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203B1 - 펌핑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펌핑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203B1
KR101607203B1 KR1020140162241A KR20140162241A KR101607203B1 KR 101607203 B1 KR101607203 B1 KR 101607203B1 KR 1020140162241 A KR1020140162241 A KR 1020140162241A KR 20140162241 A KR20140162241 A KR 20140162241A KR 101607203 B1 KR101607203 B1 KR 101607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brake
cam
circumferential su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원
김태윤
Original Assignee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140162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펌핑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레버의 회전력을 샤프트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일련의 구성요소를 최적화하여 안전강도 하에서 제품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특히 구성요소 간의 누적공차로 인한 작동로스를 줄여 즉각적인 동력의 전달과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펌핑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내측커버(11)와, 내주면을 구비하며 내측커버와 결합되는 외측커버(12)로 이루어진 고정커버(10); 고정커버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샤프트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을 억제하는 브레이크유닛(20); 및 레버브래킷을 통해 회전력이 입력되면 브레이크유닛의 제동력을 해제시킨 채 브레이크유닛과 연결된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레버브래킷을 통한 회전력이 제거되면 브레이크유닛과의 연결을 차단시킨 채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클러치유닛(30);을 포함하는 펌핑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닛(30)은 브레이크유닛과 연결되는 클러치부시(31); 레버브래킷과 연결되는 클러치캠(33); 및 클러치캠(33)의 외주면과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며 고정커버에 결합된 스토퍼(381)를 향해 탄력 지지되는 클러치롤러(35);를 포함하되, 레버브래킷을 통한 회전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레버브래킷의 유격을 보상하도록, 상기 클러치롤러(35)는 스토퍼(381)와 함께 클러치캠(33)의 외주면에 동시에 접촉되게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펌핑 디바이스{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펌핑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부품 간소화로 인한 소형화와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특히 우수한 조작감과 작동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핌핑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에 적용되는 높낮이 조절장치는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시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링크유닛이 저부에 구비되는데, 이러한 링크유닛은 시트의 일측에 마련된 높낮이 조절장치 조작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높낮이 조절장치에는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조작레버의 조작력을 링크유닛으로 전달하거나 높이가 조절된 링크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조작레버와 링크유닛을 연결하는 샤프트 상에 클러치 및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유닛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일예로 최근에는 조작레버를 상하로 반복적으로 작동하는 것에 따라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펌핑 디바이스의 적용이 보편적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펌핑 디바이스는 시트 저부에 마련된 링크유닛과 레버를 연결하는 샤프트(21)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브레이크캠(23), 브레이크롤러(25), 및 브레이크댐퍼(26)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유닛(20)과; 레버를 통해 회전력이 입력되면 브레이크유닛(20)의 제동력을 해제하여 샤프트(21)를 회전시키고 레버를 통한 회전력이 제거되면 브레이크유닛(20)과의 연결을 차단시킨 채로 다음 조작을 위해 레버를 최초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클러치부시(31), 클러치캠(33), 클러치롤러(35), 클러치스프링(36)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치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레버를 통한 회전력이 제거된 평상시에는 브레이크롤러(25)로부터 마찰 지지된 브레이크캠(23)의 회전력을 억제하여 높낮이 링크유닛과 연결된 샤프트(21)를 고정시키고,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레버를 통해 클러치캠(33)에 회전력을 입력하면 클러치롤러(35)로부터 마찰 지지된 클러치부시(31)를 회전시켜 상기 브레이크롤러(25)의 제동력을 해제하는 한편 브레이크캠(23)과 샤프트(21)를 회전시키며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시키고, 다시 레버를 통한 회전력이 제거되면 브레이크유닛(20)은 다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한편, 클러치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는 