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627A -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선별기 - Google Patents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선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39627A KR20080039627A KR1020060107161A KR20060107161A KR20080039627A KR 20080039627 A KR20080039627 A KR 20080039627A KR 1020060107161 A KR1020060107161 A KR 1020060107161A KR 20060107161 A KR20060107161 A KR 20060107161A KR 20080039627 A KR20080039627 A KR 200800396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opsticks
- inclined portion
- guide plate
- long hole
- b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가락의 전후 양단부를 선별하여 동일한 단부끼리 분류하기 위한 젓가락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상단부에 외향의 플랜지(13)를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의 통체(10)와, 상기 통체(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완만한 경사부(22)와 가파른 경사부(23)를 구비한 절곡된 판형상의 받침부재(20)와, 상기 가파른 경사부(23)와 벽면(12) 사이에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된 로드(30)를 포함하고, 상기 완만한 경사부(22)에는 횡방향으로 천공된 좌우 한쌍의 장공(25)이 구비되고, 상기 장공(25)에는 좌우대칭인 한쌍의 가이드판(40)이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통체내에 설치된 완만한 경사부 위에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판을 구비함으로써 젓가락 선별기 위로 젓가락을 유입시킬 때 유입되는 젓가락들이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입되는 젓가락의 양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젓가락, 선별, 중력, 가이드판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과 받침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의 하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저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통체 11:하부면
12:벽면 13:플랜지
15:곡면부 20:받침부재
21:연결부 22:완만한 경사부
23:가파른 경사부 25:장공
30:로드 40:가이드판
41:수평면 42:수직면
43:안내구 50:가이드판
51:수평면 52:수직면
53:절곡부 54:삽입홈
본 발명은 젓가락의 전후 양단부를 선별하여 동일한 단부끼리 분류하기 위한 젓가락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내식당이나 대형식당 등 젓가락을 대량으로 사용하는 장소에서 사용된 젓가락을 세척한 후 가이드판 사이에 놓음으로써 같은 단부끼리 신속하게 선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 및 동북아시아권에서는 식사 도구로서 젓가락의 사용이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점차 그 사용에 세계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음식을 집는 선단부는 가늘고 뾰족하고 손으로 잡는 후단부는 두껍고 굵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젓가락은 일회용이 아닌 경우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제조되며 사용 후 세척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젓가락을 재사용하기 위하여 세척하게 되면 젓가락의 선후 단부가 불규칙하게 뒤섞인 상태로 배열되므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저보관통에 넣을 때에는 손으로 일일이 선후단부를 선별하여 동일한 단부끼리 맞춘 후 보관통에 넣어야 하며, 또한 그와 같은 작업을 할 경우 젓가락의 선단부를 손으로 여러 번 잡게 되므로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01395호에는 젓가락의 얇은 선단을 통과시킬 수 있는 안내홀이 다수 통공된 선별부재를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외체의 내측 하부에 형합시킨 선별부와, 상기 외체의 하단을 삽탈이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받침부로 구성된 "젓가락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14384호에는 횡단면적과 관련하여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인 젓가락의 상·하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홀이 형성된 선별부재와, 상기 선별부재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선별부재와 연결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받침부재로 구성된 "젓가락 선별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2건의 고안은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가진 장치로서, 원통형의 몸체를 동축상의 내부통과 외부통으로 구성하고, 내부통의 바닥에 젓가락의 선단부는 통과할 수 있으나 후단부는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구멍을 다수 개 형성하여, 젓가락을 세워서 넣은 다음 내부통을 위로 상승시키면 후단부가 아래로 배치된 젓가락들은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함께 상승됨에 따라 젓가락의 선후반부를 선별하는 방식이며, 후자는 외통 하부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위생적인 측면에서 전자를 개량한 고안이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들은 모두 세척한 젓가락을 손으로 모아서 원통내에 세워서 넣어야 하고 내부통을 위로 상승시킨 후 상승한 젓가락들만을 집어 별도로 선별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작업을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그 구성상 소형인 경우에는 유용하나 많은 양의 젓가락을 선별하도록 대형으로 제조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고안들에 의한 젓가락 선별장치는 모두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있어서 세척 후 가열건조에 의한 고온상태의 