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446B1 -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 Google Patents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446B1
KR101606446B1 KR1020130155285A KR20130155285A KR101606446B1 KR 101606446 B1 KR101606446 B1 KR 101606446B1 KR 1020130155285 A KR1020130155285 A KR 1020130155285A KR 20130155285 A KR20130155285 A KR 20130155285A KR 101606446 B1 KR101606446 B1 KR 101606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chopstick
spoon
base pla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590A (ko
Inventor
이보석
김영일
이성환
Original Assignee
이보석
김영일
이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석, 김영일, 이성환 filed Critical 이보석
Priority to KR102013015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4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과 타측에 개방된 투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각각 저장하는 분류저장통; 상기 분류저장통에 설치되며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젓가락의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동일한 단부끼리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젓가락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상승시키는 정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숟가락과 젓가락을 각각 분리하는 분류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젓가락의 동일한 단부끼리 짝을 맞추는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Separator for Spoon and Chopstick}
본 발명은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신속하게 분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젓가락을 동일한 형태의 길이방향으로 선별하여 정렬시킬 수 있는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은 세척 후 수작업에 의해 서로 분리된 채로 수저통에 수용된다.
상기 수저통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각각 정렬 보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시키는 분리작업을 먼저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분리작업은 매우 단순하면서도 반복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작업능률을 떨어뜨린다.
특히, 식당에는 많은 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이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 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많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기 위해 단순노동을 수행하게 되어 피로를 더욱 크게 느끼게 된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더욱 떨어지게 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시킬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숟가락과 젓가락 분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숟가락과 젓가락 분리장치는, 경사진 투입구(10)와, 수평상태의 무게중심을 유지하는 가이드(20); 상기 가이드와 연장선상에 구성된 "∧"형 분리대(30); 상기 분리대의 우측면 하부에 형성되어 떨어진 숟가락의 위치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볼록가이드(40); 감속가이드(50); 및 상기 분리대의 좌측상부에서 하부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레일(60);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분리대(30)에 의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의 분리는 가능하지만, 실질적으로 경사진 투입구(10)만을 통하여 다량의 수저가 동시에 진입시에는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이 서로 겹쳐지는 원인으로 인하여 하나의 젓가락 또는 숟가락이 갖는 무게차이에 변동이 이루어져 한 방향으로 정렬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분류작업을 통해 한 곳에 모아진 젓가락들을 다시 한번 동일한 형태의 길이방향으로 짝을 맞추는 선별작업을 추가적으로 진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585295호(2006.05.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신속하게 분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젓가락을 동일한 형태의 길이방향으로 선별하여 정렬시킬 수 있는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과 타측에 개방된 투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각각 저장하는 분류저장통; 상기 분류저장통에 설치되며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젓가락의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동일한 단부끼리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젓가락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상승시키는 정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류저장통은 숟가락이 저장되는 숟가락저장통과, 젓가락이 저장되는 젓가락저장통으로 분할 구획되며, 상기 젓가락저장통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정렬부재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용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젓가락저장통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광하협구조의 경사안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투입블록과, 상기 분류저장통의 상부에 설치되는 토출블록과, 상기 투입용 블록과 토출블록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형상의 연결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투입블록으로부터 토출블록까지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며, 상기 토출블록의 바닥면에는 상기 젓가락의 낙하를 유도하는 다수의 슬릿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분류저장통이 착탈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수직하게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부재의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에는 파지용 손잡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와, 숟가락 및 젓가락을 각각 저장하는 분류저장통과, 상기 분류저장통에 설치되며 젓가락의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동일한 단부끼리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젓가락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상승시키는 