다음 동작을 위한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의 펌핑 디바이스는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차단시키는 브레이크유닛과 클러치유닛을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조립구조에 따라 최종 생산되는 제품의 무게와 부피 및 제작비용에 많은 편차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시트 및 차량 제조사로부터 개선사항이 계속해서 요구되고, 뿐만 아니라 차량 사용자는 조작감이나 작동 응답성이 떨어진다는 품질저하를 지적하는 불만사항이 계속해서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버의 회전력을 샤프트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일련의 구성요소를 최적화하여 안전강도 하에서 제품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특히 구성요소 간의 누적공차로 인한 작동로스를 줄여 즉각적인 동력의 전달과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펌핑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커버(11)와, 내주면(121)을 구비하며 내측커버와 결합되는 외측커버(12)로 이루어진 고정커버(10); 고정커버의 내주면(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샤프트(21)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을 억제하는 브레이크유닛(20); 및 레버브래킷(39)을 통해 회전력이 입력되면 브레이크유닛(20)의 제동력을 해제시킨 채 브레이크유닛(20)과 연결된 샤프트(21)를 회전시키고, 레버브래킷(39)을 통한 회전력이 제거되면 브레이크유닛(20)과의 연결을 차단시킨 채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클러치유닛(30);을 포함하는 펌핑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닛(30)은 브레이크유닛(20)과 연결되는 클러치부시(31); 레버브래킷(39)과 연결되는 클러치캠(33); 및 클러치캠(33)의 외주면과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며 고정커버(10)에 결합된 스토퍼(381)를 향해 탄력 지지되는 클러치롤러(35);를 포함하되, 레버브래킷(39)을 통한 회전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레버브래킷(39)의 유격을 보상하도록, 상기 클러치롤러(35)는 스토퍼(381)와 함께 클러치캠(33)의 외주면에 동시에 접촉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캠(33)에는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311)과 동심을 유지하는 외주면상에 돌출 형성되어 클러치롤러(35)와 마찰 접촉하는 경사마찰면(3350)이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381)에는 클러치롤러(35)를 클러치캠(33)의 외주면으로 안내 지지하는 경사지지부(3810)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력의 전달과 차단을 위해 롤러베어링 구조를 이용한 브레이크 및 클러치유닛을 구현함에 따라 제품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구성요소 간 조립구조의 개선으로부터 작동로스를 줄여 보다 즉각적인 동력의 전달과 차단이 가능해진다.
특히 레버의 조작력이 즉각적으로 전달되는 클러치캠의 유격을 보상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우수한 조작감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작동성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펌핑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펌핑 디바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캠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부시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캠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 예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펌핑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펌핑 디바이스는 크게 고정커버(10), 브레이크유닛(20), 및 클러치유닛(30)을 포함한다.
고정커버(10)는 시트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장착되는 펌핑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내주면(121)을 통해 구성요소의 동심을 고정 지지하고, 마주하는 내, 외측면을 통해 구성요소의 축선방향 조립위치를 고정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커버(10)는 내측커버(11)와 외측커버(12)를 포함한다.
내측커버(11)는 플레이트 구조를 이루며, 중심부에는 샤프트(21)를 관통시키면서 브레이크유닛(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가 구비되며, 둘레부에는 외측커버(12)와 결합되는 고정부가 구비된다.
외측커버(12)는 내주면(121)을 갖도록 원통 형상의 박스 구조를 이루며, 중심부에는 레버(도시되진 않음)와 연결되는 클러치유닛(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가 구비되며, 회전지지부의 주변부에는 스토퍼부재용 고정홀(123)이 구비되고, 둘레부에는 상기 내측커버(11)의 고정부와 대향하게 고정부가 구비된다.
브레이크유닛(20)은 시트에 마련된 링크유닛에 연결된 샤프트(21)와 클러치유닛(30)을 연결하는 것으로, 클러치유닛(3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제거될 시에는 링크유닛과 연결된 샤프트(21)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을 억제하고, 클러치유닛(30)으로부터 회전력이 입력될 시에는 샤프트(21)를 향해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브레이크유닛(20)은 샤프트(21), 브레이크캠(23), 브레이크롤러(25), 및 브레이크댐퍼(27)를 포함한다.
먼저 샤프트(21)는 일단에 형성된 피니언을 통해 링크유닛과 기어 연결되고, 타단은 브레이크캠(23)과 축 결합된다.
도 4는 브레이크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a)와 평면도(b)이다.
