신, 동전구분 수납공간(401)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적층 높이를 센싱하고, 센싱된 각각의 높이를 제어부로 전달함으로써 누적 금액을 카운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투입금액 센싱유닛(150)은 광학식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센서는 공지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발명 설명의 간략화 및 명확화를 위하여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200)은 아날로그 입력버튼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창으로 이루어지거나, 터치로 입력 명령과 선택이 가능한 터치입력 방식 디스플레이 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200)에는 날짜, 시간, 요일 등의 기본적인 콘텐츠를 표시하며, 후술하는 제어부에서도 언급하겠지만 현재 누적금액, 목표 저축금액, 목표 저축금액과 현재 누적금액의 차액, 인출금액, 누적금액 표시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정 콘덴츠가 디폴트 값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투입금액 센싱유닛(150)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투입 금액을 산출하는 카운터부(310)와, 상기 디스플레이 창(200)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드 선택부(320), 상기 디스플레이모드 중 인출모드 선택 시 해당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인출 제어부(330), 및 후술할 조명 수단의 조명 기능 등 기타 선택되는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타 선택부(340)를 포함한다.
계속해서, 상기 동전 구분 수단(400)은 일단부가 상기 동전 투입구(110) 하부에 위치되고 타측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탈락방지벽이 형성되는 경사 스트립(410), 및 상기 경사 스트립(410)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며, 관통되는 크기가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는 복수의 장방형의 동전구분 관통구멍(420)을 포함한다.
상기 동전구분 관통구멍(420)은 각각 동전구분 수납공간(401)의 상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지폐투입구(120)로 투입되는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 공간은 동전구분 수납공간(401)과 구획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 및/또는 플러그를 갖는 전원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지폐투입구(120)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구분하고 수납하기 위한 지폐 구분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폐 구분 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투입구(120)에 구비되는 투입 감지 센서(510)와, 상기 지폐투입구(120)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 감지 센서(51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한 쌍의 공급 롤러(520)와, 상기 지폐투입구(120) 일측에 구비되는 권종 구별 센서(530)와, 상기 권종 구별 센서(530)의 권종 구별 신호에 따라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어 투입되는 지폐를 구별 진행시키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권종구별 회동체(540)와, 상기 권종구별 회동체(540)의 회동 위치의 연장 선상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지폐를 가이드하기 위한 권종별 가이드 부재(551, 552, 553)와, 상기 권종별 가이드 부재(551, 552, 553) 상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지폐를 이송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이송 롤러(560), 및 상기 권종별 가이드 부재(551, 552, 553)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투입되는 권종별 지폐를 각각 수납하기 위한 권종별 수납 공간(57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 모드 중 인출 모드 선택 시 상기 동전 및 지폐를 인출하기 위한 금액 인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금액 인출 수단은 상기 동전구분 수납공간(401) 각각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동전 배출 롤러(610)(도 3 참조)와, 상기 권종별 수납 공간(570) 각각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지폐 배출 롤러(620)와, 상기 동전구분 수납공간(401)과 권종별 수납 공간(570)의 하단 일측, 즉 배출 롤러(610, 620)의 접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동전 배출구와 지폐 배출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인출 금액에 따른 각각의 회전값을 산출하여 해당 회전값으로 각 배출 롤러(560)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당 인출금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인출 모드 선택 시 인출 금액의 인출을 명령하기 전, 미리 설정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콘덴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은 저금통 바디(100)에 구비되는 LED 조명 부재(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기타 선택부(340)의 조명 기능을 선택하여 상기 LED 조명 부재(7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LED 조명 부재(700)의 제어 콘텐츠는 디스플레이 창(200)에 표시되어 나타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은 동전 및 지폐 투입 시 디스플레이 창(20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모드 선택부(320)에서 수동 모드 선택 시 투입되는 금액을 수동 입력하거나, 자동 모드 선택 시 센싱을 통해 카운트하여 저축금액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목표 저축 금액 등 사용 환경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저축에 재미와 흥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동전을 구분 수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인출 금액을 선택하여 인출 명령을 하게 되면, 저금통의 훼손 없이도 해당 금액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저금통 바디를 동물 등 다양한 캐릭터로 구현할 수 있고 야간에는 은은한 조명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저축통 이외의 기능도 제공하여 상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저금통 바디
110: 동전투입구
120: 지폐투입구
150: 투입금액 센싱유닛
200: 디스플레이 창
300: 제어부
310: 카운트부
320: 디스플레이모드 선택부
330: 인출 제어부
340: 기타 선택부
400: 동전 구분 수단
401: 동전구분 수납공간
410: 경사 스트립
420: 동전구분 관통구멍
510: 투입 감지 센서
520: 공급 롤러
530: 권종 구별 센서
540: 권종구별 회동체
551, 552, 553: 권종별 가이드 부재
560: 이송 롤러
570: 권종별 수납 공간
610: 동전 배출 롤러
620: 지폐 배출 롤러
700: LED 조명 부재

Claims (6)

