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764B1 -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 Google Patents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764B1
KR101158764B1 KR1020100075512A KR20100075512A KR101158764B1 KR 101158764 B1 KR101158764 B1 KR 101158764B1 KR 1020100075512 A KR1020100075512 A KR 1020100075512A KR 20100075512 A KR20100075512 A KR 20100075512A KR 101158764 B1 KR101158764 B1 KR 101158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e
wine glass
grooves
guide groove
low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511A (ko
Inventor
이지아
Original Assignee
이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아 filed Critical 이지아
Priority to KR1020100075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7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와인잔의 안전한 받침은 물론 운반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보관용구를 제공함으로서 와인잔의 보다 안전한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관용구는, 육면체 구조를 이루되, 내부에는 와인잔(100) 보관을 위한 공간부(S)를 형성하고 있으며; 좌우측벽(10)에는 와인잔(100)의 인입을 위한 좌,우 인입홈(11,12)이 동일한 대칭형태로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저면(20)에는 상기 좌,우 인입홈(11,12)을 연결하는 하부 안내홈(21)이 형성되어져 있고; 전후측벽(30)에는 와인잔(100)의 인입을 위한 전,후 인입홈(31,32)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좌,우 인입홈(11,12)과 반대되는 상하 반전된 형태를 이루며; 상면(40)에는 상기 전,후 인입홈(31,32)을 연결하는 상부 안내홈(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WINE GLASS CUSTODY CONTAINER}
본 발명은 와인잔 보관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인잔의 안전한 받침기능 및 수납, 보관이 가능한 용구를 제공하여 여행 등의 이동시 안전하고 간편하게 와인잔 보관은 물론 받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은 100% 포도즙을 이용한 자연음료로 수분, 알코올과 함께 당분, 비타민, 각종 미네랄, 탄닌 등 300여 가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비타민C, 비타민E 보다 뛰어난 효과를 갖는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있어 심장질환 및 산화적 손상으로 인한 노인의 퇴행성 질환 등의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을 뿐 아니라 진정, 항 우울 작용이 있어 정신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와인이 갖는 효과와, 건강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현대인들의 심리로 인하여 최근 와인의 소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데, 와인을 마실 때는 와인 마니아 들은 자신만의 와인 전용잔(이하, 와인잔)을 쓰게 되는데, 이러한 와인잔의 경우 고순도의 크리스탈 또는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크리스탈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면서 몸체, 다리부, 받침대가 일체로 이루어진 기존 와인잔은 여행이나 운반시 외부충격으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있었을 뿐 아니라 그 형태적 특성으로 인하여 보관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와인잔은 다리부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테이블에서 잘못 건드리게 되면 쉽게 넘어지기 때문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와인잔 보관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와인잔의 보관은 물론 운반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보관용구를 제공함으로서 와인잔의 보다 안전한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인잔 보관용구는, 육면체 구조를 이루되, 내부에는 와인잔 보관을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좌우측벽에는 와인잔의 인입을 위한 좌,우 인입홈이 동일한 대칭형태로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면에는 상기 좌,우 인입홈을 연결하는 상부 안내홈이 형성되어져 있고; 전후측벽에는 와인잔의 인입을 위한 전,후 인입홈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좌,우 인입홈과 반대되는 상하 반전된 형태를 이루며; 저면에는 상기 전,후 인입홈을 연결하는 하부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와인잔 보관용구는, 와인잔을 외부 충격으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안정적인 보관상태를 유지함과 함께 여행시에도 휴대가 가능하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야외에서도 와인잔의 안정적인 거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 음용 과정에서 와인을 흘리는 등의 문제가 개선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인잔의 건조용도로도 유용하게 활용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와인잔 보관용구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보관용구의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보관용구의 정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보관용구의 평면 구조도.