정렬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숟가락과 젓가락을 각각 분리하는 분류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젓가락의 동일한 단부끼리 짝을 맞추는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숟가락과 젓가락 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정렬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과 타측에 개방된 투입구(201)와 토출구(202)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200)와, 상기 가이드부재(200)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각각 저장하는 분류저장통(300)과, 상기 분류저장통(300)의 젓가락이 저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분류저장통(300) 내에 저장된 젓가락의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동일한 단부끼리 모일 수 있도록 상기 분류저장통(300)의 폭방향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직선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젓가락이 양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간섭하는 정렬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일정 넓이 및 길이를 가지는 평판형 바닥판으로써, 후술할 가이드부재(200) 및 분류저장통(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중량이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알루미늄 또는 금속재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상기 분류저장통(3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결합부(110)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분류저장통(300)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결합부(110)에 대응하여 상보적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레일부(30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해 수직하게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축(120)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지지축(120)은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높이 차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지지축(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나사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세척 후 불규칙하게 뒤섞인 숟가락 및 젓가락을 분류하여 상기 분류저장통(30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 파이프 형상으로 상호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립체로서, 길이방향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투입구(201)와 토출구(20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투입블록(210)과, 상기 투입블록(210)과 이격되는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블록(2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분류저장통(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토출블록(220)과, 상기 투입블록(210)과 토출블록(220)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형상의 연결블록(2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투입블록(210)으로부터 토출블록(220)까지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높낮이 차이를 가진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높이 차이에 의해 숟가락 및 젓가락은 자연스럽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블록(2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젓가락의 낙하를 유도하는 다수의 슬릿홀(2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숟가락 및 젓가락이 가이드부재(200)에 의해 미끄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젓가락들은 슬릿홀(221)에 의해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상기 숟가락은 젓가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손잡이부와 헤드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슬릿홀(221)에 간섭받지 않고 상기 토출구(202)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홀(221)은 토출블록(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제1 슬릿(221a)과 제2 슬릿(221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 슬릿(221a)과 제2 슬릿(221b)은 토출블록(2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슬릿(221a)과 제2 슬릿(221b)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중심부가 상호 겹치지 않은 위치에 형성한다.
이는 상기 토출블록(220)으로 진입한 젓가락이 제1 슬릿(221a) 사이 공간 또는 제1 슬릿(221a) 바같쪽 경로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2 슬릿(221b) 위치에서 낙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류저장통(3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결합레일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토출구(202)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각각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분류저장통(300)은 숟가락이 저장되는 숟가락저장통(310)과, 젓가락이 저장되는 젓가락저장통(320)으로 분할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분류저장통(300)의 숟가락저장통(310)과 젓가락저장통(320)을 분리하도록 구획하는 구획판(330)을 구성하거나, 상기 숟가락저장통(310)과 젓가락저장통(320)을 분할된 구성으로 각각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젓가락저장통(320)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광하협구조의 경사안내부(321)가 형성된다(도 5참조).