브레이크캠(23)은 샤프트(21)와 축 결합된 중심 보스부가 내측커버(11)의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외측커버(12)의 내주면(1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심지지부(231)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내측커버(11)의 반대쪽을 향하는 브레이크캠(23)의 일면(도면에서 상부)에는 후술되는 클러치부시(31)의 동력전달돌기(315)가 삽입되는 동력전달홈(237)이 중심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동력전달홈(237)은 동력전달돌기(315)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후술되는 브레이크롤러(25)의 제동력을 해제시킬 수 있는 만큼의 여유 유격을 갖는다.(도 5 참조)
또한 동심지지부(231)의 사이공간에 마련된 브레이크캠(23)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댐퍼장착홈(233)이 구비되고, 이웃하는 댐퍼장착홈(233)의 사이공간에는 브레이크댐퍼(26)로부터 탄력 지지된 브레이크롤러(25)가 접촉되는 웨지면(235)이 구비된다. 이러한 웨지면(235)은 댐퍼장착홈(233)으로부터 멀어지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브레이크캠(23)의 외주면과 외측커버(12)의 내주면(121)의 사이공간에 브레이크댐퍼(26)를 매개로 브레이크롤러(25)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브레이크롤러(25)의 사이공간으로 클러치부시(31)의 브레이크해제돌기(313)가 삽입된다.
도 5는 브레이크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러한 구성의 브레이크유닛(2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하면,
클러치유닛(30)의 클러치부시(31)로부터 회전력이 제거되면, 브레이크댐퍼(26)에 탄성 지지된 브레이크롤러(25)는 브레이크캠(23)의 웨지면(235)을 타고 올라 웨지면(235)과 외측커버(12)의 내주면(121) 사이에 끼어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마찰력으로부터 브레이크캠(23)의 회전을 억제시킨다.(제동상태)
또한 클러치유닛(30)의 클러치부시(31)로부터 회전력이 입력되면, 클러치부시(31)의 브레이크해제돌기(313)가 브레이크롤러(25)와 접촉하여 브레이크댐퍼(26)의 복원력을 극복하며 이동함에 따라 브레이크캠(23)의 웨지면(235)과 외측커버(12)의 내주면(121) 사이에 발생된 마찰력이 제거된다.(해제상태)
이어서 브레이크캠(23)의 동력전달홈(237)에 삽입된 클러치부시(31)의 동력전달돌기(315)의 계속된 회전력으로부터 브레이크캠(23)을 회전시킨다.(회전작동)
이때 클러치부시(31)로부터 계속된 회전력이 입력됨에 따라 브레이크캠(23)은 내측 동력전달홈(237)의 6포인트에서 접촉(토크)이 발생되어 부품의 소형화에도 불구하고 적정 강성을 유지하거나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클러치유닛(30)은 브레이크유닛(20)과 레버를 연결하는 것으로, 레버와 연결된 레버브래킷(39)으로부터 회전력이 입력될 시에는 브레이크유닛(20)의 제동력을 해제시켜 회전력을 전달시키고, 레버브래킷(39)으로부터 회전력이 제거될 시에는 브레이크유닛(20)과의 연결을 차단하여 브레이크유닛(20)의 제동력을 허용하며 최초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클러치유닛(30)은 클러치부시(31), 클러치캠(33), 클러치롤러(35), 클러치스프링(36), 스토퍼부재(38)를 포함한다.
도 6은 클러치부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클러치부시(31)는 브레이크유닛(20)과 클러치롤러(35)를 연결하는 것으로, 외측커버(12)의 내주면(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브레이크캠(23)을 향하는 클러치부시(31)의 일면 주변부에는 이웃하는 브레이크롤러(25)의 사이공간으로 삽입되는 브레이크해제돌기(313)가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브레이크캠(23)의 동력전달홈(237)에 삽입되는 동력전달돌기(315)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클러치부시(31)의 반대쪽 일면에는 클러치캠(33), 클러치롤러(35), 클러치스프링(36)을 내부로 수용하는 수용부(310)가 구비되며, 이러한 수용부(310)의 외측에는 후술되는 클러치롤러(35)와 접촉하는 내주면(311)이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후술되는 클러치캠(3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도 7은 클러치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클러치캠(33)은 레버브래킷(39)과 클러치롤러(35)를 연결하는 것으로, 클러치부시(31)의 수용부(31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또한 레버브래킷(39)을 향하는 클러치캠(33)의 일면(도면에서 상부)에는 외측커버(12)를 관통하여 레버브래킷(39)과 결합되는 레버결합부(330)가 구비된다. 표시번호 331은 외측커버(12)의 회전지지부에 결합되어 레버 조작에 따른 클러치캠(33)의 이동을 규제하는 레버스토퍼이다.