도 5는 일반적인 와인잔의 측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 보관용구에 와인잔 건조 보관시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보관용구에 와인잔 건조 보관시 상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보관용구에 와인잔 거치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보관용구에 와인잔 거치상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라 보관용구 내에 와인잔 보관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사를 이용한 보관용구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인잔 보관용구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구조를 이루되, 내부에는 와인잔(100) 보관을 위한 공간부(S)를 형성하고 있으며, 좌우측벽(10)에는 와인잔(100)의 몸통부(101) 인입을 위한 좌,우 인입홈(11,12)이 동일한 대칭형태로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저면(20)에는 상기 좌,우 인입홈(11,12)을 연결하는 하부 안내홈(21)이 형성되어져 있고, 전후측벽(30)에는 와인잔(100)의 몸통부(101) 인입을 위한 전,후 인입홈(31,32)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좌,우 인입홈(11,12)과 반대되는 상하 반전된 형태를 이루며, 상면(40)에는 상기 전,후 인입홈(31,32)을 연결하는 상부 안내홈(41)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특히, 하부 안내홈(21) 및 상부 안내홈(41) 중단에는 와인잔(100)의 거치를 위한 거치홈(21a,41a)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거치홈(21a,41a)의 내경 크기(D)는 와인잔(100)의 몸통부(101) 또는 받침판(102)의 외경(d)보다 작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하부 안내홈(21,41)은 와인잔(100)의 다리부(103)가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보관용구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 후 세척이 이루어진 와인잔(100)을 건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와인잔(100)을 거꾸로 하여 몸통부(101)가 전,후 인입홈(31,32)을 통해 인입되어지면 이와 동시에 다리부(103)는 상부 안내홈(41)을 통해 안내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보관용구 중앙 위치로 이동되어지면 받침판(102)이 거치홈(41a)에 걸려진 상태로 와인잔(100)이 지지되어지게 됨으로서 와인잔(100)의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상태로 상부 안내홈(41)의 양측을 별도의 패킹재(미도시)로 막고 외부상자를 씌우게 되면 와인잔(100)의 몸통부(101)가 보관용구 내부에 위치되어져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보관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됨으로 여행시에도 안전한 휴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사용은 보관용구를 거꾸로 뒤집어서 하부 안내홈(21) 및 좌,우 인입홈(11,12)를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어떠한 방향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와인잔(100)을 이용하여 와인을 음용하는 과정에서 잠시 거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와인잔(100)을 세운 상태로 인입시키게 되면 몸통부(101)가 거치홈(41a)에 걸려진 상태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평평한 바닥이 없는 야외에서 와인을 음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관용구를 이용하면 안정적인 거치가 이루어져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라 와인잔(100)을 보관용구 내부에 보관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보관용구를 반으로 나누어 분리가 가능한 조립식 구조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보관용구를 분리시킨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잔(100)을 내부에 위치시키고 다시 조립함으로서 와인잔(100)의 내부 보관이 가능하게 되어질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철사와이어를 엮어서 만든 와인잔 보관용구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수직대(13)가 각 모서리부를 이루어 구비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와인잔의 다리부(103)가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상부안내홈(41)과 하부안내홈(21)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안내홈(41)과 하부안내홈(21) 중앙에는 와인잔(100)의 받침판(102)이 거치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거치홈(21a,41a)이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철사를 이용하여 보관용구를 제작하게 되면 제품의 무게가 크게 절감되어짐으로 휴대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철사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와인잔(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10 : 좌,우측벽 11,12 : 좌,우 인입홈
20 : 저면 21 : 하부 안내홈
30 : 전,후측벽 31,32 : 전,후 인입홈
40 : 상면 41 : 상부 안내홈
100 : 와인잔 101 : 몸통부