젓가락을 선별장치에 넣게 되면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이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42073호에는 수저의 양측 무게차를 이용하여 동일방향으로 분류 가능한 절곡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통체는 담기는 수저의 직각방향으로 중앙부위가 두 쪽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두 쪽의 절곡통체를 힌지축으로 연결하여 절곡통체가 하단방향으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히며, 절곡통체 일측에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통체를 내부로 수용하여 수저가 담긴 상태에서 절곡통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통수공에서 빠지는 물을 담는 통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은 중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하나의 수저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실현가능성이 있으나, 뒤섞인 다수개의 수저를 함께 적재할 때 양쪽 절곡통 체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는 경우 선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대량의 젓가락을 선별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구내식당이나 대형식당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사용상 및 세척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04138호로 "젓가락 선별기"를 출원한 바 있으며, 상기 출원은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완만한 경사부와 가파른 경사부를 구비한 받침부재와, 상기 가파른 경사부와 벽면 사이에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된 로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젓가락 선별기를 이용하여 젓가락을 선별하는 방법은 먼저 다수의 젓가락을 완만한 경사부 위에 놓으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면서 로드를 중심으로 무거운 후단부가 통체내로 떨어지고 가벼운 선단부가 위로 향한 상태로 로드에 걸쳐지게 된다. 따라서, 위를 향한 상태의 선단부들을 모으면 젓가락의 동일한 부분끼리 모아서 정리 및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젓가락을 상기 완만한 경사부에 놓을 때 젓가락의 수량이 많은 경우 일부가 통체의 바깥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젓가락들을 일정범위 내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통체 내에 설치된 완만한 경사부 위에 가이드판을 구비함으로써 젓가락 선별기 위로 젓가락을 유입시킬 때 유입되는 젓가락들이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입되는 젓가락의 양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단부에 외향의 플랜지를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완만한 경사부와 가파른 경사부를 구비한 절곡된 판형상의 받침부재와, 상기 가파른 경사부와 벽면 사이에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된 로드를 포함하는 젓가락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완만한 경사부에는 횡방향으로 천공된 좌우 한쌍의 장공이 구비되고,
상기 장공에는 좌우대칭인 한쌍의 가이드판이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판은 완만한 경사부에 밀착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외측 단부에서 수직상부로 절곡된 수직면과, 상기 수평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장공에 구속된채 장공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안내구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단부에 외향의 플랜지를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완만한 경사부와 가파른 경사부를 구비한 절곡된 판 형상의 받침부재와, 상기 가파른 경사부와 벽면 사이에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된 로드를 포함하는 젓가락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완만한 경사부에는 횡방향으로 천공된 좌우 두 쌍의 장공이 구비되고,
좌우대칭인 한쌍의 가이드판이 상기 장공들과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판은, 완만한 경사부에 밀착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외측 단부에서 수직상부로 절곡된 수직면과, 상기 수평면의 상하 각 단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장공을 관통한 후 상기 완만한 경사부의 하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장공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된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과 받침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젓가락 선별기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통체(10)와, 상기 통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프랜지(13)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통체(10)의 내부에 밀착삽입되며 2단으로 경 사진 면을 구비한 받침부재(20)와, 상기 통체(10)내에서 받침부재(20)와 통체의 벽면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로드(30)를 포함한다.
상기 통체(10)는 하부면(11)과, 사방의 벽면(12)과, 상기 벽면에서 이어진 플랜지(13)를 구비하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하부면(11)은 직사각형상으로서 바닥면을 이루고 있고, 상기 벽면(12)은 하부면(11)에서 상부로 일체로 연장되고 사방 측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벽면(12)의 상단부에서 외향으로 수평연장된 플랜지(1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사방의 벽면(12)은 하부보다 상부가 양쪽에서 각각 일정간격만큼 더 넓도록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11)과 벽면(12)이 이어지는 부분은 일정 곡률반경을 가진 완만한 곡면부(15)를 이룬다.