또한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311)을 대향하는 외주면상에는 후술되는 클러치롤러(35)를 접촉 지지하게 돌출지지부(335)가 구비된다. 실시 예에 의하면 균등간격(120도)을 유지하며 복수(3개)의 돌출지지부(335)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클러치캠(33)은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311)과 동심을 이루는 외주면상에서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마찰면(3350)을 갖도록 돌출지지부(335)를 구성함으로써, 클러치캠(33)의 외주면과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311) 사이공간에 삽입된 클러치롤러(35)는 경사마찰면(3350)에 걸림 지지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러치롤러(35)는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311)과 클러치캠(33)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클러치스프링(36)을 매개로 클러치캠(33)의 경사마찰면(3350)을 항해 원주방향으로 탄력 지지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클러치롤러(35)는 클러치스프링(3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멀어지게 탄력 설치된 한 쌍의 클러치롤러(35)를 단일유닛으로 하여,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311)과 클러치캠(33)의 외주면 사이에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로 구비된다. 실시 에에 의하면 클러치캠(33)의 외주면을 3등분하는 돌출지지부(335)를 기준으로 3쌍의 클러치롤러(35)가 배열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스토퍼부재(38)는 외측커버(12)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에는 서로 이웃하는 클러치롤러(35)의 사이공간에 삽입되어 클러치스프링(36)에 탄력 지지된 클러치롤러(35)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381)가 돌출 형성되며, 외측커버(12)를 향하는 타면에는 외측커버(12)의 스토퍼부재용 고정홀(123)과 결합되는 결합핀(383)이 구비된다.
이때 스토퍼(381)에는 클러치롤러(35)를 클러치캠(33)의 외주면으로 안내 지지하는 경사지지부(3810)가 구성된다.
결국 레버 미 조작 시 클러치캠(33)의 외주면과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311) 사이공간에 삽입된 클러치롤러(35)는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311)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스토퍼(381)의 경사지지부(3810)와 상기 클러치캠(33)의 경사마찰면(3350)에 동시에 접촉 지지된다.
참고로 스토퍼부재(38)는 외측커버(12)와 마찬가지로 프레스 성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된 것을 권장한다. 이는 경량화를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러치롤러(35)와 접촉하는 돌출구조의 스토퍼(381) 제작이 용이하고, 클러치롤러(35)와의 충격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달리 외측커버(12)에 스토퍼(381)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8은 클러치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러한 구성의 클러치유닛(30)의 작동을 설명하면,
레버브래킷(39)을 통한 클러치캠(33)에 회전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클러치스프링(36)을 매개로 탄력 지지된 클러치롤러(35)는 스토퍼(381)의 경사지지부(3810)에 접촉 안내됨에 따라,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311)으로부터 이격되고 클러치캠(33)의 경사마찰면(3350)에 동시에 접촉 지지된다. (레버 미 조작, 도 8a 참조)
결국 레버 미 조작 시 클러치롤러(35)와 클러치캠(33) 사이의 유격을 보상하여 미 조작 상태에서의 진동이나 소음발생을 줄이고, 이어서 후술되는 레버 조작 시 작동로스를 줄여 즉각적인 동력전달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레버브래킷(39)을 통한 클러치캠(33)에 일 방향의 회전력(도면에서 반시계방향)이 입력되면, 클러치캠(33)의 돌출지지부(335)가 클러치스프링(36)의 복원력을 극복시키며 한쪽 클러치롤러(35)를 가압시키고, 이러한 가압과 동시에 해당 클러치롤러(35)는 스토퍼(381)의 경사지지부(3810)로부터 이격되고 클러치캠(33)의 경사마찰면(3350)과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311) 사이에 끼어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마찰력으로부터 클러치부시(31)를 연동하여 회전시킨다. (도 8b, 8c 참조)
아울러 클러치스프링(36)으로 연결된 반대쪽 클러치롤러(35)는 계속해서 스토퍼(381)의 경사지지부(3810)에 접촉 안내됨에 따라 경사지지부(3810)와 함께 클러치캠(33)의 외주면상에 계속해서 접촉 지지된다.