102 : 받침판 103 : 다리부

Claims (5)

  1. 육면체 구조를 이루되, 내부에는 와인잔(100) 보관을 위한 공간부(S)를 형성하고 있으며;
    좌우측벽(10)에는 와인잔(100)의 몸통부(101) 인입을 위한 좌,우 인입홈(11,12)이 동일한 대칭형태로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저면(20)에는 상기 좌,우 인입홈(11,12)을 연결하는 하부 안내홈(21)이 형성되어져 있고;
    전후측벽(30)에는 와인잔(100)의 몸통부(101) 인입을 위한 전,후 인입홈(31,32)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좌,우 인입홈(11,12)과 반대되는 상하 반전된 형태를 이루며;
    상면(40)에는 상기 전,후 인입홈(31,32)을 연결하는 상부 안내홈(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안내홈(21) 및 상부 안내홈(41) 중단에는 와인잔(100)의 받침판(102)이 거치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거치홈(21a,41a)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21a,41a)의 내경 크기(D)는 와인잔(100)의 몸통부(101) 또는 받침판(102)의 외경(d)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안내홈(21,41)은 와인잔(100)의 다리부(103)가 안내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5. 하나의 철사와이어를 엮어서 이루어지되, 4개의 수직대(13)가 각 모서리부를 이루어 구비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와인잔의 다리부(103)가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상부안내홈(41)과 하부안내홈(21)이 상호 직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안내홈(41)과 하부안내홈(21) 각각의 중앙에는 와인잔(100)의 받침판(102)이 거치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거치홈(21a,41a)이 원형의 형상을 이루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KR1020100075512A 2010-08-05 2010-08-05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KR101158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512A KR101158764B1 (ko) 2010-08-05 2010-08-05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512A KR101158764B1 (ko) 2010-08-05 2010-08-05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511A KR20120013511A (ko) 2012-02-15
KR101158764B1 true KR101158764B1 (ko) 2012-06-22

Family

ID=4583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512A KR101158764B1 (ko) 2010-08-05 2010-08-05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605B1 (ko) 2018-11-28 2019-08-23 이명재 와인잔 홀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9141A (ja) 2001-02-20 2002-09-03 Kimiya Tabuchi グラス保持部材と該部材付き収納箱
JP2004223230A (ja) 2003-01-27 2004-08-12 Takayoshi Kano ワイングラスホルダー
KR200383884Y1 (ko) 2005-02-17 2005-05-10 최덕환 물품 수납구
US20080268187A1 (en) 2007-04-30 2008-10-30 Figovsky Roy Silicone encased glass obje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9141A (ja) 2001-02-20 2002-09-03 Kimiya Tabuchi グラス保持部材と該部材付き収納箱
JP2004223230A (ja) 2003-01-27 2004-08-12 Takayoshi Kano ワイングラスホルダー
KR200383884Y1 (ko) 2005-02-17 2005-05-10 최덕환 물품 수납구
US20080268187A1 (en) 2007-04-30 2008-10-30 Figovsky Roy Silicone encased glass obje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605B1 (ko) 2018-11-28 2019-08-23 이명재 와인잔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511A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764B1 (ko) 받침기능을 갖는 와인잔 보관용구
CN203328249U (zh) 家庭休闲多用途吧台
CN203709894U (zh) 一种新型的炉台碗碟拉篮
CN203744647U (zh) 一种冰箱酒瓶架
CN204078319U (zh) 一种保湿防震果蔬包装箱
CN206403475U (zh) 一种酒架及酒柜
CN208144871U (zh) 一种多功能茶盘
CN205045143U (zh) 一种双向酒瓶存储箱
CN209306083U (zh) 一种鸡蛋包装盒
CN209360008U (zh) 一种餐厅立面
CN216887848U (zh) 一种新型啤酒箱
CN203723691U (zh) 一种子母式酒柜
CN212815977U (zh) 带筷子篓的碟碗架
CN203328210U (zh) 一种茶几
CN207275283U (zh) 一种便携式保温箱
KR200354149Y1 (ko)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와인잔
CN210871207U (zh) 一种厨房台面置物架
CN205106686U (zh) 一种方便使用的一体式快餐盒
CN201525527U (zh) 麻将牌包装盒
CN208149183U (zh) 一种汽车行李箱用收纳架
CN206102606U (zh) 一种高脚酒杯晾干器
CN206032077U (zh) 一种安全型猕猴桃运输箱
CN203016598U (zh) 多边形收纳盒
CN206380954U (zh) 一种梳妆台
CN204078284U (zh) 一种新型组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