상기 받침부재(20)는 전체적으로 중앙이 절곡되어 2단으로 경사진 면을 구비한 플레이트로서, 상단에는 절곡된 연결부(21)를 구비하여 상기 벽면(12)의 일측 플랜지(13)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1)에서 연장되는 완만한 경사부(22)는 상기 통체(10)의 내부에 수평으로 경사지게 삽입됨에 따라, 양측 단부가 상기 통체(10) 내에서 양측 벽면(12)과 직각으로 접촉된다. 또한, 상기 완만한 경사부(22)에서 연장되는 가파른 경사부(23)는 상기 벽면(12)과 하부면(11)을 내부면에서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만한 경사부(22)와 가파른 경사부(23)는 통체(10)의 벽면(12) 양쪽 내측 및 하부면(11)과 직각을 이루며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양 부재(10,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젓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드(30)는 일단부가 상기 가파른 경사부(23)의 상부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통체(10)의 일측 벽면(12) 하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가파른 경사부(23)로부터 벽면(12)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완만한 경사부(22)에는 횡방향으로 천공된 좌우 한쌍의 장공(2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장공(25)에는 좌우대칭인 한쌍의 가이드판(40)이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속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40)은 수평면(41), 수직면(42) 및 안내구(43)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수평면(41)은 완만한 경사부(22)에 밀착되는 면이고, 상기 수직면(42)은 수평면(41)의 외측 단부에서 수직상부로 절곡된 면이다.
그리고, 상기 안내구(43)는 수평면(41)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장공(25)에 구속된 채 장공(2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면(41)에 결합되어 있는 부재이다. 상기 안내구(43)는 장공(25)을 관통한 아랫부분이 외향으로 벌려져 있어서, 상기 안내구(3)에 의해 가이드판(40)이 완만한 경사부(22)와 결속될 경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젓가락 선별작업을 하는 경우 선별할 젓가락의 양에 따라 상기 가이드판(40)을 일정범위로 벌린 후 젓가락을 넣게 되면 수직면(42)에 의하여 젓가락이 통체(10)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의 하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는, 상기 완만한 경사부(22)에 횡방향으로 천공된 좌우 두 쌍의 장공(26)이 구비되어 있으며, 좌우대칭인 한쌍의 가이드판(40)이 상기 장공(26)들과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속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50)은 수평면(51), 수직면(52) 및 절곡부(53)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수평면(51)은 완만한 경사부(22)에 밀착되는 면이고, 상기 수직면(52)은 수평면(51)의 외측 단부에서 수직상부로 절곡된 면이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53)는 수평면(51)의 상하 각 단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장공(26)을 관통한 후 상기 완만한 경사부(22)의 하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장공(26)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면(51)의 상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부분이다. 즉, 상기 절곡부(53)는 수평면(51)의 단부에서 돌출하여 ⊂자 형태로 절곡된 부분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서 내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판(50)의 절곡부(53)가 수평면(51)의 장공(26)에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판(50)의 삽입홈(54)이 장공(26)들 사이의 완만한 경사부(22)를 감싸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판(50)은 완만한 경사부(22)에서 이탈되지 않게 구속되면서 장공(2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젓가락 선별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선 별할 젓가락의 양에 따라 상기 가이드판(50)을 일정범위로 벌린 후 젓가락을 넣게 되면 수직면(52)에 의하여 젓가락이 통체(10)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에 의하면, 통체내에 설치된 완만한 경사부 위에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판을 구비함으로써 젓가락 선별기 위로 젓가락을 유입시킬 때 유입되는 젓가락들이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입되는 젓가락의 양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상부가 개방되고 상단부에 외향의 플랜지(13)를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의 통체(10)와, 상기 통체(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완만한 경사부(22)와 가파른 경사부(23)를 구비한 절곡된 판형상의 받침부재(20)와, 상기 가파른 경사부(23)와 벽면(12) 사이에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된 로드(30)를 포함하는 젓가락 선별기에 있어서,상기 완만한 경사부(22)에는 횡방향으로 천공된 좌우 한쌍의 장공(25)이 구비되고,상기 장공(25)에는 좌우대칭인 한쌍의 가이드판(40)이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40)은 완만한 경사부(22)에 밀착되는 수평면(41)과, 상기 수평면(41)의 외측 단부에서 수직상부로 절곡된 수직면(42)과, 상기 수평면(41)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장공(25)에 구속된채 장공(2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안내구(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
