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995Y1 - 식기 운반대 - Google Patents

식기 운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995Y1
KR200456995Y1 KR2020090002035U KR20090002035U KR200456995Y1 KR 200456995 Y1 KR200456995 Y1 KR 200456995Y1 KR 2020090002035 U KR2020090002035 U KR 2020090002035U KR 20090002035 U KR20090002035 U KR 20090002035U KR 200456995 Y1 KR200456995 Y1 KR 200456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dish
tableware
support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681U (ko
Inventor
박진귀
Original Assignee
박진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귀 filed Critical 박진귀
Priority to KR2020090002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99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9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층되어 있는 식기가 뒤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 보관대는,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에 해당하는 수납부, 수납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식기가 놓여지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지지판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식기 운반대는 삽입공에 삽입되고 지지판의 상부로 돌출되어서, 적층되어 있는 식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식기, 보관대, 적층

Description

식기 운반대{DISH CARRIER}
본 고안은 식기 운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층되어 있는 식기의 뒤섞임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운반대에 관한 것이다.
식기 운반대는 다수의 국그릇 또는 밥그릇을 특정 장소에 위치시켜 이용자가 적층되어 있는 식기를 집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학교의 단체 급식이나 회사의 구내식당 등과 같은 단체 급식소에서 주로 사용된다. 식기 운반대에는 국그릇 또는 밥그릇 등이 일렬로 적층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일렬로 적층된 밥그릇 또는 국그릇의 열(列)이 식기 운반대 상에 다수 개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국그릇 또는 밥그릇의 열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국그릇 또는 밥그릇을 빼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 운반대에서는, 적층되어 있는 국그릇 또는 밥그릇의 열이 이동과정에서 쓰러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이 쓰러진 국그릇 또는 밥그릇의 열은 다른 국그릇 또는 밥그릇 열을 쓰러뜨리기 때문에, 하나의 열이 쓰러지는 경우 인접하는 다른 열이 동시 다발적으로 쓰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국그릇 또는 밥그릇의 열이 쓰러지는 경우, 식기 운반대의 내부에서 국그릇 또는 밥그릇이 뒤섞이게 되어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적층되어 있는 식기가 쓰러져서 뒤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운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식기 운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식기가 놓여지는 지지판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한 식기 운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운반대는,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에 해당하는 수납부, 수납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식기가 놓여지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지지판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운반대는 삽입공에 삽입되고 지지판의 상부로 돌출되어서, 적층되어 있는 식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식기 운반대는 아래와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의 일부는 수납부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부에는, 지지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삽입공에 지지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판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판은 연결바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연결바는 슬라이더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는 수납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바에 의해서 가이드 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지지판에는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연결바에 결합되거나 또는 슬라이드바에 삽입되어 슬라이더를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지지부재에 의해서 적층되어 있는 식기가 쓰러져서 뒤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식기 운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식기 운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식기가 놓여지는 지지판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한 식기 운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환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 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식기"는 국그릇 또는 밥그릇은 물론, 사발, 반찬 그릇, 식판, 컵 등과 같이 식당 또는 주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및 재질의 그릇, 조리기구 및 저장기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기 운반대(100)에서 외측면(14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식기 운반대(100)의 지지판(180), 연결바(230) 및 슬라이더(2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는, 외체(外體)를 형성하는 상부프레임(120), 하부프레임(130) 및 외측면(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식기 운반대(100)는, 식기(도시하지 않음)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10)를 형성하는 내측면(150), 내측면(150)에 위치하고 식기가 놓여질 수 있는 지지판(180), 지지판(180)에서 상향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재(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는, 지지판(180)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바(230), 연결바(230)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220), 슬라이더(220)를 가이드 하는 슬라이드바(190) 그리고 연결바(230)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240)를 포함한다.