이는 상기 토출블록(220)의 제1 슬릿(221a)과 제2 슬릿(221b)을 통해 낙하하는 젓가락이 저장되는 공간에 차곡히 쌓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젓가락저장통(320)의 양측 단부에는 후술할 정렬부재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용 레일홈(3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정렬부재(400)는 상기 승강용 레일홈(32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젓가락저장통(320) 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젓가락의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동일한 단부끼리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젓가락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상승시키는 동작으로부터 젓가락의 길이방향 선단부와 후단부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슬릿(221a)과 제2 슬릿(221b)을 통해 상기 젓가락저장통(320)에 배치되는 다량의 젓가락들은 선후 단부가 불규칙하게 뒤섞인 상태로 배열되므로, 이때 상기 젓가락의 무게중심을 이용한 정렬부재(400)에 의해 동일한 단부끼리 짝을 맞추는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부재(400)의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에는 파지용 손잡이부(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구(201)와 토출구(202)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200)와, 숟가락 및 젓가락을 각각 저장하는 분류저장통(300)과, 상기 분류저장통(300)에 설치되며 젓가락의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동일한 단부끼리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젓가락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상승시키는 정렬부재(400)를 구성함으로써, 숟가락과 젓가락을 각각 분리하는 분류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젓가락의 동일한 단부끼리 짝을 맞추는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결합레일부
120 : 지지축
200 : 가이드부재
210 : 투입블록
220 : 토출블록과,
221 : 슬릿홀
230 : 연결블록
300 : 분류저장통
310 : 숟가락저장통
320 : 젓가락저장통
400 : 정렬부재

Claims (8)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과 타측에 개방된 투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분류 저장하도록 구획된 분류저장통;
    상기 분류저장통의 젓가락이 저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분류저장통 내에 저장된 젓가락의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동일한 단부끼리 모일 수 있도록 상기 분류저장통의 폭방향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직선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젓가락이 양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간섭하는 정렬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 파이프 형상으로 상호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립체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투입블록과,
    상기 투입블록과 이격되는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블록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분류저장통의 상부에 설치되는 토출블록과,
    상기 투입블록과 토출블록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형상의 연결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토출블록의 바닥면에는 상기 젓가락이 상기 분류저장통의 젓가락이 저장되는 위치로 낙하를 유도하는 다수의 슬릿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저장통은 숟가락이 저장되는 숟가락저장통과, 젓가락이 저장되는 젓가락저장통으로 분할 구획되며, 상기 젓가락저장통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정렬부재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용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저장통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광하협구조의 경사안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분류저장통이 착탈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수직하게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재의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에는 파지용 손잡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KR1020130155285A 2013-12-13 2013-12-13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KR101606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285A KR101606446B1 (ko) 2013-12-13 2013-12-13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285A KR101606446B1 (ko) 2013-12-13 2013-12-13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590A KR20150069590A (ko) 2015-06-24
KR101606446B1 true KR101606446B1 (ko) 2016-03-28

Family

ID=5351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285A KR101606446B1 (ko) 2013-12-13 2013-12-13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7448A (zh) * 2021-08-19 2021-11-26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新型全自动的筷子勺子分拣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512Y1 (ko) 2006-07-03 2006-09-27 이형국 숟가락과 젓가락 분리기
KR200454390Y1 (ko) * 2011-04-04 2011-07-05 하유진 수저 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295B1 (ko) 2004-12-30 2006-05-30 정사교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KR20080039627A (ko) * 2006-11-01 2008-05-07 양준호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선별기
KR20100112667A (ko) * 2009-04-10 2010-10-20 허윤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512Y1 (ko) 2006-07-03 2006-09-27 이형국 숟가락과 젓가락 분리기
KR200454390Y1 (ko) * 2011-04-04 2011-07-05 하유진 수저 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590A (ko)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69910B (zh) 银器容器尤其是银器托盘和/或银器篮以及具有这种银器容器的洗碗机
CN202984121U (zh) 一种钢球分类装置
CN103183204B (zh) 震动送料装置
KR101606446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CN106628985A (zh) 一种筷子自动整理机构
KR101836344B1 (ko) 자유낙하형 수저분류장치
CN105996606A (zh) 一种五金销售架
KR20140004985A (ko) 수저분리장치
CN104528349B (zh) 一种自动筛选上料装置
CN104084972A (zh) 塑料棒分离整理设备
KR200456995Y1 (ko) 식기 운반대
CN204917128U (zh) 一种自动筛选上料装置
US8038107B1 (en) Method of retaining a lawn waste bag in an open position
CN209814987U (zh) 供料组件以及供料装置
CN111114891A (zh) 一种纸杯叠放包装用投放装置
CN206464258U (zh) 简易筷子分头机
CN209810654U (zh) 一种茶叶风选机
CN205816525U (zh) 冲压用凸凹模结构
CN209712075U (zh) 一种可调节、多托板会计用文件架
KR20140125148A (ko) 칩 선별장치
CN108946051B (zh) 一种用于u形工件的自动排列工业机器人
CN206882119U (zh) 一种中药材的选料装置
US10259652B1 (en) Debris disposal chute
KR20200128814A (ko) 슬라이딩이 가능한 채반기
CN104859924B (zh) 一种制鞋配件放料输送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