- 상부가 개방되고 상단부에 외향의 플랜지(13)를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의 통체(10)와, 상기 통체(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완만한 경사부(22)와 가파른 경사 부(23)를 구비한 절곡된 판형상의 받침부재(20)와, 상기 가파른 경사부(23)와 벽면(12) 사이에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된 로드(30)를 포함하는 젓가락 선별기에 있어서,상기 완만한 경사부(22)에는 횡방향으로 천공된 좌우 두 쌍의 장공(26)이 구비되고,좌우대칭인 한쌍의 가이드판(40)이 상기 장공(26)들과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50)은, 완만한 경사부(22)에 밀착되는 수평면(51)과, 상기 수평면(51)의 외측 단부에서 수직상부로 절곡된 수직면(52)과, 상기 수평면(51)의 상하 각 단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장공(26)을 관통한 후 상기 완만한 경사부(22)의 하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장공(26)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된 절곡부(5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 선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7161A KR20080039627A (ko) | 2006-11-01 | 2006-11-01 |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선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7161A KR20080039627A (ko) | 2006-11-01 | 2006-11-01 |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선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9627A true KR20080039627A (ko) | 2008-05-07 |
Family
ID=3964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7161A KR20080039627A (ko) | 2006-11-01 | 2006-11-01 |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선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3962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8995B1 (ko) * | 2011-08-09 | 2013-06-03 | 임지혜 | 젓가락 자동정렬기 |
KR20150069590A (ko) * | 2013-12-13 | 2015-06-24 | 이보석 | 수저 및 젓가락 분류기 |
CN107967510A (zh) * | 2017-11-16 | 2018-04-27 | 王霞 | 一种筷子计数机 |
-
2006
- 2006-11-01 KR KR1020060107161A patent/KR20080039627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8995B1 (ko) * | 2011-08-09 | 2013-06-03 | 임지혜 | 젓가락 자동정렬기 |
KR20150069590A (ko) * | 2013-12-13 | 2015-06-24 | 이보석 | 수저 및 젓가락 분류기 |
CN107967510A (zh) * | 2017-11-16 | 2018-04-27 | 王霞 | 一种筷子计数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21193A (en) | Break apart stand for plastic bags | |
KR101244849B1 (ko) | 다용도 집게 | |
KR20080039627A (ko) | 가이드판을 구비한 젓가락선별기 | |
WO2005100179A3 (en) | Portable storage container | |
US2013023314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food items | |
US8328254B1 (en) | Portable ball retriever | |
KR20080037277A (ko) | 젓가락선별기 | |
KR101865847B1 (ko) | 젓가락 자동 분별장치 | |
KR101375628B1 (ko) | 수저 자동정렬기 | |
KR100829020B1 (ko) | 젓가락선별기 | |
CN211033833U (zh) | 一种家用干湿分类垃圾桶 | |
KR200456995Y1 (ko) | 식기 운반대 | |
CN110753766B (zh) | 用于浸泡衣服等的集成式过滤器及容器 | |
KR101268995B1 (ko) | 젓가락 자동정렬기 | |
JP4569890B2 (ja) | コップ回収ボックス | |
KR200414384Y1 (ko) | 젓가락 선별기 | |
US6902072B2 (en) | Cooking utensil holder for preventing intermingling of cooking liquids and residue | |
US6237779B1 (en) | Utensil sorting apparatus | |
KR200395850Y1 (ko) | 셔틀콕 수납장치 | |
US8578848B2 (en) | Food processing apparatus | |
KR200432728Y1 (ko) | 투명 쓰레기통 | |
CN219135234U (zh) | 一种物品分类收纳桶 | |
CN106241104A (zh) | 一种分类垃圾箱 | |
KR20110003363U (ko) | 원뿔형 종이컵 수거용구 | |
KR100607135B1 (ko) | 우산꽂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