이후 레버브래킷(39)을 통해 클러치캠(33)에 가해졌던 회전력이 제거되면, 전술한 브레이크유닛(20)의 제동력에 의해 클러치부시(31)는 위치 고정되고, 클러치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해당 클러치롤러(35)는 경사마찰면(3350)을 가압하여 클러치캠(33)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최초 위치로 복귀시킨다.
결국 도 8a에서와 같이 복귀 동작하는 한쪽 클러치롤러(35)는 클러치캠(33)을 복귀 이동시키다가 스토퍼(381)의 경사지지부(3810)에 접촉 안내되면서 클러치캠(33)의 외주면(경사마찰면)을 가압하고, 이러한 복귀 동작 시 클러치스프링(36)으로 연결된 반대쪽 클러치롤러(35) 역시 스토퍼(381)의 경사지지부(3810)에 접촉 안내되면서 클러치캠(33)의 외주면(경사마찰면)을 가압함으로써, 설계상 클러치캠(33)의 틈새조건으로 야기되는 레버 동작과 미 작동 상태에서 발생되는 작동로스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고정커버 11: 내측커버
12: 외측커버 20: 브레이크유닛
21: 샤프트 23: 브레이크캠
231: 동심지지부 233: 댐퍼장착홈
235: 웨지면 237: 동력전달홈
25: 브레이크롤러 26: 브레이크댐퍼
30: 클러치유닛 31: 클러치부시
310: 수용부 313: 브레이크해제돌기
315: 동력전달돌기 33: 클러치캠
330: 레버결합부 335: 돌출지지부
3350: 경사마찰면 35: 클러치롤러
36: 클러치스프링 38: 스토퍼부재
381: 스토퍼 3810: 경사지지부
39: 레버브래킷

Claims (3)

  1. 내측커버(11)와 내주면을 구비하며 내측커버와 결합되는 외측커버(12)로 이루어진 고정커버(10); 고정커버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샤프트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을 억제하는 브레이크유닛(20); 및 레버브래킷을 통해 회전력이 입력되면 브레이크유닛의 제동력을 해제시킨 채 브레이크유닛과 연결된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레버브래킷을 통한 회전력이 제거되면 브레이크유닛과의 연결을 차단시킨 채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클러치유닛(30);을 포함하는 펌핑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유닛(20)은,
    링크유닛과 연결된 샤프트(21)와 축 결합된 중심 보스부가 내측커버(11)의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댐퍼장착홈(233)이 구비되며, 댐퍼장착홈(233) 사이공간에 웨지면이 구비된 브레이크캠(23)과,
    브레이크캠(23)의 댐퍼장착홈(233)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댐퍼(27)와,
    브레이크댐퍼(26)로부터 탄력 지지되어 웨지면에 접촉되도록 외측커버의 내주면(121)과 브레이크캠(23)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브레이크캠(23)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롤러(25)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유닛(30)은,
    브레이크유닛의 브레이크롤러(25) 사이공간으로 삽입되는 브레이크해제돌기(313)가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 브레이크캠(23)의 동력전달홈(237)에 삽입되는 동력전달돌기(315)가 돌출 형성된 연결되는 클러치부시(31)와,
    레버브래킷과 연결되는 클러치캠(33)과,
    클러치캠(33)의 외주면과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클러치스프링(36)을 매개로 클러치캠(33)의 원주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클러치롤러(35)와,
    서로 이웃하는 클러치롤러(35)의 사이공간에 삽입되어 클러치롤러(35)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381)가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외측커버(12)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스토퍼부재(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캠(33)에는 클러치부시(31)의 내주면(311)과 동심을 유지하는 외주면상에 돌출 형성되어 클러치롤러(35)와 마찰 접촉하는 경사마찰면(3350)이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381)에는 클러치롤러(35)를 클러치캠(33)의 외주면으로 안내 지지하는 경사지지부(38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디바이스.
