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667A -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 - Google Patents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667A
KR20100112667A KR1020090031050A KR20090031050A KR20100112667A KR 20100112667 A KR20100112667 A KR 20100112667A KR 1020090031050 A KR1020090031050 A KR 1020090031050A KR 20090031050 A KR20090031050 A KR 20090031050A KR 20100112667 A KR20100112667 A KR 20100112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main body
center
spo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
Original Assignee
허윤
허철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윤, 허철해 filed Critical 허윤
Priority to KR102009003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2667A/ko
Publication of KR2010011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식사도구를 담아 보관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담는 식사도구의 중앙을 지나고 상기 본체(10)의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11)과, 상기 통공(11)과 결합하여 식사도구를 들어올릴 수 있는 막대(11)가 상부로 들어올리면 수저의 중심점 역할을 하며, 상기 막대(11)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수저의 무게 차에 따라 작용하는 관성력의 힘이 달라 무거운 부위는 아래로 향하고 가벼운 부위는 위로 향하게 하여 수저의 잡는 부분을 집어 수저통에 담을 때 좌우로 섞여서 담긴 것을 손쉽게 분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정돈할 수 있는 효과이다.
무게중심, 수저정리, 수저통

Description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 {SPOON CASE}
식사용 도구로 사용되는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 등의 각종 도구들의 길이방향으로 길이 중심점 기준으로 양쪽의 무게가 다르다는 것을 이용하였다. 가운데의 막대(11)가 상부로 올라갔을 때 수저의 중심점 역할을 하며, 상기 막대(11)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수저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달라 무거운 부위는 아래로 향하고 가벼운 부위는 위로 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여러 쌍의 수저를 세척 후 수저통에 담을 때 좌우로 섞여서 담긴 것을 손쉽게 분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정돈할 수 있는 수저통을 제공함이 목적이다.
기존의 수저통은 일반적으로 수저를 담는 기능만을 함으로 수저를 세척 후에 여러 쌍의 수저를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정리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정리시 세척된 수저를 여러 번 만져서 정리를 해야하므로 세척한 의미가 반감되며 위생적인 문제가 문제시된다.
또한, 정리를 하기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정리를 하지않고 수저통에 보관하게 되고, 식사시 방향이 동일하지 않게 보관된 수저통에서 수저를 고르기 위해서는 다른 수저를 만질 수밖에 없음으로 비위생적이다. 특히, 대중 음식점에서는 많은 양의 수저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본 발명에서는 간단하게 해결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정돈이 가능하며, 수저통에서 적은 작업으로 수저를 정렬하여 수저 사용시의 비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사용 도구로 사용되는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 등의 각종 도구들의 길이방향으로 길이 중심점 기준으로 양쪽의 무게가 다르다는 것을 이용하였다. 수저의 무게 차에 의한 관성력이 작용하는 힘이 달라 무거운 부위는 아래로 향하고 가벼운 부위는 위로 향하게 하여 적은 시간에 수저를 정리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은,
식사도구를 담아 보관하는 본체(10)의 바닥은 물기가 빠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수공(13)으로 구성되고, 막대를 들어올려 고정할 수 있도록 고리(21)가 형성되고, 본체(10)의 중앙을 관통하는 막대(11)를 이용해 수저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저통은,
막대(11)가 상부로 올라가 수저의 무거운 부분(31)과 가벼운 부분(30)를 분리해 정돈이 편리함으로써 세척 후 무작위로 담기는 수저를 짧은 시간내에 동일방향으로 정돈 가능함으로 편리하며, 정돈된 상태에서는 손잡이부가 동일방향에 위치 함으로 수저를 꺼낼 때 가벼운 부분(30)을 손으로 만질 수밖에 없는 상태를 개선함으로 위생적인 측면이 향상됨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많은 양의 수저, 포크, 나이프 등을 사용하는 음식점 및 레스토랑 등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수저를 담을 수 있는 본체(10)가 구성되고, 본체의 바닥에 위치하면서 통수공(13)이 있는 바닥면(14)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수저가 담기는 곳으로, 본체를 원활하게 수저를 정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본체의 중앙 부분에 막대(11)가 위치하여, 상부로 올릴 때 통공(11)은 상기 막대를 들어올려 고정할 수 있도록 고리(21)에 걸어 막대(11)을 고정하여 수저의 무거운 부분(31)과 가벼운 부분(30)을 분리하며, 본체(10)의 하단부분의 바닥면(14)에는 세척 후 수저에 묻은 잔여 물기가 빠지도록 통수공(13)을 형성하며, 본체(10)의 하단에 위치하여 물을 빠진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수저통은 수저뿐만 아니라 포크, 나이프 등의 모든 식사용 도구의 정돈을 목적으로 두루 사용 가능하다.
도1은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의 사시도.
도2는 막대의 상부이동으로 인한 젓가락의 정렬에 대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통공
13 : 통수공 14 : 바닥면
20 : 막대 21 : 고리
30 : 중젓가락 31 : 경젓가락