지지판(180)에 일렬로 적층되어 있는 식기는, 외부의 충격 또는 식기 운반대(100)의 이동 등에 의해서 한 쪽으로 기울어져 쓰러지려고 할 때, 지지부재(200)와 접촉하게 되어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는 식기의 뒤섞임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라도 식기를 편리하게 집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재(200)는 봉 형상을 갖기 때문에, 식기와 지지부재(200)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간격을 통해서 사용자는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식기를 한꺼번에 집어 넣거나 빼낼 수가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는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지지판(180)은 다수의 지지부재(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지지부재(200)에 의해서 지지판(180)이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지지판(180)의 상면에 식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판(18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20)은 정사각 형상을 갖고, 식기 운반대(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납부(110)의 입구를 형성한다. 상부프레임(120)의 외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140)이 결합되어 있고,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150)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20) 각 모서리의 하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190)가 결합되어 있다.
하부프레임(130)은 상부프레임(130)과 동일한 정사각 형상을 갖고, 식기 운반대(100)의 하부를 구성한다. 하부프레임(130)의 외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140)이 결합되어 있고,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150)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프레임(130) 각 모서리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19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130)의 하면에는 캐스터(160)가 결합되어 있다. 캐스터(160)에 의해서 식기 운반대(10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외측면(140)은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30)의 외측에 결합되어서 식기 운반대(100)의 둘레를 형성한다. 외측면(140)은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30)의 외측을 따라서 4개가 부착된다.
그리고 내측면(150)은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30)의 내측에 결합되어서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인 직육면체의 수납부(110)를 형성한다. 내측면(150)은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30)의 내측을 따라서 4개가 부착된다. 그리고 4개의 내측면(150) 중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내측면(150)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슬롯(1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슬롯(152)에는 지지판(180)의 측 면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182)가 삽입되어 있다.
수납부(110)는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면은 지지판(180)에 의해서 규정된다. 그리고 수납부(110)의 측면은 내측면(150)에 의해서 규정된다. 수납부(1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데, 그 하면을 형성하는 지지판(18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직육면체의 높이는 지지판(180)의 이동에 의해서 달라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2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면(150)과 외측면(140)의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에는 슬라이드바(190), 슬라이드바(190)에 삽입되어 있는 슬라이더(220), 슬라이더(220)를 연결하는 연결바(230), 그리고 연결바(230)에 고정된 탄성부재(240)가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드바(190)의 일단은 상부프레임(120)의 각 모서리 부분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하부프레임(130)의 각 모서리 부분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바(190) 슬라이더(220)가 상하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슬라이더(220)는 슬라이드바(190)에 의해 안내되어서 상하로 자유롭게 왕복운동 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드바(190)의 상부에는 스토퍼(192)가 결합되어 있다.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 스토퍼(192)는 슬라이더(2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더(220)는 각각의 슬라이드바(19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것으로, 연결바(230)의 단부와 결합된다. 슬라이더(22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연결바(230) 및 지지판(180)도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220)의 내부에는 구름베어링 중에서도 자동조심형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는데, 전동체로는 볼인베어링이 바람직하다. 자동조심형 베어링은, 베어링 케이스 내에 수직으로 두 개의 구획된 공간이 있어서 전동체인 볼이 두 개의 공간에 나뉘어서 들어가게 되는 구조를 갖는다. 자동조심형 베어링을 쓸 경우, 식기가 지지판(180)의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어 적층되더라도 지지판(18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더(220)를 연결하는 연결바(23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더(220)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바(230)는 지지판(180)과 연결되어 지지판(180)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연결바(230)에는 탄성부재(24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판(180)에 식기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바(230) 및 지지판(180)은 항상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판(180)이 상부에 위치하는 때에, 슬라이더(220)는 스토퍼(192)와 접하게 된다.