  3. 삭제
KR1020140162241A 2014-11-20 2014-11-20 펌핑 디바이스 KR101607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241A KR101607203B1 (ko) 2014-11-20 2014-11-20 펌핑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241A KR101607203B1 (ko) 2014-11-20 2014-11-20 펌핑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203B1 true KR101607203B1 (ko) 2016-03-29

Family

ID=5566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241A KR101607203B1 (ko) 2014-11-20 2014-11-20 펌핑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20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746B1 (ko) 2017-06-30 2019-02-07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KR101947535B1 (ko) 2017-12-26 2019-02-13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용 시트 펌핑 장치
KR101947534B1 (ko) 2017-12-26 2019-02-13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용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CN110386036A (zh) * 2018-04-17 2019-10-29 王华轩 一种精密可控的锁止装置
KR102054111B1 (ko) * 2019-07-10 2019-12-09 성국태 차량용 리클라이너 샤프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0178801A1 (en) * 2019-03-06 2020-09-10 Slife Holdings Inc Seat height adjustment actuator
CN112026599A (zh) * 2019-06-04 2020-12-04 现代坦迪斯株式会社 用于泵送装置的离合器凸轮
KR20220031406A (ko) * 2020-09-04 2022-03-1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13B1 (ko) 2003-07-12 2005-05-18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쿠션 펌핑디바이스
KR100921849B1 (ko) 2009-06-02 2009-10-13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쿠션용 펌핑 디바이스
KR100956729B1 (ko) * 2009-12-11 2010-05-06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쿠션용 펌핑 디바이스
KR101144861B1 (ko) 2010-07-08 2012-05-15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13B1 (ko) 2003-07-12 2005-05-18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쿠션 펌핑디바이스
KR100921849B1 (ko) 2009-06-02 2009-10-13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쿠션용 펌핑 디바이스
KR100956729B1 (ko) * 2009-12-11 2010-05-06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쿠션용 펌핑 디바이스
KR101144861B1 (ko) 2010-07-08 2012-05-15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746B1 (ko) 2017-06-30 2019-02-07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KR101947535B1 (ko) 2017-12-26 2019-02-13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용 시트 펌핑 장치
KR101947534B1 (ko) 2017-12-26 2019-02-13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용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US10703229B2 (en) 2017-12-26 2020-07-07 Hyundai Dymos Incorporated Seat pumping device for vehicle
US10913376B2 (en) 2017-12-26 2021-02-09 Hyundai Dymos Incorporated Pumping device for seat of vehicle
CN110386036A (zh) * 2018-04-17 2019-10-29 王华轩 一种精密可控的锁止装置
CN114340943A (zh) * 2019-03-06 2022-04-12 斯莱夫控股公司 座椅高度调节致动器
CN114340943B (zh) * 2019-03-06 2023-10-03 斯莱夫控股公司 座椅高度调节致动器
WO2020178801A1 (en) * 2019-03-06 2020-09-10 Slife Holdings Inc Seat height adjustment actuator
US10948040B2 (en) 2019-03-06 2021-03-16 Slife Holdings Inc Seat height adjustment actuator
CN112026599A (zh) * 2019-06-04 2020-12-04 现代坦迪斯株式会社 用于泵送装置的离合器凸轮
US10941817B2 (en) 2019-06-04 2021-03-09 Hyundai Transys Incorporated Clutch cam for pumping device
WO2021006702A1 (ko) * 2019-07-10 2021-01-14 성국태 차량용 리클라이너 샤프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54111B1 (ko) * 2019-07-10 2019-12-09 성국태 차량용 리클라이너 샤프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1406A (ko) * 2020-09-04 2022-03-1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2429984B1 (ko) * 2020-09-04 2022-08-0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203B1 (ko) 펌핑 디바이스
KR101791993B1 (ko) 차량의 시트 펌핑 디바이스
KR10194753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KR101146936B1 (ko)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EP3336380B1 (en) Torque fluctuation absorbing apparatus
WO2013150881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摩擦パッド組立て体
US8568243B2 (en) Flywheel assembly
JP5918610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摩擦パッド組立て体
WO2008075783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6965566B2 (ja) トルク変動吸収装置
JP2020154312A5 (ko)
WO2017018123A1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JP2019100522A (ja) ダンパ装置
KR101421927B1 (ko) 차량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JP5685176B2 (ja) 摩擦クラッチ
JP3892879B2 (ja) モータサイクル用クラッチ装置
KR101852267B1 (ko) 변속기 브레이크 어셈블리
KR100993372B1 (ko) 클러치 세트
JP2005172137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4877491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及び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の組付方法
JP2015175453A (ja) ダンパ装置
KR20230017723A (ko) 모터용 전자 브레이크 장치
JP2005163999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KR20210010338A (ko) 낚시용 릴
JP2006090359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