  1. 동전투입구와 지폐투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저금통 바디;
    상기 동전투입구와 지폐투입구에 투입되는 금액을 센싱하기 위한 투입금액 센싱유닛;
    상기 저금통 바디에 구비되어 기능선택 입력 콘텐츠와 기능 콘덴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창;
    상기 저금통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콘덴츠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상기 동전투입구 하부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동전을 구분하기 위한 동전 구분 수단;
    상기 동전 구분 수단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동전을 구분 수납하는 동전구분 수납공간;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수납 공간; 및
    상기 투입금액 센싱유닛, 디스플레이 창 및 제어부에 필요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구분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동전 투입구 하부에 위치되고 타측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탈락방지벽이 형성되는 경사 스트립, 및 상기 경사 스트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되, 관통되는 크기가 경사 방향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며, 상기 동전구분 수납공간 각각의 상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장방형의 동전구분 관통구멍을 포함하되,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구분하고 수납하기 위한 지폐 구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폐 구분 수단은 상기 지폐투입구에 구비되는 투입 감지 센서와, 상기 지폐투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한 쌍의 공급 롤러와, 상기 지폐투입구 일측에 구비되는 권종 구별 센서와, 상기 권종 구별 센서의 권종 구별 신호에 따라 투입되는 지폐를 구별 진행시키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동 제어되는 권종구별 회동체와, 상기 권종구별 회동체의 회동 위치의 연장 선상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지폐를 가이드하기 위한 권종별 가이드 부재와, 상기 권종별 가이드 부재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지폐를 이송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이송 롤러, 및 상기 권종별 가이드 부재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권종별 지폐를 각각 수납하기 위한 권종별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모드 중 인출 모드 선택 시 상기 동전 및 지폐를 인출하기 위한 금액 인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금액 인출 수단은 상기 동전구분 수납공간 각각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동전 배출 롤러와, 상기 권종별 수납 공간 각각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지폐 배출 롤러와, 상기 동전구분 수납공간과 권종별 수납 공간의 하면에서 상기 배출 롤러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동전 배출구와 지폐 배출구를 포함하는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출 금액에 따른 각 배출롤러 각각의 회전값을 산출하여 회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출 모드 선택 시 인출 금액의 인출을 명령하기 전, 미리 설정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콘덴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
  6. 청구항 3 내지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금통 바디는 캐릭터의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금액 센싱유닛은 투입되는 금액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광학 센서로 이루어지져 각 투입구 또는 수납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은 아날로그 입력버튼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창으로 이루어지거나, 터치로 기능을 선택하는 터치식 디스플레이 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날짜, 시간, 요일, 현재 누적금액, 목표 저축금액, 목표 저축금액과 현재 누적금액의 차액, 인출금액, 누적금액 표시 이미지, 기능 선택을 포함하는 콘덴츠가 선택에 따라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금통 바디에 구비되는 LED 조명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입금액 센싱유닛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투입 금액을 산출하는 카운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드 선택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모드 중 인출모드 선택 시 해당 롤러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인출 제어부, 및 상기 LED 조명 부재의 조명 기능을 포함하는 추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타 선택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
KR1020150124688A 2015-09-03 2015-09-03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 KR10160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688A KR101607814B1 (ko) 2015-09-03 2015-09-03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688A KR101607814B1 (ko) 2015-09-03 2015-09-03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814B1 true KR101607814B1 (ko) 2016-03-30

Family

ID=5566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688A KR101607814B1 (ko) 2015-09-03 2015-09-03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8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540Y1 (ko) * 2001-06-30 2001-11-16 이영재 저축액을 표시하는 저금통
KR200364598Y1 (ko) * 2004-05-04 2004-10-08 이명재 주화 크기별 분리 수납이 가능한 저금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540Y1 (ko) * 2001-06-30 2001-11-16 이영재 저축액을 표시하는 저금통
KR200364598Y1 (ko) * 2004-05-04 2004-10-08 이명재 주화 크기별 분리 수납이 가능한 저금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9404B (zh) 纸币存取款机
JP5592918B2 (ja) 貨幣出金装置および紙幣出金装置
JP2007213206A (ja) 棒金収納庫および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EP2950280A1 (en) Bill handling apparatus
JP2009238147A (ja) 補助保管装置
KR101607814B1 (ko) 전자식 기능성 저금통
CN102289856A (zh) 便携式智能验钞机
JP2006323879A (ja) 紙幣の計数・識別装置
JP2008299875A (ja) 自動取引装置
JP2014013489A (ja) 硬貨入出金装置
JP2011159074A (ja) 貨幣処理装置
US20070218822A1 (en) Coin sorter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KR900006893A (ko) 자동거래장치
JP3914972B2 (ja) 紙幣の計数・識別装置
JP2009199187A (ja) 金銭処理装置
KR100771978B1 (ko) 캡슐을 이용한 사은상품 추출용 자동 판매기
WO2015182442A1 (ja) 両替機および両替方法
KR100240942B1 (ko) 표시장치를 갖춘 저금통
JP2020034959A (ja) 硬貨処理装置および硬貨処理システム
JP5415487B2 (ja) 棒金収納庫および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KR200250540Y1 (ko) 저축액을 표시하는 저금통
JP2013012135A (ja) 紙幣処理装置
JP2001224824A (ja) 貨幣および遊技用記録媒体の回収搬送装置
JP4918731B2 (ja) メダル貸出装置
JP5012228B2 (ja) 硬貨収納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