도 2에서는 한 쌍의 연결바(230)를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는 4개의 슬라이더(220)를 모두 연결하는 두 쌍의 연결바(230)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탄성부재(240)는 연결바(230)와, 연결바(230)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220) 및 지지판(180)을 위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지지판(180)에 식기가 놓여 있지 않는 경우, 연결바(230), 슬라이더(220) 및 지지판(180)은 상승하여 수납부(1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지지판(180)에 식기가 놓여지는 경우에는, 식기의 중량에 의해서 탄성부재(240)가 신장됨과 동시에 지지판(180)이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판(180)에 놓여 있는 식기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서, 지지판(180)은 탄성부재(2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에서, 탄성부재(240)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에 의해서 형성되고, 그 일단은 상부프레임(120)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연결바(23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24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내측면(150)의 외부에만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지지판(180)이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하여 지지판(18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240)가 상부프레임(120)의 하면에 고정되어 연결바(230)와 연결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의 탄성부재는 슬라이드바(190)에 삽입되어 슬라이더(220)를 위로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납부(11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지지판(180)은 적층되어 놓여지는 식기(도시하지 않음)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지판(180)은 놓여지는 식기의 수가 증가할수록 식기의 무게에 의해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식기의 수가 감소하게 되면 탄성부재(2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지지판(180)의 측면 중에서, 마주 보는 한 쌍의 측면에는 연결부(182)가 돌출되어 있다. 연결부(182)는 내측면(150)에 형성된 이동슬롯(152)에 삽입되어, 내측면(150)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판(180)과 내측면(150)의 외부에 위치하는 연결바(2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판(180)에는 지지부재(2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공(184)이 형성 되어 있다. 삽입공(184)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가 삽입되어 지지판(180)의 상부로 돌출된다. 삽입공(184)의 개수는 지지판(180)의 크기 및 지지판(180)에 놓여지는 식기의 크기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180)이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삽입공(184)은 지지판(180)의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및 상하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공(184)의 크기를 지지부재(200)의 단면에 비해서 다소 크게 형성함으로써, 지지판(18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지지판(180)에는 다수 개의 통공(186)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186)을 통해서 물이 지지판(180)의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식기 운반대(100)의 하부에는 통공(186)을 통해서 떨어진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의 지지부재(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에서, 지지판(180), 연결바(230) 및 슬라이더(220)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봉 형상의 지지부재(200) 및 이에 대응하는 삽입돌기(202)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 형상의 지지부재(200') 및 이에 대응하는 삽입돌기(202')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지지부재(200)는, 식기가 놓여지는 지지판(180)의 상부로 돌출되어서 적층되어 있는 식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200)는, 식기 운 반대(100)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돌기(202)에 삽입되어 위치 설정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00)는 삽입돌기(20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지지부재(200)가 필요 없거나 또는 식기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지지부재(2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00)의 일부는 수납부(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부(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재(200)는 적층되는 그릇의 위치를 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물론, 지지부재(200)를 수납부(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부재(200)는 지지판(18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184)에 삽입된다. 그리고 지지판(180)은 지지부재(200)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판(180)은 지지부재(200)에 의해 가이드 되기 때문에, 지지판(180)이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지지부재(20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봉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지지부재(200')는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의 단면은 식기의 형상 등에 따라서 원, 사각형, 십자가, 타원, 삼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의 사용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에 식기(D)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식기 운반대(100)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식기 운반대(100)에서 지지부재(200)의 일부 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지판(180)에는 가로 및 세로 각각 3줄씩 식기(D)가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층되어 있는 식기의 열(S)과 열(S)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큰 경우,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서 식기의 열(S)이 쓰러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는 식기의 열(S)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식기의 열(S) 사이 사이에 지지부재(200)를 형성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는 4개의 식기의 열(S) 중간에 하나의 지지부재(20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서 넘어지려고 하는 식기의 열(S)은 지지부재(200)에 걸리게 되어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식기의 열(S)과 식기의 열(S)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식기의 열(S)과 지지부재(200) 사이에도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와 같이 형성된 간격을 통해서 식기의 열(S)을 지지판(180)에 놓거나 또는 지지판(180)으로부터 식기의 열(S)을 한꺼번에 빼낼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8에서는 크기가 모두 동일한 식기(D)를 예시하였지만, 식기(D)의 크기는 각각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식기(D)의 크기가 다를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D')의 크기에 적합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지지부재(200) 중 하나를 제거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100)는 지지부재(200)가 삽입돌기(202)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식기(D, D')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에서, 외측면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의 지지판, 연결바 및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에서 지지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지지부재 및 삽입돌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지지부재 및 삽입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에 식기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식기 운반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운반대에서 지지부재 중 하나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Claims (8)

  1.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에 해당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식기가 놓여지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에는 삽입공 및 배수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돌기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삽입공을 통해서 상기 지지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에 적층되어 있는 식기는 상기 수납부의 내면 및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는 식기 운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는 상기 수납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운반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운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에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운반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연결바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바는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수납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바에 의해서 가이드 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지지판에는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운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바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운반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바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운반대.