Claims (3)

  1. 식사도구를 담아 보관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담는 식사도구의 중앙을 지나고 상기 본체(10)의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11)과, 상기 통공(11)과 결합하여 식사도구를 들어올릴 수 있는 막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1)은 상기 막대를 들어올려 고정할 수 있도록 고리(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바닥은 물기가 빠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수공(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
KR1020090031050A 2009-04-10 2009-04-10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 KR20100112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050A KR20100112667A (ko) 2009-04-10 2009-04-10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050A KR20100112667A (ko) 2009-04-10 2009-04-10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667A true KR20100112667A (ko) 2010-10-20

Family

ID=43132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050A KR20100112667A (ko) 2009-04-10 2009-04-10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266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037B1 (ko) * 2010-11-23 2012-04-30 양동훈 업소용 위생 수저통
WO2013081386A1 (ko) * 2011-12-02 2013-06-06 Kim Jongkyu 자외선 살균 수저통
KR101349441B1 (ko) * 2012-05-08 2014-01-08 김종규 자외선 살균 수저통
KR20150069590A (ko) * 2013-12-13 2015-06-24 이보석 수저 및 젓가락 분류기
CN105361597A (zh) * 2015-12-08 2016-03-02 张志良 一种汤匙放置装置
CN108771528A (zh) * 2018-08-28 2018-11-09 佛山市恋维电器科技有限公司 带有分层机构的筷子清洗架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037B1 (ko) * 2010-11-23 2012-04-30 양동훈 업소용 위생 수저통
WO2013081386A1 (ko) * 2011-12-02 2013-06-06 Kim Jongkyu 자외선 살균 수저통
KR101349441B1 (ko) * 2012-05-08 2014-01-08 김종규 자외선 살균 수저통
KR20150069590A (ko) * 2013-12-13 2015-06-24 이보석 수저 및 젓가락 분류기
CN105361597A (zh) * 2015-12-08 2016-03-02 张志良 一种汤匙放置装置
CN108771528A (zh) * 2018-08-28 2018-11-09 佛山市恋维电器科技有限公司 带有分层机构的筷子清洗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2667A (ko) 수저 분리가 편리한 수저통
CN105266601B (zh) 包括具有带器具靠置架的手柄的盖子的厨具
CN201929270U (zh) 一种多功能杯子
CN201564128U (zh) 方便果盘
CN201499817U (zh) 一种易清洁餐桌
CN208988794U (zh) 一种新型洗碗机下碗篮
KR200484786Y1 (ko) 수저 받침대
JP4713226B2 (ja) 穴あきスポンジ
CN202553571U (zh) 炒锅
CN201441272U (zh) 方便捞取火锅
CN205107133U (zh) 一种便于左手用筷人使用的餐盘
CN210783806U (zh) 一种便于码放堆叠的不锈钢餐具
JP2016016036A (ja) 匙およびお玉
CN205215078U (zh) 一种多用筷子笼
CN207613744U (zh) 一种洗碗机用碗篮
CN202950414U (zh) 一种餐具
KR20120001487U (ko)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CN102940427B (zh) 一种持盘器与相配合使用的餐具及使用方法
CN205390392U (zh) 一种多用途围裙
CN208510887U (zh) 一种多功能厨具归纳架
CN203634056U (zh) 一种餐具组合置物架
CN202739038U (zh) 一种伞架
CN210842550U (zh) 一种筷子盒
CN202027391U (zh) 方便用菜的火锅
CN211883294U (zh) 一种多用途卫生端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