KR2020090002035U 2009-02-24 2009-02-24 식기 운반대 KR200456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035U KR200456995Y1 (ko) 2009-02-24 2009-02-24 식기 운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035U KR200456995Y1 (ko) 2009-02-24 2009-02-24 식기 운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681U KR20100008681U (ko) 2010-09-02
KR200456995Y1 true KR200456995Y1 (ko) 2011-12-01

Family

ID=4419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035U KR200456995Y1 (ko) 2009-02-24 2009-02-24 식기 운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9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91Y1 (ko) * 2017-02-17 2017-12-07 삼우금속개발 주식회사 그릇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71B1 (ko) * 2013-06-10 2015-03-03 (주)태현 부품 운반용 카트
KR200481488Y1 (ko) * 2014-06-27 2016-10-14 명형진 식판적재이동장치
CN105539535A (zh) * 2016-02-23 2016-05-04 马鞍山纽泽科技服务有限公司 U型杆收集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968A (ja) * 1999-02-25 2000-09-05 Nippon Senjoki Kk 食器ディスペンサー
JP2008126723A (ja) * 2006-11-17 2008-06-05 Sogo Kikaku:Kk 積載台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968A (ja) * 1999-02-25 2000-09-05 Nippon Senjoki Kk 食器ディスペンサー
JP2008126723A (ja) * 2006-11-17 2008-06-05 Sogo Kikaku:Kk 積載台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91Y1 (ko) * 2017-02-17 2017-12-07 삼우금속개발 주식회사 그릇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681U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0915B2 (en) Tray with adjustable dividers
KR200456995Y1 (ko) 식기 운반대
CN102458213B (zh) 一种包括餐具篮的洗碗机
US20140097120A1 (en) Coffee pod holder and tray with movable dividers
US20100282635A1 (en) Suspended Utensil Storage System and Method
US9949595B1 (en) Cookware rack
US8632123B2 (en) Ganging cup-holder
US10925380B1 (en) Beverage holder
MX2011007493A (es) Portador de taza y tazon.
US7882806B2 (en) Cage with micro filter top
KR20080064940A (ko) 식기 건조대
KR101977580B1 (ko)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US20100181442A1 (en) Device for placing receptacles, such as plates, provided with a product
CN216030925U (zh) 一种托盘置物防倒结构及配送机器人
KR200481424Y1 (ko)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
KR20110106614A (ko) 컵 배출기
CN208119856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的木结构茶盒
CN213587822U (zh) 多重叠加式碗碟架
KR101204938B1 (ko) 와인잔 홀더를 구비한 테이블.
KR101186195B1 (ko) 수장고용 수납장
CN216393740U (zh) 一种组合式的多功能陶瓷茶具
CN217658783U (zh) 碗碟架、抽屉柜和碗碟架的支撑座
NL2023000B1 (nl) Tray voor het opslaan of transporteren van servies
KR101158764B1 (ko)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KR200178676Y1 (ko) 찻잔 및 접시 보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